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833B1 -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833B1
KR100423833B1 KR10-2001-0072231A KR20010072231A KR100423833B1 KR 100423833 B1 KR100423833 B1 KR 100423833B1 KR 20010072231 A KR20010072231 A KR 20010072231A KR 100423833 B1 KR100423833 B1 KR 100423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terlocking
hood
cable
inter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438A (ko
Inventor
정병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83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4Fuel lids, charger l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핸들을 통해 후드와 테일 게이트 및 퓨얼 필러도어를 각각 개방가능토록 함으로써 부품수 감소에 따른 단가절감과 조립 작업성의 향상 그리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단에는 후드 케이블(12')이 안내되도록 안내홈(210)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200)와; 고정 플레이트(200)의 전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대략 중심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310)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핸들(320)이 마련된 연동 플레이트(300)와; 고정 플레이트(200)에 일단이 인접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연동 플레이트(300)의 가이드 슬롯(310)상에 결합되어, 핸들(320)을 전,후로 푸쉬하는 것에 의해 후드 케이블(12')을 작동시키는 후드 케이블 가이더(400)와; 후드 케이블 가이더(400)와 소정간격 이격된 고정 플레이트(200)와 연동 플레이트(300) 사이에 마련되며, 연동 플레이트(300)를 고정 플레이트(200)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축(500)과; 연동 플레이트(3000의 상,하 연동에 따라 테일 게이트(13)와 퓨얼 필러도어(14)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수단(6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APPARATUS FOR OPENING A KIND OF AUTOMOBILES DO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도어류가 채용된다.
예를들면 도 1에서와 같이 승차를 위해 바디(10)의 양측면에는 사이드 도어(side door;11)가 복수 마련되고, 전면에는 엔진룸의 정비를 위한 후드(hood;12)가 마련되며, 후면에는 화물의 적재를 위한 테일 게이트(tail gate;13)가 채용된다.
또한 측면에는 연료의 공급을 위한 퓨얼 필러도어(fuel fillerdoor;14)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운전석과 인접된 크래쉬 패드상에 후드(12)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을 마련하고, 운전시트의 하측에는 테일 게이트(13)와 퓨얼 필러도어(14)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도어류 개방구조에 있어서는, 후드(12)와 테일 게이트(13) 그리고 퓨얼 필러도어(14)를 개방시키기 위한 핸들을 각기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부품수 증가에 따른 단가상승을 초래하였으며, 조립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또한 이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로 함으로써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핸들을 통해 후드와 테일 게이트 및 퓨얼 필러도어를 각각 개방가능토록 함으로써 부품수 감소에 따른 단가절감과 조립 작업성의 향상 그리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단에는 후드 케이블이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대략 중심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핸들이 마련된 연동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일단이 인접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연동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롯상에 결합되어, 핸들을 전,후로 푸쉬하는 것에 의해 후드 케이블을 작동시키는 후드 케이블 가이더와; 상기 후드 케이블 가이더와 소정간격 이격된 고정 플레이트와 연동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며, 연동 플레이트를 고정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축과; 상기 연동 플레이트의 상,하 연동에 따라 테일 게이트와 퓨얼 필러도어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류 오픈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테일 게이트와 퓨얼 필러도어의 개방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 메인 케이블 3 : 필러도어 스위치 10 : 바디
11 : 사이드 도어 12 : 후드 13 : 테일 게이트
14 : 퓨얼 필러도어 100 : 하우징 200 : 고정 플레이트
210 : 가이드 홈 300 : 연동 플레이트 310 : 가이드 슬롯
320 : 핸들 400 : 후드 케이블 가이더
500 : 힌지축 600 : 개방수단 610 : 케이스
611,612 : 제 1, 2 관통구멍 620 : 슬라이더
621 : 스톱퍼 630,640 : 제 1, 2 홀더 S : 스위치
S' : 토오션 스프링
도 1에 참조되고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 또는 운전석 시트와 인접된 패널상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하우징(housing;100)이 설치된다.
이 하우징(100)의 일측 내벽면에는 고정 플레이트(固定plate;200)가 고정 설치되며, 고정 플레이트(200)의 일측단에는 후드 케이블(hood cable;12')이 안내되는 안내홈(210)이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200)의 전면에는 소정간격 유지하도록 연동 플레이트 (連動plate;300)가 위치되는 바, 이 연동 플레이트(30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 슬롯(guide slot;310)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연동 플레이트(300)를 전,후 및 상,하로 연동시키기 위한 핸들(handle;320)이 마련된다.
한편, 고정 플레이트(200)와 연동 플레이트(300) 사이에는 후드 케이블(12')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후드 케이블 가이더(hood cable guider;400)가 위치되는 바, 이 후드 케이블 가이더(400)의 일단은 고정 플레이트(200)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타단은 연동 플레이트(300)의 가이드 슬롯(310)상에 상,하로 연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 슬롯(310)상으로 관통된 후드 케이블 가이더(400)의 단부에는 걸림편(410)이 마련되어 핸들(320)을 전,후로 작동시킬 때 후드 케이블(12')을 연동킬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고정 플레이트(200)에 관통된 부위측에 후드 케이블(12')이 연결된다.
후드 케이블 가이더(400)와 소정간격 이격된 연동 플레이트(300)와 고정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연동 플레이트(300)를 고정 플레이트(200)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500)이 개재된다.
그리고 연동 플레이트(3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후드 케이블 가이더(400)와 인접된 연동 플레이트(300)와 고정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며, 힌지축(500)의 외주면에는 토오션 스프링(S')이 개재된다.
한편, 테일 게이트(13)와 퓨얼 필러도어(14)를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개방수단(600)이 마련되는 바, 이 개방수단(60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케이스(case;610)와, 슬라이더(slider;620) 그리고 제 1, 2 홀더(holder630,64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610)는, 연동 플레이트(300)의 일측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내측면에 가이드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가이드 공간부와 연통된 제 1, 2 관통구멍(611,612)이 형성된다.
슬라이더(620)는 케이스(610)의 가이드 공간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면에는 케이스(610)의 단부에 걸림되는 스톱퍼(stopper;621)가 일체로 마련된다.
제 1 홀더(630)는, 슬라이더(620)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측면을 따라서는 테일 게이트 케이블(1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 테일 게이트 케이블(13')에는 연동 플레이트(300)의 회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위한 메인 케이블(main cable;2)이 개재된다.
제 2 홀더(640)는 제 1 홀더(630)와 소정간격 이격된 슬라이더(620)상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패널(미도시)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퓨얼 필러도어 케이블(14')이 관통되어진다.
즉, 퓨얼 필러도어 케이블(14')은 퓨얼 필러도어 스위치(3)에 일단이 연결된채 제 1 홀더(640)의 내측면을 따라 케이스(610)의 제 2 관통구멍(612)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에 걸림 고정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후드(12)를 개방시킴에 있어서는, 연동 플레이트(300)의 핸들(320)을 도 2의 화살표 A방향(전후방향)으로 푸쉬하게 되면, 연동 플레이트(300)가 고정 플레이트(200)와의 사이에 개재된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후드 케이블 가이더(400)가 후드 케이블(12')을 잡아 당기게 됨으로써 후드(12)가 개방되어진다.
이때 푸쉬하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S)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테일 게이트(13)를 개방하는 과정을 보면, 연동 플레이트(300)의 핸들(320)을 도 2의 화살표 B방향(상부방향)으로 푸쉬한다.
이에따라 연동 플레이트(300)는 힌지축(500)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따라 메인 케이블(2)이 직선 운동하면서, 슬라이더(620)의 일측에 위치된 제1 홀더(630)상에 테일 게이트 케이블(13')을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620)는 스톱퍼(621)에 의해 케이스(610)의 단부에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되지 않고 테일 게이트 케이블(13')만이 연동되어 안정되게 테일 게이트(13)가 개방되어진다.
한편, 연동 플레이트(300)를 회동시키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토오션 스프링(S')에 의해 역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퓨얼 필러도어(14)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보면, 연동 플레이트(300)의핸들(320)을 도 2의 화살표 C방향(하부방향)으로 푸쉬한다.
이에따라 연동 플레이트(3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메인 케이블(2)를 케이스(610)를 향해 푸쉬하게 된다.
이와같이 메인 케이블(2)이 케이스(610)로 푸쉬되면 슬라이더(620)와 이 슬라이더(620)에 결합된 제 1, 2 홀더(630,640)이 전체적으로 필러도어 스위치(3)를 향해 이동되려한다.
이때 제 2 홀더(640)의 단부는 패널상에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일측으로 힘을 받게되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휨 변형이 야기되고, 이에따라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퓨얼 필러도어 케이블(14')의 길이 변형이 야기됨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이 필러도어 스위치(3)가 회전되면서 퓨얼 필러도어(14)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연동 플레이트상에 마련된 하나의 핸들을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푸쉬하는 것을 통해 후드 및 테일 게이트 그리고 퓨얼 필러도어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종래 각각 별개로 마련하는 것에 비교할 때 부품수 감소에 따른 코스트 절감과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또한 차 내부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게된다.

Claims (4)

  1.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단에는 후드 케이블이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대략 중심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핸들이 마련된 연동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일단이 인접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연동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롯상에 결합되어, 핸들을 전,후로 푸쉬하는 것에 의해 후드 케이블을 작동시키는 후드 케이블 가이더와;
    상기 후드 케이블 가이더와 소정간격 이격된 고정 플레이트와 연동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며, 연동 플레이트를 고정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축과;
    상기 연동 플레이트의 상,하 연동에 따라 테일 게이트와 퓨얼 필러도어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케이블 가이더와 인접된 연동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는 연동 플레이트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개재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는 상,하로 연동되는 연동 플레이트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토오션 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은, 연동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며, 내측면에 가이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가이드 공간부와 연통된 제 1, 2 관통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 공간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 케이스의 타측단에 걸림되는 스톱퍼가 마련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면을 따라 테일 게이트 케이블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홀더와;
    상기 제 1 홀더와 소정간격 이격된 슬라이더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패널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홀더와;
    일단이 퓨얼 필러도어 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홀더의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어 슬라이더를 관통한채 케이스의 제 2 관통구멍 외측면에 걸림되는 퓨얼 필러도어 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KR10-2001-0072231A 2001-11-20 2001-11-20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KR10042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31A KR100423833B1 (ko) 2001-11-20 2001-11-20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31A KR100423833B1 (ko) 2001-11-20 2001-11-20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38A KR20030041438A (ko) 2003-05-27
KR100423833B1 true KR100423833B1 (ko) 2004-03-22

Family

ID=2957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231A KR100423833B1 (ko) 2001-11-20 2001-11-20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8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21A (ja) * 1982-07-20 1984-01-28 Nissan Motor Co Ltd プツシユ・プル・ケ−ブルの伝達力取出装置
KR950014526U (ko) * 1993-11-18 1995-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와 트렁크리드 잠금해제 스위치
US5535608A (en) * 1993-09-04 1996-07-16 Dr. Ing. H.C.F. Porsche Ag Device for unlocking and locking to spaced apart tilting hoods of a motor vehicle
KR19980051127A (ko) * 1996-12-23 1998-09-15 박병재 트렁크리드와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방 작동을 위한 공용레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21A (ja) * 1982-07-20 1984-01-28 Nissan Motor Co Ltd プツシユ・プル・ケ−ブルの伝達力取出装置
US5535608A (en) * 1993-09-04 1996-07-16 Dr. Ing. H.C.F. Porsche Ag Device for unlocking and locking to spaced apart tilting hoods of a motor vehicle
KR950014526U (ko) * 1993-11-18 1995-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와 트렁크리드 잠금해제 스위치
KR19980051127A (ko) * 1996-12-23 1998-09-15 박병재 트렁크리드와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방 작동을 위한 공용레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38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7690B2 (en) Fuel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JP4842681B2 (ja) リンク機構
EP1887171B1 (en) Vehicle door lock
CN101899931A (zh) 用于车门的缆索致动的惯性锁
JPS6252885B2 (ko)
EP2169148B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KR20180118772A (ko)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US11719023B2 (en) Vehicular door lock device and vehicular door lock system
US10995527B2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KR100423833B1 (ko) 자동차의 도어류 오픈장치
JPH0842216A (ja) 自動車のドア及びリッドのロック用中央鎖錠装置
EP1803877B1 (en) Door handle structure requiring a smaller space for arranging a mechanism for releasing a door latch
JP5309922B2 (ja) 車両用シェード装置
US20200071969A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Door Latch Cable to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EP4039926A1 (en) Door handle structure of a vehicle
EP1666685B1 (en) Vehicle body and a door latch apparatus
EP3029231B1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and vehicle door module
KR100350527B1 (ko) 차량의 키보드 설치 구조
US7121043B2 (en) Actuating device for open/close member of vehicle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6338224B1 (en) Movement transmission mechanism installed in automotive door
JP2009046921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20220034128A1 (en) Vehicle door operation device
JP5778924B2 (ja) 車両用リアゲートの開閉装置
JP4002467B2 (ja) 車両用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