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474B1 - 다슬기 채취 수경 - Google Patents

다슬기 채취 수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474B1
KR100427474B1 KR1020030060137A KR20030060137A KR100427474B1 KR 100427474 B1 KR100427474 B1 KR 100427474B1 KR 1020030060137 A KR1020030060137 A KR 1020030060137A KR 20030060137 A KR20030060137 A KR 20030060137A KR 100427474 B1 KR100427474 B1 KR 100427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antern
packing
fixing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택병
Original Assignee
민택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택병 filed Critical 민택병
Priority to KR102003006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롭고 개선된 구조에 의하여 여러 방면으로 제작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다슬기 채취 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이 되어진 본체(1)에 결합되는 패킹(2)과 고정편(4)에 의하여 투시경(3)이 고정되게 하여 투시경(3)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수납통(5)이 본체(1)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이 되면서 끼워지게 하여 사용시 손으로 눌려지는 압력에 비례하는 부력이 작용하여도 분리되지 않으며, 본체(1)에 간단한 구조의 랜턴 설치부(13)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통(5)은 바닥면을 포함하여 모든 측면에 통공(53)(53a)(53b)(53c)을 형성하여 물의 유입과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다슬기의 세척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슬기 채취 수경 {Goggles for gather marsh snails}
본 발명은 비교적 얕은 물가에서 물속을 들여다보면서 물속에 있는 다슬기를 쉽게 채취할 수 있게 하는 다슬기 채취 수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하는 과정과 사용 중에 투시경의 파손을 감소시키고, 채취된 다슬기가 놓여지는 수납통의 활용과 랜턴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개선된 구조에 의하여 제작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슬기 채취 수경에 관한 것이다.
물가에서 다슬기를 채취할 때에는 쪼그리고 앉은 상태에서 육안을 수면 위에 근접시키고 물속을 들여다보면서 채취하고, 채취된 다슬기는 별도의 포대나 용기에 넣어서 보관하게 된다.
이렇게 다슬기를 채취함에 있어서 수면의 흐름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육안으로 물속을 들여다 보면서 관찰할 수 있으나 유속이 점차 빠르게 될수록 육안에 의존하여 물속을 직접 관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유속이 어느 정도 빠른 곳에서는 다슬기를 채취할 수 없다.
냇물의 유속이 육안으로 수중을 확인 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곳에서도 수중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바닥에는 투명한 투시경이 형성되고, 상기 투시경의 주변에는 유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방으로 외벽이 형성되면서 상부로는 개방된 투시공간을 형성하는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채집된 다슬기를 수납시킬 수 있는 채집통이 형성되는 기본적인 구조로부터 본체에 랜턴을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일몰후에도 작업을 할 수 있게 하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주기 위하여 본체와 수납통이 분리되게 하는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다슬기 채취 수경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슬기 채취 수경은 실용신안등록 공고 제9997-588호'다슬기 포획기', 등록실용신안 제186651호 '다슬기 포획기', 등록실용신안 제207777호 '다슬기 채집통', 등록실용신안 제299106호 '다슬기 포획기', 등록실용신안 제299110호 '랜턴을 설치하는 다슬기 채취경', 등록실용신안 제317530호 '다슬기 채집용 투시통'에 개시되어 있다.
알려진 다슬기 채취 수경은 바닥의 유리면이 수면에 접촉하게 되면서 수표면에서 물결이 출렁거림이 없게되어 냇물의 유속이 빠른 곳에서는 물론이고, 넷물의 유속이 비교적 늦어서 육안으로 수중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에도 수중을 더욱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다슬기 채취 수경은 다슬기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되는데, 제작 및 사용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본체의 바닥에 형성되는 투시경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본체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 투입되는 인서트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작됨에 따라 제작 과정에서 사출 압력으로 인하여 투시경이 파손이 되는 경우가 많고, 정상적으로 사출 성형이 된 경우에도 합성수지의 변형에 의한 응력으로 인하여 또한 투시경이 유리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본체와 수납통이 일체로 형성되는 다슬기 채집통은 사용 중에 투시경이 파손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어서 버려지게 되는데, 합성수지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것이어서 합성수지 처리를 위한 2차적인 비용의 지출을 감수하여야 한다.
합성수지의 과잉 폐기를 방지하고자 투시경이 형성되는 본체가 파손될 경우 수납통을 별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와 수납통이 분리 및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것에 대하여 등록실용신안 제186651호 '다슬기 포획기', 등록실용신안 제207777호 '다슬기 채집통'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분리 구조는 본체의 한쪽에 상부로부터 홈을 형성하고, 수납통의 한쪽편에서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인데, 수납통이 본체 상부로부터 결합되기 때문에 마모로 인하여 헐거워지면 쉽게 분리되어 취급하기가 불편하고, 다슬기 채취에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의 손으로 눌려지는 압력에 비례하여 다슬기 채취통에 작용하는 물의 부력에 의하여 본체와 수납통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있어서 사용상 불편할 때가 있다.
또한 수납통의 바닥에는 망체를 형성하여 채취된 다슬기에 자연스럽게 물을 공급하고, 유입되고 배출되는 물로 세척시킬 수 있게 하였는데, 망체가 바닥에 형성되어 있음으로 다슬기를 세척하기 위해서 수납통에 결합된 본체와 함께 상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본체 안으로 물이 들어가서 사용을 불편하게 할 여지가 있어서 사용자는 다슬기의 세척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는 사용상의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일몰 후에 어두워진 상황에서도 다슬기를 채취할 수 있도록 랜턴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관하여 등록실용신안 제317530호 '다슬기 채집용 투시통'과 등록실용신안 제299110호 '랜턴을 설치하는 다슬기 채취경'에 개시되어 있다.
전자의 경우는 비교적 긴 띠의 형태로 되는 고무밴드를 이용하여 랜턴이 투시 공간 안쪽에 고정되어 투시경을 통한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는 본체의 일측 테두리에 절개부가 형성된 파지링에 의하여 랜턴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투시경을 통한 시야 확보에 지장을 주지는 않지만, 랜턴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강도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파지링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취급상 불편을 주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다슬기 채취 수경의 본체는 탄성이 있기 때문에 여러개를 적재시킬 때에 자중에 의하여 눌려져서 빠지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이 되어진 본체에 결합되는 패킹과 고정편에 의하여 투시경이 고정되게 하여 투시경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수납통이 본체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이 되면서 끼워지게 하여 사용시 손으로 눌려지는 압력에 비례하는 부력이 작용하여도 분리되지 않게 되며, 또한 수납통은 바닥면에 형성된 망체 이외에도 사방의 모든 측면에 통공을 형성하여 물의 유입과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다슬기의 세척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본체에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랜턴을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배가시킬 수 있는 다슬기 채취 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랜턴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랜턴이 고정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층되는 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2 : 패킹
3 : 투시경4 : 고정편
5 : 수납통13 : 랜턴 설치부
14 : 삽입돌기53,53a,53b,53c : 통공
43 : 고정돌기56 : 가이드 레일
122 : 걸림턱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의 바닥면에 투시경이 형성되면서 일측면에는 랜턴 설치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망체가 형성되는 수납통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슬기 채집통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출 성형된 본체 바닥면에 탄성으로 결합되는 고정편에 의하여 투시경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에 따라 본체는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단부의 저면에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고정편이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고정편은 투시경의 가장자리를 받쳐주는 수평부가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수면에 접촉하는 투시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바깥쪽으로부터 상부로 형성되는 수직부에는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과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본체에 결합될 때에 패킹을 압착시키면서 투시경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본체의 일측면에는 수평상의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수납통의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수평상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본체와 수납통이 측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삽입홈은 입구쪽으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되고,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단면을 가지게 되어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의 일측면에는 반원형의 랜턴 고정홈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랜턴 고정홈의 양쪽에는 고무밴드와 같은 고정부재가 걸려지는 걸고리가 형성되며, 다슬기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수납통의 사방 벽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 패킹(2), 투시경(3), 고정편(4) 및 수납통(5)으로 구성된다.
본체(1)는 사방의 벽체(10)(10a)(10b)(10c)에 의하여 안쪽으로 개방되는 투시공간(1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투시경 고정부(12)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랜턴 설치부(13)가 형성된다.
투시경 고정부(12)는 벽체(10)(10a)(10b)(10c) 하부의 육후부(120) 저면에 대략 사각형의 형상이 연결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패킹(2)이 삽입되는 패킹홈(121)과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22), 그리고 고정편(4)을 포함한다.
랜턴 설치부(13)는 벽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테두리(130)에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랜턴(L)이 접하게 되는 세 개의 랜턴 고정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랜턴 고정홈(131)의 양쪽으로는 고무 밴드와 같은 고정부재(133)가 걸려지는 상부 걸고리(132)(132a)가 형성되고, 본체(1) 바닥면에는 상기 상부 걸고리(132)(132a)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 걸고리(132b)(132c)가 형성되어 고정 부재(133)를 걸어서 랜턴(L)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 도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랜턴(L)을 랜턴 고정홈(131)을 이용하여 벽체(10)에 밀착시킨 다음 고정부재(133)를 상부 걸고리(132)(132a)와 하부 걸고리(132b)(132c)를 통하여 다시 상부 걸고리(132)로 연결되게 하며 X 자 형태로 랜턴(L)이 감싸여지게 하면 랜턴(L)은 본체(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다.
랜턴 고정홈(131)의 크기, 위치, 갯수는 한정되지 아니하며, 랜턴의 크기와 무게가 다슬기 채집통의 사용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가볍고 작은 크기의 랜턴의 여러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변이 어두운 정도에 따라 필요한 조도를 얻고자 할 때에는 랜턴을 추가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랜턴 설치부(13)가 형성되는 반대편의 벽체(10b)에는 수납통을 결합시키기 위한 삽입돌기(14)가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방의 테두리(130) 아래쪽에는 스토퍼(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돌기(14)는 수납통(5)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결합 시에는 견고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 한쪽 단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5)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부가 아래쪽에 있는 본체(10)의 테두리(130) 상부에 안착되어 여러개의 다슬기 채취 수경을 적재시킬 때에 각각의 벽체(10)(10a)(10b)(10c)사이에 적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적층되는 벽체(10)(10a)(10b)(10c)의 내측면과 외측면이 압착되지 않게 한다.
패킹(2)은 일반적인 형성과 같이 원형으로 되는 것이지만 본체(1)의 패킹홈(121)에 삽입되면서 사각체의 모양을 하게 된다.
투시경(3)은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에 따라 본체(1)와 별도로 제공되어 결합된다.
고정편(4)은 수평부(40)와 수직부(41)로 형성되는데, 수평부(40)는 중앙이 개방되어 투시공간(42)을 형성하면서 투시경(3)에 접촉하게 되고, 수직부(41)의 안쪽에는 벽체(10)(10a)(10b)(10c)의 걸림턱(122)에 결합되는 고정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의 패킹홈(121)에 패킹(2)을 끼우고 투시경(3)이 패킹(2)에 접촉되게 놓은 다음 고정편(4)의 고정돌기(43)를 본체(1)의 걸림턱(122)에 결합되도록 가압하면 수직부(41)에서 탄성이 발생하면서 고정돌기(43)가 걸림턱(122)에 걸려지게 되어 투시경(3)과 함께 고정편(4)이 본체(1)에 결합되는데, 이때 투시경(3)은 수평부(40)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패킹(2)에 압착되어 수밀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투시경(3)이 파손될 경우에는 본체(1)에서 고정편(4)을 분리시킨 다음 파손된 투시경을 완전히 제거하고, 새로운 투시경으로 교환할 수 있다.
수납통(5)은 채집된 다슬기가 놓여지는 곳으로 다슬기에 물을 공급하고 세척할 수 있도록 바닥면(50)에 망체(51)가 형성되고, 세척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물이 자유롭게 유입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사방의 벽체(52)(52a)(52b)(52c)에는 가늘고 긴 통공(53)(53a)(53b)(53c)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공되어 있으며, 본체(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벽체(52)(52a)(52b)(52c)상부에 형성되는 테두리(54)의 한쪽편에 수평상의 삽입홈(55)을 갖는 가이드 레일(56)이 형성되고, 여러개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벽체(52)(52a)(52b)(52c)의 외부와 테두리(54) 하부에는 스토퍼(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55)은 본체(1)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결합 시에는 견고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본체(1)의 삽입돌기(14)가 삽입되는 입구로부터 다른 한쪽 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8)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부가 아래쪽에 있는 수납통(5)의 테두리(54) 상부에 안착되어 여러개의 다슬기 채취 수경을 적재시킬 때에 각각의 벽체(52)(52a)(52b)(52c)사이에 적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적층되는 벽체(52)(52a)(52b)(52c)의 내측면과 외측면이 압착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수납통(5)은 가이드 레일(56)에 형성된 삽입홈(55)에 본체(1)에 형성된 삽입돌기(14)를 삽입하면 본체(1)와 일체로 되는데, 경사면을 가지는 삽입돌기(14)가 또한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56)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이 되므로써 밀착력이 발생하여 견고하게 결합되고, 물가에서 사용할 때에는 손으로 눌려지면서 수면의 압력이 작용하여도 이탈되는 일이 없다. 또한 사방의 벽체(52)(52a)(52b)(52c)에 형성된 통공(53)(53a)(53b)(53c)을 통하여 물이 수시로 유입되고 배출되어 좌우로 흔들면서 다슬기를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 성형이 완료된 본체에 투시경이 별도로 결합되므로써 종래의 인서트 방식에서 사출 압력에 의하여 투시경이 파손되는 일이 없으며, 부드러운 패킹을 사용하여 조립함으로써 방수는 물론이고, 탄성이 좋아서 어느 정도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서 사용 중에도 투시경의 파손을 극소화할 수 있으며, 수납통이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서 투시경이 파손되더라도 투시경만 갈아 끼우고 본체와 수납통은 그대로 사용하면 되므로 합성수지를 폐기시키는데 따르는 처리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통이 본체에 측면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결합 및 분리되어 사용 중에 분리되는 일이 없으며, 바닥면과 사방의 측면으로 물이 자유롭게 유입되어 다슬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주변이 어두운 상황에 따라 2개 이상의 랜턴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면 랜턴을 이용하여 야행성인 다슬기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이러한 랜턴 고정홈과 고정부재 걸고리는 본체 상부에 기본적으로 형성되는 테두리에 형성되어 성형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 및 운반 시에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측면 상부쪽에 다수개의 스토퍼가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거나 운반할 때에 제품을 쉽게 적재할 수 있고, 운송할 때에 완충 작용을 하여 투시경의 파손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부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의 바닥면에 투시경이 형성되면서 일측면에는 랜턴 설치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망체가 형성되는 수납통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슬기 채취 수경을 형성함에 있어서,
    투시경이 사출 성형된 본체 바닥면에 탄성 결합되는 고정편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채취 수경.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 하단부의 저면에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이 형성되면서 측면에는 고정편이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고정편은 투시경의 가장자리를 받쳐주는 수평부가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수면에 접촉하는 투시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바깥쪽으로부터 상부로 형성되는 수직부에는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과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패킹을 압착시키면서 투시경을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채취 수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면에는 수평상의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수납통의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수평상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본체와 수납통이 측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슬기 채취 수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 일측면에 반원형의 랜턴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랜턴 고정홈의 양쪽으로는 고정부재 걸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하는 다슬기 채취 수경.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납통의 사방 벽면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슬기 채취 수경.
  6. 제 3 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의 삽입홈은 입구쪽으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되고,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단면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다슬기 채취 수경.
KR1020030060137A 2003-08-29 2003-08-29 다슬기 채취 수경 KR100427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137A KR100427474B1 (ko) 2003-08-29 2003-08-29 다슬기 채취 수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137A KR100427474B1 (ko) 2003-08-29 2003-08-29 다슬기 채취 수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474B1 true KR100427474B1 (ko) 2004-04-17

Family

ID=3733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137A KR100427474B1 (ko) 2003-08-29 2003-08-29 다슬기 채취 수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73B1 (ko) 2013-01-03 2014-03-18 박진용 다슬기 채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73B1 (ko) 2013-01-03 2014-03-18 박진용 다슬기 채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0494B1 (en) Aquarium with a self-contained cleaning apparatus
EP1380249A3 (en) Dishwasher
AU2003261467A1 (en) Turbine Brush
KR100427474B1 (ko) 다슬기 채취 수경
CN110404845A (zh) 一种水产养殖池塘进水管网罩青苔清理器
JP2004209222A (ja) 真空掃除機用フィルタ組立体
KR101567722B1 (ko) 채집망을 수납부에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다슬기 포획기
US3781460A (en) Vacuum cleaner construction
JP2008142087A (ja) 吊下鉢用鉢受及び吊下鉢セット
KR200447957Y1 (ko) 진공 청소기
KR100733274B1 (ko) 곤충 채집기
KR100516235B1 (ko) 어류포획기
KR100405894B1 (ko) 음식물 배달통
KR100937908B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KR200439489Y1 (ko) 낚싯대 보관용 케이스
KR100489365B1 (ko) 치실과 절단기가 구비된 칫솔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0207777Y1 (ko) 다슬기 채집통
KR200444097Y1 (ko) 변기 청소구 조립체
CN211595442U (zh) 一种带过滤网结构的玻璃清洗池
CN213427876U (zh) 一种蟹笼脱笼钩
KR200354736Y1 (ko) 직립형 위생 수저통
CN215568852U (zh) 一种管道清扫口
KR200299110Y1 (ko) 렌턴을 설치하는 다슬기 채취기
KR200207787Y1 (ko) 어류 포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