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758B1 - 택시 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택시 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758B1
KR100427758B1 KR1020030069652A KR20030069652A KR100427758B1 KR 100427758 B1 KR100427758 B1 KR 100427758B1 KR 1020030069652 A KR1020030069652 A KR 1020030069652A KR 20030069652 A KR20030069652 A KR 20030069652A KR 100427758 B1 KR100427758 B1 KR 100427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
information
server
user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택
김진현
Original Assignee
김상택
김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택, 김진현 filed Critical 김상택
Priority to KR1020030069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정보 시스템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에 매핑(mapping)하기 위해 시, 도 지역을 순번적으로 분할한 다음 이를 실제 지역에 포지셔닝한 승차대; GPS위성 및 ; 이동전화통신망 또는 승차대를 통한 유선통신망 또는 이동전화 또는 공중전화 통신망을 통해 고객 DB서버에 연결되어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택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택시 DB 서버와 택시 이용자에게 택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중앙관제센터; 상기 정보를 처리 및 제어하여 택시 운영기록으로 갱신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 센터에 전송하는 영업용 택시에 장착된 택시 기록 정보 장치; 상기 택시 기록 정보 장치가 작동되는 동안 택시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여 중앙관제센터에 택시 내의 화상정보를 전송하는 차내 감시카메라; 이동전화통신망을 통해 택시 이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 및 상기 중앙관제센터 및 상기 택시정보기록장치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택시 정보 시스템은 택시 이용자가 승차대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보하여 택시 기사에게 전달할 수가 있고, 이용자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택시에 자신의 식별 기호를 표기하는 수단을 제공할 뿐 아니라 차내 감시 카메라 및 이동전화 결재 시스템을 통해 고객의 편의를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택시 정보 시스템{TAXI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지역번호 승차대와 이동전화, 위성항법장치 등을 이용한 택시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에 따라 순번된 택시 승차대를 기본으로 하여 택시 이용자가 이동전화, 공중전화 또는 승차대의 콜 버튼을 통해 택시를 호출하면 중앙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택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최단시간으로 접근 가능한 차량을 검색해서 호출하여 접수시킨 다음 접수된 차량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접수된 승차대로 신속하게 이동하는 택시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영업용 차량의 경우 운수회사 또는 콜 서비스에 고객의 서비스 요청이 접수되면 이동 중인 택시에 대해 음성 또는 문자로 집단 호출하여 그 중 먼저 응답하는 차량에게 수요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고객-교환원, 교환원-기사, 기사-고객의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신속성 및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음성 집단 호출의 경우에는 차량 내의 소음 증가와 운전자의 피로 가중으로 안전운전이 방해된다는 문제점이 야기될 뿐 아니라 문자 호출은 동시에 여러 차량과 실시간 통신이 어렵고 관제 센터에서 선정 여부를 선정되지 않은 다수의 택시에 다시 문자를 전송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GPS, DGPS를 이용하여 교환원 없이 중앙관제센터의 서버를 통해 택시 이용자와 택시 기사를 연결해 주는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은 국내 등록 특허 0322257호, 국내 공개 특허 2003-0069307호 등이 있다.
특히, 국내 등록 특허 0322257호에 대한 영업용 차량의 운영 시스템의 청구항 1항에 대한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이에 대한 개략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국내 등록 특허 0322257호의 구성요소는 영업용 차량의 위치추적 및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위성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GPS위성(400)과, 영업용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GPS 위성(400)으로부터 위성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차량의 운행기록으로 저장,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운행기록장치(410)와, 상기 운행기록장치(410)에 연결되어 공중전화 통신망이나 이동전화 통신망 또는 무선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음성 또는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전화 단말기(420)와, 상기 GPS 위성(400)으로부터 위성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동전화 단말기(420)로 GPS 보정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준국(430)과, 이동전화 통신망에 대하여 셀단위로 구축되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42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과, 공중전화 통신망을 통해 구내교환기(301) 및CTI 서버(302)로 연결되고, 복수의 DSP(303) 및 라우터(304)에 연결되며, 라우터(304)는 상기 CTI 서버(302), 화일서버(311), 브로드캐스트 서버(312), TCO 서버(313) 및 VPN 터널(305)을 통한 파이어월 서버(306)에 각각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파이어월 서버(306)는 스위칭 허브(307)와 접속되고, 스위칭 허브(307)는 콜/지령용 서버(308), 화일서버(311), 브로드캐스트 서버(312), TCO 서버(313), 고객관리 DB서버(314), MIS 서버(315), 개발용 서버(316) 및 UNIX(309)에 각각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UNIX(309)는 PAD(31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동전화 단말기(420)를 통하여 영업용 차량에 관한 위치정보와 차량의 운행기록에 관한 정보를 각각 수신받아 영업용 차량의 운행 및 운영을 제어하는 관제센터(440)와, 상기 관제센터(440)에 포함되거나 관제센터(440)로부터 영업용 차량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여 운용 및 관리하는 운수회사 및 영업용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수요자가 해당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술을 살펴보면, 영업용 차량에 장착된 GPS 위성 및 중앙관제 센터를 통해 이용자와 택시 운전기사를 연결해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 공개 특허 2003-0017805호, 2003-0069307호 등에서도 개시하고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GPS 또는 DGPS 기술로 인해 위치 추적의 최대 오차 범위가 10m 이내로 제한된다 하더라도 택시 기사가 택시 이용자를 정확히 식별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특히 번잡한 지역에서 택시를 기다리는 이용자들이 많은 경우에는 택시 기사가 이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가 어려워 이용자가 서로 자기가 호출한 택시가 도착한 것이라고 주장할 때 순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혼잡함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GPS수신기(400)가 택시에게만 제공되어 택시 기사와 이용자간의 위치가 신속히 파악될 수 없고 택시 기사와 중앙관제 센터 간의 일 방향으로만 위치가 추적, 파악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택시 기사와 택시 이용자 모두에게 GPS 수신기를 제공하는 기술이 국내 공개 특허 2003-006647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GPS 수신기를 이용자의 이동전화에 추가로 장착한 점 이외의 특징을 찾을 수가 없으며, 이동전화에 GPS 수신기를 더 장착할 때 이동전화에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이동전화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이용자는 아예 혜택을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차량 내 CCD 카메라는 택시 기사의 합승 여부 및 안전 여부를 포착하여 운송 업체 등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인 차내 영상만 운수 회사 등에 전달하는 점 이외에 차량의 주행 및 정차 등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것은 미흡하여 차량 진행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GPS 수신기를 이용하되 보다 정확하게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동전화나 공중전화가 없는 이용자도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대도시 뿐 아니라 소도시에서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택시 정보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의 택시 영업은 시도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국 단위로 GPS서비스가 가능하나 아직 소도시 지역은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기존의 GPS 시스템을 이용하며 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한 택시 운영 시스템의 도입을 위해, 본 발명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하여 실제 지역에 배치된 승차대를 중앙관제센터의 데이터 서버와 매핑(mapping)하여 종래 기술에서 택시 이용자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하여 실제 지역에 배치된 승차대, 자기 위치 추적 시스템(GPS), 공중전화 통신망, 이동전화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영업용 택시의 효율적인 분배를 이루고 또한 택시 이용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이동전화 번호 전체)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이동전화 통신망 등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의 승하차시 미터기 동작 발생 및 택시의 움직임이 포착될 경우 차량 내부의 스틸 사진을 중앙관제센터에 전송하여 택시 기사의 합승을 방지할 뿐 아니라 보다 정확한 차량의 내부 상태 및 운행 중 범죄, 도난 여부를 포착할 수 있는 CCD 카메라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택시의 미터기에 연결되어 택시의 영업 상태 및 운행 요금을 정산, 파악할 수 있는 요금 결재 시스템을 추가로 장착하여 택시 이용자의 승차 여부 확인 및 요금 결재 정보를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거리, 이동 시간 및 택시 이용자에게 자신이 호출한 택시인지 식별 가능한 식별 번호를 제공하는 택시기록정보장치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택시 운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대(30)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이동전화단말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관제센터를 예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택시 기록정보장치를 예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기록정보장치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
도 7은 차량 내에 본 발명에 따른 번호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 결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내 감시 카메라를 예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정보 이용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 차트.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승차대 200: 택시기록정보장치
40: 호출버튼 201: GPS 위성
50: 이동전화단말기 210: 송수신부
100: 중앙관제센터 220: 번호표시부
110: 고객 DB 서버 230: 택시요금결재모듈
120: 택시 DB 서버 250: 네비게이션 장치
130: 제어부 280: 차내 감시 카메라
140: 정보 송신부
본 발명자는 택시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해 주로 GPS 시스템 및 GIS시스템을 이용하는 기존의 택시 정보 시스템의 장점을 살펴보던 중 보다 편리하고 새로운 방식의 승차대라는 택시 이용 수단을 도입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정보 시스템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20)에 매핑(mapping)하기 위해 시, 도 지역을 순번적으로 분할한 다음 이를 실제 지역에 포지셔닝한 승차대(30); 영업용 택시의 위치 및 교통 정보를 확보하여 위성통신망으로 송신하는 GPS위성(201) 및 ; 이동전화통신망 또는 승차대(20)를 통한 유선통신망 또는 이동전화(50) 또는 공중전화 통신망을 통해 고객 DB서버(110)에 연결되어 고객(60) 정보를 저장하고, 택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택시 DB 서버(120)와 택시 이용자에게 택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140)를 포함하는 중앙관제센터(100); 상기 GPS 위성(201)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장치(250)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처리 및 제어하여 택시 운영기록으로 갱신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 센터(100)에 전송하는 영업용 택시에 장착된 택시 기록 정보 장치(200); 상기 택시 기록 정보 장치(200)가 작동되는 동안 택시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관제센터(100)에 택시 내의 화상정보를 전송하는 차내 감시카메라(280); 이동전화통신망을 통해 택시 이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50) 및 상기 중앙관제센터(100) 및 상기 택시정보기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으로 구성된 것을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해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GIS 시스템(20)은 과거 인쇄물 형태로 이용하던 지도 및 지리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작성·관리하고, 여기서 얻은 지리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수집·분석·가공하여 지형과 관련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된 종합 정보 시스템을 말한다.
크게 토지 정보시스템, 도시 정보시스템, 도면 자동화, 시설물 관리 분야로 나누어지지만, 토지·자원·환경·도시·해양·수산·군사·교통·통신·상하수도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된다. 이 지리정보시스템(20)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 입수, 둘째 자료 레이더 구축, 셋째 자료 관리 과정, 넷째 자료 분석 및 조작 기능을 갖추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통계보고서려層돈도표 등을 작성할 수 있는 출력장치가 있어야 한다. 지리정보시스템(20)이 갖추어지면 다양한 공간 분석이 가능하고, 그래픽 정보나 관련 데이터베이스 등 각종 지형정보를 상세히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처리도구와 조작도구를 이용해 방대한 공간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특수한 사용자를 위한 전용 매크로 언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밖에 사용자의 요구에 즉시 부응할 수 있는 도면 검색 시스템을 통해 도면과 속성정보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각종 정보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도면의 반영구적 사용과 수작업 관리로 인한 인위적인 오차 배제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승차대(30)의 구성은 바로 이러한 GIS시스템(20)과 현실 공간의 접목을 꾀한 것이다. 즉,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GIS시스템(20)의 지리적인 자료를 체계적으로 구획하여 순번적으로 번호를 설정한 다음 최종 구획된 자료를 데이터로 구축하여 관리하고 실제 지역에 이 번호가 지정된 '승차대'(30)라는 식별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대(3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택시 운영 시스템이 시, 군 단위로 운영되므로 시, 군내의 구, 동(면)의 개수를 고려하여 순번을 정하는 방식을 취한다. 예를 들어, 순번을 정하는 방식은 교차로의 개수, 해당 지역의 지리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서에서 동으로 또는 남에서 북으로 순번적으로 번호를 할당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승차대(30) 번호는 기본 4자리를 기준으로 앞의 2자리는 동 번호, 뒤의 두 자리는 승강장 번호를 정하고 광역 도시의 경우에는 제일 앞에 2자리의 구 번호가 더 추가 될 수 있다. 기본이 되는 동(면)에는 해당 지역에 따라 차별화가 되겠지만 100개 이하의 승차대(30)가 인구밀도, 이동 인구수를 고려하여 설치된다. 승차대(30)는 평균 접근거리가 50 내지 100m 정도로 유동적으로 적용한다. 물론, 대도시의 번잡 지역은 좀더 조밀하게 설치할 수가 있으며 일반적인 지역은 버스 정류장 사이에 대략적으로 3 내지 5개 정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차대(3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에 승차대 번호(35), 하단부에 호출서비스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택시의 이미지와 명시성을 고려하여 바탕을 파랑색, 글씨를 흰색으로 하며 내부에 램프를 설치하여 야간에 식별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승차대(30)에서 택시 이용자(60)는 해당 승차대 번호(35)를 이동전화나 공중전화로 호출함으로써 택시 기사와 연결될 수가 있지만 만일 이러한 통신 방법만을 택할 경우 이동전화나 공중전화가 없는 택시 이용자들에게는 택시를 호출할 방법이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승차대(30)에는 후술할 중앙관제센터(100)와 연결될 수 있는 호출 버튼(40)을 추가로 장착할 수가 있다. 더불어, 호출된 택시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45)가 장착되어 이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강화할 수가 있다. 이러한 호출 버튼(40)은 승차대(30)에 구비되어 이용자가 이를 누를 경우 이동전화에서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와 같이 중앙관제센터(100)의 고객 DB 서버(110)에 고객 정보로 저장된다. 통신 방식은 유선 통신망에 따른 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45)는 바람직하게 LCD 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술할 중앙관제센터(100)의 정보송수신부(140)에서 전송되는 택시 정보를 시각적으로 이용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45)에는 이용자(60)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자신의 고유번호 4자리를 입력하는 수단이 추가로 장착되어 이용자(60)가 자신이 호출한 택시를 식별할 수가 있는데, 이는 이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승차대(30)를 이용한 택시 이용자(60)의 택시 호출은 가장 기본적으로 이미 시중에 널리 보급된 이용자(60)의 이동전화 단말기(50)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도 3은 이동전화단말기(50)를 통해 택시를 호출하는 방법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고객(60)은 이동전화의 시스템 중 2가지의 방식을 통해 택시를 호출할 수가 있다. 이동전화를 통한 택시의 호출 시스템은 이동전화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첫째, 이용자(60)가 위치하고 있거나 이미 숙지하고 있는 가까운 위치의 승차대(30)의 번호를 이용자의 이동전화 프로그램 중 1번을 누른 다음 해당 승차대 번호(35)를 입력하여 택시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일명 원 콜 서비스(One Call Service)를 제공한다.
둘째, 노약자나 임산부 또는 장애인을 위한 콜택시 서비스이다. 이동전화 프로그램에서 2번을 누르면 승차대 번호(35)를 입력하거나 교환원으로 바로 연결되는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할 수가 있다. 즉, 고객(60)이 본인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승차대 번호(35)를 입력하는 경우 교환원의 도움 없이 택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승차대 번호(35)를 모르는 경우에는 교환원에게 승차대 번호(35)를 안내 받을 수가 있어 장애인의 편의를 도모할 수가 있다.
이 외에, 3번을 누를 경우에는 승차대(30)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고객(60)이 이동전화의 프로그램 선택 후 3번을 누르면 먼저 해당 도시의 구를 선택하는 단계, 그 다음 해당 동(면)을 선택하는 단계, 해당 동(면)을 선택하면 해당 동(면)에 설치된 승차대(30)가 안내되어{예를 들어 GIS 시스템(20)을 이용하여 주변에서 잘 알려진 아파트, 상가, 관공서 등을 소개받아} 자신과 가장 가까운 승차대(30)를 선택할 수가 있다.
그 밖에, 본 서비스에서 이용자(60)가 4번을 누를 경우, 이용문의 및 불편 신고를 접수하기 위해 교환원과 연결되는 단계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동전화를 이용하는 방식은 공중전화나 일반 전화로 후술할 중앙관제센터(100)나 영업용 택시의 네비게이션 장치(250)와 직접 연결하여 택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동전화를 이용한 이러한 방식은 이동전화통신망을 통해 고객(60)의 이동전화 단말기(50), 중앙관제센터(100) 및 택시정보기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을 이용한다.
도 4는 도 3에서 제공되는 이용자의 택시 호출이 중앙관제 센터(100)에 전달되어서 고객(60) 및 택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방식에 의하여 고객 서비스가 요청되면 고객 서비스가 접수되는 단계로 이어진다. 이 단계에서 자동 응답 방식의 ARS 상담으로 이어질 수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전화 등이 없는 고객은 승차대(30)에서 제공되는 호출 버튼(40)을 통하여 이동전화를 통한 택시 호출 단계를 갈음할 수가 있다.
이렇게 접수된 정보는 중앙관제센터(100)로 전송된다. 중앙 관제 센터(100)에는 고객 DB 서버(110)와 택시 DB 서버(120) 및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 및 택시 DB 서버(120)에서 전송된 이용자(60)의 정보를 저장하고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베이스, 즉 GIS 시스템(20)과 매핑된 승차대(30) DB가 포함된다. 중앙관제센터(100)는 GPS 위성(201)으로부터 영업용 택시에 대한 위치 정보와 영업용 택시의 공차 여부 등의 운행 정보, 이용자(60)의 이동전화 또는 공중전화 호출 정보를 각각 수신 받아 영업용 택시와 이용자(60)의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공중전화/이동전화/무선데이터/승차대 호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사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영업용 택시에 택시 이용자(60)가 선택한 승차대 번호(35) 및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여 영업용 택시가 이로부터 택시 호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중앙관제센터(100)의 고객 DB서버(110)는 이용자(60)가 선택한 승차대 번호(35)와 선택적으로 고객의 연락처를 접수하여 이러한 수신 정보를 택시 DB 서버(120)에 전송하는 단계를 가진다, 그 다음, 후술할 택시 DB 서버(120)에서 선택된 택시 정보를 정보 송신부(14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택시 DB 서버(120)는 운행 중인 택시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공차 상태인 택시, 운행 중이나 신규로 호출된 이용자(60)의 위치로 이동 중인 택시의 존재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차량에 대해 교통 상태, 소정 시간 내에 고객의 위치로 도달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을 검색한다. 이어서, 이용이 가능한 검색된 택시를 고객(60)의 위치(해당 승차대 위치)에서 가까운 순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정보를 고객(60)의 호출 후 소요된 시간에 따라 검색한 다음 가장 가깝고 호출 시간이 오래된 택시를 선택하는 것을 수행한다. 이러한 택시 DB 서버(120)는 호출된 승차대(30)의 위치를 바탕으로 접근 가능한 택시 간의 위치를 계산하고 근거리 순으로 2대 내지 5대, 바람직하게는 2대의 택시를 후보 택시로 선별함과 더불어 해당 택시에 대해 정보 송신부(140)를 통해 실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다시 말해, 택시 이용자(60)의 호출 지점인 승차대(30)에서 최단 거리, 이동방향, 교차로 개수 등을 고려한 접근 시간이 최소가 되는 택시를 2대씩 호출한다. 모든 택시의 위치는 GPS위성(201)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보 가능하며, 기존의 택시 정보 데이터와 실시간 전송된 정보를 통해 지역별, 요일별, 시간대별, 이동 시간을 산출하여 우선순위를 배정한다. 호출된 택시 중에서 먼저 응한 택시에게 접수권이주어진다.
정보송신부(140)는 택시 DB 서버(120) 및 고객 DB 서버(110)에서 제공된 정보를 확인하여 고객(60)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고객(60)은 이러한 정보를 자신의 이동전화단말기(50) 또는 승차대(30)의 디스플레이부(45)를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접수가 이루어진 동시에 중앙관제센터(100)의 정보 송신부(140)를 통해 택시 이용자(60)에게 접수차량의 이동전화번호, 차량번호, 접근 소요시간 등과 확인을 위한 이용자의 승차대 번호(35)가 이동전화 문자정보 서비스(SMS) 또는 승차대(3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5)로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택시 기록 정보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택시 기록정보 장치(200)는 네비게이션 장치(250), 송수신부(215), 번호 표시부(220), 택시 미터기(230), 요금 결재 처리 모듈(235)로 구성되어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250)는 택시의 위치 파악, 거리 측정, 음성 정보 등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도 6에 그 구성에 대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250)는 GPS 수신기(251), 컴퓨팅부(260), 위치를 검출,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253), 오디오 수단을 제공하는 음성부(266,268), 승차대(30) 위치가 GIS 시스템(20)과 매핑되어 구성된 정보를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254), 표시 수단을 제공하는 표시부(26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 측정은 위치 측정부(253)에 거리 센서(252) 및 GPS 수신기(251)가 센서 기능을 하면서 접속됨과 동시에 시작되며, 이들 센서는 검출 에러를 상호 수정하도록 결합되어 검출 결과를 출력하며 이를 통해 위치 측정부(253)에서 택시의 현재 위치를 결정한다.
GPS 수신기(251)는 GPS 위성(201)으로부터 위성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준국을 이용한다. GIS 시스템(20)을 기반으로 하여 이 지역에 매핑된 승차대(30)의 정보는 메모리 등의 저장매체를 통하여 지도 데이터 저장부(254)에 저장되고, 여기에는 음성 경로 안내 데이터도 포함된다. 이러한 지도 데이터는 판독 장치에 의해 지도 데이터, 음성 경로 안내 데이터로 판독되어 이를 컴퓨팅부(260)에 부여한다.
표시부(265)는 바람직하게 LCD 패널로 구성되며, 지도 데이터, 승차대(30) 위치 등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가 있다. 입력부(267)는 중앙관제센터(100)에서 고객(60)의 승차대(30) 위치를 수신하는 택시 기록정보 장치(200)의 송수신부(210)의 정보를 입력받거나 택시 기사가 직접 스위치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각종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컴퓨팅부(260)는 표시 제어부(261), 경로 계산부(264), 경로 안내 제어부(262), 음성 제어부(263)를 갖는데, 표시 제어부(261)는 위치 측정부(253)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지도 데이터 저장부(254)로부터 취득된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 근방의 도로 지도 및 승차대(30) 위치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한다.
경로 계산부(264)는 중앙관제 센터(100)에서 전송된 승차대(30)의 위치로부터 현재 택시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하는데, 지도 데이터 저장부(254)에 저장된 데이터, 즉 상습 정체 구간 또는 도로 교차로 개수 등을 고려하여 최단 거리로 진행을 할 수 있는 안내 경로 및 택시 이용자(60)에게 도달될 수 있는 예상 시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안내 경로는 경로 안내 제어부(262)를 통해 저장되며, 경로 안내 제어부(262)는 이 안내 경로를 파악하여 표시 제어부(261)를 통해 표시부(265) 상의 도로 지도에 안내 경로 및 승차대(30)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경로 안내 제어부(262)는 택시가 이동하면서 접근하는 교차로, 주요 건물 등을 표시부(265)에 표시함과 동시에 경로 안내 제어부(262)는 음성 제어부(263)에 명령을 하여 음성으로 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 제어부(262)의 명령을 통해, 음성 제어부(263)는 음성 저장부(266)에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된 정보를 판별하여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68)로 출력한다.
이러한 제반의 정보는 택시 정보 기록 장치(200)의 송수신부(210)를 통해 택시 및 택시 이용자(60)에게 전송이 된다. 더불어, 중앙관제센터(100)의 택시 DB 서버(120)에 이러한 정보가 저장되어 택시를 기다리는 이용자(60)에게 접근 가능한 택시의 수량 및 도달 예상 시간 택시 기사의 이동전화 번호, 택시 차량번호 등을 제공 할 수 있다.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부(130)는 고객의 승차대(30) 위치와 택시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이 중 최단 시간으로 접근이 가능한 2대의 택시를 선정하여 택시의 송수신부(210)로 승차대(3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택시 내에 설치된 송수신부(210)는 중앙관제센터(100)로부터 전송된 고객의 승차대(30) 위치를 전송받아, 택시 기사가 송수신부(210)에 추가로 구비된 승낙/거절 선택부(215) 중 승낙/거절여부를 선택한 후 접수 결과를 다시 중앙관제센터(100)로 전송한다.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부(130)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택시를 선정하면 택시 이용자(60)에게 선정된 택시의 정보를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고객 정보를 택시로 전송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택시 기록정보 장치(200)는 번호 표시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승차대(30)에서 택시를 기다리는 택시 이용자(60)는 만일 택시가 승차대(30)에 도착했을 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택시 이용자(60)에게 택시차량 번호를 전송한다 하더라도 이를 식별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택시 이용자(60)들의 이러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택시의 정면 유리창에 택시 이용자의 정보, 즉 택시 이용자의 이동전화 뒷자리 번호를 표시하는 기능을 번호 표시부(220)가 수행한다. 만일 공중전화를 이용한 이용자(60)에게는 공중전화 프로그램에서 이용자에게 4자리의 식별 번호를 묻는 단계를 추가하거나 이동전화 단말기(50)를 이용한 고객(60)의 경우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부(130)에서 자동으로 고객의 전화번호 뒷번호 4자리를 선택하여 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용자가 자신이 호출한 택시임을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전화가 없는 이용자를 위해 승차대(30)에 제공된 호출버튼(40)과 디스플레이부(45)가 제공되는 것을 전술하였는데 디스플레이부(45)에 고객의 비밀번호 4자리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 번호가 번호표시부(220)에 표시되도록 할 수가 있다.
번호 표시부(220)는 택시정보기록장치(200)의 송수신부(210)와 연결되어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부(130)에서 서비스 승낙을 한 택시을 대상으로송수신부(210)에 고객의 이동전화 뒷번호 4자리, 비밀번호 등을 전송하여 이렇게 전송된 정보 신호를 시각표시수단으로 변환하여 번호표시부(22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택시 이용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 후불 결재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는데, 도 8은 이러한 후불 결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중앙관제 센터(100)의 택시 DB 서버(120)는 실시간으로 택시정보기록장치(200)와 정보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택시 이용자(60)에게 실시간으로 요금 지불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 고객이 택시 기사에게 요금을 결재할 수 있는 수단은 예를 들어 이동전화 단말기(5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가 있다. 택시 내의 미터기(230)에 정보 처리 센서(미도시)를 구비한 요금 결재 모듈(235)이 장착되어 이동전화(50)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외부 정보 입출력 수단(이는 공지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함)과 접촉할 경우 정보 처리 센서를 통해 결재 요금 정보가 이를 통해 이동전화(50)에 전송되어 이용자의 이동전화 요금과 합산되는 형식으로 정산이 가능하며, 또한 이러한 결재 요금 정보를 미터기(230)에 연결된 요금 결재 처리 모듈(235)을 이용하여 처리한 후에 다시 이를 송수신부(210)에 전달한 다음, 중앙관제센터(100)의 택시 DB서버(120)로 전송한 뒤 택시 DB 서버(120)가 이를 저장 및 처리하여 택시 기사 또는 택시 운영 회사와 정산할 수가 있다.
또한, 택시 이용자(60)의 편의를 돕기 위해 택시 DB 서버(120)에 저장된 결재 정보를 정보송수신부(140)에 전달하여 이를 통해 결재 요금을 이용자(60)의 이동전화(50)에 SMS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요금 결재 방식이 원활히 가동되기 위하여 택시 회사 및 이동 전화 통신망 사업자 시스템과 연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택시 내부에 장착되는 차내 감시 카메라(280)에 대하여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시각센서로서 전하결합소자(CCD)는 반도체의 표면에 얇게 절연물의 막을 바르고 그 이에 다결정 실리콘 전극을 일렬로 늘어놓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CCD 기술은 광학적인 화상 정보를 전기 신호의 시각적 변화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 카메라, 복사기 등에서 이용하고 있다.
차내 감시 카메라(280)는 택시정보기록장치(200)가 작동되었을 때 이 작동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을 수행하고 택시정보기록장치(200)가 작동을 멈추었을 때 동착을 종료하는 ON/OFF부(281), 차내 영상에 해당하는 광을 입력하여 자외선 영역을 검출하는 자외선 필터(282), 이러한 자외선 영역의 광을 집광하는 집광부(미도시),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광을 촬상하는 CCD셀부(283), 이 CCD 셀로부터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촬상된 영상 신호를 합산하여 이를 출력하는 합산부(284),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조부(285), 중앙관제센터(100)의 택시 DB 서버(120)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송출부(287), 차내 이상 신호를 감지하는 ECU부(287)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차내 감시 카메라(280)에서 택시 내부의 영상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영상을 ECU부(287)에 전달하면 ECU부(287)는 공차 상태, 택시 이용자의 수, 합승 여부, 범죄 여부 등을 분석하여 만일 차량 내에 이상이 감지되면 이를 '이상'이라는 경보 신호와 함께 중앙관제센터(100)의 택시 DB 서버(120)에 전송한다. 또한, ECU부(287)는 택시의 가고서는 등의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해 분리되어 차내에 장착이 가능한데 차량의 구동 장치와 연결되어 비정상적인 운행이 감지되는 식의 택시 움직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이상 경보 신호를 택시 DB 서버(120)에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운영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택시 이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택시 승차대의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고도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가 있는데 그 구체적인 방법을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전화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승차대(30) 이용을 이용자에게 묻는 단계이다.(S10) 이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이동전화 내장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또는 승차대 자체에 내장된 유선 통신 호출 방식에 의해 이용자가 그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만일 고객(60)이 이러한 단계(S10)에서 승차대 이용을 거절할 경우에는 상담원과 연결하여 승차대(30)의 설명 또는 이용방법을 들을 수가 있다.
다음에는 이용자(60)가 승차대(30) 이용을 선택할 경우 이용자 정보를 중앙관제 센터(100)의 고객 DB 서버(11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S11) 이후, 고객 DB 서버(110)는 신규 접수된 이용자(60)의 정보를 저장하고 이용자(60)의 승차대 번호(35)를 확인하여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부(130)에 이용자(60)의 정보를 전송하고 택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로 넘어간다.(S12)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부(130)는 택시 DB서버(120)를 통해 택시의 기록정보장치(200)를 통해 전송된 택시 정보를 검색하여 승차대(30)에 인접한 n대의 택시 정보를 확보한 다음 해당 승차대(30)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한 택시 2대를 선별하게 된다.(S13) 택시 DB 서버(120)는 검색된 2대의 택시를 대상으로 택시의 기록정보장치(200)로 이용자(60)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러한 전송은 이동전화 통신망의 기지국을 이용하게 된다.(S14)
요청된 승차대(30) 근처의 택시 기사는 이용자(60) 정보를 분석하고 택시에 설치된 기록정보장치(200)의 송수신부(210)에 장착된 선택부(215)에 의해 서비스 승낙 여부를 선택할 수가 있고,(S15) 택시 기사가 서비스 승낙을 할 경우 택시의 기록정보장치(200)를 통해 택시 DB 서버(120)에 의사를 전달하는 단계로 넘어간다. 만일, 택시 가사가 서비스 승낙을 거부할 경우에는 다시 택시 검색단계(S13)를 반복하여 또다른 택시를 검색한다. 마지막으로, 승낙 택시 정보를 정보 송수신부(140)를 통해 고객(60)에게 전달하여 고객(60)은 해당 택시의 정보를 살펴보면서 택시를 기다린 다음 도달된 택시를 이용할 수가 있다.(S1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운영 시스템은 서비스 단계(S17)에 다음의 단계를 추가할 수가 있다.
이동중인 택시가 택시에 설치된 택시 기록정보장치(200)의 번호표시부(220)를 통해 이용자(60)의 식별번호를 표시하여 택시 이용자(60)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S18), 택시에 승차하여 택시를 이용한 이용자가 이동전화를 통한 결재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9)를 더 포함하며 고객(60)이 이동 전화를 통한 결재를 원할 경우에는 이를 이 정보를 중앙관제센터(100)에 전송하여 정보송수신부(140)를 통해 고객(60)의 이동전화단말기(50)에 결재 요금 정보를 SMS로 전송할 수가 있다.(S20)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정보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택시 정보 시스템은 이동전화, 공중전화를 소지한 택시 이용자 또는 소지 하지 않은 이용자 모두가 승차대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보하여 택시 기사에게 전달할 수가 있고 이를 통한 중앙관제 센터의 최단거리 택시 검색 및 확보로 단시간에 이용자 근처의 택시를 파악하여 이용자가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이용자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택시에 자신의 식별 기호를 표기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택시 이용자가 자신이 호출한 택시인지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가 있어 택시를 기다리는 이용자의 혼선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음성 출력, 목적지의 확인 등을 운전 기사 및 택시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쾌적한 택시의 운영을 제공할 수가 있으며, 택시의 주행 및 정차에 따라 동작하는 차내 감시 카메라를 통하여 합승 방지 및 범죄 예방, 운영의 안전성을 가져 올 수 있을 뿐 아니라 택시 미터기에 장착된 이동전화결재 시스템으로 고객의 편의성 및 택시 운영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지리 정보 시스템(GIS)(20)에 매핑(mapping)하기 위해 시, 도 지역을 순번적으로 분할한 다음 이를 실제 지역에 포지셔닝한 승차대(30);
    영업용 택시의 위치 및 교통 정보를 확보하여 위성통신망으로 송신하는 GPS위성(201) 및 ;
    이동전화통신망 또는 상기 승차대(30)를 통한 유선통신망 또는 이동전화 또는 공중전화 통신망을 통해 고객 DB서버(110)에 연결되어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택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매핑된 승차대(30)의 정보를 저장하여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택시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택시 DB 서버(120)와 택시 이용자(60)에게 택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140)및, 택시 DB서버(120)를 통해 택시의 운행정보기록장치(100)에서 전송된 택시 정보를 검색하여 승차대(30)에 인접한 n대의 택시 정보를 확보한 다음 상기 승차대(30)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한 택시 2대를 선별하고 상기 택시 DB 서버(120) 및 상기 고객 DB 서버(110) 및 이동전화통신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를 중앙관제센터(100);
    상기 GPS 위성(201)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장치(250)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처리 및 제어하여 택시 운영기록으로 갱신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 센터(100)의 상기 택시 DB 서버(120)에 전송하며,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중앙관제센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택시 기사의 서비스가 택시 서비스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부(215)로 구성된 송수신부(210);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해 전송된 이용자의 식별번호를 표시하는 번호 표시부(220);를 포함하는 영업용 택시에 장착된 택시 기록 정보 장치(200);
    상기 택시 기록 정보 장치(200)가 작동되는 동안 택시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여 중앙관제센터(100)에 택시 내의 화상정보를 전송하는 차내 감시카메라(280);
    이동전화통신망을 통해 택시 이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50) 및 상기 중앙관제센터(100) 및 상기 택시정보기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정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대(30)는 상기 택시 DB 서버(120)와 유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택시 DB서버(120)에 승차대(30)의 정보를 전송하는 호출 버튼(35)이 더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정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대(30)는 상기 택시 기록정보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상기 택시 DB 서버(120)를 통해 유선통신망으로 송수신되며 이 데이터의 화면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45)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정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이동전화 또는 공중전화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승차대(30) 이용을 이용자(60)에게 묻는 단계(S10);
    이용자(60)가 승차대(30) 이용을 선택할 경우 이용 정보를 중앙관제 센터(100)의 고객 DB 서버(110)로 전송하는 단계(S11);
    상기 고객 DB 서버(110)는 신규 접수된 이용자(60)의 정보를 저장하고 이용자(60)의 승차대(30) 번호를 확인하여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부(130)에 이용자(60)의 정보를 전송하고 택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2);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부(130)에서 택시 DB서버(120)를 통해 택시의 기록정보장치(200)에서 전송된 택시 정보를 검색하여 승차대(30)에 인접한 n대의 택시 정보를 확보한 다음 해당 승차대(30)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한 택시 2대를 선별하는 단계(S13);
    택시 DB 서버(120)에서 검색된 2대의 택시를 대상으로 택시의 기록정보장치(200)로 이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4);
    택시 기사가 상기 이용자 정보를 분석하고 기록정보장치(200)에서 제공된 선택부(215)를 통해 서비스 승낙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5);
    택시 기사가 서비스 승낙을 할 경우 택시의 기록정보장치(200)를 통해 택시 DB 서버(120)에 승낙 여부 의사를 전달하는 단계(S16);
    승낙 택시 정보를 정보 송수신부(140)를 통해 고객에게 전달하여 택시 서비스를 실시하는 단계(S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정보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시 단계(S17)는
    고객(60)으로 이동 중인 택시가 번호표시부(220)를 통해 이용자의 식별번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정보 시스템.
KR1020030069652A 2003-10-07 2003-10-07 택시 정보 시스템 KR100427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52A KR100427758B1 (ko) 2003-10-07 2003-10-07 택시 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52A KR100427758B1 (ko) 2003-10-07 2003-10-07 택시 정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758B1 true KR100427758B1 (ko) 2004-04-28

Family

ID=3733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652A KR100427758B1 (ko) 2003-10-07 2003-10-07 택시 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7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199A1 (en) * 2008-11-15 2010-05-20 Wee Shong Clement Yap System for efficient allocating and monitoring of public transport
WO2010062259A1 (en) * 2008-11-28 2010-06-03 Bipp Company Pte Ltd A callpoint booking system
WO2010062258A1 (en) * 2008-11-28 2010-06-03 Bipp Company Pte Ltd A callpoint system
CN104765957A (zh) * 2015-03-23 2015-07-08 南京邮电大学 基于手机客户端的体检辅助系统和实现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199A1 (en) * 2008-11-15 2010-05-20 Wee Shong Clement Yap System for efficient allocating and monitoring of public transport
WO2010062259A1 (en) * 2008-11-28 2010-06-03 Bipp Company Pte Ltd A callpoint booking system
WO2010062258A1 (en) * 2008-11-28 2010-06-03 Bipp Company Pte Ltd A callpoint system
CN104765957A (zh) * 2015-03-23 2015-07-08 南京邮电大学 基于手机客户端的体检辅助系统和实现方法
CN104765957B (zh) * 2015-03-23 2017-12-05 南京邮电大学 基于手机客户端的体检辅助系统和实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0013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remote notification of vehicle parking space availability data
US80008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supplying service
RU2519568C2 (ru) Навиг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доступности парковочных мест
EP09442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hrough a telephone network
US20060267799A1 (en) Parking detector -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navigating to empty parking spaces utilizing a cellular phone application
US20060253226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nd navigating to empty parking spaces
US20090292597A1 (en) Parking payment and enforcement mechanism
EP1536394B1 (en) Telematics system using image data and method for directing a vehicle along a calculated route by using same
WO2005086097A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0081545A1 (en) Navigation apparatus, server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indication of likelihood of occupancy of a parking location
KR20110042205A (ko) 수송될 적어도 한 사람과 접촉하여 자동 및 직접적으로 운전자를 배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2141665A1 (en) A car park guidance and inform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this system
KR20060107649A (ko) 자기위치 측정 및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택시와대리운전 배차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14486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WO2005055170A1 (ja) 経路案内用データ作成装置、経路案内用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経路案内配信装置
KR19980068114A (ko) 이동전화를 이용한 종합 교통정보 관리시스템
KR100712828B1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0427758B1 (ko) 택시 정보 시스템
EP2406583B1 (en) Apparatus for enriching a representation of a parking location and method of enriching a representation of a parking location
KR102210678B1 (ko)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시스템
JP2001312755A (ja) 料金徴収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局及びその無線通信端末
KR10066747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4482577B2 (ja) 配車タクシー管理システム、配車タクシー管理サーバおよび配車タクシー管理方法ならびにユーザ端末装置
JP2002365066A (ja) ナビゲーション用交通情報受信装置
JPH11191199A (ja) 顧客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