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932B1 -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포함한 땅콩껍질을 이용한 천연보존제 - Google Patents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포함한 땅콩껍질을 이용한 천연보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932B1
KR100424932B1 KR10-2001-0022481A KR20010022481A KR100424932B1 KR 100424932 B1 KR100424932 B1 KR 100424932B1 KR 20010022481 A KR20010022481 A KR 20010022481A KR 100424932 B1 KR100424932 B1 KR 10042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methoxy
hydroxycinnamic
hydroxybenzoic acid
hydroxybenzo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091A (ko
Inventor
박근형
위지향
Original Assignee
박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형 filed Critical 박근형
Priority to KR10-2001-002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9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82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7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solid-liquid treatment; by chemi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50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5/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65/01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5/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65/21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ether groups, groups, groups, or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항균 및 천연항산화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땅콩(Arachis hypogaea)껍질을 이용한 천연보존제 개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땅콩껍질에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갖는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 천연항균 및 항산화 활성물질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땅콩껍질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인산 완충용액으로 분배시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산성획분을 얻고, 이 활성획분을 실리카겔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옥타데실실란(ODS)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그리고 HPLC 등의 단계를 거쳐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을 단리하였으며 이들 활성물질의 구조는 GC-MS, LC-MS분석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이들 물질이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갖고 있음이 검정되었다.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갖는 이들 천연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땅콩껍질 및 땅콩껍질 추출물은 미생물 생육저해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높아 천연보존제 등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 포함한 땅콩껍질을 이용한 천연보존제 {Natural Preservatives Using Peanut Shell Including 3-Methoxy-4-hydroxybenzoic Acid, 3-Methoxy-4-hydroxycinnamic Acid, 4-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and 4-Hydroxycinnamic Acid}
본 발명은, 천연항균물질 및 천연항산화물질을 포함한 땅콩껍질을 이용한 천연보존제 개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의 천연항균 및 천연항산화물질이 땅콩껍질에 존재함을 발견하였으며, 이들 천연항균 및 천연항산화물질을 포함한 땅콩껍질은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천연보존제 등의 용도를 제공한다.
땅콩은 일년생 초본으로, 꽃이 피어 수정되고 시들면 자방의 밑부분이 땅속으로 들어가 꼬투리가 형성되어 그 속에서 종자가 자란다. 이처럼 토양속의 땅콩을 보호하며, 수확 후 저장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하는 땅콩껍질은 외부의 미생물, 곤충으로부터 종실을 보호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화에 대한 자기 방어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이러한 기능을 갖는 활성물질의 탐색을 위하여 땅콩껍질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이 여러 유해 미생물 생육저해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활성 물질을 규명한 결과,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의 존재를 발견하여, 이들 활성물질을 포함한 땅콩껍질은 천연보존제 등의 용도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의 논문은 Yen 등( Biosci. Biotechnol. Biochem.. 60, 1698-1700, 1998)에 의해 땅콩껍질의 추출물이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다는 보고를 하였으나 그들은 이 원인물질에 대해서는 보고하지 못하였으며, 저자 등은 땅콩껍질에서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과 4-하이드록시벤조산의 존재를 최근 보고(한국생물공학회지 제15권 464-468, 2000년 10월 31일)한 바 있으나, 땅콩껍질에서 본 발명의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의 천연 항균 및 항산화활성물질에 관한 보고는 없다.
본 발명은 땅콩(Arachis hypogaea) 껍질에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 분리하고 구조해석하여 땅콩껍질에 이들 물질이 존재함을 발견하고, 이들 물질이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갖고 있음을 검정하여, 이들 천연 항균 및 천연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땅콩껍질 및 땅콩껍질추출물을 천연보존제 등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땅콩껍질을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척한 후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농축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인산 완충용액으로 분배시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획분을 얻었다. 이를 실리카겔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옥타데실실란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HPLC등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 각각 단리하였으며, 이들 물질의 구조는 GC-MS, LC-MS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 또한 땅콩껍질에서 분리한 물질의 항균활성은 미생물을 대상으로 검정하였고, 항산화활성은 DPPH 자유라티칼 및 지질을 대상으로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여 제시하였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땅콩껍질로부터 항균 및 항산화물질의 추출 및 활성
땅콩(Arachis hypogaea)은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재배된 식물로, 수확후 종실을 제거한 땅콩껍질(6.7 kg)을 실온에서 건조하여 마쇄한 후 헥산(n-hexane)에 24시간 정도 침지시켜 그 세척물을 제거하고, 메탄올을 가하여 24시간 정도 침지시킨 후 메탄올과 함께 마쇄하면서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 농축하여 땅콩껍질 메탄올 추출물(145 g)을 얻었다.
땅콩껍질 메탄올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pH 8.0의 인산 완충 용액(0.2 MNa₂HPO₄-0.2 M NaH₂PO₄)을 사용하여 수상(완충용액 획분)과 유기상(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중성획분)으로 분획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수상을 0.1 N HC1을 이용하여 PH 3.0으로 조절한 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시켜, 수상획분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산성 획분(4.2 g)을 얻었다. 이와 같이 제조한 땅콩껍질의 메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산성획분은 후술하는 검정법으로 검정한 결과,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항균 활성은 Zaika의 페이퍼 디스크방법(J. Food Safety, 9, 97-188, 1988)으로 측정하였다. 즉, 먼저 멸균배지에 균주를 잘 혼합하여 페트리디쉬(petri dish)에 넣고 굳힌 다음, 미생물 생육저해 효과를 측정할 시료를 일정량 침적시킨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를 올리고 시험균주의 생육적온에서 배양한 후, 페이퍼 디스크 주위의 저해환(clear zone)의 크기로 저해효과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검정은 Sakata 등의 방법(Biosci. Biotech. Biochem. 58, 1780-1783, 1994)으로 DPPH 자유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으로 나타냈다. 즉, DPPH (Sigma, MO, USA)를 에탄올에 용해하여 제조한 용액(100 μM) 900 μL와 시료용액 100 μL을 실험관에 넣고 혼합한 다음 암소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비교구로 알파-토코페롤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제과정에서 항산화활성 검정은 시료를 실리카겔-박층 크로마토그라피 (TLC, Merck, silica gel , 0.2 mm, Germany)에 처리 한 후 200 μM DPPH 용액을 분무하여 탈색이 되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즉, 땅콩껍질의 메탄올추출물은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활성물질은 에틸아세테이트 가용획분에 집중되었다. 이하 실시예 2에서 추출물에 함유된항균 및 항산화 활성물질의 분리 및 구조해석을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2) 땅콩껍질로부터 천연항균 및 천연항산화물질의 분리 및 구조확인
1)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과 4-하이드록시벤조산의 분리 및 구조확인
실시예 1에서 제시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산성획분을 실리카겔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용매계에서 메탄올 농도를 0%에서 100%까지 10%씩 증가)로 용출 분획하여 100% 에틸아세테이트 용출획분 1.5 g을 얻었다. 용매계를 달리하여 한번 더 실리카겔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클로로포름-에틸아세테이트 용매계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농도를 0에서 100%까지 10%씩 증가)로 용출분획한 결과, 클로로포름-에틸아세테이트, 80:20(V/V) 용출획분에서 활성을 보인 활성물질 1 (156 mg)과 클로로포름-에틸아세테이트, 70:30(V/V) 용출획분에서 활성을 보인 활성물질 2 (177 mg)로 분리되었다.
활성물질 1을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 메탄올-클로로포름, 4:1, v/v)로 분리한 결과, Ve/Vt(용출부피/총 컬럼 부피)가 0.92 내지 1.04인 용출획분(89.6 mg)은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정제된 활성물질 1을 ODS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메탄올-물의 용매계로 용출획분한 결과, 40% 메탄올 용출획분(80 mg, 활성물질 1-1로 명명)과 40 내지 50% 메탄올 용출획분(8.1 mg, 활성물질 1-2로 명명)에 활성을 나타내 활성물질이 분리되었다.
활성물질 1-1은 Senshu pak ODS column (이동상 : 40% MeOH)을 탑재한 HPLC에 의하여 용출시간 (retention time,t R ) 5.1분에 작은 피크를 나타내는 물질과 6.27분에서 큰 피크를 나타내는 두 물질의 혼합물로 존재하였다. 두 물질의 혼합물 형태로 분리된 활성물질 1-1(68 mg )의 물질규명을 위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MS, Waters 2690 Seperation Module, USA; Nova-pak C18column)에 Thermabeam mass detector(Warers Intergrity system, 70 eV)를 장착한 기기로 분석하였다. 35%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한 LC에 의해 두 종의 활성물질은t R 2.5분과 4.8분에 피크를 나타냈다. 이를 EI-MS 분석 결과,t R 2.5분의 활성물질은 분자이온(M+)이 138에 관찰되었으며, 개열이온으로m/z121(베이스피크, base peak), 93(27%), 65(38%)에 관측되어, C7H6O3의 분자식을 갖는 4-하이드록시벤조산(4-hydroxybenzoic acid)의 EI-MS 스펙트럼과 일치하였다. 또한t R 4.8분의 활성물질은 베이스피크로써 분자이온(M+)이 168에 관찰되었으며, 개열 이온으로m/z153(63%), 125(22%), 108(5%), 97(30%)에 이온이 관측되어, C8H8O4의 분자식을 갖는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조산(4-hydroxy-3-methoxybenzoic acid)의 EI-MS 스펙트럼과 일치하였다.
이를 확인하고자, 활성물질 1-1의 일부를 시약(pyridin:N,O-bis(trimethylsilyl)acetamide:trimethylchlorosilane, 10:5:1, v/v)을 가하여 60℃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켜 트리메칠실릭(TMS)유도체로 만든 다음, Rtx-1 모세칼럼을 장착(2분간 100℃, 이어 5℃/분으로 상승하여 200℃에 이름)한 GC-MS (Varian SATURN 4D)에 의해 분석한 결과,t R 11.61분과 14.49분에 피크를 나타내는 두 물질만이 존재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램이 관측되었으며 두 물질은 29:71의 존재비를 나타냈다.t R 11.61분에 피크를 갖는 물질의 EI-MS 분석 결과, 분자이온이 282(6%)에 그리고 개열이온이m/z267(베이스 피크), 223(32%), 193(15%)에 나타나, 4-하이드록시벤조산의 COOH기와 OH기에 TMS가 도입된 TMS 에스테르와 TMS 에테르구조(C13H22O3Si2, 분자이온 282)로 관측될 뿐만 아니라 GC의t R (11.61분) 또한 표준물질의t R 과 일치하여 이 활성물질의 구조가 4-하이드록시벤조산임이 재확인되었다. 또한t R 14.49분에 피크를 갖는 물질의 EI-MS 분석 결과, 분자이온이 312(40%)에 그리고 개열이온이m/z297(베이스 피크), 282(13%), 267(46%), 253(16%), 223(18%)에 나타나,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의 COOH기와 OH기에 TMS가 도입된 TMS 에스테르와 TMS 에테르 구조(C14H24O4Si2, 분자이온 312)로 관측될 뿐만 아니라 GC의t R (14.49분) 또한 표준물질의t R 과 일치하여 이 활성물질의 구조가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임이 재확인되었다.
이상의 LC-MS, GC-MS 분석에 의해 땅콩껍질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활성물질 1-1은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과 4-하이드록시벤조산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2)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과 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의 분리와 구조확인
상기 실시예 2의 1)항의 ODS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활성획분으로 분리된활성물질 1-2(8.1mg)는 Senshu pak ODS column (35% MeOH, 1.5 mL/분)을 탑재한 HPLC에 의하여t R 9.2분에서 백색분말 형태로 5.6 mg이 단리되었으며,t R 10.5분에서 1.4 mg이 단리되었다. 분리된 이들 물질규명을 위해, 상기의 LC-MS로 분석한 결과, 35%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한 LC에 의해 두 종의 활성물질은t R 3.1분과 4.6분에 각각 피크를 나타냈다. EI-MS 분석 결과,t R 3.1분의 활성물질은 베이스피크로서 분자이온(M+)이 164에 관찰되었으며, 개열 이온으로m/z147(60%), 136(4.7%), 119(24.2%)에 이온이 관측되어, C9H6O3의 분자식을 갖는 4-하이드록시시나믹산(4-hydroxycinnamic acid)의 EI-MS 스펙트럼과 일치하였다. 또한,t R 4.6분의 활성물질은 베이스피크로써 분자이온(M+)이m/z194에 관찰되었으며, 개열 이온으로m/z179(19.8%), 149(42.2%), 135(35.9%), 107(34%)에 이온이 관측되어, C10H10O4의 분자식을 갖는 4-하이드록시-3-메톡시시나믹산(4-hydroxy-3-methoxycinnamic acid)의 EI-MS 스펙트럼과 일치하였다.
이를 확인하고자, 두 활성물질 일부를 각각 상기의 방법으로 TMS유도체로 만들고 상기의 기기에 의해 GC-MS에 의해 분석(온도만 220℃되게 상승)한 결과,t R 18.04분과 20.84분에 피크를 나타내는 두 물질만이 존재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램이 관측되었으며 두 물질은 80:20의 존재비를 나타냈다.t R 18.04분에 피크를 갖는 물질의 EI-MS 분석 결과, 분자이온이m/z308(45.8%)에 그리고 개열이온이 m/z 293(베이스 피크), 249(30.7%), 219(22.4%)에 나타나, 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의 COOH기와 OH기에 TMS가 도입된 TMS 에스테르와 TMS 에테르 구조(C15H24O3Si2, 분자이온 308)로 관측될 뿐만 아니라 GC의t R (18.04분) 또한 표준물질의t R 이 일치하여 이 활성물질의 구조가 4-하이드록시시나믹산임이 재확인되었다. 또한t R 20.84분에 피크를 갖는 물질의 EI-MS 분석 결과, 베이스피크로서 분자이온이m/z338에 그리고 개열이온이m/z323(25.8%), 293(10.7%)에 나타나, 3-하이드록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의 COOH기와 OH기에 TMS가 도입된 TMS 에스테르와 TMS 에테르 구조(C16H26O4Si2, 분자이온 338)로 관측될 뿐만 아니라 GC의t R (20.84분) 또한 표준물질의t R 과 일치하여 이 활성물질의 구조가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임이 재확인되었다.
이상의 LC-MS, GC-MS분석에 의해 땅콩껍질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물질 1-2는 4-하이드록시시나믹산과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3)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의 분리 및 구조확인
상기 실시예 2의 1)항의, 땅콩껍질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실리카겔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활성획분으로 분리된 활성물질 2를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 메탄올-클로로포름, 4:1, v/v)로 분획한 결과 Ve/Vt 1.04∼1.18에서 용출된 활성획분 14.2 mg을 얻었다. 이어 Senshu pak ODS column (이동상: 55% 메탄올)을 탑재한 HPLC에 의하여t R 5.2분에서 활성물질 6 mg이 단리되었다.
분리된 활성물질 2의 물질규명을 위해, 상기의 LC-MS( Waters Intergrity™system, 70 eV)에 의해 측정된 EI-MS분석 결과, 분자이온(M+)이 베이스 피크(base peak)로서m/z154에 관찰되었으며, 개열이온으로m/z149(4.0%), 138(10.8%), 108(34%)에 이온이 관측되어, C7H6O4의 분자식을 갖는 3,4-디하이드록시히드록시벤조산(3,4-dihydroxybenzoic acid)의 EI-MS 스펙트럼과 일치하였다.
이를 확인하고자, 활성물질 2의 일부를 상기의 방법으로 TMS유도체로 만들고 실시예 2의 2)항에서 제시한 GC-MS 분석조건에 의해 분석한 결과,t R 15.96분에 피크를 나타내는 기체 크로마토그램이 관측되었으며 이 물질의 EI-MS 분석 결과, 분자이온이m/z370(74%)에 그리고 개열이온이m/z356(48,1%), 311(20.1%), 193(베이스 피크)에 나타나,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의 COOH기와 OH기에 TMS가 도입된 TMS 에스테르와 TMS 에테르 구조(C15H30O4Si3, 분자이온 370)로 관측될 뿐만 아니라 GC의t R (15.96분) 또한 표준물질의t R 과 일치하여 이 활성물질의 구조가 4-하이드록시시나믹산임이 재확인되었다.
이상의 LC-MS, GC-MS분석에 의해 땅콩껍질로부터 분리된 활성물질 2는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으로 동정되었다.
(실시예 3) 땅콩껍질로부터 분리한 천연 활성물질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검정
1) 항균활성 검정
땅콩껍질에 존재가 확인된 화합물들의 미생물 생육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램 양성 세균 4종, 그램 음성 세균 4종, 젖산 생성 세균 3종, 효모 2종 등 총13종의 미생물을 사용하였다.
미생물을 생육 저해 효과는 앞에서 설명한 자이카(Zaika)의 페이퍼 디스크 방법로 측정하였다. 시료 용액 일정량을 적하한 후 용매를 제거한 페이퍼를 페트리디쉬에 올리고 0.85% 생리 식염수로 확산시킨 다음, 각각의 생육 적온에서 배양하여 페이퍼 디스크 주위의 생육저해 환의 크기로 저해효과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땅콩껍질에서 동정된 물질중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은 여러 미생물에 대하여 가장 강한 생육저해 효과를 나타냈으며, 항균활성은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그리고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2)항산화 활성 검정
①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땅콩껍질에 존재가 확인된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을 상기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으로 나타낸 항산화 활성을 검정한 결과, 50%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SC50)은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이 14 μg/mL,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이 10 μg/mL, 알파-토코페롤이 8 μg/mL로 측정되었으며,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은 100 μg/mL에서 SC10정도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4-하이드록시벤조산과 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은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② 헤모글로빈 촉매에 의한 지질과산물 생성 저해 효과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땅콩껍질에 존재가 확인된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의 항산화 활성을 최근 Kuo 등(J. Agric. Food Chem., 47:3206-3209, 1999)에 의해 개발된 헤모글로빈 촉매에 의한 지질과산물생성 저해효과를 이용한 방법으로 검정한 결과, 리놀렌산의 산화를 50%를 저해하는 농도(IC50)는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이 20 μg/mL,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이 50 μg/mL, 4-하이드록시벤조산이 250 μg/mL, 알파-토코페롤이 6.7 μg/mL, 아스코르빈산이 11.6 μg/mL로 나타났으며,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과 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은 각각 248 μg/mL과 100 μg/mL에서 IC10정도의 활성을 나타냈다.
본 발명에서 땅콩껍질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다양한 분리수법을 구사하여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 분리하고 구조결정하여 이들 물질이 땅콩껍질에 존재함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이들 물질은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갖고 있음이 검정되었다. 이들 천연 항균 및 항산화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땅콩껍질 및 땅콩껍질 추출물은 천연 보존제 및 보존용 소재등의 용도를 제공한다.

Claims (2)

  1. 땅콩껍질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메탄올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인산 완충용액으로 분배시켜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산성획분에 함유된 물질을 실리카겔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옥타데실실란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HPLC에 의해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땅콩껍질에서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을 포함한 활성물질의 분리방법
  2.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 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을 포함하는 땅콩껍질 및 땅콩껍질 추출물을 천연보존제로 사용하는 방법
KR10-2001-0022481A 2001-04-20 2001-04-20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포함한 땅콩껍질을 이용한 천연보존제 KR10042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481A KR100424932B1 (ko) 2001-04-20 2001-04-20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포함한 땅콩껍질을 이용한 천연보존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481A KR100424932B1 (ko) 2001-04-20 2001-04-20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포함한 땅콩껍질을 이용한 천연보존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091A KR20020082091A (ko) 2002-10-30
KR100424932B1 true KR100424932B1 (ko) 2004-03-30

Family

ID=2770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481A KR100424932B1 (ko) 2001-04-20 2001-04-20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포함한 땅콩껍질을 이용한 천연보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806A (ko) * 2002-08-30 2004-03-06 박근형 항산화 활성을 갖는 4-하이드록시벤조산,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3,4,5-트리하이드록시벤조산, 3,4-디하이드록시시나믹산등의 천연 항산화 활성물질을 포함한 항산화 기능을 갖는복분자착즙조제물 및 제조방법
KR20040041475A (ko) * 2002-11-11 2004-05-17 박근형 천연 항산화 활성물질을 포함한 항산화 기능을 갖는대파착즙조제물 및 제조방법
KR102284705B1 (ko) * 2019-11-28 2021-07-30 백희순 땅콩 외피를 이용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268A (ko) * 1995-07-07 1997-02-19 박근형 3, 4-디히드록시벤조산을 포함하는 미생물 생육저해제
KR20000005592A (ko) * 1998-06-02 2000-01-25 김권 천연안정제를포함하는고분자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268A (ko) * 1995-07-07 1997-02-19 박근형 3, 4-디히드록시벤조산을 포함하는 미생물 생육저해제
KR20000005592A (ko) * 1998-06-02 2000-01-25 김권 천연안정제를포함하는고분자조성물
KR20010052422A (ko) * 1998-06-02 2001-06-25 김권 천연 안정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091A (ko)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se et al. Accumulation of α-tocopherol in senescing organs as related to chlorophyll degradation
Jeffrey et al. Chlorophyllase distribution in ten classes of phytoplankton: a problem for chlorophyll analysis
Bouaziz et al. Isolation and evaluation of antioxidants from leaves of a Tunisian cultivar olive tree
Carreto et al. Comparative studies on mycosporine-like amino acids, paralytic shellfish toxins and pigment profiles of the toxic dinoflagellates Alexandrium tamarense, A. catenella and A. minutum
Brem et al. Antioxidant dehydrotocopherols as a new chemical character of Stemona species
Kruk et al. Novel vitamin E forms in leaves of Kalanchoe daigremontiana and Phaseolus coccineus
Rempt et al. Conserved and species-specific oxylipin pathways in the wound-activated chemical defense of the noninvasive red alga Gracilaria chilensis and the invasive Gracilaria vermiculophylla
Mata et al. Phytotoxic compounds from Flourensia cernua
Shanker et al. Isolation and antimicrobial evaluation of isomeric hydroxy ketones in leaf cuticular waxes of Annona squamosa
Sobolev et al. Prenylated stilbenes from peanut root mucilage
Deszcz et al. Higher cardol homologs (5-alkylresorcinols) in rye seedlings
Hasanloo et al. Evaluation of the yeast-extract signaling pathway leading to silymarin biosynthesis in milk thistle hairy root culture
KR100460133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카테킨의 생산방법
KR100424932B1 (ko) 3-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산,3-메톡시-4-하이드록시시나믹산, 4-하이드록시벤조산,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4-하이드록시시나믹산 등을포함한 땅콩껍질을 이용한 천연보존제
KR100439012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헛개나무로부터 항산화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LIM Structur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hytotoxins produced by the plant pathogenic fungus Bipolaris cynodontis cynA
Othman et al. Phenolic Content a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istacia atlantica Desf.(Anacardiaceae) Extract from Libya
US8008339B2 (en) Non-fluorescent chlorophyll catabolites
FR2637598A1 (fr) Nouveaux sphingophospholipides a inositol, leur obten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inducteurs de resistance a diverses maladies cryptogamiques chez les vegetaux
Grabski et al. Chlorophyll catabolites in conditioned media of green microalga Desmodesmus subspicatus
KR20010017966A (ko) 클로로제닉산과 1, 4-디-오-카페오일-디-(+)-퀴닉산의 분리방법 및 이들을 함유한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JP2006265249A (ja) 新規フラボノイド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酸化剤
Ganesan et 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armotrema reticulatum obtained from Eastern Ghats, Southern India
Young et al. The occurrence of β-carotene-5, 6-epoxide in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of higher plants
KR100363111B1 (ko) 감태로부터 분리된 신규 물질, 이의 추출 및 정제방법, 및항산화제로 사용하는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