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671B1 -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671B1
KR100428671B1 KR10-2002-0016366A KR20020016366A KR100428671B1 KR 100428671 B1 KR100428671 B1 KR 100428671B1 KR 20020016366 A KR20020016366 A KR 20020016366A KR 100428671 B1 KR100428671 B1 KR 10042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book data
phonebook
data
fixed device
mem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318A (ko
Inventor
고경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6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671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폰북 기능이 있는 유무선전화기에서 어느 한 전화기의 폰북 내용이 생성, 변경, 삭제될 경우에 고정장치 및 고정장치에 등록된 모든 휴대장치의 폰북 내용을 새로 업데이트하여 모든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폰북 내용을 일치시킴으로써, 같은 고정장치에 등록된 모든 전화기에서 동일한 폰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와 이 장치에 적용되는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폰북 데이터 정보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작업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정장치의 비활성 메모리부의 폰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와; 고정장치가 갱신된 폰북 데이터를 자신에게 등록된 모든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휴대장치가 고정장치에 의해 전송된 폰북 데이터를 자신의 비활성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폰북 데이터를 휴대장치나 고정장치에서 편집하고 폰북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여 모든 장치들이 항상 최신의 폰북 데이터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며, 임의의 전화기로 폰북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on use of phone-book data in codeless phone system}
본 발명은 유무선전화기의 데이터 공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폰북(Phone Book) 기능이 있는 유무선전화기에서 어느 한 전화기의 폰북 내용이 생성, 변경, 삭제될 경우에 고정장치에 등록된 모든 전화기에서 해당 폰북 내용을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폰북 기능이란 개인 또는 기업의 전화번호를 단일하게 사용하는 방식의 하나로,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게 되면 폰북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자동 연결되어 통신사업자에게는 상이한 전화번호이지만 사용자에게는 동일한 전화번호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예로 기존의 국가 단위로 구분된 통신 인프라가 인터넷을 통해 사업자 단위의 통신 인프라로 변화하는 단계에서 국가코드를 고유번호 뒤에 배치하여 전세계 어디서나 통용되는 번호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 등으로 폰북 기능이 구현된다.
이러한 폰북 기능은 유무선 전화기에 응용될 수 있다. 이하, 유무선 전화기의 폰북 기능에 관한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종래 폰북 기능이 내장된 유무선 전화기를 보면, 고정장치의 폰북 내용을 수정하거나 이 고정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여러 대의 휴대장치 중 임의의 한 휴대장치의 폰북 내용을 수정할 경우, 고정장치는 고정장치 자체의 폰북 내용을 가지고 있고 휴대장치는 그 자체의 폰북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정장치의 폰북에 기록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휴대장치를 이용해 전화를 걸려고 할 때 해당 전화번호를 찾기 위해 고정장치의 폰북 내용을 일일이 검색해야만 한다.
폰북 기능의 구현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모든 폰북 데이터는 고정장치의 경우 고정장치의 이이피롬(EEPROM)에 저장되고, 휴대장치의 경우 휴대장의 이이피롬에 저장된다. 따라서 고정장치에서 사용자가 폰북을 입력할경우에는 고정장치의 이이피롬에만 저장되고 이 고정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휴대장치에는 저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휴대장치를 이용해 고정장치의 폰북 데이터를 확인해 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휴대장치를 이용해 고정장치의 폰북에 기록된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항상 고정장치의 폰북 내용을 직접 고정장치의 메뉴 키를 이용해 찾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폰북 기능이 있는 유무선전화기에서 어느 한 전화기의 폰북 내용이 생성, 변경, 삭제될 경우에 고정장치 및 고정장치에 등록된 모든 휴대장치의 폰북 내용을 새로 업데이트하여 모든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폰북 내용을 일치시킴으로써, 같은 고정장치에 등록된 모든 전화기에서 동일한 폰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와 이 장치에 적용되는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는, 폰북 동기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유무선 전화기를 제어 운용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을 구비한 소프트웨어부와; 폰북 모드로의 진입, 메뉴의 선택, 폰북 데이터의 생성, 수정, 삭제를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각종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유무선 전화기의 각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소프트웨어부내 각 프로그램의 운용을 담당하고, 비활성 메모리부와 임시 메모리부를 엑세스하도록 된 주제어부와; 상기 편집된 폰북 데이터를 상기 주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전기소거식으로 저장하고, 전원의 오프시에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도록 된 비활성 메모리부와; 상기 폰북 데이터의 편집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임시 메모리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비활성 메모리부로부터 읽혀진 폰북 데이터나 해당 폰북 데이터의 편집 과정을 표시하도록 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은, 폰북 데이터 정보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작업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정장치의 비활성 메모리부의 폰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갱신된 폰북 데이터를 자신에게 등록된 모든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폰북 데이터를 자신의 비활성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소프트웨어부 120 : 키패드부
130 : 주제어부 140 : 이이피롬부
150 : 램부 160 : LCD 구동부
170 : LCD 패널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유무선 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을 보인 도1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유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에 포함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소프트웨어부(110), 키패드부(120), 주제어부(130), 이이피롬부(140), 램부(150), LCD(Liquid Crystal Display) 구동부, 그리고 LCD 패널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소프트웨어부(110)는 폰북 동기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유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를 제어 운용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 블록이다.
키패드부(120)는 폰북 모드로의 진입 및 폰북의 생성, 수정, 삭제를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각종 키를 포함한다.
주제어부(130)는 유무선 전화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며, 소프트웨어부(110)내 소프트웨어의 운용을 담당한다.
이이피롬부(140)는 폰북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부(150)는 폰북 데이터의 생성, 편집 및 삭제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폰북 데이터의 검색, 편집, 표시 등의 디스플레이 기능과 관련하여, LCD 구동부(160)는 LCD 패널부(170)의 초기와 및 각종 서체(폰트)를 내장하여 LCD 패널부(17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며, LCD 패널부(170)는 폰북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도록 디지털 정보를 가시화시켜 준다.
이러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은 크게 휴대장치의 폰북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와 고정장치의 폰북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현재 고정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특정 휴대장치의 폰북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시작1'에서부터 다음과 같은 일련의 단계가 수행된다.
사용자는 폰북 메뉴 진입을 위해 메뉴 키를 누른다. 그러면 폰북 메뉴로 진입하게 된다(S210).
사용자는 특정 폰북 데이터를 편집한다. 데이터의 편집은 새로운 데이터의생성, 기 저장된 데이터의 수정 또는 삭제를 포함한다(S211).
폰북 편집 작업을 완료했을 경우, 확인버튼(예: 'OK' 버튼)을 누른다(S212).
그러면 주제어부(130)가 생성, 삭제, 수정 작업에 따라 폰북 데이터를 이이피롬부(140)에 저장하거나 이이피롬부(140)에서 지정된 폰북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또는 이전에 이이피롬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폰북 데이터를 삭제하고 수정된 내용을 다시 저장하여 해당 폰북 데이터의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13).
휴대장치는 고정장치로 변경된 폰북 데이터를 무선을 통해 전송한다(S214).
이상이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폰북 데이터를 편집하는데 있어서의 특이한 수행과정이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폰북 데이터를 편집/열람하는 경우와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폰북 데이터를 편집/열람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공통된 수행과정을 설명한다.
고정장치는 휴대장치로부터 폰북 데이터가 전송되어지는 여부를 확인한다(S215).
그래서 폰북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폰북 데이터, 즉 휴대장치에서 생성, 수정, 삭제 등의 편집 작업의 결과로 생성된 폰북 데이터에 따라 이이피롬을 갱신한다. 이때 이이피롬 데이터의 갱신은 휴대장치에서 편집 작업의 결과를 전송하게 되면 수신된 폰북 데이터를 단순히 이이피롬에 저장하는 정도로 완결된다. 편집 작업은 이미 휴대장치에서 완료되었으므로 고정장치는 해당 폰북 데이터를 이이피롬에 저장하여 휴대장치의 폰북 데이터와 자신이 보유하는 폰북 데이터간의 동일성이 유지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S216).
뿐만 아니라 단계 S216에 있어서, 사용자가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폰북 데이터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시작2' 단계로부터 이후 과정이 진행된다. 즉, 사용자가 고정장치의 설정된 메뉴를 참조하여 키패드부(120)를 조작함으로써 폰북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하게 되면, 편집된 폰북 데이터가 이이피롬에 따라 이이피롬이 갱신되어진다. 편집된 데이터를 고정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제외하면, 기타 휴대장치에서의 폰북 데이터의 편집 작업과 같다
휴대장치로부터의 폰북 데이터 수신 또는 고정장치 자체에서의 편집 작업에 의해 폰북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에는 고정장치와 이에 등록된 각 휴대장치의 폰북 데이터를 일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고정장치는 폰북 데이터 갱신이 있을 때마다 고정장치에 등록된 휴대장치들을 검색한다. 고정장치는 (S217).
검색이 완료되면, 고정장치는 변경된 폰북 데이터를 검색된 모든 휴대장치에 대해 무선전송한다. 이는 고정장치에 등록된 모든 휴대장치들이 동일한 폰북 데이터를 보유하여야 하는 요청에 의한 과정이다(S218).
만약, 고정장치에 등록되어 있기는 하지만 휴대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어 고정장치에서 보내온 폰북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휴대장치가 전원 온되는 순간 고정장치에 폰북 데이터 정보의 변경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S219).
고정장치에 대한 확인과정을 통해 폰북 데이터의 변경이 확인되면, 휴대장치는 고정장치에 대해 해당 폰북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한다. 이처럼 휴대장치가 폰북데이터를 요구해서 수신하게 되는 경우 또는 별도의 요청없이 고정장치에서 송신한 폰북 데이터를 즉시 수신하게 되는 경우, 고정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휴대장치들은 고정장치에서 보내온 폰북 데이터 정보를 자체의 이이피롬부에 저장한다. 이로써 고정장치의 변경된 폰북 데이터에 부합되도록 휴대장치들의 폰북 데이터가 갱신되어 폰북 데이터의 동기화가 이루어진다(S220).
이와는 달리, 휴대장치의 폰북 데이터를 변경할 때 고정장치의 전원이 꺼져 있어 고정장치에 등록된 휴대장치가 어떤 것인지를 알지 못해 폰북 데이터 정보의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에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는 순간까지 기다린 후 정상적인 연결이 형성될 때 고정장치에 폰북 데이터 갱신을 요청한다. 그 후 고정장치에 등록된 휴대장치를 검색해 폰북 데이터 정보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고정장치와 그 고정장치에 등록된 모든 휴대장치의 폰북 데이터 정보는 모두 동일한 내용을 갖게 된다. 따라서 고정장치에 새로운 폰북 데이터 정보를 입력한 경우 그 고정장치에 등록된 어떤 휴대장치에서도 그 폰북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고정장치에서 사용자가 폰북 정보를 입력했을 경우 고정장치의 이이피롬에만 데이터가 저장되어 휴대장치를 이용해 고정장치의 폰북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려고 할 때면 항상 고정장치의 폰북 내용을 고정장치의 메뉴 키 등을 이용해 직접 확인한 후 휴대장치의 키패드를 일일이 눌러 전화를 걸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던 종래기술에 비해, 폰북 데이터를 휴대장치에서 입력하는지 고정장치에서 입력하는지에 무관하게 폰북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모든 장치들이 항상 최신의 폰북 데이터 정보를 공유하여 동일한 내용의 폰북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임의의 전화기로 폰북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유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에 있어서,
    폰북 동기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유무선 전화기를 제어 운용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을 구비한 소프트웨어부와;
    폰북 모드로의 진입, 메뉴의 선택, 폰북 데이터의 생성, 수정, 삭제를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각종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유무선 전화기의 각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소프트웨어부내 각 프로그램의 운용을 담당하고, 비활성 메모리부와 임시 메모리부를 엑세스하도록 된 주제어부와;
    상기 편집된 폰북 데이터를 상기 주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전기소거식으로 저장하고, 전원의 오프시에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도록 된 비활성 메모리부와;
    상기 폰북 데이터의 편집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임시 메모리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비활성 메모리부로부터 읽혀진 폰북 데이터나 해당 폰북 데이터의 편집 과정을 표시하도록 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2. 폰북 데이터 정보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작업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정장치의 비활성 메모리부의 폰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갱신된 폰북 데이터를 자신에게 등록된 모든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폰북 데이터를 자신의 비활성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폰북 데이터 정보의 편집 과정은,
    사용자의 특정 키 입력에 의해 휴대장치가 폰북 메뉴로 진입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키패드부의 각종 키를 조작하여 폰북 데이터 정보를 편집(생성, 수정, 삭제)하는 단계와;
    편집 완료된 상기 폰북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비활성 메모리부의 폰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된 폰북 데이터를 자신이 등록된 상기 고정장치로 무선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무선전송된 상기 폰북 데이터를 자신의 비활성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공유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가 갱신된 폰북 데이터를 상기 고정장치로 무선전송하는 경우,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고정장치의 전원이 켜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장치의 전원이 켜진 상태인 경우,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갱신된 폰북 데이터를 해당 고정장치로 무선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장치의 전원이 꺼진 상태인 경우, 상기 휴대장치가 자신과 해당 고정장치간의 무선링크가 정상적으로 형성되는 여부를 확인하면서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장치의 전원이 켜져 상기 무선링크가 형성되면,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갱신된 폰북 데이터를 해당 고정장치로 무선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폰북 데이터 정보의 편집 과정은,
    사용자가 상기 고정장치의 특정 키를 입력하여 폰북 메뉴로 진입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고정장치의 키패드부상의 각종 키를 조작하여 폰북 데이터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와;
    편집 완료된 상기 폰북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장치의 비활성 메모리부의 폰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폰북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폰북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장치가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폰북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된 해당 폰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비활성 메모리부의 폰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장치가 전원이 꺼진 상태로부터 켜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자신이 등록된 상기 고정장치에 대해 폰북 데이터의 변경이 있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휴대장치의 확인요청에 대하여 변경된 폰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응답하게 되면,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변경된 폰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전송요청을 발한 상기 휴대장치로 상기 변경된 폰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전송된 폰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비활성 메모리부의 폰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
KR10-2002-0016366A 2002-03-26 2002-03-26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KR10042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366A KR100428671B1 (ko) 2002-03-26 2002-03-26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366A KR100428671B1 (ko) 2002-03-26 2002-03-26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318A KR20030077318A (ko) 2003-10-01
KR100428671B1 true KR100428671B1 (ko) 2004-04-28

Family

ID=3237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366A KR100428671B1 (ko) 2002-03-26 2002-03-26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08B1 (ko) * 2005-07-26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0819154B1 (ko) * 2006-11-07 2008-04-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망에서의 실시간 주소록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1274831B1 (ko) * 2012-04-19 2013-06-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가상번호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491B1 (en) * 1998-04-27 2001-11-13 Invent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lligent telecommunication base unit and a detachable mobile information unit
JP2002044223A (ja) * 2000-07-25 2002-02-08 Sony Corp 電話帳共用システム及び共用方法
KR20020014888A (ko) * 2000-08-19 2002-02-27 조정남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정보 서버와의 주소록 동기화 방법
KR20020036136A (ko) * 2000-11-08 2002-05-16 고영무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에서 편집한 데이터를데이터베이스로 공유하여 송/수신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491B1 (en) * 1998-04-27 2001-11-13 Invent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lligent telecommunication base unit and a detachable mobile information unit
JP2002044223A (ja) * 2000-07-25 2002-02-08 Sony Corp 電話帳共用システム及び共用方法
KR20020014888A (ko) * 2000-08-19 2002-02-27 조정남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정보 서버와의 주소록 동기화 방법
KR20020036136A (ko) * 2000-11-08 2002-05-16 고영무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에서 편집한 데이터를데이터베이스로 공유하여 송/수신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318A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5643B1 (en) Switching states between two computing devices
US7343178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switch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display switching program
US7035629B2 (en)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JPH0635773A (ja) 情報管理装置
WO2006051858A1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ファイル共有方法
US8126989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data in a mobile telephone
JP2002007400A (ja) 少なくとも2つのデータベース内でのデータサーチ方法及び少なくとも2つのデータベースを有する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KR20000030400A (ko) 무선통신단말기를 위한 사용자 정보관리시스템 및관리방법.
KR20040105032A (ko) 휴대폰의 원격 기능변경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8671B1 (ko)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KR1004881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및 개인 정보 관리 서버의 정보 동기화 방법
KR20020078400A (ko)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KR100402792B1 (ko)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
KR100815049B1 (ko) 키 할당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
KR20040013356A (ko) 휴대전화를 주변장치로 사용하는 휴대형 단말기
KR20020005882A (ko) 핸드폰을 이용한 컴퓨터의 원격조정 및 데이터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82706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60087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동기화 데이터관리 시스템
JP2003299148A (ja) 事業所用電話システム
KR20010095496A (ko)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업그레이드 방법
JP2003069692A (ja) 電話帳共有方法、電話帳データ登録/引出し方法、および同プログラム
JP2002262352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361781B2 (ja) 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3004094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북마크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5362A (ko) 통화 목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