KR100428983B1 - 광정보매체기록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광정보매체기록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983B1
KR100428983B1 KR1019970707308A KR19970707308A KR100428983B1 KR 100428983 B1 KR100428983 B1 KR 100428983B1 KR 1019970707308 A KR1019970707308 A KR 1019970707308A KR 19970707308 A KR19970707308 A KR 19970707308A KR 100428983 B1 KR100428983 B1 KR 100428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uration
pulse
mark
pow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785A (ko
Inventor
요하네스 헨드릭 마리아 스프뤼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1999000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Overwriting
    • G11B7/0062Overwriting strategies, e.g. recording pulse sequences with erasing level used for phase-change medi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8Pulse-modulation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4Recording involving phase-change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5Erasing
    • G11B7/00557Erasing involving phase-change medi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 blocks are arranged within multiple radial zones, e.g. Zone Bit Recording or Constant Density Recording discs, MCAV discs, MCLV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마크가 방사 펄스의 시퀀스에 의해 서로 다른 기록 속도로 정보매체 내부에 기록되는 광 정보매체 기록방법이 기술된다. 시퀀스의 최종 펄스는 감소된 방사 전력을 갖는 주기를 수반하고, 그 주기의 지속기간은 상기 기록 속도에 역비례한다.

Description

광 정보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 OPTICAL INFORMATION CARRIER}
본 발명은 펄스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을 조사함으로써 광 정보매체의 정보층 내부에 소정의 기록 속도 또는 서로 다른 기록 속도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마크(marks)를 기록하되, 각각의 마크는 제 1 방사 전력 레벨을 갖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펄스로 이루어진 시퀀스에 의해 기록되는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록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광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매체의 정보층 내에 기록될 정보를 써넣으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정보층 내에 쓰여진 정보를 소거함으로써, 정보층에 대해 직접 오버라이트(direct-overwrite)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방법은 상변화 물질로 이루어진 정보층 내에 직접 오버라이트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기록 속도는 정보매체의 정보층과 이 층 위에 방사빔에 의해 형성되는 스폿 사이의 속도에 대한 크기이다. 정보매체 위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기록 속도는 상기 정보층 상의 조사 빔의 위치의 함수로써 변화될 수 있다. 일정 각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 형태의 정보매체 위에 기록하는 경우에 기록 속도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사실은 반경에 독립적인 데이터 속도 및 반경방향으로 증가되는 데이터 속도로 기록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상기한 광 정보매체 기록방법은 일본국 특허출원 제 JP-A 3-283021호에 이미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지된 방법은 서로 다른 기록속도로 정보층 내부에 마크를 기록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이 방법의 한가지 단점은 직접 오버라이트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기록 속도에서 직접 오버라이트 기록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광 정보매체 기록방법은, 상기 시퀀스 내의 최종 펄스가 제 1 전력 레벨을 갖고, 냉각주기(cooling period) 동안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력 레벨을 수반하며, 그 후, 상기 제 2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3 전력 레벨을 수반하고,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기록 속도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마크의 기록은 제 1 전력 레벨에 있는 펄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현재 기록된 마크들 사이에 있는 스페이스 내부의 이전에 기록된 마크의 소거는 제 3 전력 레벨에서의 조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시퀀스의 최종 펄스에 수반되고 상기 소거 개시에 선행하는 냉각주기는 시퀀스의 종료 위치에서 정보층의 냉각을 제공한다. 상기 냉각주기가 너무 짧으면, 소거과정이 너무 빨리 개시하여 방금 기록된 마크의 매우 많은 부분을 소거한다. 반면에, 상기 냉각주기가 너무 길면, 소거과정이 너무 늦게 개시하여, 방금 기록된 마크에 바로 뒤따르는 이전에 기록된 마크가 소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한 속도로 기록하는 경우, 상기 냉각주기에 대한 최적의 지속기간이 존재하게 된다. 기록 속도를 변경하는 경우에, 기록동작으로부터 소거동작으로의 적합한 전이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을 기록 속도에 따라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미국 특허 제 5,109,373호에는, 기록층 내에 마크를 기록하는 펄스 시퀀스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시퀀스의 최종 펄스가 특정한 주기 동안 저 전력 레벨을 수반하고, 그 후, 소거를 위한 더 높은 전력 레벨을 수반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기록 속도가 변경될 때 어떻게 시퀀스를 변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이 기록 속도의 역수와 선형적으로 관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주기에 해당하는 정보층의 길이는 기록 속도 및 정보매체의 종류에 무관하게 일정한 값을 갖는다.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 형태의 매체가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영역은 일정한 각 밀도로 기록되며, 증가되는 반경에 위치한 영역은 증가된 각 밀도로 기록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마크의 단위 길이당 펄스 수에 있어서 다소의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냉각주기에 해당하는 정보층의 길이는, 시퀀스의 최종 방사 펄스 및 후속되는 소거과정의 개시에 의해 가열된 영역들의 중첩에 의존한다. 가열된 영역의 크기는 방사빔에 의해 상기 정보층 위에 형성된 회절한계(diffraction-limited) 스폿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주기의 길이는 λ/NA에 비례하고, λ/NA의 0.09 내지 0.27배가 되는 범위에 놓이는데, 이때, λ는 방사빔의 파장이고, NA는 방사빔의 개구수이다. 이것은 냉각주기가 바람직하게는 λ/(NA v)의 0.09 내지 0.27배의 지속기간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때, v는 기록 속도이다. 채널비트(channel-bit) 주기로는,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이 바람직하게는 λ/(NA v)의 2.85x106내지 8.54x106의 범위에 놓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시퀀스 내부의 펄스는 거의 동일한 펄스폭을 갖고, 마크는 기록 속도에 무관하게 마크의 단위 길이당 거의 일정한 수의 펄스에 의해 기록된다. 기록 속도가 변화할 때 특정한 길이를 갖는 마크를 형성하기 위한 기록 펄스의 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록장치의 제어부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거의 일정한 펄스폭과 마크의 단위 길이당 동일한 수의 펄스의 조합에 의해 단위 길이당 동일한 양의 방사 에너지가 조사되므로, 기록 속도에 무관한 폭을 갖는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소위 채널비트 길이의 정수배와 같은 길이인 불연속적인 수의 길이만을 가질 수 있는 마크를 기록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마크에 대한 기록 펄스의 수는 채널비트 길이에서 1 또는 2를 뺀 수와 동일하다.
단위길이당 일정한 수의 기록 펄스와 동일한 폭의 펄스에 대한 상기 사항은 마크의 선단 모서리(laeding edge) 및 후미 모서리(trailing edge)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 전체가 약 1 내지 2의 채널비트 길이를 포함하는 이들 모서리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다루어지게 될 과도 현상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펄스들은 데이터 클록 신호에 동기화되고, 그것의 주파수는 기록 속도에 의존한다. 데이터 클록의 주파수가 기록 속도에 비례하는 경우에는, 정보층에 대해 거의 일정한 선형 정보 밀도가 실현될 수 있다. 펄스의 타이밍을 데이터 클록과 결합함으로써 모든 기록 속도에서 마크를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간단한 전자적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 내부에 구체화될 수 있다.
상기 펄스들에 대한 전력을 기록 속도 및 마크의 길이에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소정의 기록 레벨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기록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비교적 큰 속도차에서는, 기록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기록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 전력은 기록 속도에 대해 선형적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관계에 대한 이점은 이미 1.5배의 속도 변화에서 감지할 수 있다. 2.5배 만큼 기록 속도를 감소시키고 이와 관련하여 5% 내지 25%의 범위에서 기록 전력을 증가시키면 기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높은 전력은 낮은 듀티 사이클(duty cycle)에 의해 더 낮은 속도에서 증가된 냉각을 상쇄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펄스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을 조사함으로써 광 정보매체의 정보층 내부에 일정한 기록 속도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마크를 기록하되, 각각의 마크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펄스로 이루어진 시퀀스에 의해 기록되는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방법은, 상기 시퀀스 내의 최종 펄스가 제 1 전력 레벨을 갖고, 냉각주기 동안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력 레벨을 수반하며, 그 후, 상기 제 2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3 전력 레벨을 수반하고,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λ/(NA v)의 0.09 내지 0.27배가 되는 범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λ는 방사빔의 파장이고, NA는 상기 정보층에입사하는 빔의 개구수이며, v는 기록 속도이다.
상기 냉각주기에 해당하는 정보층의 길이는 상기 시퀀스의 최종 방사 펄스 및 후속된 소거과정의 개시에 의해 가열된 영역의 중첩에 의존한다. 가열된 영역의 크기는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 위에 형성된 회절한계 스폿의 크기에 비례한다.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이 지정된 범위 내에서 선택되면, 대응하는 길이는 기록된 마크의 후방 모서리가 적절히 한정되는 가열된 영역의 중첩을 제공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한 마크를 판독할 때 지터(jitter)가 줄어든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록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광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을 조사함으로써 정보매체의 정보층 위에 마크 형태로 데이터를 기록하며, 상기 방사빔을 제공하는 방사원과, 기록 속도에 따라 상기 방사빔의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기록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전력 레벨을 갖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펄스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시퀀스 내의 최종 펄스는 냉각주기 동안 제 2 전력 레벨을 수반하며, 그 후, 제 3 전력 레벨을 수반하고,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기록 속도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록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광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구수 NA와 파장 λ를 갖는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을 조사함으로써 기록 속도 v로 정보매체의 정보층 위에 마크 형태로 데이터를 기록하며, 상기 방사빔을 제공하는 방사원과, 기록 속도에 따라 상기 방사빔의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광 기록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전력 레벨을 갖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펄스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시퀀스 내의 최종 펄스는 냉각주기 동안 제 2 전력 레벨을 수반하며, 그 후, 제 3 전력 레벨을 수반하고,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λ/(NA v)의 0.09 내지 0.27배가 되는 범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의 시간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채널비트 주기와 기록 속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낮은 기록 속도에서의 다양한 신호의 시간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낮은 기록 속도에서의 다양한 신호의 시간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a 및 6b는 고속 및 저속의 기록 속도에서 본 발명에 따라 기록된 정보에 대한 측정결과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에서 사용되는 2가지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 궤적 (a)는 시간의 함수로서 디지탈 데이터 신호 값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신호 값은 기록될 정보를 나타낸다. 수직 점선은 상기 데이터 신호에 속하는 데이터 클록의 클록 신호 내부의 천이점을 나타낸 것이다. 채널비트 주기라고도 불리는, 상기 데이터 클록의 주기 TW는 T1으로 표시하였다. 데이터 클록의 천이점에서 데이터 신호는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그리고 '로우'에서 '하이'로 값이 변경된다. 상기 데이터 신호는, 3T1내지 11T1의 주기 동안 '로우'가 될 수 있는 동시에, 3T1내지 11T1의 주기 동안 '하이'로도 될 수 있는, 소위 EFM 코드화된 신호일 수도 있다. 데이터 신호를 기록할 때에는, '하이' 주기는 '하이' 주기의 지속기간 또는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마크로서 기록되고, '로우' 주기는 마크들 사이에 위치하며 '로우' 주기의 지속기간 또는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미기록 영역으로써 기록된다.
상기 데이터는 정보층을 구비한 광 기록매체 내부에 기록된다. 데이터를 나타내는 마크는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 내부의 트랙을 따라 기록된다. 상기 마크는 그것의 주변부와는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갖는 정보층의 영역으로, 마크에 대한 광학적 판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정보층 내부에 기록된 마크의 길이는 데이터 신호의 채널비트 주기에 기록 속도를 곱한 수치와 거의 같다. 마크의 길이는 채널비트 길이로 표현될 수 있는데, 1 채널비트 길이는 1 채널비트 주기에 기록 속도를 곱한 것과 같다.
도 1의 궤적 (b)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고, 정보층 위에 마크가 기록될 때의 방사빔의 전력을 변조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이 궤적은 2개의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2개의 기록 펄스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펄스들은 동일한 폭 TP와 T1의 펄스 주기를 갖는다. 도면에서, 펄스들의 중력 중심은 데이터 클록의 천이점에 놓인다. 펄스들을 클록 천이점의 중심에 위치시키는데 대한 정밀도는 바람직하게는 ±TP/5의 범위를 갖는다. 한편, 펄스의 후미 모서리는 클록 천이점과 일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기록방법에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신호 내의 N 채널 비트의 '하이' 주기인, 소위 NT 마크는 N-1개의 기록 펄스를 사용하여 기록된다. NT 마크를 기록하는데 N 또는 N-2개의 기록 펄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펄스들의 높이는 방사빔의 기록 전력 레벨과 일치한다. 이들 펄스들 사이에 있는 전력은 바이어스 레벨에 위치한다.
기록 시퀀스에 선행하거나 그것을 수반하는 방사빔의 전력은 소거 레벨에 위치하여, 기록될 마크들 사이에 있는 이전에 기록된 마크들이 소거된다. 기록 펄스에 앞서서, 제 1 기록 펄스의 상승구간에 이를 때까지 전력은 소거 레벨로 유지된다. 기록 펄스 이후에는, 상기 전력이 바이어스 레벨로부터 소거 레벨로 증가된다. 펄스의 후미 모서리가 클록 천이점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전력이 마찬가지로 클록 천이점에서 소거 레벨로 증가된다. 도면에는, 다수의 채널비트 주기의 지속기간 동안 연속적인 '하이' 소거 레벨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주기 동안 일련의 짧은 펄스에 의해서도 상기한 소거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방사 전력이 바이어스 레벨에 있는 기록 시퀀스의 최종 펄스 바로 뒤에 있는 주기를 냉각주기라 부른다. 그 주기의 지속기간은 채널비트 주기 T1과 거의 동일하다.
이하,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며 거의 일정한 선형 정보 밀도를 갖는 디스크형태의 정보매체에 대해, 기록 속도의 변화가 기록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기록 속도 V와 채널비트 주기 TW의 역수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디스크의 기록 가능한 영역의 외부 반경 근처에서 방사빔이 트랙을 주사하는 경우에는, 디스크의 정보층과 방사빔 간의 속도가 비교적 높다. 이 속도를 기록 속도라 부르며, 도 2에 V1으로 표시하였다. 이에 따라, 이러한 기록 속도에 속하는 채널비트 주기 TW는 T1과 같아져, 도면에 도시된 것 같이, 비교적 짧아진다. 방사빔이 디스크의 기록 가능한 영역의 내부 반경 부근의 트랙을 주사하는 경우에는, 기록 속도 V2가 외부 모서리 근처보다 작아진다. 트랙을 따라 동일한 선형 밀도를 갖는 마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채널비트 주기 TW는 T1보다 시간이 긴 T2와 같아진다. 이러한 관계를 도면에 직선으로 나타내었는데, 이는 기록 속도 V와 채널비트 주기 TW또는 펄스 주기의 역수 사이에 비례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 디스크의 외부 반경으로부터 내부 반경으로 기록 속도가 예를 들어, 2배 만큼 감소하는 경우에, 채널비트 주기는 이와 동일한 거의 2배 만큼 증가한다. 즉, 기록되는 트랙의 반경이 증가되면 데이터 클록의 주파수가 증가한다.
외부 파라미터, 이 경우에는 기록되는 트랙의 반경에 맞추어 그 자신의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클록 회로는 그 구조가 다소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별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경이 증가할 때 클록의 주파수를 계단상으로 증가시켜, 클록 회로가 각 단차에서 안정한 클록 신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계적 증가를 도 2에는 계단상의 선으로 나타내었다. 도면에 있어서는, 내부 및 외부 반경 사이에 있는 디스크 영역을 10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였다. 각 영역 내에서는, 데이터 클록의 주파수가 일정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디스크를 영역화된 일정 각속도(zoned constant angular velocity: ZCAV) 디스크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2의 반경 비율에 대해서는, 정보매체의 가장 높은 정보 밀도와 데이터 클록의 최소의 주파수 변화수 간에 이루어진 절충에 따라, 상기 영역의 개수는 5 내지 30의 범위를 갖는다. 이러한 개수의 영역은, 데이터 클록의 주파수와 기록 속도가 도 2에 직선으로 주어진 최적 관계에 근접하게 디스크 상의 도처에 존재하도록 보장한다. 한 개의 영역 내부에서는, 단위길이당 펄스의 수는 반경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한다. 한 개의 영역에 걸쳐 평균화한 단위길이당 펄스의 수는 기록 속도에 무관하다. 단위길이당 펄스 수의 편차는 속도 편차 및 영역의 개수에 의존한다. 5m/s의 최소 속도 및 12m/s의 최대 속도를 갖는 5개의 영역에 대한 편차는 18%이다.
도 1(b)는 정보매체의 외부 반경에 있는 제어 신호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T1은 디스크의 외부 반경에서의 기록 속도 V1에 속하는 채널비트 주기를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디스크의 내부 반경에 대한 제어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3은 동일한 스케일로 도시한 것이다. 내부 반경에 있는 데이터 클록의 주파수는 외부 반경에 있는 것보다 약 2배 정도 낮다. 따라서, 내부 반경에서의 채널비트 주기 T2는 외부 반경에서의 채널비트 주기 T1의 약 2배 정도가 길다. 도 3의 궤적 (a)는6T 마크를 갖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속도 V2에 있는 기록 시퀀스에 대한 관련된 제어 신호를 도 3의 궤적 (b)에 나타내었다. 6개의 채널비트 마크를 5개의 펄스로 기록하였는데, 그것의 중력 중심은 수직 점선으로 표시된 데이터 클록 신호의 천이점에 위치한다. 펄스 폭은 TP와 동일한데, 즉, 외부 반경 근처에서 사용된 기록 펄스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채널 클록 펄스는 T2와 같다. 또한, 소거 전력을 온 및 오프시키는 타이밍은 외부 반경 근처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정보매체의 열적 거동은, 외부 반경에 기록된 N 채널비트 마크가 내부 반경 부근에 기록된 N 채널비트 마크와 거의 동일한 길이 및 폭을 갖는다. 이에 따라, 기록된 마크의 단위길이당 기록 펄스의 개수는 기록 속도에 무관하다. 이러한 기록 방식은 데이터 클록의 주파수만을 변경함으로써 서로 다른 속도로 마크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의 전자적 실현이 비교적 단순하게 될 수 있다.
펄스 시퀀스가 TP와 다른 폭을 갖는 최초 및 최종 펄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록 속도를 변경시킬 때 이들 폭은 변화하지 않는다. 최초 펄스와 다음 펄스 사이의 거리 및 최종 펄스를 제외한 펄스와 최종 펄스 사이의 거리는 폭 TP를 갖는 펄스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기록 속도에 대한 의존성을 갖는다.
도 3b의 시퀀스에서 최종 펄스 이후의 냉각주기는 상기 채널 클록 주기 T2와 동일한 지속기간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와 같은 기록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기록 속도 V의 역수에 비례한다.
기록 속도에 따른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하 적합화는 다양한 형태의 펄스 시퀀스에 적용될 수 있다. 마크 기록용 시퀀스는 기호 K-L(M)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이때, K 및 L은 채널비트 주기 단위로 시퀀스 내부에 각각 최초 및 최종 펄스의 폭을 부여하는 수치이고, M은 NT 마크의 기록을 위해 시퀀스 내에 펄스 수를 부여하는 정수이다. 상기 펄스의 지속기간은 고속으로,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속도 V1으로 기록하는데 적용된다. 한 개의 시퀀스는 최초 및 최종 펄스 사이에 폭 TP를 갖는 다수의 기록 펄스를 포함하는데, 이들 개수는 최초 및 최종 펄스의 길이와 기록되는 마크의 길이에 의존한다. 도 1의 궤적 (b)에서의 2개의 펄스 시퀀스는 TP의 폭을 갖는 10개 및 2개의 펄스를 포함하므로, 0.5-0.5(N-1)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퀀스에 의해 기록된 마크는 판독시에 낮은 지터 값을 나타낸다.
궤적 (b)에서의 마크용 최초 기록 펄스는, 시퀀스의 중앙부에 있는 기록 펄스에 대한 경우에서와 같이 다른 기록 펄스가 선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최초의 기록 펄스가 정보층 위에 입사할 때 정보층은 앞선 펄스에 의해 예열되지 않는다. 이것은 상기 층의 저온을 유발하여 선단 모서리 근처에 더 작은 폭을 가진 마크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도 현상은, 도 1에 도시된 기록방법에 있어서, 소거 레벨을 최초 기록 펄스의 개시점에 이르도록 유지하여, 정보층을 소거 펄스에 의해 예열함으로써 해결된다. 예열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기록 시퀀스의 최초 펄스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최초 펄스의 폭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시퀀스에서 뒤따르는 펄스 폭의 2배인 폭은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을 제공한다. 따라서,펄스 시퀀스는 1-0.5(N-1)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더 긴 최초 펄스의 폭은 최초 펄스의 개시점에 이르기까지 소거 레벨을 유지하는 방법과 통합된다.
비교적 낮은 기록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록 펄스 시퀀스는 1.5-0.5(N-2)이다. 이러한 시퀀스는 11T 마크를 기록하기 위해 9개의 펄스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된 마크의 품질은 시퀀스의 최종 펄스의 폭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마크의 후방에 잔류하는 여분의 에너지는 그 위치에서 이전에 기록된 마크의 소거를 증진시킨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최종 펄스의 폭은 0.6 내지 1.5 채널비트 주기이다. 상변화 정보층 위에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짧은 결정화 시간, 즉, 40ns보다 짧은 결정화 시간을 갖는 상변화 층에 대해 바람직한 최종 펄스의 폭은 0.6 내지 0.75 사이이고, 비교적 긴 결정화 시간, 즉, 100ns보다 긴 결정화 시간을 갖는 상변화 층에 대해서는 1 내지 1.5사이이다. 더 길이가 긴 최종 펄스를 갖는 시퀀스의 일례는 0.6 내지 1.5 채널비트 주기의 X값을 갖는 0.5-X(N-1)이다. 더욱 대칭적인 시퀀스는 1.0-1.0(N-2)이다.
상기 시퀀스에 의해 이루어진 기록 품질은 그것들이 본 발명에 따른 지속기간을 갖는 냉각주기를 수반하는 경우에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펄스 시퀀스 내부의 바이러스 레벨은 기록 펄스 사이에 있는 비교적 낮은 전력의 방사빔에 해당하며, 기록 펄스에 의해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에 정보층의 신속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바이어스 레벨은 소거 레벨과 같을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바이어스 레벨은 소거 레벨의 70% 이하이다. 이와 같은 레벨에서는, 펄스 후에 정보층의 충분한 냉각이 존재하게 된다. 더 높은 바이어스레벨에서는, 펄스들 사이의 기간의 불충분한 냉각 및 후속된 펄스에 의한 가열에 의해 펄스에 의해 방금 기록된 효과가 열화될 수 있다. 소거 레벨의 0 내지 70%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바이어스 전력의 실제 값은 특정한 정보매체의 조성에 의존하며, 상기 정보매체에 대해 측정된 지터 대 바이어스 전력 도표의 최소치로부터, 또는 기록 파라미터에 관련하여 정보매체 상에 기록된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실험에 따르면, 특정한 제조사에서 얻어진 매체의 범위는 4mW의 소거 레벨과 1.6 내지 1.9mW, 즉, 상기 소거 레벨의 50%보다 작은 바이어스 레벨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 다른 제조사에서 얻어진 매체의 범위는 0mW의 바이어스 레벨에서 최적의 오버라이트 특성을 가졌다. 몇몇의 정보매체에 대해서는, 최적의 바이어스 레벨이 판독 레벨과 동일하였다. 상기 바이어스 전력이 제로보다 큰 경우에는, 다음번 기록 펄스에 대해 다소간의 예열을 제공하므로, 기록 펄스 시퀀스에서 필요한 기록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소거 레벨은 정보매체 상에 이전에 기록된 정보가 소거될 수 있는 소정의 전력이다. 광 기록장치는 정보매체 상에 기록된 소거전력용 수치를 판독함으로써, 또는 정보매체에 대해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시험 기록을 수행함으로써, 소거용 전력 레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의 궤적 (b)에 도시된 시퀀스 내부의 최초 펄스는 소거 레벨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이 시퀀스 및 또 다른 시퀀스도 마찬가지로 바이어스 레벨에서 시작할 수 있다. 기록되어질 마크 직전에 이전에 기록된 마크를 적절히 소거시키기 위해서는, 최초 펄스에 선행하는 바이어스 레벨 주기는 1 채널비트 주기보다 짧은 것이바람직하다.
냉각주기에서의 방사 전력의 레벨, 즉, 냉각 레벨은, 도 1의 궤적 (b)에 나타낸 것 같이, 바이어스 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 시퀀스의 최종 펄스 직후의 소거과정은, 방금 기록된 마크의 후방 모서리를 적절히 제한하면서, 상기 냉각주기 중의 방사 전력을 바이어스 레벨과 소거 레벨 사이의 수치로 설정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냉각 레벨은 소거 레벨의 25% 내지 75%의 범위에 있는 수치로 설정된다. 상기 소거 레벨의 75%보다 높은 냉각 전력은 기록 시퀀스의 최종 펄스 이루에 너무 과도한 가열을 일으킬 수 있고, 그 결과,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펄스의 시퀀스에 수반되는 소거과정이 너무 일찍 개시되어, 방금 기록된 마크의 최종 부분을 불명확한 방식으로 소거할 수 있다. 이는 마크를 판독할 때 지터를 증가시킨다. 최적치 이하의 냉각 레벨은, 방금 기록된 마크 직후의 이전에 기록된 마크가 적절히 소거되지 않기 때문에, 마크의 후방 모서리에 의해 지터의 증가를 일으킨다. 판독 레벨은 상기 소거 레벨의 약 2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이어스 레벨은 상기 소거 레벨의 0 내지 25% 범위에 있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의 2가지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궤적 (a)에는 데이터 신호가 도시되어 있고, 궤적 (b)에는, 도 3의 궤적 (b)와 마찬가지로, 낮은 기록 속도에서 시퀀스 1.0-0.5(N-1)에 대해 6 채널비트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데이터 신호의 상승 구간, 즉, 최초 기록 펄스가 종료하기 전에 1 데이터 클록 주기에 1/2의 펄스폭을 더한 시간 동안, 소거 전력이 오프된다. 더구나, 폭 TP의 기록 펄스에 대해 필요한 것보다 기록 전력을 일찍 스위치를 온 시킴으로써, 즉, 종료점이 최초 펄스의 클록 천이점 이후 TP/2에 있는 펄스의 종료점 이전에 TP보다 일찍 스위치를 온 시킴으로써, 최초 기록 펄스의 폭이 증가된다. 상기한 추가적인 폭은 기록된 마크의 선단 모서리에 있는 정보층 내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증가시킴으로써, 이 최초 기록 펄스에 선행하는 펄스에 의해 예열의 부족을 보상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방법에 있어서는, 최초 기록 펄스의 폭 대신에, 최초 기록 펄스의 기록 전력만 증가시킨다. 뒤따르는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1 채널비트 주기 TW와 동일하다.
도 4의 궤적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T2의 채널비트 주기에서 6T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펄스 시퀀스 1.0-0.5(N-1)을 나타낸 것이다. 최초 펄스는 4개의 후속되는 펄스의 폭보다 2배 길이가 긴 폭을 갖는다. 후속된 각각의 펄스의 폭은 채널비트 주기 T1의 절반과 같다. 후속된 펄스는 데이터 클록의 천이점에서 시작된다. 후속되는 펄스들 사이에 있는 주기의 폭은 거의 동일하다. 최종 펄스 뒤에 오는 냉각주기는 채널비트 주기 TW의 절반의 폭을 갖는다.
상기한 것과 같이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펄스 시퀀스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수의 펄스 폭 및 펄스 주기로 이루어진 펄스 패턴은 특정한 속도에서 최적화되고, 그 후, 속도에 따라 펄스 주기를 변경하고 펄스 폭을 동일한 값으로 유지함으로써 이와 다른속도에서 기록할 수 있도록 변형된다.
상기 기록방법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록장치는 먼저 디스크 위에 저장된 기록 파라미터를 판독함으로써, 예를 들어 디스크 형태를 지닌 정보매체 위에 기록 동작을 개시한다. 이들 파라미터 중 한가지는 특정한 형태의 디스크에 대해 요구되는 기록 전력이다. 광 디스크에 대해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것과 같이 디스크의 내부 반경에서 기록을 개시하는 것 대신에, 기록 파라미터의 값이 내부 반경 부근보다는 외부 반경 부근에서 더 결정적이므로, 상기 장치는 외부 반경 부근에 마크를 기록함으로써 일단 시험 가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시험 가동은 장치의 기록 전력을 교정하며, 외부 반경에 적절한 기록을 위한 펄스폭 TP의 값을 결정한다. 상기한 시험 마크의 품질은, 예를 들어, 복수의 마크로부터의 판독 신호의 지터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광 기록장치 내부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에러 교정회로에 의해 감지된 에러를 계수함으로써, 상기한 평가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원의 일정한 최대 전력에서 기록 속도의 최적화에 따르면, 기록 펄스폭 TP는 외부 반경에서의 채널비트 주기 TW의 절반, 즉, T1과 거의 동일하다. 도 1은 외부 반경 근처에서의 기록 펄스 시퀀스를 나타낸 것으로, 마크를 기록할 때의 거의 50%의 듀티 사이클의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상기한 외부 반경 근처에서의 50% 듀티 사이클의 기록 펄스는 바람직한 수치로, 상기 듀티 사이클을 40% 내지 6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디스크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상기 펄스폭과 펄스 전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반경에대해서만, 또는 이와 동등하게는, 도 2의 직선 또는 계단상의 선에 따른 주사 속도에 대해서만 상기 채널비트 주기 TW를 변형시킨다.
특별한 경우에 있어서는, 기록 속도의 감소시 기록 전력을 약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기록방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험에 따르면, 특정한 정보매체에 대해서는 7.6m/s에서 3m/s로의 기록 속도의 감소는 10.5mW에서 13mW로의 기록 전력의 증가를 필요로 하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기록 속도를 2.5배 만큼 감소시키려면 25%의 기록 전력의 증가가 필요하다. 또 다른 정보매체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록 속도의 감소에 대해 10%의 증가가 관측되었다. 상기 정보매체에, 매체의 제조사에 의해 또는 그 정보매체에 대해 시험가동을 하는 첫 번째 사용자에 의해, 디스크 상의 서로 다른 직경에 대한 다수의 기록 전력치가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기록장치는 디스크에 대한 임의의 직경에 대해 최적 기록 전력을 얻기 위해 이들 수치 사이를 내삽할 수 있다. 내삽(interpolation)은 선형적이거나 1보다 큰 차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장치는 각각의 기록 세선 전에 다양한 직경으로 시험 기록을 수행하여, 이들 시험으로부터 각각의 반경에서의 적당한 파라미터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기록되어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 SD는 제어부(1)에 접속된다. 제어부는 상기한 방법 중 한가지에 따라 데이터 신호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의 출력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 SC는 방사원(2)에 접속된다. 상기 제어 신호는 방사원에 의해 발생된방사빔(3)의 전력을 제어한다. 제어 신호의 값은, 기록 레벨, 소거 레벨, 바이어스 레벨과, 필요한 경우에는, 냉각 레벨을 나타내는 수치들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다. 상기 방사빔은 디스크의 형태를 갖는 정보매체(6)의 정보층(5) 위에 렌즈(4)에 의해 집광된다. 상기 정보매체는 모터(7)에 의해 그것의 중심 주위로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방사원(2)이 화살표(8)로 나타낸 것 같이 디스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면, 정보층(5)의 영역이 빔(3)으로 조사된다. 위치 센서(9)는, 예를 들어, 방사원(2)의 반경방향으로의 변위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정보층으로부터 판독된 신호로부터 위치를 도출함으로써, 방사빔의 반경 방향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위치는 클록 발생기(10)로 공급되어, 데이터 클록 신호 SK를 발생하는데, 그것의 주파수는 디스크(6)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빔(3)의 반경방향의 거리에 따라 증가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클록 신호는, 예를 들어 수정 클록 신호를 반경방향의 거리에 의존하는 수치로 나눔으로써, 수정 클록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는, 제어 신호가 클록 신호에 동기된 거의 동일한 펄스 폭 및 동일한 전력을 갖는 기록 펄스를 포함하도록 AND 게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SD및 클록 신호 SK를 제어 신호 SC로 결합한다.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 및 클록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ono-stable multivibrator)를 사용하여 동일한 폭을 갖는 펄스를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시퀀스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최초 및 최종 펄스를 생성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펄스 폭을 갖는다. 상기 기록 펄스의 개수는 기록된 마크의 단위 길이에 대해 일정한 값을 갖는다. 상기 제어부는 기록 속도에 무관하게 특정한 마크를 기록하기 위해 동일한 시퀀스의 기록 펄스를 생성하며, 이때, 상기 펄스가 발생되는 속도만 기록 속도, 즉 방사빔의 반경방향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기록 시퀀스 내부의 최종 펄스의 후미 모서리는 회로(11)를 구동시키며, 이 회로는 1 데이터 클록 주기 이후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한다. 이 트리거 펄스는 제어회로(1)로 보내진다. 상기 제어회로는 시퀀스의 최종 펄스에 대한 후미 모서리와 트리거 펄스 사이의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어 신호 SC를 냉각 레벨로 설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이 1 데이터 클록 주기와 동일하게 되고, 디스크의 반경에 역비례하거나, 마찬가지로 기록 속도에 역비례하여 변화한다.
상기 기록장치가 단일의 속도로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클록 발생기(10)는 정보매체(6)의 회전속도에 대한 변화를 교정하면서 고정된 주파수로 설정된다. 상기 위치 센서(9)는 클록 발생기(10)를 제어할 필요가 없으며, 위치 센서는 없어도 된다. 상기 회로(11)는 제어부(1)와 통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데이터 클록과 기록 속도의 수치, 개구수 및 방사빔의 파장에 근거하여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을 설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변화 정보매체에 대해 기록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과정 중에, 정보매체 내부에 마크를 기록한 후, 마크를 판독하고, 결과적으로 얻어진 판독 신호의 지터를 판정하였다. 도 6a 및 도 6b 모두에 대해서,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펄스의 시퀀스는 동일한 선폭을 갖는 3개의 펄스와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소거 레벨을 구비하고 있다. 가장 높은 기록 속도인 6.0m/s에서, 상기 펄스는 50%의 듀티 사이클을 갖고 있었다. 저속에서는, 펄스폭을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펄스 주기는 속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켰다. 시퀀스의 최종 펄스에 수반되는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을 기록 속도에 무관하게 시험 가동 동안 고정된 값으로 설정하였다. 다수의 시험 가동에서,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을 채널비트 주기(Tch)의 0.5 내지 1.5배로 변화시켰다. 6.0m/s의 기록 속도에서의 채널비트 주기는 32ns로, 이는 0.19㎛의 정보층 상의 변위에 해당한다. 2.4m/s의 기록 속도에서의 채널비트 주기는 80ns로, 이는 마찬가지로 0.19㎛의 정보층 상의 변위에 해당한다.
도 6a는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의 함수로 6.0m/s의 속도에서 기록된 마크로부터 얻어진 판독 신호의 지터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2.4m/s로 기록된 마크로부터 얻어진 지터를 나타낸 것이다. 지터는 채널비트 주기의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도면에서, 3가지 형태의 기호, 즉, 사각형, 삼각형 및 다이아몬드는 3가지 사로 다른 제조사에서 만들어진 정보매체에 대한 측정치를 나타낸다. 속이 채워진 기호들은 8회의 오버라이트 사이클 후에 이루어진 측정치이다. 속이 빈 기호는 1024회의 오버라이트 사이클 후에 얻어진 측정치이다.
모든 도면으로부터, 0.5의 채널비트 주기 및 1.5의 채널비트 주기 사이에 있는 냉각 주기는 기록 속도, 오버라이트 사이클의 빈도 및 정보 매체의 제품에 무관하게 우수한 지터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냉각주기가 1 채널비트 주기의 지속기간을 가질 때 가장 낮은 지터가 얻어진다. 이러한 냉각주기에 해당하는 정보층의 길이는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에 기록 속도를 곱한 값과 동일하다. 도 6a의 채널비트 주기는 32ns이고 기록 속도는 6m/s이므로, 0.19㎛의 길이가 주어진다. 실험결과는, 상기 냉각주기에 해당하는 길이가 기록 속도에 무관하고 0.1 내지 0.3㎛의 범위 안에 있는 경우에, 우수한 지터 성능이 얻어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더 낮은 지터 값을 필요로 하는 고성능의 응용분야에 대해서는, 상기 길이는 0.17 내지 0.21㎛의 범위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최적치는 거의 0.19㎛로, 이들 모든 값은 λ와 NA에 대한 상기한 값이 된다. 이러한 작은 영역에서의 낮은 지터는 최종 펄스 이후의 정보층의 신속한 냉각의 유리한 조합에 의한 것으로, 이는 기록된 마크의 후방 모서리에 대해 우수한 선명도와 이전에 기록된 마크의 충분한 소거를 제공한다. 최적치에서는, 상기 냉각주기는 클록 주기와 동일하여, 간단한 구조를 갖는 전자적 구현을 가능케 한다.
이들 실험에서의 채널비트 주기는 낮은 지터 값에서 높은 정보 밀도를 얻을 수 있도록 선택된다. 더 낮은 밀도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채널비트로 표시되는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이에 따라 감소되어야 한다. 상기 냉각주기의 필요한 길이는 최종 기록 펄스에 의해 가열된 정보층의 영역과 후속되는 소거 개시에 의해 가열된 영역의 중첩과 관계가 있다. 반면에, 상기 가열된 영역의 크기는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 상에 형성된 회절한계 스폿의 크기와 관계가 있다. 상기 스폿의 크기는 λ/NA에 비례하는데, 이때, λ는 방사빔의 파장이고, NA는 상기 정보층에 입사되는 방사빔의 개구수이다. 도 6에 도시된 실험은 660nm의 파장 및 0.6의 개구수에서 수행되었다. 또 다른 파장 또는 개구수로 변화하면, 냉각주기에 해당하는 길이는 λ/NA에 비례하여 그 길이가 변화한다.
냉각주기의 상기한 길이가 스폿 크기의 항목으로 표시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는 0.09 내지 0.27λ/NA의 범위에 놓이고, 고성능 응용분야에 대해서는 0.15 내지 0.19λ/NA의 범위를 갖고, 최적치는 거의 0.17λ/NA를 갖는다.
냉각주기 지속기간의 특정한 범위에 대한 상기한 이점은 서로 다른 속도에서의 기록방법 뿐만 아니라, 단일 속도에서 정보매체 내부에 기록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은 상변화 정보층 위에 마크를 기록하는데 매우 적합하며, 특히, 결정성 정보층 내부에 아몰퍼스 마크를 기록하는데 적합하다. 상변화 물질의 비정질화 및 재결정화의 관점에서 짧은 기록 펄스, 특히 디스크의 내부 반경에 위치한 짧은 기록 펄스는 기록 과정의 적절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은, 예를 들어 디스크 내부의 서로 다른 형태의 정보층에 의해, 서로 다른 기록 속도를 위해 설계된 서로 다른 정보매체 위에 데이터를 기록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가장 높은 기록 속도를 갖는 정보매체의 채널비트 주기에 대해 펄스 폭이 결정된다. 더 낮은 기록 속도에서 디스크에 기록할 때에는, 펄스 폭은 변경하지 않고, 채널비트 주기만 정보매체의 명세표에 따라 증가된다. 이에 따라, 단지 채널비트 주기만을, 필요한 경우에는 이외에 기록 전력을, 변경함으로써, 기록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매체 위에 기록할 수 있다.

Claims (13)

  1. 펄스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을 조사함으로써 광 정보매체의 정보층 내부에 서로 다른 기록 속도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마크를 기록하되, 각각의 마크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펄스로 이루어진 시퀀스에 의해 기록되는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내의 최종 펄스는 제 1 전력 레벨을 갖고, 냉각주기 동안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력 레벨을 수반하며, 그 후, 상기 제 2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3 전력 레벨을 수반하고,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기록 속도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상기 기록 속도의 역수와 선형적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λ/(NA v)의 0.09 내지 0.27배의 범위를 갖고, 이때, λ는 방사빔의 파장이고, NA는 상기 정보층에 입사된 빔의 개구수이며, v는 기록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들은 데이터 클록 주기를 규정하는 펄스들을 제공하는 데이터 클록 신호에 동기화되고, 상기 주기의 지속기간은 상기 기록 속도에 역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데이터 클록 주기의 지속기간의 0.5 내지 1.5배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데이터 클록 주기의 지속기간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내부의 펄스는 거의 동일한 펄스폭을 갖고, 마크는 기록 속도에 무관하게 마크의 단위 길이당 일정한 수의 펄스에 의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8. 펄스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을 조사함으로써 광 정보매체의 정보층 내부에 일정한 기록 속도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마크를 기록하되, 각각의 마크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펄스로 이루어진 시퀀스에 의해 기록되는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내의 최종 펄스는 제 1 전력 레벨을 갖고, 냉각주기 동안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력 레벨을 수반하며, 그 후, 상기 제 2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3 전력 레벨을 수반하고,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λ/(NA v)의 0.09 내지 0.27배가 되는 범위에 놓이고, 이때, λ는 방사빔의 파장이고, NA는 상기 정보층에 입사하는 빔의 개구수이며, v는 기록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λ/(NA v)의 0.15 내지 0.19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0.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을 조사함으로써 정보매체의 정보층 위에 마크 형태로 서로 다른 기록 속도로 데이터를 기록하며, 상기 방사빔을 제공하는 방사원과, 기록 속도에 따라 상기 방사빔의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광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전력 레벨을 갖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펄스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시퀀스 내의 최종 펄스는 냉각주기 동안 제 2 전력 레벨을 수반하며, 그 후, 제 3 전력 레벨을 수반하고,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기록 속도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상기 기록 속도의 역수와 선형적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마크의 기록 속도를 결정하는 데이터 클록신호를 그것의 출력으로 발생하는 클록 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클록 발생기의 출력은 상기 데이터 클록 신호에 따라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장치.
  13. 개구수 NA와 파장 λ를 갖는 방사빔에 의해 정보층을 조사함으로써 기록 속도 v로 정보매체의 정보층 위에 마크 형태로 데이터를 기록하며, 상기 방사빔을 제공하는 방사원과, 기록 속도에 따라 상기 방사빔의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광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전력 레벨을 갖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펄스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시퀀스 내의 최종 펄스는 냉각주기 동안 제 2 전력 레벨을 수반하며, 그후, 제 3 전력 레벨을 수반하고, 상기 냉각주기의 지속기간은 λ/(NA v)의 0.09 내지 0.27배가 되는 범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장치.
KR1019970707308A 1996-02-16 1997-02-14 광정보매체기록방법및장치 KR100428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200387.7 1996-02-16
EP96200387 1996-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85A KR19990007785A (ko) 1999-01-25
KR100428983B1 true KR100428983B1 (ko) 2004-08-12

Family

ID=822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308A KR100428983B1 (ko) 1996-02-16 1997-02-14 광정보매체기록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205102B1 (ko)
EP (1) EP0830675B1 (ko)
JP (1) JP4027422B2 (ko)
KR (1) KR100428983B1 (ko)
AT (1) ATE246837T1 (ko)
AU (1) AU1614797A (ko)
DE (1) DE69723931T2 (ko)
WO (1) WO199703044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591B2 (ja) * 1995-12-20 2001-01-15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US6751513B1 (en) * 1996-02-16 2004-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 optical information carrier
JP3748089B2 (ja) * 1996-09-18 2006-02-2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方法
KR100249207B1 (ko) * 1997-07-22 2000-03-15 구자홍 광디스크의 지터절감장치 및 그 방법
JP3323782B2 (ja) * 1997-09-09 2002-09-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の記録方法
JPH11273076A (ja) * 1998-03-23 1999-10-08 Toshiba Corp 光学的情報記録方法および装置
US6925040B1 (en) 1998-08-04 2005-08-02 Hitachi, Lt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TW468177B (en) * 1998-08-04 2001-12-11 Hitachi Ltd Data storage method, data storage medium and data storage recording device
EP1047056B1 (en) * 1998-09-09 2011-02-23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thod
JP2000132836A (ja) * 1998-10-28 2000-05-12 Tdk Corp 光記録方法
JP2000187842A (ja) * 1998-12-21 2000-07-04 Taiyo Yuden Co Ltd 光情報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TW561463B (en) 1999-03-30 2003-11-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marks in an information layer of an optical record carrier
US6611481B1 (en) * 1999-04-28 2003-08-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TR200100709T1 (tr) 1999-07-07 2001-07-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ir optik kayıt taşıyıcının bir bilgi tabakasına işaretlerin kaydedilmesi için yöntem ve cihaz.
US6496549B1 (en) * 1999-07-13 2002-12-17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dulating amplitude-shift keyed data signals
US7212477B2 (en) * 1999-07-23 2007-05-01 Ricoh Company, Lt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APC and SPS processes
KR100326338B1 (ko) * 1999-09-18 2002-03-08 구자홍 광기록매체의 최적 기록방법
JP3839213B2 (ja) * 2000-02-08 2006-11-01 株式会社リコー 相変化型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2002197657A (ja) * 2000-12-22 2002-07-12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制御装置
JP2002245624A (ja) 2001-02-14 2002-08-30 Tdk Corp 光記録方法、光記録装置および光記録媒体
US7144677B2 (en) * 2001-03-21 2006-12-05 Ricoh Company, Ltd. Optical recording method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JP4491985B2 (ja) * 2001-03-28 2010-06-30 Tdk株式会社 光記録方法
US7304930B2 (en) * 2001-09-12 2007-12-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03034410A1 (fr) * 2001-10-17 2003-04-24 Tdk Corporation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et procede pour enregistrer des informations sur un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US7079460B2 (en) * 2002-02-21 2006-07-18 Mitsumi Electric Co., Ltd. Optical power level-controlling device for stable oscillation of laser diode
TWI232435B (en) * 2002-09-02 2005-05-11 Mediatek Inc Acceleration method for read/write device
JP2004206739A (ja) * 2002-11-06 2004-07-22 Ricoh Co Ltd 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JP2006512710A (ja) * 2002-12-30 2006-04-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低電力消費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KR20060076761A (ko) * 2003-07-24 2006-07-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기록 스트래티지의 제 1 세트의 기록 파라미터들을 다른기록속도에서 제 2 세트의 기록 파라미터들로 변환하는방법 및 장치
JP2005056461A (ja) * 2003-08-06 2005-03-03 Pioneer Electronic Corp 光学式情報記録装置
JP2005071515A (ja) * 2003-08-27 2005-03-17 Tdk Corp 光記録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光記録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
EP1665237A4 (en) * 2003-09-16 2008-02-27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THOD FOR AN OPTICAL PHASE MODIFYING DATA CARRIER
KR100997481B1 (ko) * 2003-09-16 2010-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변화 광디스크의 기록 펄스 파형 조절장치 및 방법
JP4406260B2 (ja) * 2003-10-30 2010-01-27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光ディスク装置の記録パワー決定方法および記録パワー制御方法
KR20050045528A (ko) * 2003-11-11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매체, 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5050641A1 (en) * 2003-11-18 2005-06-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termining buffer refilling time when playing back variable bit rate media streams
JP4446348B2 (ja) * 2004-03-18 2010-04-0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CN100416668C (zh) * 2004-06-28 2008-09-03 Tdk股份有限公司 对光记录媒体的信息记录方法和光记录装置
WO2006043211A1 (en) * 2004-10-19 2006-04-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writing data on a master substrate for optical recording
US20060109775A1 (en) * 2004-11-23 2006-05-25 Taugher Lawrence N Using spot differentials to determine mark quality
US7715293B2 (en) * 2005-03-16 2010-05-11 Ricoh Company,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recording to the same
JP2006309855A (ja) * 2005-04-27 2006-11-09 Tdk Corp 光記録媒体への情報記録方法
JP2007334921A (ja) * 2006-06-12 2007-12-27 Hitachi Ltd 記録方法、レーザ駆動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717A (en) * 1986-10-31 1990-07-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rasing and recording information using three power levels
CA2020243C (en) * 1989-06-30 1994-12-13 Eiji Ohno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JPH03283021A (ja) 1990-03-30 1991-12-13 Hitachi Ltd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WO1991019290A1 (en) * 1990-05-25 1991-12-12 Hitachi,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ing pit edge recording system
US5590111A (en) * 1990-06-29 1996-12-31 Hitachi, Ltd. Method of controlling recording of optical records
JPH05266484A (ja) * 1992-03-23 1993-10-15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
US5412626A (en) 1992-03-23 1995-05-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recording optical information with selective correction in pulse waveform and a recording system therefor
JPH0684224A (ja) * 1992-09-07 1994-03-25 Hitachi Ltd 光磁気ディスクの記録制御方法
JP2605577B2 (ja) * 1993-03-19 1997-04-30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5648952A (en) * 1994-09-28 1997-07-15 Ricoh Company, Ltd. Phase-change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pre-compensation method
DE69524543T2 (de) * 1994-10-27 2002-06-27 Toshiba Kawasaki Kk Optisches Phasenwechselaufzeichnungsgerät und -verfahren unter Verwendung eines Überschreibsystems
DE69612833T2 (de) * 1995-10-09 2001-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optischer information
US5732062A (en) * 1995-10-16 1998-03-24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06248A (ja) 1999-06-02
ATE246837T1 (de) 2003-08-15
KR19990007785A (ko) 1999-01-25
EP0830675B1 (en) 2003-08-06
US6205102B1 (en) 2001-03-20
DE69723931D1 (de) 2003-09-11
JP4027422B2 (ja) 2007-12-26
WO1997030440A3 (en) 2001-06-14
DE69723931T2 (de) 2004-06-17
US5802032A (en) 1998-09-01
WO1997030440A2 (en) 1997-08-21
EP0830675A2 (en) 1998-03-25
AU1614797A (en) 1997-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983B1 (ko) 광정보매체기록방법및장치
US6236635B1 (en)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suppressed mark edge jitters
KR100505796B1 (ko) 광기록매체의기록방법및기록장치
US66938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 information signal on an information layer of a recording medium
US6751513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 optical information carrier
JP3850037B2 (ja) 光記録担体の書込み方法及び装置
EP0821825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 optical information carrier
JP2650357B2 (ja) 光学情報記録部材の記録方法
JP4010790B2 (ja) 情報記録装置、光記録媒体への情報記録方法及び光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