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108B1 -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108B1
KR100734108B1 KR1020050067939A KR20050067939A KR100734108B1 KR 100734108 B1 KR100734108 B1 KR 100734108B1 KR 1020050067939 A KR1020050067939 A KR 1020050067939A KR 20050067939 A KR20050067939 A KR 20050067939A KR 100734108 B1 KR100734108 B1 KR 10073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lephone number
phone numb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545A (ko
Inventor
배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108B1/ko
Publication of KR2007001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상호간에 전화번호 및 기타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 출력, 등록, 추출 및 저장하는 과정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 입력부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타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를 전송받는 송수신부 및 상기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와 상기 타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등록자만 전화번호 및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피등록자에게 전송하면 피등록자의 전화번호 및 개인정보가 자동으로 등록자에게 전송되어 저장됨으로써, 전화번호 저장과정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고, 등록자가 피등록자에게 전화번호 및 개인정보를 일일이 문답하여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자동등록, 개인정보, 모듈, 휴대폰

Description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 {Module for mutually automatic registration of telephone number 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단방향 및 양방향 전화번호 자동등록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예시도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 200 :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
300 : 전화번호 등록 모듈 301 : 표시부
302 : 전화번호 입력부 303 : 제 1 전화번호 저장부
304 : 송수신부 305 : 전화번호 등록부
306 : 제 2 전화번호 저장부 307 : 전화번호 추출부
본 발명은 전화번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 상호간에 전화번호 및 기타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전화번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등록은 등록자 및 피등록자 모두 이동통신단말기에 구축된 전화번호 입력 메뉴를 통하여 등록 및 저장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화번호 등록은 등록자의 경우에 피등록자에게 전화번호를 발신하고 상기 발신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전화번호를 등록 및 저장하는 한편, 피등록자는 등록자로부터 전화번호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전화번호를 등록 및 저장하고 있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등록자와 피등록자 사이에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서, 전화번호 등록을 위해서 등록자와 피등록자가 중복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등록자와 피등록자 상호간에 전화번호를 용이하게 자동 등록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제한 모듈은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 출력, 등록, 추출 및 저장하는 과정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 입력부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타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를 전송받는 송수신부 및 상기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와 상기 타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는 이름 및 전화번호, 그룹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상호 등록 모듈은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 출력, 등록, 추출 및 저장하는 과정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 입력부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타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를 전송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 상기 타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와,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이 갖는 특정 전화번호가 저장된 제 2 전화번호 및 개인정보 저장부와,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이 갖는 특정 전화번호를 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추출하는 전화번호 추출부 및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에 등록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전화번호 등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는 이름 및 전화번호, 그룹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에 대한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는 이름 및 전화번호, 그룹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에 대한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에 대한 전송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저장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되는 전화번호에 대해서 동일 전화번호가 있는지 확인 후 저장하는 단계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는 이름 및 전화번호, 그룹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는 등록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및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가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방향 및 양방향 전화번호 자동등록 개념도로서, 상기 단방향 전화번호 등록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전화번호를 입력 및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하면 상기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전화번호 저장부에 이름, 등록그룹 및 전화번호 등으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한편 양방향 전화번호 등록은 상기 단방향 전화번호 등록과 같이 수행한 후에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 자신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고 전송된 정화번호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이 달성되기 위해서 등록자 및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 200) 모두 전화번호 등록 모듈(300)이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전화번호 등록 모듈(300)은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모든 전화번호는 전화번호 저장을 비롯하여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이름, 그룹형태 등)가 포함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제한 모듈 구성도로서, 상기 모듈(300)은 표시부(301)와, 전화번호 입력부(302)와,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와, 송수신부(304)와, 전화번호 등록부(305)와, 제 2 전화번호 저장부(306)와, 전화번호 추출부(307)로 이루어져 등록자 및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 200)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표시부(301)는 임의의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과정과 출력하는 과정이 표시되는 것으로서, 단방향 전화번호 저장일 경우에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화번호를 저장하도록 표시하고, 상기 저장되는 전화번호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송되는 과정이 표시되며, 양방향 전화번호 등록일 경우에 전화번호가 수신되어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되는 과정이 표시된다.
상기 전화번호 입력부(302)는 단방향 전화번호 저장만 해당되는 경우로서, 등록자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즉, 피등록자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특정 전화번호 또는 등록자가 알고 있는 임의의 전화번호를 요청하면 등록자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자신이 알고 있는 전화번호 또는 저장된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는 단방향 전화번호 저장일 경우에 등록자에 의해서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 전화번호 입력된 전화번호를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하기 위해서 저장되고, 양방향 전화번호 저장일 경우에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 자신의 전화번호 및 개인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저장되는 전화번호는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쉽게 전송하기 위하여 이름, 전화번호, 그룹별로 저장되어 쉽게 검색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는 등록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전송된 전화번호가 함께 저장된다.
상기 송수신부(304)는 단방향 전화번호 저장인 경우에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상기 전화번호 입력부(302)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게 송신하고, 양방향 전화번호 저장인 경우에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로 등록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및 저장된 전 화번호를 단방향 전화번호 저장과 같이 전송하면,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전화번호 등록부(305)는 양방향 전화번호 저장만 해당되는 것으로서,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수신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에 등록할 것인가 등록하지 않을 것인가를 선택하는 한다. 즉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임의의 전화번호를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함에 따라서,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면 전송된 전화번호를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에 등록할 것인가 확인만 할 것인가를 판단하고 등록인증된 전화번호는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에 저장된다.
더욱이,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수신한 전화번호를 등록자가 저장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될 경우 표시부(301)에서 저장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이를 선택하면 전화번호 등록 모듈이 종료된다.
상기 제 2 전화번호 저장부(306)는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이 갖는 특정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이는 이동통신단말기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 역할을 할 경우에 상기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 자신의 특정 전화번호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되기 위하여 저장된다.
상기 전화번호 추출부(307)는 단방향 전화번호 저장인 경우에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에 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특정 전화번호를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하기 위해서 추출하고, 양방향 전화번호 저장인 경우에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제 2 전화번호 저장부(306)에 저장된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 자신의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되기 위해서 추출된다.
이상 설명한 상기 구성요소 중에서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표시부(301), 전화번호 입력부(302),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 및 송수신부(304)에 의해서 전화번호를 단방향으로 전송하여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301), 전화번호 입력부(302), 송수신부(304)에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 전화번호 등록부(305), 제 2 전화번호 저장부(306) 및 전화번호 추출부(307)에 의해서 양방향으로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흐름도로서, 상기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한다.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10)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에 대한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S30)와, 상기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에 대한 전송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40)와, 상기 전송된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저장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단계(S50)와, 상기 저장되는 전화번호에 대해서 동일 전화번호가 있는지 확인 후 저장하는 단계(S60)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S70)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S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처리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10)는 등록자에 의해서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 자신의 전화번호 뿐만 아니라 피등록자의 요청에 의한 임의의 전화번호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1)에서 표시되어 전화번호 입력과정에 따라 전화번호 입력부(302)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때 전화번호 뿐만 아니라 이름, 그룹, 유선전화번호 및 팩스 등의 개인정보를 함께 입력하며 이하 설명되는 전화번호는 상기 개인정보가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등록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이외에 등록장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상기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에 대한 전송 여부를 단계(S20)는 S10단계에서 등록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여 등록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전송할 경우는 S30단계를 수행하고 전송하지 않을 경우는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되는 S7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S30)는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입력한 전화번호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송수신부(304)를 통하여 전화번호 등록부(305)의 등록인증 없이 바로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S10단계 내지 S30단계는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화번호를 단방향으로 저장하며 상기 S10단계 내지 S30단계에 하기 설명되는 S40단계 내지 S80단계가 더 포함되어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전화번호를 양방향 저장한다.
상기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에 대한 전송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40)는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한 전화번호를 수신한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 자신의 전화번호가 저장된 제 2 전화번호 저장부(306)로부터 전화번호 추출부(307)를 통하여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신의 전화번호를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이때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자신의 전화번호를 전송하기 원하면 S50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전송한 전화번호만 받고 종료한다.
상기 전송된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저장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단계(S50)는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 자신의 전화번호가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되면 상기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 표시부(301)에 의해서 저장할 것인가 확인 후 종료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등록자는 이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등록자가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전송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면 S60단계를 수행하고 확인만 하면 종료된다.
상기 저장되는 전화번호에 대해서 동일 전화번호가 있는지 확인 후 저장하는 단계(S60)는 상기 S50 단계에서 저장되는 전화번호가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동일한 전화번호가 있으면 무시하고 동일하지 않는 전화번호만 저장한다.
상기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S70)는 S20단계에서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지 않는 전화번호에 대해서, 등록자가 입력한 임의의 전화번호가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에 이름, 그룹, 유서전화번호 및 팩스 등의 개인정보가 분류되어 검색하기 용이하게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303)는 등록자가 피등록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저장된 전화번호 이외에 등록자가 필요에 의해서 저장된 전화번호도 저장된다.
상기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S80)는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임의의 전화번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 또는 제 2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이는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후에 전송할 경우에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검색하여 바로 피등록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추출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단방향 및 양방향 전화번호가 등록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 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등록자만 전화번호 및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피등록자에게 전송하면 피등록자의 전화번호 및 개인정보가 자동으로 등록자에게 전송되어 저장됨으로써, 전화번호 저장과정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고, 등록자가 피등록자에게 전화번호 및 개인정보를 일일이 물어봐서 입력하는 번거러움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 출력, 등록, 추출 및 저장하는 과정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 입력부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전송받는 송수신부; 및
    상기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와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는 상기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 또는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이름별, 전화번호별 및 그룹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4.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 출력, 등록, 추출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 입력부와;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전송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 또는 상기 전송된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와;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기가 갖는 고유의 전화번호와 제 1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제 2 전화번호 저장부와;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또는 상기 제 2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추출하는 전화번호 추출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전화번호를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에 등록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전화번호 등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는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 또는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이름별, 전화번호별 및 그룹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7.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되는 전화번호 입력과정에 따라 임의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를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인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경우에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입력한 임의의 전화번호가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는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 또는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이름별, 전화번호별 및 그룹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하는 단계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11.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되는 전화번호 입력과정에 따라 임의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를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인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경우에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입력한 임의의 전화번호가 제 1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부로부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한 임의의 전화번호가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는 제 2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제 2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전화번호를 제 1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인가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전화번호를 제 1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경우에 제 1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전송된 제 2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것인가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전송된 제 2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경우에 제 1 이동통신단말기가 제 2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전화번호를 제 1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에 동일 전화번호가 있는지 확인 한 후에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인가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지 않는 전화번호에 대하여 제 1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 및 제 2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추후에 전송할 경우에 제 1 전화번호 저장부 및 제 2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가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인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사이에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화번호 저장부는 입력된 임의의 전화번호 또는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이름별, 전화번호별 및 그룹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하는 단계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 및 제 2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한 전화번호 및 제 1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전화번호가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따른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하는 단계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18.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 및 제 2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한 전화번호 및 제 1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전화번호가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하는 단계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하는 단계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21. 제 16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전화번호 저장부 및 제 2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한 전화번호 및 제 1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전화번호가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제어방법.
KR1020050067939A 2005-07-26 2005-07-26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0734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939A KR100734108B1 (ko) 2005-07-26 2005-07-26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939A KR100734108B1 (ko) 2005-07-26 2005-07-26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545A KR20070013545A (ko) 2007-01-31
KR100734108B1 true KR100734108B1 (ko) 2007-06-29

Family

ID=3801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939A KR100734108B1 (ko) 2005-07-26 2005-07-26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1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006A (ko) * 2001-09-14 200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검색된 전화번호 공유 방법
KR20030077318A (ko) * 2002-03-26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08069A (ko) * 2003-07-14 2005-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그룹단위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60076616A (ko) * 2004-12-29 2006-07-04 엘지노텔 주식회사 키폰 단말기의 휴대 전화기 폰북 정보 다운로드 장치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006A (ko) * 2001-09-14 200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검색된 전화번호 공유 방법
KR20030077318A (ko) * 2002-03-26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무선전화기의 폰북 데이터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08069A (ko) * 2003-07-14 2005-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그룹단위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60076616A (ko) * 2004-12-29 2006-07-04 엘지노텔 주식회사 키폰 단말기의 휴대 전화기 폰북 정보 다운로드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545A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41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ic international and local call dia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203995A1 (en) Periodic and automatic telephone redialling system and method
KR100830303B1 (ko) 휴대형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사이트 액세스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EP2312812A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shortcut numbers in a mobile terminal
KR100734108B1 (ko) 전화번호 상호 자동등록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240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검색된 전화번호 공유 방법
KR1013715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등록 전화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937324B1 (ko) 선불카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CN103812985A (zh) 一种呼叫号码查询方法及系统
KR2011007008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특정 지역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96578A (ko) 휴대전화기에서의 누적 전화사용횟수별 수신 및 발신표시방법
KR200600972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59048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방법
KR100762665B1 (ko) 로밍 서비스에서의 발신 방법
KR101195741B1 (ko) 명칭을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755941B1 (ko) 내부 이미지 데이터, 전화 번호부와 무선 통신을 결합한이동 통신 장치 및 그 응용 방법
KR20060007283A (ko) 이동단말기의 오통화 예방 방법
KR10106603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수신 번호의 전화번호 등록방법
KR100966558B1 (ko) 통화이력의 번호를 폰북에 저장하는 방법
KR100518170B1 (ko) 에스엠에스메시지 개별전송기능이 구비된 에스엠에스 전화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9356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전화 번호 송수신 방법
KR100295754B1 (ko) 전화통신시스템의호전환방법
KR100602645B1 (ko)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단말장치
KR20070005208A (ko) 포토 앨범 상에서 호 발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23945A (ko) 긴급 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이동통신단말기, 긴급 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갖는 네트워크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