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933B1 - 골 채취용구 - Google Patents

골 채취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933B1
KR100428933B1 KR10-2001-0062728A KR20010062728A KR100428933B1 KR 100428933 B1 KR100428933 B1 KR 100428933B1 KR 20010062728 A KR20010062728 A KR 20010062728A KR 100428933 B1 KR100428933 B1 KR 10042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blade
locking
handl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548A (ko
Inventor
양현수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to KR10-2001-006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933B1/ko
Priority to PCT/KR2002/001848 priority patent/WO2003030766A1/en
Publication of KR2003003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인공치아 시술시 부족한 치조골을 자가골로 채우기 위하여 소량의 자가골을 채취할 때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골 채취용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면측이 반원형상으로 라운드진 고리형상의 칼날이 최전방에 위치되도록 칼날을 합성수지재의 손잡이에 인서트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되, 골을 긁어주기 편리하도록 칼날은 내측으로 70∼90°로 비스듬히 형성하고, 손잡이의 전면측에는 반원형의 돌기를 형성하여 칼날과의 사이에 골통과홀이 형성되게 하며, 칼날과 손잡이의 결합부위 상면에는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 형성부위 양측으로 각각 격벽을 형성하여 칼날을 통해 긁혀진 골을 모아주는 저장공간을 이루게 하며, 격벽의 외측에는 각각 록킹돌기를 갖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면서 양측 하단부에 내측으로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돌기에 록킹돌기에 대응되는 록킹홈을 각각 형성한 커버를 마련하여 가이드홈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면서 록킹돌기와 록킹홈간 체결에 의해 칼날과 저장공간을 덮어주게 구성한 것으로, 손잡이를 연필잡듯이 잡고 칼날을 시술자의 뼈에 밀착시킨 후 가압하여 서서히 긁어주면 골이 용이하게 채취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일단 채취된 골은 옆으로 새지 않고 전량 모이게 되므로 골 채취량이 많지 않으면서도 그 효과가 매우 크게 되고, 또한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해 간단히 성형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가 간단한 것이다.

Description

골 채취용구{Implement to gather bone}
본 발명은 골 채취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치아 시술시 부족한 치조골을 자가골로 채우기 위하여 소량의 자가골을 채취할 때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인공치아 시술은 치조골에 인체 친화성 소재인 티타늄(Ti)으로 된 픽스쳐를 고정하고, 그 위에 어버트먼트를 긴밀히 결합하며, 어버트먼트에 인공치아인 보철물을 접합하는 것으로, 치조골이 선천적, 후천적으로 패이거나 함몰되어 픽스쳐를 고정하기에 부족한 사람의 경우에는 인조골이라 합성골 등을 그 부족한 부위에 이식하여 치조골을 돋운 후에 드릴링하게 된다.
그런데, 인조골이나 합성골의 경우에는 치조골과 생체 트러블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고, 조직이 틀려 잘 이식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조직적으로 가장 융화가 잘되는 자신의 뼈, 즉 자가골을 이식하는 방법이 등장하였는데, 자가골을 채취하는 방법이 용이하지 않아 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이러한 좋은 방법을 두고도 인공뼈나 합성뼈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면측이 반원형상으로 라운드지면서 폐쇄된 칼날이 최전방에 위치되도록 합성수지재의 손잡이에 인서트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되, 손잡이의 전면측에는 반원형의 돌기를 형성하여 칼날과의 사이에 반달형의 골통과홀이 형성되게 하고, 반원형의 돌기 상부는 칼날에 의해 긁혀진 골이 뒤쪽으로 이송되도록 경사를 이루면서 그 외측에는 각각 격벽을 형성하여 칼날을 통해 긁혀진 자가골이 모이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게 하며, 격벽의 외측에는 각각 록킹돌기를 갖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가이드홈에 끼워져 가이드되면서 록킹돌기에 의해 체결되는 록킹홈을 갖는 커버를 칼날과 저장공간을 덮어주게 형성함으로써 손잡이를 연필잡듯이 잡고 칼날을 통해 뼈부위를 긁어내어 골을 용이하게 채취하고, 손잡이를 뒤집어 저장공간에 모인 골을 커버에 담아 필요한 부위에 손쉽게 시술하도록 한 골 채취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취용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취용구의 골 채취부위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칼날 2 : 손잡이
3 : 반원형의 돌기 4 : 골통과홀
5 : 단차 6 : 격벽
7 : 저장공간 8 : 록킹돌기
9 : 가이드홈 10 : 가이드돌기
11 : 록킹홈 12 : 커버
13 : 경사면 14 : 보강홀
15 : 리브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취용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측이 반원형상으로 라운드진 고리형상의 칼날(1)이 최전방에 위치되도록 칼날(1)을 합성수지재의 손잡이(2)에 인서트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되, 골을 긁어주기 편리하도록 칼날(1)은 내측으로 70∼90°로 비스듬히 형성하고, 손잡이(2)의 전면측에는 반원형의 돌기(3)를 형성하여 칼날(1)과의 사이에 골통과홀(4)이 형성되게 하며, 칼날(1)과 손잡이(2)의 결합부위 상면에는 단차(5)를 형성하고 이 단차(5) 형성부위 양측으로 각각 격벽(6)을 형성하여 칼날(1)을 통해 긁혀진 골을 모아주는 저장공간(7)을 이루게 하며, 격벽(6)의 외측에는 각각 록킹돌기(8)를 갖는 가이드홈(9)을 형성하면서 양측 하단부에 내측으로 가이드홈(9)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0)와, 가이드돌기(10)에 록킹돌기(8)에 대응되는 록킹홈(11)을 각각 형성한 커버(12)를 마련하여 가이드홈(9)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면서 록킹돌기(8)와 록킹홈(11)간 체결에 의해 칼날(1)과 저장공간(7)을 덮어주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반원형 돌기(3) 상면에는 칼날(1)에 의해 긁혀진 골을 저장공간(7)측으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7)과 통하는 경사면(13)을 형성하게 되고, 커버(12)는 골 채취후 뒤집어 빼내 시술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용적을 가지면서 전면측이 모아지게 구성하는 것이며, 칼날(1)과 손잡이(2)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칼날(1)의 인서트 부위에는 2개의 보강홀(14)을 형성하여 인서트된 후 사출물이 채워지게 구성하고, 단차(5) 형성부위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리브(15)를 형성한다.
또한, 칼날(1)은 강도가 커야 됨은 물론 내부식성을 가져야 하므로 스테인리스 스틸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손잡이(2)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제공해야 함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취용구를 사용할 때에는 도 3과 같이 손잡이(2)를 잡고 칼날(1)부위를 시술자의 뼈에 밀착시킨 후 가압하여 서서히 긁어주면 되는데, 칼날(1)에 의해 ??혀진 골은 골통과홀(4)을 통해 상부측으로 이동하고, 다시 반원형의 돌기(3) 상부의 경사면(13)을 따라 저장공간(7)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골 이식 시술에 있어 필요한 골의 양은 그다지 많지 않으므로 골을 조금만 긁어내어도 되며, 이식수술을 할 때에는 손잡이(2)를 뒤집어 골이 커버(12)로 이동되게 하고, 이런 상태에서 커버(12)를 빼내어 그 전면의 폭이 좁은 부위를 통해 골을 내보내어 시술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골 이식수술을 할 때에는 어차피 잇몸을 열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취용구를 사용하여 수술부위 인접부위에서 골을 긁어내면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취용구는 칼날(1)이 마모되거나 변형되면 그 수명이 다하므로 칼날(1)의 강도를 강화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면 더욱 좋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를 연필잡듯이 잡고 칼날을 시술자의 뼈에 밀착시킨 후 가압하여 서서히 긁어주면 골이 용이하게 채취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일단 채취된 골은 옆으로 새지 않고 전량 모이게 되므로 골 채취량이 많지 않으면서도 그 효과가 매우 크게 되고, 또한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해 간단히 성형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가 간단한 이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전면측이 반원형상으로 라운드진 고리형상의 칼날(1)이 최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칼날(1)을 합성수지재의 손잡이(2)에 인서트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되, 골을 긁어주기 편리하도록 상기 칼날(1)은 내측으로 70∼90°로 비스듬히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2)의 전면측에는 반원형의 돌기(3)를 형성하여 상기 칼날(1)과의 사이에 골통과홀(4)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칼날(1)과 상기 손잡이(2)의 결합부위 상면에는 단차(5)를 형성하고 이 단차(5) 형성부위 양측으로 각각 격벽(6)을 형성하여 상기 칼날(1)을 통해 긁혀진 골을 모아주는 저장공간(7)을 이루게 하며, 상기 격벽(6)의 외측에는 각각 록킹돌기(8)를 갖는 가이드홈(9)을 형성하면서 양측 하단부에 내측으로 상기 가이드홈(9)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0)와, 상기 가이드돌기(10)에 상기 록킹돌기(8)에 대응되는 록킹홈(11)을 각각 형성한 커버(12)를 마련하여 상기 가이드홈(9)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록킹돌기(8)와 상기 록킹홈(11)간 체결에 의해 상기 칼날(1)과 상기 저장공간(7)을 덮어주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채취용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12)는 골 채취후 뒤집어 빼내 시술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용적을 가지면서 전면측이 모아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채취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돌기(3)의 상면에는 상기 칼날(1)에 의해 긁혀진 골을 상기 저장공간(7)측으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공간(7)과 통하는 경사면(1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채취용구.
  3. 삭제
KR10-2001-0062728A 2001-10-11 2001-10-11 골 채취용구 KR10042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728A KR100428933B1 (ko) 2001-10-11 2001-10-11 골 채취용구
PCT/KR2002/001848 WO2003030766A1 (en) 2001-10-11 2002-10-04 Implement to gather b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728A KR100428933B1 (ko) 2001-10-11 2001-10-11 골 채취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548A KR20030030548A (ko) 2003-04-18
KR100428933B1 true KR100428933B1 (ko) 2004-04-29

Family

ID=1971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728A KR100428933B1 (ko) 2001-10-11 2001-10-11 골 채취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28933B1 (ko)
WO (1) WO20030307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481B1 (ko) 2017-10-25 2018-03-14 (주) 코웰메디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7928A1 (en) * 2005-11-16 2007-05-24 Physioline S.R.L. Osseous scraper for drawing osseous flakes and/or shreds froma donor bone
KR100717128B1 (ko) * 2005-12-02 2007-05-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골 채취용구
DE102013211594B4 (de) 2013-06-20 2014-12-31 Martin Geisinger Knochenspanfräs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206A (en) * 1983-01-26 1985-06-11 Dyonics, Inc. Surgical instrument
JPS62189708U (ko) * 1986-05-23 1987-12-02
JPH0563511U (ja) * 1992-02-13 1993-08-24 瑞穂医科工業株式会社 皮質骨切削用ノミ及びバリ取り用ノミ
JPH1043193A (ja) * 1996-08-07 1998-02-17 Urawa Kogyo Kk 骨切削用カッター
US6110177A (en) * 1995-09-29 2000-08-29 Maxilon Laborato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KR100347500B1 (ko) * 1998-06-03 2002-08-03 윤영석 연골 채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0005A (en) * 1984-08-22 1986-07-15 Hendel Philip M Guided osteotome for harvesting cranial bone graft
US5782835A (en) * 1995-03-07 1998-07-21 Innovasive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rticular cartilage defect repair
US5833628A (en) * 1996-04-24 1998-11-10 Yuan; Hansen Graduated bone graft harves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206A (en) * 1983-01-26 1985-06-11 Dyonics, Inc. Surgical instrument
JPS62189708U (ko) * 1986-05-23 1987-12-02
JPH0563511U (ja) * 1992-02-13 1993-08-24 瑞穂医科工業株式会社 皮質骨切削用ノミ及びバリ取り用ノミ
US6110177A (en) * 1995-09-29 2000-08-29 Maxilon Laborato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JPH1043193A (ja) * 1996-08-07 1998-02-17 Urawa Kogyo Kk 骨切削用カッター
KR100347500B1 (ko) * 1998-06-03 2002-08-03 윤영석 연골 채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481B1 (ko) 2017-10-25 2018-03-14 (주) 코웰메디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30766A1 (en) 2003-04-17
KR20030030548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6305B2 (ja) 外科用器具の組立のための器具キャディ及び方法を含む整形外科用器具システム
US67558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US6502608B1 (en) Delivery apparatus, nozzle, and removable tip assembly
US20040193154A1 (en) Bone and cartilage implant delivery device
EP2535022A1 (en) Device for inserting an intervertebral implant into a body and system comprising an intervertebral implant and a device for inserting the same
JP2010527639A (ja) 損傷した骨組織を修復するために骨プラグを採取および移植するための外科用工具として特に有用な、工具を方向付けるための器具
US9750554B2 (en) Instrument for extracting a pin
WO1997039685B1 (en) Graduated bone graft harvester
KR100428933B1 (ko) 골 채취용구
US11547524B2 (en) Collecting and harvesting cut bone from rongeur
KR20070087900A (ko) 자가골채취 드릴 및 채취통
WO2010030076A2 (ko) 골조직 이식을 위한 주사기용 본 인퓨저
US20220071641A1 (en) Bone graft harvester
US11197738B2 (en) Collecting and harvesting cut bone from rongeur
KR20120100250A (ko) 골 채취기
US20240050104A1 (en) Surgical instrument for scraping and collecting bone particles
KR20100020273A (ko) 연조직 절단 치과용 공구
US9486265B2 (en) Orthopedic bonding agent application tool
CN208725821U (zh) 一种植骨器、凿骨器和骨移植装置
KR101210857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본 포셉
CN104684507B (zh) 具有可移除式切削插件的压钳
US20150245920A1 (en) Surgical extraction device
KR100798683B1 (ko) 연조직 절단 치과용 공구
TWI759893B (zh) 手術刀吸液裝置
KR100717128B1 (ko) 골 채취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