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950B1 - 케이스및클램핑방법 - Google Patents

케이스및클램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950B1
KR100424950B1 KR10-1998-0700305A KR19980700305A KR100424950B1 KR 100424950 B1 KR100424950 B1 KR 100424950B1 KR 19980700305 A KR19980700305 A KR 19980700305A KR 100424950 B1 KR100424950 B1 KR 100424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member
parts
case
flanges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003A (ko
Inventor
프란시스 댐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Publication of KR1999002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7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for multi-conductor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02B6/4444Seal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 밀폐 케이스와 같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a) 각각 주변 플랜지를 가지는 제1 및 제2 부품; 및 (b)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부품들을 체결하며 분할링의 형상을 갖는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클램핑 부재가 탄성적으로 오픈되어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플랜지 둘레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일의 신축편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케이스 및 클램핑 방법{CASING AND A CLAMPING METHOD}
케이스의 두 부품이 분할링 형식의 클램핑 부재에 의하여 함께 클램핑되는 케이블 연결 밀폐장치는 공지된 기술이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5059748 호는 베이스 및 돔 형상의 커버를 포함하는 재삽입이 가능한 맞대기 케이블 연결 밀폐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베이스 및 커버 각각은 원주형 플랜지를 가지며, 케이스가 닫혔을 때 두 개의 플랜지들은 함께 모아지고 힌지된 분할링 형식의 클램핑 부재는 플랜지의 주변에 배치되며 따라서 베이스와 커버를 함께 클램핑한다. 클램핑 부재는 함께 힌지되어 부재가 플랜지 주변에 놓이도록 개방될 수 있는 두 개의 반원주형의 부분들, 그리고 클램핑 부재가 플랜지의 둘레에 위치되면 힌지된 반원주형의 부분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나사 산이 형성된 죔장치를 포함한다.
국제 특허출원 제 WO 94/14095(Raynet사)는 통신선 봉합용 가압 클램프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는데, 그것은 봉합체의 부품 쌍들을 함께 결합시켜 방수가 되도록 하고 있다. 가압 클램프는 힌지된 분할링의 형태를 하고 있어서 봉합 부품 쌍의 표면 둘레에 위치하며 힌지에 의한 오픈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클램프는 중앙부의 래치(latch)를 포함하여 제1 언래치(unlatch) 위치와 제2 래치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래치에 의하여 생성된 클램핑 압력은 회전가능 래치가 제1의 위치에서 중간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최대값으로 증가하며 래치가 중간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이 최대값은 감소하게 된다. 설정된 적절한 가압력이 발생하는 것은 래치가 제2 래치 위치에 있을 때이며, 그럼으로써 봉합체의 쌍을 이루는 부품들 사이에 위치된 O-링을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한다.
비록 이러한 클램핑 부재들이 제 기능을 잘 수행한다고 하여도, 케이스 부품이 매우 고가인데, 이는 그들이 함께 결합되어야 하는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분리된 부품들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이다(세 개의 부품에 대한 예로는 두 개의 걸쇠가 걸린 반원형의 클램프 주요부, 그리고 죔장치 또는 중앙부의 래치를 들 수 있다). 종래의 분할링 클램핑 부재로 케이스를 밀폐하는 것이 용이한 방법이지만, 클램핑 부재 그 자체는 상당히 어려운 기술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종종 클램핑 부재를 플랜지 주위에 밀착시키기가 어려운 작업이 되는데, 이는, 필연적으로, 클램핑 부재들이 꼭 맞도록 설계되었고, 따라서 설치자들이 죔 장치 또는 중앙부의 래치가 그들을 죄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 전에 힌지된 부품들을 충분히 가까이 밀착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하기 위하여 지렛대의 역할을 하는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클램핑 부재 설치 후 케이스 내부에 내용물을 삽입하기 위하여 클램핑 부재를 개봉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며, 클램핑 부재들의 걸쇠가 걸린 부품들을 떼어내기 위하여 공구들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두 부품을 함께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관련이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광섬유 케이블 등과 같은 통신선의 봉입용으로 쓰이는 케이블 연결 밀폐 케이스와 관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케이블 연결부를 둘러싸는 케이스를 밀폐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두 부품을 함께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부재와 관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부재에 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클램핑 부재에 관한 사시도,
도 3a 및 3b는 도 1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에 관한 단면도, 그리고
도 4a 및 4b는 도 2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케이스에 관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핑 부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것들은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게 되는데 즉, 종래의 분할링 클램핑 부재들보다 단순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며 효율적이고 신뢰성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제1 면으로, 두 개의 부품들을 함께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부재를 제공하며, 이는 내측면에 적어도 두 개의 축상으로 이격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그들 사이로 부품의 주변 플랜지들을 수용하는 분할링을 포함함으로써 그 부품들이 서로 떨어져 축상으로 움직이는 것에 대해 부품을 클램핑 하는데, 클램핑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단일의 신축편(flexible piece)으로 형성되어 클램핑 부재가 그 부품들 둘레에 위치할 수 있도록 신축적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2 면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제공한다.
(a) 제1 및 제2 부품(이들 각각은 주변 플랜지를 가진다); 및
(b) 분할링 형태의 클램핑 부재(이것은 사용할 때 제1 및 제2 부품들의 플랜지 주변에 위치되며 부품들을 클램핑한다).
상기에서 클램핑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단일의 신축편으로 형성되어 클램핑 부재들이 제1 및 제2 부품들의 플랜지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신축적으로 오픈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부품들의 플랜지는 그들 부품 각각의 거의 전체 주변 둘레로 확장한다(예, 부품이 원형의 단면을 가진다면, 바람직하게는 플랜지들은 그들 각 부품들의 거의 전체 주변으로 확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을 확장하면, 각 플랜지는 그 각각의 부품의 주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불연속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랜지들은 반드시 부품들 주위까지 확장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의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을 함께 클램핑하는 것은 케이스, 적어도 그 케이스의 일부를 닫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는 케이블 접속 밀폐 케이스 또는 다른 종류의 케이블 액세서리 케이스, 또는 덕트(duct) 또는 피드스루(feedthrough)와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클램핑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단일의 신축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구축작업이 용이하고 결과적으로 힌지 결합되어 그들이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분할링 클램핑 부재보다 제조 비용이 감소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클램핑 부재가 신축성이 있고 제1 및 제2 부품의 플랜지 둘레에 놓일 수 있도록 신축성 있게 오픈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분할링 클램핑 부재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플랜지 주변에 설치 및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분할링"이란 용어가 의미하는 것은 클램핑 부재가 열리는 것과 제1 및 제2 부품의 플랜지 둘레에 놓이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분할부를 제외하고는 가로질러 닫히게 되는 것이다. 분할부는 매우 크게될 수 있어서 예컨대, 클램핑 부재 둘레 또는 주변의 1/3 또는 1/4를 이룰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것보다 훨씬 작으며 예컨대, 크랙, 슬릿, 또는 클램핑 부재 상의 다른 좁은 간극을 포함한다. 비록 클램핑 부재가 분할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광의로는 원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 또는 다른 만곡된 모양일 수도 있다(특히 케이블 연결 밀폐 케이스는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종종 만곡된 단면형상을 가지므로 이런 형상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클램핑 부재는 그 모양이 다각형의 환형일 수 있다.
"축상으로"라는 용어가 의미하는 것은 클램핑 부재의 분할링의 축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확장한다는 것이다. 축을 가지는 클램핑 부재뿐만 아니라 축을 가지지 아니하는 클램핑 부재에 대하여, 이 방향은 일반적으로 분할링의 평면에 거의 수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재는 내측면 상에 적어도 두 개의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된 돌출부들을 가지며, 사용할 때, 그 사이에 제1 및 제2 부품들의 플랜지들을 받아들이고 이들이 서로 이격되어 축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품들을 클램핑한다. 제1 및 제2 부품들의 플랜지들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밀폐 부재 또는 밀폐재들을 포함할 수도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축상으로 이격된 돌출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형성하며, 그것은 클램핑 부재의 내측면 둘레로 확장하며, 그것은 사용상 제1 및 제2 부품의 플랜지들을 받아들여 결과적으로 부품들을 함께 클램핑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재의 내측면에 있는 축상으로 이격된 돌출부들은 클램핑 부재의 내측면 거의 전체의 둘레로 확장하는 플랜지들 및 등마루들을 포함한다.
전술에서 클램핑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단일의 신축편으로 구성된다고 언급하였다. 클램핑 부재의 일부만이 단일의 신축편으로 구성되는 실시예에서, 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거의 모든 클램핑 부재 둘레로 확장한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클램핑 부재 거의 전체가 단일의 신축편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고, 클램핑 부재는 제조하기가 쉽고 비용이 적게 든다. 클램핑 부재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조각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들은 완성된 클램핑 부재가 단일편을 갖도록 함께 결합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재는 하나의 조각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단일편 물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클램핑 부재는 단일편으로 주조될 수 있다. 클램핑 부재가 스플릿을 가지고 있고 신축적이므로, 주형으로부터 그것을 제거하기 위한 주형 슬라이드가 없어도 되므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재는 탄력적인 신축성이 있다. 이것은 제1 및 제2 부품의 플랜지들의 주위에 스냅결합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탄력에 의하여 제 위치에 고정된다. 그러나, 클램핑 부재가 탄력적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바람직하게는 그것을 제1 및 제2 부품의 플랜지 둘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가진다. 고정 수단은 클램핑 부재와 단일체일 수도 있고 또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분리된 부품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할부의 각 측면을 함께 고정하기 위하여 고리(catch)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우연히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핑 부재의 주위에 위치되는 타이랩(tie wrap)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고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단순하고 저가이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클램핑 부재에게 큰 복잡성 또는 비용을 추가하지는 않는다.
제1 및 제2 부품을 함께 클램핑하기 위하여, 클램핑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주위에 연속하여 위치된다. 예를 들어, 클램핑 부재는 그것을 플랜지에 관하여 연속적으로 밀어붙여져 플랜지의 주위에 놓일 수 있다. 이것은 동시에 플랜지 모두의 주위에 위치되는 종래의 분할링 클램프 부재와 대조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면은 케이스의 제1 및 제2 부품을 함께 클램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케이스는 본 발명의 제 2면에서 언급한 케이스를 포함하며, 이 방법은 클램핑 부재를 플랜지 주위에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를 하나의 플랜지 주위에 미리 설치하는 것이 유리한데, 사용할 때 제1 및 제2 부품들을 함께 클램핑하기 위하여 다른 플랜지 주위에 부가적으로 연속해서 위치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클램핑 부재는 클램핑 부재가 미리 설치된 플랜지 또는 클램핑 부재가 미리 설치된 케이스의 일부가 클램핑 부재가 존재하는 것에 대향하여 부가적인 플랜지를 가질 수 있는 그루브와 같은 것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부품들을 함께 클램핑하기 전에 플랜지 주위에 미리 설치된 클램핑 부재를 확실하게 고정시킨다. 사용할 때, 제1 및 제2 부품들이 그들의 플랜지를 함께 결합함으로써 클램핑되어 클램핑 부재가 다른 플랜지 상으로 밀어붙여지게 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부재는 제1 및 제2 부품을 함께 클램핑하는데 아주 쉬운 방법을 제공한다. 한가지 이점으로서, 클램핑 부재가 플랜지들 중의 어느 하나에 미리 설치됨으로써 그들이 함께 모아질 때 정확하게 두 개의 부품들을 정렬하고 이 정확한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데, 즉, 클램핑 부재는 부품들에 대한 정렬, 위치결정 및/또는 안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O-링과 같은밀폐 부재가 제1 및 제2 부품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스에서 특히 유용한데, 이것은 종래에 그런 케이스를 가지고는 제1 및 제2 부품 그리고 O-링을 정확하게 위치설정하고 이 정확하게 위치 설정한 것을 제1 및 제2 부품에 함께 힘을 가하는 동안(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부품들 사이의 O-링을 동시에 압축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그대로 유지시키기가 어려운 일이었기 때문이다. 이것에 관하여는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미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재의 설치는 그것을 연속적으로 플랜지에게로 밀어붙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플랜지 주위에 미리 설치되고 제1 및 제2 부품들의 플랜지들이 함께 모아져 클램핑 부재가 다른 플랜지에게로 밀어붙여지는 것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설치 방법은 이들이 수행하기가 쉽다는 점 및 종래의 힌지 결합된 클램핑 부재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케이스의 주위에서 감싸기 위하여 완전히 오픈될 수 있는 충분히 신축성이 있는 클램핑 부재를 만들 필요성이 없다는 점의 이점을 가진다. 만약 이들 바람직한 설치 방법 중의 어느 것이 사용된다면, 오직 필요한 것은 클램핑 부재 전체가 케이스의 벽으로부터 플랜지가 튀어나온 높이만큼의 직경으로 증가하기에 충분한 신축성을 갖는 클램핑 부재를 만드는 것이며, 클램핑 부재가 케이스 주위에 싸여있을 때 케이스의 완전한 폭을 수용하도록 분할부가 충분히 넓혀질 수 있도록 할만큼 신축성 있게 하지는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재는 제1 및 제2 부품들의 플랜지 상으로 밀어붙여지기에 충분한 신축성만을 가진다.
클램핑 부재의 일부 및/또는 하나 또는 각 케이스의 주변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테이퍼링된 표면을 가지고, 이로써 플랜지 상으로 밀어붙여질 때 클램핑 부재가 신축성 있게 오픈되도록 하는 것을 지원해준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재 및 하나 또는 각 주변 플랜지는 그러한 테이퍼링된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테이퍼링된 표면이 사용상 플랜지 상으로 밀어 붙여질 때 클램핑 부재가 신축적으로 오픈되도록 서로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제1 및 제2 부품들은 바람직하게는 거의 환형이거나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관 모양이다. 바람직하게는, 부품들은 클램핑을 위하여 축상으로 가압되며, 각 주변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원주형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함께 클램핑될 때 한 부품의 일부가 다른 부품의 일부와 겹쳐지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밀폐 부재가 제1 및 제2 부품의 겹쳐지는 부분 사이에서 밀폐를 한다. 예를 들어, 한 부품이 다른 부품의 주변 표면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O-링과 같은 밀폐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이 주변 표면과 다른 부품의 중첩되는 내부 표면 사이에서 밀폐를 한다. 케이스의 한 부품이 다른 부품 위로 미끄러지는 것은 두 부품들 사이에서 밀폐 부재(예, O-링)가 구르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최초의 위치로부터 최종의 밀폐위치로 구르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부품이 다른 부품 위로 미끄러지기 전에, 밀폐부재는 중첩되면서 그 부품의 끝단에 인접한 케이스 부품의 주변 표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 부품으로 다른 부품이 미끄러지는 것은 밀폐 부재를 중첩된 부품의 주변 표면을 따라 최종의 밀폐 위치로 굴릴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첩된 부품의 외곽 주변 표면은 테이퍼링 되거나 또는 계단형이어서 밀폐 부재가 그 최종 위치를 향하여 구름에 따라 점차 가압력이 커지게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밀폐 부재는 방사상으로 그리고 케이스의 제1 및 제2 부품의 중첩 부품들 사이에서 가압된다. 이것이 주는 이점은 일반적으로 클램핑 부재가 제1 및 제2 부품을 서로 축상으로 마주 미는 것으로써(예, 서로 어긋나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클램핑을 행하며, 그들 사이에서 가압된 밀폐부재(예, O-링)의 탄성력에 대하여 직접 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이것은 WO 94/14095에 개시된 가압 클램프의 경우에 해당한다). 이것은 탄성력 때문에 발생하는 압축된 밀폐 부재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에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게 주변 플랜지 주위에 클램핑 부재 및 클램핑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이것은 WO 94/14095에 개시된 가압 클램프의 경우에 해당한다)을 피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클램핑 부재가 더욱 저 비용의 것이 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유리한 방법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부재(1)를 나타내고 있으며, 단일편으로 형성된 분할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재(1)는 플라스틱 재료(예, 폴리프로필렌)를 포함하는데, 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각각은 케이스 또는 다른 물품의 제1 및 제2 부품의 플랜지 주변에 위치되어 부품들을 함께 클램핑할 수 있도록 분할부(3)를 가진다. 각 클램핑 부재(1)는 그루브(groove)(5)를 내부 원주상의 표면(즉, 그 내면)에 구비하는데, 이는 두 개의 이격된 플랜지 또는 등마루 형상의 돌출부(6)에 의하여 형성되며, 사용할 때, 여기로 제1 및 제2 부품들의 주변 플랜지들이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핑 부재는 제1 및 제2 부품들을 함께 클램핑하게 된다. 도 2의 클램핑 부재(1)는 원주방향의 등마루(7)를 가지며 이것은 그루브(5)를 축상으로 두 개로 분할하며, 그루브(5) 각각은 플랜지들 중의 하나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그루브(5)의 하부(9)는 (도시되었듯이) 케이스의 한 부품의 플랜지를 받아들이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서 클램핑 부재는 사용할 때 미리 설치된다. 그루브의 상부(11)는 케이스의 다른 부품의 플랜지를 받아들이기 위한 것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 봉합 케이스를 단면도로써 나타내고 있는데, 커버 또는 제1 부품(13), 베이스 또는 제2 부품(15), 도 1에서의 클램핑 부재(1), 그리고 O-링 밀폐 부재(17)를 포함한다. 이 케이스는 맞대기 접속을 위한 봉합하기 위한 것이며, 케이블들이 베이스(15)를 통하여 케이스 안으로 확장한다. 케이블 진입구는 (일반적으로는 존재하지만) 도시되지 아니하였다.
도 3a는 제1 부품(13) 및 제2 부품(15)이 서로 클램핑되기 전의 케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클램핑 부재(1)는 제2 부품(15)에 미리 설치되어 있고, 클램핑 부재는 제2 부품의 주변 플랜지(19) 주위에 위치된다. 클램핑 부재(1)를 제2 부품(15)과 관련하여 정확한 축상의 위치를 선정하여 제1 및 제2 부품이 단순히 그들의 플랜지들을 함께 모으는 것에 의하여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 부품은 제1 주변 플랜지(19) 뒤에 제2 주변 플랜지(21)를 구비한다. 따라서 클램핑 부재(1)는 플랜지(15 및 19) 사이에 들게되며, 결과적으로 제 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된다. 제1 부품의 주변 플랜지(23), 그리고 클램핑 부재(1), 각각은 테이퍼링된 표면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25 및 27로 표시되어 있는데, 도 3a에서 이들은 서로 맞대어 있으며 제1 부품(13)의 전방부(29)는 클램핑 부재(1)의 일부와 제2 부품(15)의 주변의 표면(31) 주위에 위치한 O-링 밀폐 부재(17) 사이에서 확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1 부품(13)은 제2 부품(15)과 함께 클램핑되도록 하는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3b는 제1 및 제2 부품들이 함께 클램핑된 후의 케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제1 및 제2 부품을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하며, 그것은 탄력성이 있는 신축성 클램핑 부품이 신축적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하며, 협동하는 테이퍼링된 표면(25,27)에 의하여 지지 받으며, 제1 부품(13)의 주변 플랜지(23)가 클램핑 부재로 받아들여지도록 한다. 따라서 스냅결합이 가능하며, 이로써 그 결합의 해제가 불가능하다. 제2 부품(15) 및 클램핑 부재(1)와 관련하여 제1 부품의 이러한 이동동안, O-링 밀폐 부재(17)는 제2 부품의 주변 표면(31) 및 제1 부품의 중첩되는 내부 표면(33) 사이에서 구르게되며, 이 두 표면 사이를 밀폐하게 된다. 제1 부품(13)의 전방부(29)는 제2 부품의 주변 플랜지(19)에서 수용 그루브(35)에위치하게 된다. 제1 부품(13)이 제2 부품을 포함하는 클램프로 맞물리게되는 곳으로 이동하는 것은 클램핑 부재(1)에 의하여 안내되며, 따라서 설치자를 돕게된다.
도 4a 및 4b는 다른 케이스를 사용한 동일한 클램핑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 및 3b와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4a 및 4b의 케이스와 도 3a 및 3b의 케이스와의 차이는 후자의 경우 클램핑 부재가 베이스 또는 제2 부품(15)에 미리 설치되지만, 전자의 경우에서는 커버 또는 제1 부품(13)에 설치되어 있다. 도 4a 및 4b의 클램핑 부재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플랜지(23)는 클램핑 부재의 그루브(5)의 일부(9)에 미리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클램핑 부재는 주변의 등마루(7)에 의하여 제2 부품(15)을 받아들이기 위한 제1 부품(13)과 관련하여 정확한 축상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클램핑 부재는 테이퍼링된 표면(25)을 가지며, 이것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제1 부품(13)의 플랜지(23)가 아니라 협동하는 테이퍼링된 표면(37)을 가지는 제2 부품(15)의 주변 플랜지(19)이다.

Claims (15)

  1. (a) 각각 돌출한 주변 플랜지를 가지는 벽을 구비한 제1 및 제2 부품(13, 15);
    (b)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플랜지(19, 23)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플랜지를 클램핑하며 분할링의 형상을 갖는 클램핑 부재(1); 및
    (c) 밀폐 부재(17)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부재(1)의 적어도 일부는 단일의 신축편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 부재(1)는 탄성적으로 오픈되어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플랜지 둘레에 위치되며, 상기 부품 중 하나의 벽 부분은 상기 부품이 클램핑 될 때 상기 다른 부품의 벽 부분을 중첩하며, 상기 밀폐 부재(17)는 조립될 때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중첩한 벽 부분 사이에 위치되고 가압되는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는 그 내측에 축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6)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의 플랜지들을 받아들여서 상기 부품들이 서로 축상으로 이동해 나가지 못하도록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의 내측에 축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돌출부(6)들은 상기 클램핑 부재의 내측 둘레로 확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의 대부분이 단일의 신축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는 상기 부품의 벽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플랜지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자신의 탄성을 이기고 충분히 오픈될 수 있을 정도로 탄력적인 신축성이 있으며, 상기 플랜지 위로 밀려들어가서 상기 플랜지를 스냅 결합시키고 클램핑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의 일부 및/또는 상기 주변 플랜지 중의 하나 또는 각각은 테이퍼링된 표면(25, 27)을 가져서 상기 클램핑 부재가 상기 플랜지(들) 위로 가압될 때 신축적으로 오픈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품(13, 15)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관이며, 상기 부품들은 서로 클램핑되기 위하여 축상으로 가압되며, 각 주변 플랜지는 원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들 중의 하나의 일부는 다른 부품의 일부의 주변 표면 위로 미끄러져서 상기 밀폐 부재(17)가 최초의 위치로부터 최종의 밀폐위치까지 상기 주변 표면을 따라서 상기 두 중첩한 벽 부분 사이로 굴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표면 및/또는 상기 주변 표면 위로 미끄러진 상기 부품의 내측면은 테이퍼링 되고 및/또는 계단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밀폐 부재(17)는 그 최종의 밀폐 위치로 굴려짐에 따라 가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는 상기 제1 및 제2 부품이 서로 미끄러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부품(13, 15)을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블 접속 밀폐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2. 제 1항에 따른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의 제1 및 제2 부품을 함께 클램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를 상기 플랜지들(19, 23)의 둘레에 연속적으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는 상기 플랜지들(19, 23) 위로 연속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플랜지들의 둘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는 상기 플랜지들(19, 23) 중의 어느 하나의 둘레에 미리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부품(13, 15)은 그 플랜지들을 함께 가압하여 상기 클램핑 부재가 다른 플랜지 위로 밀려 올라가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함께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클램핑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들(19, 23)이 가압될 때, 상기 부품들(13, 15) 중의 하나의 일부는 상기 다른 부품의 일부의 주변 표면 위로 미끄러져서 상기 밀폐 부재(17)가 최초의 위치로부터 최종의 밀폐위치까지 상기 주변 표면을 따라서 상기 두 부품들 사이로 굴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방법.
KR10-1998-0700305A 1995-07-19 1996-07-12 케이스및클램핑방법 KR100424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514769.0A GB9514769D0 (en) 1995-07-19 1995-07-19 Clamping member
GB9514769.0 1995-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003A KR19990029003A (ko) 1999-04-15
KR100424950B1 true KR100424950B1 (ko) 2004-05-17

Family

ID=1077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305A KR100424950B1 (ko) 1995-07-19 1996-07-12 케이스및클램핑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025561A (ko)
EP (1) EP0873535B1 (ko)
JP (1) JPH11511265A (ko)
KR (1) KR100424950B1 (ko)
CN (1) CN1155844C (ko)
AT (1) ATE207623T1 (ko)
AU (1) AU6463396A (ko)
BR (1) BR9609528A (ko)
CA (1) CA2226407C (ko)
DE (1) DE69616381T2 (ko)
DK (1) DK0873535T3 (ko)
ES (1) ES2162087T3 (ko)
GB (1) GB9514769D0 (ko)
IL (1) IL122541A (ko)
MX (1) MX9800463A (ko)
PL (1) PL181110B1 (ko)
RU (1) RU2184412C2 (ko)
TR (1) TR199800074T1 (ko)
WO (1) WO1997004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8101B1 (de) * 1998-11-18 2002-07-24 CCS Technology, Inc. Kabelmuffe aus einem umhüllungskörper und mindestens einem stirnseitigen dichtungskörper
DE10235261B3 (de) * 2002-08-01 2004-04-01 Eldon Holding Ab Kabelspeicher
GB0321680D0 (en) * 2003-09-16 2003-10-15 Tyco Electronics Raychem N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rotective casing component and an element for forming a protective casing component
DE202007002376U1 (de) * 2007-02-14 2007-04-26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Kabelmuffe
US8028378B2 (en) 2008-12-01 2011-10-04 Sanisure, Inc. Multi-segmented, articulating clamp
CN201700109U (zh) * 2010-04-26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户外设备的机箱
RU2444671C1 (ru) * 2010-08-12 2012-03-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ЭКОХИМПРИБОР" Защитный кожух (варианты)
BR102018077418A2 (pt) * 2018-12-28 2020-07-07 Furukawa Electric Latam S.A. caixa óptica de derivação ou de terminação de um cabo óptico em uma rede de fibras ópticas
WO2021055615A1 (en) * 2019-09-20 2021-03-25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including containment structures for o-ring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4405A (en) * 1964-03-10 Underwater separable connector
US3044037A (en) * 1960-05-27 1962-07-10 Herbert G Honig High voltage disconnect splice head
US4736072A (en) * 1985-03-14 1988-04-05 Hvidsten Trygve E Cable splice closures
GB8617011D0 (en) * 1986-07-11 1986-08-20 British Telecomm Reusable cable joint cover
US4810829A (en) * 1987-12-11 1989-03-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Cable closure
US5059748A (en) * 1990-04-26 1991-10-22 Raychem Corporation Cable splice enclosure
US5446241A (en) * 1990-05-23 1995-08-29 Mackaness; James B. Apparatus and method for twist connecting wires
US5315489A (en) * 1992-12-10 1994-05-24 Raynet Corporation Pressure clamp for telecommunications closure
GB9318256D0 (en) * 1993-09-03 1993-10-20 Raychem Sa Nv A coaxial cable connector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84412C2 (ru) 2002-06-27
AU6463396A (en) 1997-02-18
EP0873535A1 (en) 1998-10-28
US6025561A (en) 2000-02-15
JPH11511265A (ja) 1999-09-28
ATE207623T1 (de) 2001-11-15
DK0873535T3 (da) 2001-11-19
IL122541A (en) 2003-04-10
GB9514769D0 (en) 1995-09-20
EP0873535B1 (en) 2001-10-24
MX9800463A (es) 1998-04-30
CA2226407A1 (en) 1997-02-06
CN1155844C (zh) 2004-06-30
TR199800074T1 (xx) 1998-06-22
DE69616381D1 (de) 2001-11-29
PL181110B1 (pl) 2001-05-31
BR9609528A (pt) 1999-02-23
IL122541A0 (en) 1998-06-15
PL324214A1 (en) 1998-05-11
KR19990029003A (ko) 1999-04-15
DE69616381T2 (de) 2002-07-11
ES2162087T3 (es) 2001-12-16
CN1191612A (zh) 1998-08-26
CA2226407C (en) 2007-02-20
WO1997004345A1 (en) 199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7259A (en) Cable sleeve
CA2068552C (en) Cable closure including grommet having enhanced sealing capability
US4295005A (en) Cable splice closure
KR100424950B1 (ko) 케이스및클램핑방법
CA1325663C (en) End seal for splice closure
JPH11262161A (ja) ケーブル配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端面シール部材
JP3560090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EP0824468B1 (en) Over-center closing device
KR20010107949A (ko) 케이블 클로저
US5199724A (en) Matching seal element for closing an opening in a cable fitting or pipe line
MXPA98000463A (en) Member of sujec
US5753863A (en) Sealing arrangement having an outer housing and an inner hyperbolic tube for sealing the inlet area of a lengthwise extending sustrate
EP0240295B1 (en) Joint closure
KR20080008368A (ko) 해제클립
EP1313190B1 (en) Mechanical seal for a cable installed in a corrugated duct
SI9520072A (en) Cable coupling box
JP3633662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ケーブル把持具
JPH04274403A (ja) ケーブルの分岐位置或いは接続位置のためのカップラー
GB2188747A (en) Joint closure for telecommunications cables
JP3570805B2 (ja) ケーブル接続用ケースにおける端面シール部材
KR100429391B1 (ko) 분리형 광접속함
GB2283374A (en) Cable splice closure
EP4032158A1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including containment structures for o-rings
WO1996024976A1 (en) Closure apparatus
GB2297810A (en) Closur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