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481B1 -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481B1
KR101838481B1 KR1020170139167A KR20170139167A KR101838481B1 KR 101838481 B1 KR101838481 B1 KR 101838481B1 KR 1020170139167 A KR1020170139167 A KR 1020170139167A KR 20170139167 A KR20170139167 A KR 20170139167A KR 101838481 B1 KR101838481 B1 KR 101838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ollecting
pipe
contain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주) 코웰메디
김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웰메디, 김수홍 filed Critical (주) 코웰메디
Priority to KR102017013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C17/046
    • A61C17/04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 등의 시술을 위해 자가골을 채취하는 중이나 합금 보철 절단 등을 포함하는 치과 시술에서 발생되는 잔류물인 미세골편과 성체 줄기세포, 미분 등을 채취하기 위한 골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가골 채취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 중 골 삭제 이후나 합금, 보철 절단 등을 포함하는 치과 시술 시 발생하는 잔류물인 미세골편과 성체 줄기세포, 미분 등을 채취할 수 있으며, 치과 시술 중에 빠져나오는 혈액, 지방 및 골편을 포함한 액상 및 미세입자조직을 채집하고 정제하고 채취하기에 유용하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한 골이식수술이나 지방 줄기세포 채취 및 혈액 성분 분리 등의 시술에서 자가 생체조직을 정제하고 채취하기에 간단하고 효율적이다.

Description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omitted}
본 발명은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 등의 시술을 위해 자가골을 채취하는 중이나 합금 보철 절단 등을 포함하는 치과 시술에서 발생되는 잔류물인 미세골편과 성체 줄기세포, 미분 등을 채취하기 위한 골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형외과, 성형외과 등의 시술에 있어서 환자, 즉 피시술자의 자가골을 채취하여 시술하는 방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가골을 사용하는 시술법은 임플란트 등의 치과영역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자가골을 이식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수행하는 경우는 치조골이 선천적으로 또는 후천적으로 많이 함몰되어 픽스쳐를 고정하기 부족한 피시술자의 경우이다. 이러한 자가골을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전에는 인조골이나 합성골 등을 사용했지만, 인조골이나 합성골은 치조골과 생체 트러블을 일으키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요즘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는 자가골을 이식하는 방법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자가골을 이식하기 위해 먼저 자가골의 채취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에는 자가골을 채취하기 위하여 다양한 골채취용 드릴을 사용하거나 흡입라인에 필터를 장착하여 자가골을 수집하였다. 하지만 자가골 삭제 중에 발생하는 잔류물인 필터의 기공보다 작은 미세골편과 줄기세포를 수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67970호 (2014.07.02)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 등의 시술을 위해 자가골을 채취하는 중이나 합금 보철 절단 등을 포함하는 치과 시술에서 발생되는 잔류물인 미세골편과 성체 줄기세포, 미분 등을 채취하기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과 시술 중에 잔류된 잔류물을 채취하기 위한 흡입물질채취부(100);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흡입물질채취부(100)로 투입되는 잔류물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도록 흡입물칠재취부(100)로 체결되는 방향전환밸브(200);상기 흡입물질채취부(100)와 결합되어 흡입물질채취부(100)로부터 채취된 잔류물이 수용되는 채취용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물질채취부(100)는 하부에 제1체결부(111)가 형성되어 채취용기(300)가 체결되는 흡입부재몸체부(110);흡입부재가 체결되도록 상기 흡입부재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제1내부관(121)이 형성되는 흡입부재체결부(120);흡입장치가 체결되도록 상기 흡입부재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제2내부관(131)이 형성되는 흡입장치체결부(130);상기 흡입부재체결부(120)와 흡입장치체결부(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흡입부재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방향전환밸브(200)가 수용되는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를 포함하되,상기 흡입부재몸체부(110)는 잔류물이 통과되도록 일측이 흡입부재체결부(120)의 제1내부관(121)과 연결되고 타측이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1흡입관(112);상기 제1흡입관(112)으로부터 공급된 잔류물이 채취용기(300)로 투입되도록 제1흡입관(112)의 일측과 연결되어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2흡입관(113);채취용기(300)로부터 채취된 잔류물 중 일부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2흡입관(113)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의 일측과 연결되며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1배출관(114);상기 제1배출관(114)으로부터 배출되는 잔류물 중 일부가 통과되도록 일측이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내부관(131)과 연결되는 제2배출관(115);을 포함하고, 상기 제2흡입관(113)의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2흡입관입구(113a)와 제1배출관(114)의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배출관입구(114a) 사이의 간격(S)은 적어도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방향전환밸브(200)는 일측방향구(211a)부터 타측방향구(211b)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방향전환관(211)과 상기 제1방향전환관(211)의 일측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방향전환관(212)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에 수용되는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 상기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의 외부에 위치하고, 향전환밸브몸체부(210)와 연결되어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밸브핸들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채취용기(300)는 흡입물질채취부(100)로부터 흡입된 잔류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채취용기몸체부(310); 채취용기(300)로 채취된 잔류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채취용기몸체부(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관(320); 배출관(320)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관(320)의 입구와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330a)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 마개보관부(340)에 체결되기 위한 홈(330b)이 형성되는 마개부(330); 배출관(320)과 분리된 마개부(330)를 보관하기 위해 채취용기몸체부(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마개보관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가골 채취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 중 골 삭제 이후나 합금, 보철 절단 등을 포함하는 치과 시술 시 발생하는 잔류물인 미세골편과 성체 줄기세포, 미분 등을 채취할 수 있으며, 치과 시술 중에 빠져나오는 혈액, 지방 및 골편을 포함한 액상 및 미세입자조직을 채집하고 정제하고 채취하기에 유용하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한 골이식수술이나 지방 줄기세포 채취 및 혈액 성분 분리 등의 시술에서 자가 생체조직을 정제하고 채취하기에 간단하고 효율적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자가골 채취장치에 흡입부재(10)와 흡입장치(20)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가골 채취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입부재몸체부(110)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입부재몸체부(11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향전환밸브(2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6, 7은 본 발명의 자가골 채취장치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채취용기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원심분리용기와 용기마개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에 흡입부재(10)와 흡입장치(20)가 체결된 모습에 관한 것으로, 도면과 같이 자가골 채취장치의 흡입물질채취부(100)의 일측에 흡입부재(10)가 체결되고 타측에 흡입장치(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임플란트 시술 중 자가골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자가골 채취 후에 발생되는 잔류물인 미세골편과 성체 줄기세포을 채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금 보철 절단 등에서 발생되는 미분 등의 잔류물을 채취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는 임플란트 시술 중에 자가골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잔류물을 채취하는 것에 대해서 대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합금 보철 절단 등에서 발생되는 미분 등의 잔류물을 채취하는 등 다양한 치과 시술시 발생하는 잔류물을 채취하는 것에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가골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자가골 채취장치는 흡입물질채취부(100), 방향전환밸브(200), 채취용기(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4는 본 발명의 흡입물질채취부(100)에 관한 것으로, 흡입물질채취부(100)는 치과 시술 중인 즉,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골채취 중에 잔류된 잔류물을 채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흡입물질채취부(100)는 흡입부재몸체부(110), 흡입부재체결부(120), 흡입장치체결부(130),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로 구성되며, 흡입부재몸체부(110)는 하부에 제1체결부(111)가 형성되어 채취용기(300)가 체결된다.
상기 제1체결부(111)는 채취용기(300)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부재체결부(120)는 흡입부재(10)가 체결되도록 상기 흡입부재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제1내부관(121)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재체결부(120)는 흡입부재(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흡입부재(10)가 흡입부재체결부(120)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입부재(10)는 치과 시술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흡입부재이다.
흡입장치체결부(130)는 흡입장치가 체결되도록 상기 흡입부재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제2내부관(131)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장치체결부(130)는 흡입장치(2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흡입장치(20)가 흡입장치체결부(130)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입장치(20)는 치과 시술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흡입장치이다.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는 상기 흡입부재체결부(120)와 흡입장치체결부(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흡입부재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방향전환밸브(20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방향전환밸브(200)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는 일측에 체결단턱(141)이 추가로 형성되어 방향전환밸브(200)가 회전가능한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보이는 방향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통하여 상기 흡입부재몸체부(110)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흡입부재몸체부(110)의 내부는 제1흡입관(112), 제2흡입관(113), 제1배출관(114), 제2배출관(1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흡입관(112)은 잔류물이 통과되도록 일측이 흡입부재체결부(120)의 제1내부관(121)과 연결되고 타측이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2흡입관(113)은 상기 제1흡입관(112)으로부터 공급된 잔류물이 채취용기(300)로 투입되도록 제1흡입관(112)의 일측과 연결되며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다.
제1배출관(114)은 채취용기(300)로부터 채취된 잔류물 중 일부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2흡입관(113)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의 일측과 연결되며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다.
제2배출관(115)은 상기 제1배출관(114)으로부터 배출되는 잔류물 중 일부가 통과되도록 일측이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내부관(131)과 연결된다.
상기 제2흡입관(113)의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2흡입관입구(113a)와 제1배출관(114)의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배출관입구(114a) 사이의 간격(S)은 채취용기(300)로 들어오는 잔류물이 제1배출관(114)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10mm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 기재된 방향전환밸브(200)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도 5는 방향전환밸브(200)에 관한 도면으로, 방향전환밸브(200)는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흡입물질채취부(100)로 투입되는 잔류물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도록 흡입물칠재취부(100)로 체결된다.
상기 방향전환밸브(200)는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 방향전환밸브핸들부(220)로 구성된다.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는 상기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에 수용되는 부분으로, 도5(b)와 같이 일측방향구(211a)부터 타측방향구(211b)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방향전환관(211)과 상기 제1방향전환관(211)의 일측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방향전환관(21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6, 7의 단면도와 같이, 방향전환밸브(200)가 흡입물질채취부(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ㅗ' 또는 'ㅓ'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향전환밸브핸들부(220)는 상기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에 방향전환밸브(200)의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가 체결된 상태에서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의 외부에 위치하고,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와 연결되어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를 회전시킨다. 상기 방향전환밸브핸들부(220)의 표면에는 제1방향전환관(211)과 제2방향전환관(21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2방향전환관(211,212)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골채취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방향전환밸브핸들부(220)를 회전시키어 제1,2방향전환관(211,212)의 방향을 전환시킴으로 골채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 7은 방향전환밸브(200)가 흡입물질채취부(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도 2를 정면에서 바라봤을때 바라보는 방향의 단면도이며, 이를 참고하여 방향전환밸브(200)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6는 골채취 작업에서 미세골편, 생체 줄기세포와 같은 잔여물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방향전환밸브(200)가 'ㅓ'의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즉, 방향전환밸브핸들부(220)를 이용하여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를 회전시키어 제1,2방향전환관(211, 212)이 'ㅓ'의 형태가 됨으로써 제1방향전환관(211)과 일측이 제1배출관(114)과 연결되고, 제2방향전환관(212)이 제2배출관(115)과 연결된다. 이때, 골삭제 시 발생되는 잔류물을 채취하기 위해 흡입부재체결부(120)에 체결된 흡입부재로 잔류물을 채취시 흡입부재로 흡입된 잔류물은 흡입방향(G1)을 따라 제1흡입관(112)을 통과하여 제2흡입관(113)을 지나 채취용기(300)로 수용된다.
또한 채취용기(300)로 수용된 잔류물 중 일부는 흡입장치체결부(130)에 체결된 흡입장치로 인해 배출방향(G2)을 따라 제1배출관(114)로 배출되어 방향전환밸브(200)를 지나 제2배출관(115)을 통과하여 흡입장치로 배출된다.
즉, 흡입장치로 인해 흡입부재로 흡입되는 물질은 잔류물인 미세골편, 성체 줄기세포 외에도 세척액, 혈액 등의 추가물질도 포함되어 흡입되어 채취용기(300)로 들어가게 된다. 채취용기(300)에 채취된 물질은 채취용기(300)에서 회전함으로써 무거운 입자인 잔류물인 미세골편과 성체 줄기세포는 아래로 가라앉고 추가물질인 피, 식염수 등은 제1배출관(114)으로 빨려올라가서 배출방향(G2)을 지나 배출된다.
이때 제2흡입관(113)으로 들어온 물질이 바로 제1배출관(114)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흡입관(113)과 제1배출관(114)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10m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골채취 작업에서 발생하는 혈액, 타액 및 세척액 등의 추가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방향전환밸브(200)가 'ㅗ'의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즉, 방향전환밸브핸들부(220)를 이용하여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를 회전시키어 제1,2방향전환관(211,212)이 'ㅗ'의 형태가 됨으로써 제1방향전환관(211)의 일측이 제1흡입관(112)과 연결되고, 제1방향전환관(211)의 타측이 제2배출관(115)과 연결되며, 제2방향전환관(212)이 제1배출관(114)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때, 골 채취 작업에서 발생하는 추가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흡입부재체결부(120)에 체결된 흡입부재(10)로 흡입된 추가물질은 이동방향(G3)을 따라 제1흡입관(112)을 통과하여 방향전환밸브(200)의 제1방향전환관(211)을 지나 제2배출관(115)을 통과하여 흡입장치체결부(130)에 체결된 흡입장치(20)로 배출된다.
도 8은 채취용기(300)에 관한 도면으로, 채취용기(300)는 상기 흡입물질채취부(100)와 결합되어 흡입물질채취부(100)로부터 채취된 잔류물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채취용기(300)는 채취용기몸체부(310), 배출부(320), 마개부(330), 마개보관부(340)로 구성된다.
채취용기몸체부(310)는 흡입물질채취부(100)로부터 흡입된 잔류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 내부면에 흡입물질채취부(100)의 제1체결부(111)와 대응되는 형태의 제2체결부(311)가 형성되어 흡입물질채취부(100)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체결부(111)의 형태와 대응되는 나사산으로 형성된다.
배출관(320)은 채취용기(300)로 채취된 잔류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채취용기몸체부(3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즉, 채취용기(300)를 흡입물질채취부(100)와 분리하지 않고도 배출관(320)을 통하여 채취용기(300)의 잔류물을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개부(330)는 배출관(320)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관(320)의 입구와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330a)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 마개보관부(340)에 체결되기 위한 홈(330b)이 형성된다. 즉, 채취용기(300)로 잔류물을 채취 시 마개부(330)로 배출관(320)의 입구를 막음으로써 외부로 잔류물이 나가지 못하도록 하며, 외부로 잔류물을 배출하기 위해 마개부(330)를 배출관(320)과 분리한다.
마개보관부(340)는 배출관(320)과 분리된 마개부(330)를 보관하기 위해 채취용기몸체부(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마개부(330)의 홈(330b)에 수용되도록 긴 막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개보관부(340)는 마개부(330)를 분리하여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도 8(b)와 같이 마개부(340)를 마개보관부(340)에 체결시킨다.
도 9는 원심분리용기(400)와 용기마개(500)에 관한 도면으로, 원심분리용기(400)는 채취용기(300)로부터 채취된 잔류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채취용기(300)의 배출관(320)을 통해 잔류물을 소정 갯수의 원심분리용기(400)로 각각 분배시킨 후 용기마개(500)를 닫는다.
도 10은 원심분리용기(400)의 하부에 채취할 시료(1)인 미세골편과 성체 줄기가 침전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분배된 잔류물이 들어있는 원심분리용기(400)를 뒤집어서 용기마개(500)가 아래로 오게 한 다음, 원심분리기(30)에 용기마개(500)가 아래를 향하도록 원심분리용기(400)를 장착하여 1500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법으로 정제하면, 도 10과 같이 원심분리용기(400)의 하부에 위치했던 미세골편과 성체 줄기세포가 용기마개(500)의 내부에 침전됨으로 이를 채취할 수 있다.
도 12는 용기마개(500)에서 채취한 시료(1)인 미세골편과 성체 줄기세포에 관한 사진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흡입부재
20 흡입장치
30 원심분리기
100 흡입물질채취부
110 흡입부재몸체부
111 제1체결부
112 제1흡입관
113 제2흡입관
114 제1배출관
115 제2배출관
120 흡입부재체결부
130 흡입장치체결부
140 방향전환밸브수용부
141 체결단턱
200 방향전환밸브
210 방향전환밸브몸체부
211 제1방향전환관
211a 일측방향구
211b 타측방향구
212 제2방향전환관
220 방향전환밸브핸들부
300 채취용기
310 채취용기몸체부
311 제2체결부
320 배출관
330 마개부
340 마개보관부
400 원심분리용기
500 용기마개

Claims (5)

  1. 치과 시술 중에 잔류된 잔류물을 채취하기 위한 흡입물질채취부(100);
    상기 흡입물질채취부(100)와 결합되어 흡입물질채취부(100)로부터 채취된 잔류물이 수용되는 채취용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물질채취부(100)는
    하부에 제1체결부(111)가 형성되어 채취용기(300)가 체결되는 흡입부재몸체부(110);
    흡입부재가 체결되도록 상기 흡입부재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제1내부관(121)이 형성되는 흡입부재체결부(120);
    흡입장치가 체결되도록 상기 흡입부재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제2내부관(131)이 형성되는 흡입장치체결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흡입물질채취부(100)로 투입되는 잔류물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도록 흡입물칠재취부(100)의 일측에 체결되는 방향전환밸브(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물질채취부(100)는
    상기 흡입부재체결부(120)와 흡입장치체결부(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흡입부재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방향전환밸브(200)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진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재몸체부(110)는
    잔류물이 통과되기 위해 일측이 흡입부재체결부(120)의 제1내부관(121)과 연결되고 타측이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흡입관(112);
    상기 제1흡입관(112)으로부터 공급된 잔류물이 채취용기(300)로 투입되도록 제1흡입관(112)의 일측과 연결되며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2흡입관(113);
    채취용기(300)로부터 채취된 잔류물 중 일부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2흡입관(113)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의 일측과 연결되며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1배출관(114);
    상기 제1배출관(114)으로부터 배출되는 잔류물 중 일부가 통과되도록 일측이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내부관(131)과 연결되는 제2배출관(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관(113)의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2흡입관입구(113a)와 제1배출관(114)의 채취용기(300)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배출관입구(114a) 사이의 간격(S)은 적어도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밸브(200)는
    일측방향구(211a)부터 타측방향구(211b)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방향전환관(211)과 상기 제1방향전환관(211)의 일측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방향전환관(212)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에 수용되는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
    상기 방향전환밸브수용부(140)의 외부에 위치하고,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와 연결되어 방향전환밸브몸체부(210)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밸브핸들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용기(300)는
    흡입물질채취부(100)로부터 흡입된 잔류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채취용기몸체부(310);
    채취용기(300)로 채취된 잔류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채취용기몸체부(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관(320);
    배출관(320)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관(320)의 입구와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330a)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 마개보관부(340)에 체결되기 위한 홈(330b)이 형성되는 마개부(330);
    배출관(320)과 분리된 마개부(330)를 보관하기 위해 채취용기몸체부(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마개보관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KR1020170139167A 2017-10-25 2017-10-25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KR101838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167A KR101838481B1 (ko) 2017-10-25 2017-10-25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167A KR101838481B1 (ko) 2017-10-25 2017-10-25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481B1 true KR101838481B1 (ko) 2018-03-14

Family

ID=6166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167A KR101838481B1 (ko) 2017-10-25 2017-10-25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4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939A (ko) * 2021-03-10 2022-09-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골채집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연골 이식 기구세트
KR102521122B1 (ko) * 2022-11-22 2023-04-11 디에스메카 주식회사 생체 시료의 조직 분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33B1 (ko) 2001-10-11 2004-04-29 주식회사 덴티움 골 채취용구
KR100796907B1 (ko) 2006-01-27 2008-01-22 조성암 자가골채취 드릴 및 채취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33B1 (ko) 2001-10-11 2004-04-29 주식회사 덴티움 골 채취용구
KR100796907B1 (ko) 2006-01-27 2008-01-22 조성암 자가골채취 드릴 및 채취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939A (ko) * 2021-03-10 2022-09-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골채집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연골 이식 기구세트
KR102541045B1 (ko) * 2021-03-10 2023-06-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골채집기구
KR102521122B1 (ko) * 2022-11-22 2023-04-11 디에스메카 주식회사 생체 시료의 조직 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9763B1 (en) Autogenous bone and cell filter trap
US6387070B1 (en) Bone slurry recovery
ES2447966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separar células de tejido de un líquido
RU239112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утотрансфузии
EP1419739B1 (en) Bone marrow aspiration system
US9555169B2 (en) Apparatus for harvesting improved bone graft material utilizing an implantable biodegradable filter
US5797742A (en) Amalgam solids collecting and separating apparatus
US10874777B2 (en) Adipose tissue separation device and methods
US200602730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fluids containing multiple components
US11259819B2 (en) Bone marrow harvesting device and storage methods
KR101838481B1 (ko) 잔류물 채취를 위한 자가골 채취장치
WO2019068271A1 (en) DEVICE FOR SEPARATING FLUID BIOLOGICAL MATERIAL, SEPARATION FLOAT AND KIT
KR20140075540A (ko) 지방채취용기
WO2009005458A1 (en) Scraping device
WO2003073945A1 (en) Bone chip harvesting trap
JP2021527479A (ja) 骨片収集装置および処理装置
JPH0375176B2 (ko)
KR102212071B1 (ko) 척추 수술중 자가 골가루 채집기
KR101304618B1 (ko) 치과용 금속수거용기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US11751984B2 (en) Disposable dental waste filter device
JPH05137736A (ja) 骨片採取装置
CN208114845U (zh) 骨髓收集装置
EP3806921B1 (en) Bone dust trap
DE2163501A1 (de) Saugeinrichtung, insbesondere fuer medizinische zwecke
BR112017024457B1 (pt) Dispositivo de separação de tecido e método de separação de gordura pura de um aspirado de lipossucção de gordu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