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718B1 -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718B1
KR100423718B1 KR10-2001-0025274A KR20010025274A KR100423718B1 KR 100423718 B1 KR100423718 B1 KR 100423718B1 KR 20010025274 A KR20010025274 A KR 20010025274A KR 100423718 B1 KR100423718 B1 KR 100423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circuit breaker
lever
drive shaft
oper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655A (ko
Inventor
구라노고이치
야마모토히데노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JP31986499A priority Critical patent/JP4074038B2/ja
Priority to TW090110708A priority patent/TW521464B/zh
Priority to US09/849,603 priority patent/US6563062B2/en
Priority to BR0101809-4A priority patent/BR0101809A/pt
Priority to SG200102666A priority patent/SG102624A1/en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25274A priority patent/KR1004237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폐쇄배전반의 차단기실 도어(26)를 닫은 채로 외부에서 차단기를 조작가능한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를 제공한다.
차단기(1)가 단로위치와 접속위치에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차단기실(24)의 바닥부(2)에 차단기실외로부터의 외부조작수단에 의해 조작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의 회동에 의해 상기 차단기(1)를 이동시키는 레버(13)를 갖는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INSERTION/WITHDRAWAL MECHANISM FOR A CIRCUIT INTERRUPTER}
본 발명은 폐쇄배전반에 탑재된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에 관해, 상세하게는, 삽입 즉 접속위치와 인출 즉 단로위치에 이동이 자유로운 차단기실에 설치된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6, 도 17에서, 종래의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16은 폐쇄배전반의 차단기실의 정면도, 도 17은 그 측면도이다. 이 배전반에는 차단기(1)가 단로위치와 접속위치에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차단기(1)가 삽입/인출될 때 즉 단로위치와 접속위치에 이동조작을 할 때에 개폐되는 차단기실 도어를 차단기실의 조작측 즉 전면측에 설치되어 있다(도시않음).
도면중의 부호 1은 차단기, 2는 차단기의 바닥부, 3은 차단기(1)의 인터록 핀, 4는 차단기(1)의 인출레버이다.
인터록 핀(3)은 차단기(1)의 삽입/인출의 오조작방지 및 내부사고발생시에서의 차단기(1)의 차단기실외로의 튀어나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핀이다.
상기 구조에서의 차단기(1)의 삽입/인출조작을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전반의 차단기실 도어, 즉 차단기실의 전면측에 설치된 차단기실 도어를 연 후, 인터록 핀(3)을 손으로 들어 올린상태로 하면서 인출레버(4)를 사용해서 조작하고 있었다.
종래의 상기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는, 배전반의 정면도어를 연 상태에서 차단기의 삽입작업을 하고 인출레버의 경사로 차단기의 접속위치(삽입완료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으므로 접속위치확인에 요하는 시간에 개인차가 있고 삽입작업에 많은 시간을 요하고 있었다.
또, 근년 숙련작업자가 부족해 왔었으므로 미숙한 사람도 충전부에 접근하는 일없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배전반의 정면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차단기를 접속, 단로의 각 위치에 이동조작할 수 있는 장치의 출현이 요망되어 왔었다.
본 발명은 차단기의 삽입/인출작업에 요하는 시간의 개인차를 없애고 조작을 간단화하는 동시에 구성이 간단하고 콤팩트한 삽입/인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차단기의 삽입/인출조작이 가능한 삽입/인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표시하는 본 장치의 기본구성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차단기의 삽입/인출조작기구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셔터부분을 정면측에서 본 부분정면도.
도 4은 도 1의 A-A측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측 단면도.
도 6은 도 5의 C-C측 단면도.
도 7은 도 5의 D-D측 단면도.
도 8은 차단기가 단로위치에서의 외부조작수단으로서의 핸들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A)는 핸들의 정면도, (B)는 핸들의 측면도, (C)는 핸들의 축을 접속구에 끼워서 접속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차단기의 접속위치에서의 핸들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A)는 핸들의 정면도, (B)는 핸들의 측면도, (C)는 핸들의 축을 접속구에 끼워서 접속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배전반의 차단기실 도어(26)의 개폐상태에 대응한 차단기 도어록수단을 표시하는 측단면을 표시하는 도면, (A)는 닫혀진 상태의 측면도, (B)는 열린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셔터(11)와 차단기실 도어록수단과의 인터록기구에 관한 정면도.
도 12는 차단기실 도어록수단 및 어싱스위치 불능화수단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도 1의 E-E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
도 16은 종래의 폐쇄배전반의 차단기실의 정면도.
도 17은 그 차단기실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입구,
11 : 셔터(차입구 개폐수단),
12 : 기어복스(차단기 이동조작수단, 구동력전달수단),
13 : 레버(차단기 이동조작수단),
14 : 롤러(차단기 이동조작수단),
18 : 샤프트(차단기 이동조작수단),
19 : 핸들(외부조작수단),
20 : 샤프트(개폐상태 검출수단),
21 : 링크(개폐상태 검출수단),
22 : 프레임(개폐상태 검출수단),
29 : 인터록 프레임(차입구 개폐불능화수단),
29A : 선단부(차입구 개폐불능화수단),
29B : 선단부(차입구 개폐불능화수단),
30 : 스프링(차입구 개폐불능화수단),
31 : 스프링 선단부(차입구 개폐수단),
35 : 인터록용 핀(어싱스위치 불능화수단),
36 : 셔터(어싱스위치 불능화수단),
37 : 록레버(차단기실 도어록수단),
38 : 링크(차단기실 도어록수단),
39 : 걸림 금구(차단기실 도어록수단),
40 : 받는 금구(차단기실 도어록수단),
41 : 어싱스위치 인터록금구(어싱스위치 불능화수단),
45 : 레버(개폐상태 검출수단),
46 : 조작창(차입구 개폐수단).
청구항 1의 발명은 차단기실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차단기실내에서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에 이동이 자유로운 차단기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용의 삽입/인출장치로서 회로차단기를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은 차단기실외로부터의 오부조작수단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구동축과, 구동축과 회로차단기 사이에 접속되어 회로차단기를 단로 위치와 접속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레버와, 구동축과 회로차단기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회로차단기의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운동변환장치를 구비한 차단기 삽입/인출장치에 있어서 레버는 차단기의 단로위치에 대응하는 단로위치와, 차단기의 접속위치에 대응하는 접속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고, 단로 및 접속위치가 레버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경방향 대향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에서 레버는 레버가 접속위치로부터 단로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초과해서 소정거리만큼 이동한 반전위치에 이동할 수 있어 회로차단기가 우발적으로 가해진 누르는 힘에 의해 접속위치로 되돌아가지 못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차단기실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차단기실내에서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에 이동이 자유로운 차단기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용의 삽입/인출장치로서 회로차단기를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은 차단기실외로부터의 외부조작수단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구동축과, 구동축과 회로차단기 사이에 접속되어 회로차단기를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레버와, 구동축과 회로차단기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회로차단기의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운동변환장치를 구비한 차단기 삽입/인출장치에 있어서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은 폐위치에서 차단기실 도어의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조작핸들이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되며 구동측에 작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 삽입구 개폐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의 형태 1.
이하, 본 실시의 형태 1을 도 1내지 도 15에 따라 설명한다.
또 종래기술로서 도 16, 도 17에서 설명한 것과 공통 또는 동등한 부재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1내지 도 4에서, 도 1은 본 장치의 기본구성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차단기의 삽입/인출조작기구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셔터부분을 정면측에서 본 부분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측 단면도이다. 도 1에서 2는 차단기실(24)의 바닥부이고, 이 바닥부(2)의 하면측에는 도 2 및 도 4에 표시하는 차단기실(24)의 전면측, 즉 조작측에 설치된 차단기실 도어(26)를 닫은 상태에서 차단기실(24)의 외부에서 차단기(1)를 조작가능한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 또 차단기실(24)의 전면하단측에는, 차단기실(24)의 하단도어(27)(예를 들면 도 10A,10B참조)에 의한 셔터록해제수단(차입구 개폐불능화 수단)(6), 차단기실 도어록수단(7), 또 어싱스위치 불능화수단(9)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8, 도 9에서 도 1중의 부호 10은 바닥부(2)의 전면측의 수직부에 개구된 접속부로서의 차입구이고,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을 구성하는 구동축으로서의 기어샤프트(18)의 선단부(18a)(도 4참조)에 외부조작수단으로서의 핸들(19)의 축(19a)을 끼워넣고 조작가능하게 접속시킨다. 이 차입구(10)는 통상 후술하는 외부조작수단으로서의 핸들(19)이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을 구성하는 구동축으로서의 기어샤프트(18)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즉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는 차입구 개폐수단으로서의 셔터(11)로 막혀있다. 또, 이 차입구 개폐수단으로서의 셔터(1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8 및 도 9에서, 외부조작수단을 설명한다.
도 8은, 차단기가 단로위치에서의 외부조작수단으로서의 핸들(19)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핸들(19)의 정면도, (B)는 핸들(19)의 측면도, (C)는 핸들(19)의 축(19a)을 차입구(10)에 끼워서 기어샤프트(18)에 접속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차단기(1)가 접속위치에서의 핸들(19)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A)는 핸들(19 )의 정면도, (B)는 핸들(19)의 측면도, (C)는 핸들(19)의 축(19a)을 차입구(10)에 끼워서 접속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외부조작수단은,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의 기어샤프트(18)의 선단부 (18a)와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축(19a)을 구비한 핸들(19)이다.
차입구(10)는 핸들(19)의 축(19a)에 설치된 인출방지용 핀(16)과의 상태를 고려한 형상으로 해서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을 조작(회동)중에서의 핸들(19)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도면중의 부호(17)는 도 4에 표시하는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의 기어샤프트 (18)의 선단부(18a)에 설치된 끼워맞춤용 핀으로 핸들(19)의 축(19a)측에 설치되어 있는 노치(16a)와 끼워맞춰서 결합한다.
도 8의 (A),(B),(C)는 차단기(1)의 단로위치에서의 핸들(19)의 각도와 인출방지용 핀(16), 끼워맞춤 핀(17)의 위치관계를 표시하고, 도 9의 (A),(B),(C)는 핸들(19)이 도 2에서 시계회동방향으로 195도 회동되어 차단기(1)가 접속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핸들(19)의 위치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도 4에서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을 설명한다.
이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은 차입구(10)에 선단이 있고 외부조작수단으로서의 핸들(19)의 축(19a)과 접속되는 구동축으로서의 기어샤프트(18)와, 이 기어샤프트(18)의 회동력을 받아서 수직면내의 회전력을 수평면내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기어복스(12), 이 기어복스(12)를 통해서 차단기(1)의 저면측에서 기어샤프트(18)의 정역회전에 따라 반원을 그리도록 왕복회동하고 차단기(1)를 삽입/인출하는 레버(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13)의 선단에는 롤러(14)가 축을 수직으로 해서 설치되어 있고, 이 롤러(14)가 차단기(1)의 저면측에서 차단기(1)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2개의 프레임(15), (15)사이에 회동이동이 자유롭게 수용되어 있으며, 레버(13)가 반원을 그리는 왕복회동운동에 의해 차단기(1)가 도면에서 좌측에 표시하는 단로위치와 도면의 우방향에 설정되는 접속위치 사이를 주행 이동한다.
상기한 기어샤프트(18)와 레버(13)와의 사이의 구동력전달수단을 기어복스 (12), 즉 이 예에서는 헬리컬기어의 조합으로서 핸들(19)의 1회동이내의 조작으로 차단기(1)를 그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다음, 차단기의 조작을 도 1내지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초기조건으로서 차단기(1)는 단로위치에 있고, 후술하는 차단기(1)의 어싱스위치 불능화수단 (9)의 차입구는 셔터에 의해 개방되며 배전반의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 )는 도 10(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로 한다. 또 도 10(B)은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가 열린 상태를 표시한다.
그런데, 배전반의 차단기실(24)측에 구성되어 있는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을 외부조작수단으로서의 핸들(19)을 사용해서 외부에서 조작할 때에 차입구(10)에 핸들(19)의 축(19a)을 끼워서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을 구성하는 구동축으로서의 기어샤프트(18)에 접속시킬 필요가 있다. 이 차입구(10)는 통상 차입구 개폐수단으로서의 셔터(11)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접속불능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셔터(11)를 개방동작시키는데는 도 1,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셔터(11)에 돌출되어 설치된 조작핀(33)을 도시한 화살표L방향(도면에서 좌방향)으로 끈다.
이로써, 상기 셔터(11)를 닫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작동수단으로서의 예를 들면 복귀 스프링(31)의 작용에 반해서, 셔터(11)가 끄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차입구(10)를 개구(46)를 통해서 개구시킨다.
다음,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의 기어샤프트(18)에 접속된 외부조작 수단으로서의 핸들(19)을 시계회동 방향으로 예를 들면 195도 회동시키면 그 구동력이 기어샤프트(18)에서 기어복스(12) 및 레버(13)(도 4참조)에 전달되고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회동방향으로 195도 회동시킨다. 이 회전에 따라 차단기(1)는 단로위치에서 접속위치로 이동한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13)의 회동중심(13P)은 차단기(1)의 사실상의 단로위치측과 접속위치측과의 사이에 있다.
그리고, 레버(13)가 차단기(1)와 걸어맞추는 걸림단부로서의 롤러(14)는 차단기(1)가 사실상의 단로위치측에 있을 때 롤러(14)가 위치하는 단로위치(P1)와, 이 레버(13)의 회동중심(13P)과, 차단기(1)가 사실상의 접속위치측에 있을 때에 롤러(14)가 위치하는 접속위치(P2)를 연결하는 직선상(P1-P2)에서 차단기(1)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는 롤러(14)가 상기 직선을 넘은 위치, 이 예에서는 15도 넘은 위치를 걸림단부로서의 롤러(14)의 단로위치P0으로 하고, 레버(13)의 회동중심(13P)을 중심으로 해서 단로위치측의 P0와 접속위치측의 P2사이를 반원을 그리도록 반회동 (P0-P1-P2=15도+180도=195도)하고, 교대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레버(13)의 걸림단부(롤러(14))가 단로위치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직선을 넘은 위치 P0로 함으로써 레버(13)를 회동시키는 정류의 조작, 즉 외부조작수단-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을 거치지 않는 다른 조작에 의한 예를 들면 수동으로 차단기(1)를 단로위치에서 접속위치로 삽입하려고 해도 차단기(1)의 이동을 불능화시키고 있다. 또 상기한 직선은 차단기(1)의 이동방향 즉 삽입/인출방향을 향한 선이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차단기실 도어(26)측의 바닥부(2)에 차단기 탈출저지수단으로서의 탈출방지판(25)을 설치하여 차단기(1)가배전반외로 탈출하는 것을 저지시키고 있다.
다음 핸들(19)을 차입구(10)에서 빼면 셔터(11)가 도 3의 부호 31로 표시하는 복귀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복귀, 즉 도면상 우방향으로 이동해서 차입구 (10)가 폐쇄된다. 또 이 차단기(1)의 인출조작, 즉 접속위치에서 단로위치로의 이동은 상기한 순서를 역으로 한다.
다음 차단기(1)의 개폐상태 즉 차단기(1)가 폐로(ON)되어 있는지(폐쇄상태), 개로(OFF)되어 있는지(개방상태)를 검출하는 개폐상태 검출수단(102)을 도 5내지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또 5는 본 장치의 기본구성을 표시하는 도 1의 B-B측 단면도, 도 6은 도 5의 C-C단면도, 도 7은 도 5의 D-D단면도이다.
개폐상태 검출수단(102)은, 상기한 차입구 개폐수단으로서의 셔터(11)에 일단이 걸어맞춰지고, 이 셔터(11)의 개방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차단기의 개폐표시부로서의 개폐상태 표시핀(103)에 맞닿는 방향 즉 상방으로 이동해서 차단기(1)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동시에, 차단기(1)가 폐쇄상태에서는 도 6, 도 7에 표시하는 위치까지 하강한 차단부(1)의 개폐상태 표시핀(103)에 맞닿게 하여 그이상 위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내지 도 7에 표시하는 개폐상태 검출수단(102)은 샤프트(20), 링크(21), 프레임(22) 및 레버(45)로 구성된 링크기구 및 이 링크기구의 프레임(22)에 올려져 있는 개폐상태 표시핀(103)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셔터(11)의 개방위치로의 이동(도면의 좌방향)에 따라, 조작핀(33)이 레버(45)에 걸어맞춰서 작동한다.
우선, 셔터(11)의 조작핀(33)을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수동으로 개방동작시키면 이 개방동작에 연동해서 조작핀(33)에 일단이 걸어맞춰진 레버(45)가 셔터 (11)의 내면측에 설치된 샤프트(20)를 회동축으로 해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고, (20a)암에 의해 링크(21)를 구동시켜서 상승핀(23)을 통해서 프레임(22)을 위로 밀어올린다. 이로써, 차단기(1)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하동하는 개폐상태 표시핀(103)에 향해서 프레임(22)이 상방으로 밀려 올려진다.
또, 상기한 개폐상태 표시핀(103)은 차단기(1)의 개폐동작에 대응해서 개방상태에서는 상방에 폐쇄상태에서는 도 6,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차단기(1)의 접점 조작기구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접점조작기구가 움직이지 않는 한 상기 위치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프레임(22)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개폐상태 표시핀(103)에 맞닿은 위치에서 다시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는 일은 없다. 이 결과 프레임(22)은 그 이상 상방으로는 이동이 될 수 없고 샤프트(20), 링크(21), 레버(45)는 그이상의 회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셔터(11)도 그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해지고 차입구(10)는 폐쇄된 채로 된다.
또, 단로기(1)가 개방상태이면 개폐상태 표시핀(103)은 도 6, 도 7에서 표시하는 위치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므로 프레임(22)은 개폐상태 표시핀(103)에 맞닿는 일이 없고, 결과로서 셔터(1)를 개방상태로 이동할 수가 있다.
다음, 차단기실 도어록수단을 도 12내지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2는 차단기실 도어록수단(7) 및 어싱스위치 불능화수단(9)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이 차단기실 도어록수단은, 차단기(1)가 접속위치에 삽입될 때에,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의 기어샤프트(18)의 회동에 연동하는 링크기구에 의해 차단기실 도어(26)를 닫은 상태로 록한다.
도 12내지 도 13에서 외부조작수단으로서의 핸들(19)(도 8,9)를 차단기(1)의 삽입방향으로 회동(시계회전방향)조작하면, 기어샤프트(18)의 회동에 의해 기어샤프트(18)에 장착된 암(18b)의 선단부에 연결된 링크(38)를 통해서 록레버(37)가 핀(37a)을 중심으로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하고, 록레버(37)의 걸림금구(39)가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의 받는 금구(40)에 걸어맞추고,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가 닫힌 상태로 된다.
한편, 핸들(19)(도 8,9)을 차단기(1)의 인출방향으로 회동(반시계회전방향)조작하면 링크(38)를 통해서 록레버(37)가 핀(37a)회동과, 역방향(반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해서 록레버(37)의 걸림 금구(39)이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의 받는 금구로부터 이탈되어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의 록이 해제된다.
다음, 차입구 개폐수단으로서의 셔터(11)의 이동을 불능화하는 차입구 개폐불능화수단(차입구 개폐록수단)(6)을 도 10,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이는 도 1의 셔터록해제수단이기도 하다. 도 10은 배전반의 차단기실 도어 (26)의 개폐상태에 대응한 차단기실 도어록수단을 표시하는 측단면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폐쇄된 상태의 측면도, (B)는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또 도 11은 셔터(11)와 차단기실 도어록수단으로서의 인터록기구에 관한 정면도이다.
이 차입구 개폐불능화수단은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가 열려 있을 때는 차입구(10)가 셔터(11)로 닫혀진 상태, 즉 셔터(11)의 이동을 금지하고,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가 닫혀 있을 때는 차입구(10)가 열리도록 셔터(11)를 도 11에서 좌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아래에서 설명한다.
차입구 개폐불능화수단(6)은 도 10, 도 11에서, 차단기실(24)의 바닥부(2)에 나사로 고정된 지지프레임(28)을 베이스로 해서 인터록 프레임(29)이 내장되어 있고 이 인터록 프레임(29)이 도 10의 화살표P로 표시한 바와 같이 셔터(11)의 배면측에서 이 셔터(11)의 배면에 맞닿도록 수평방향으로 왕복동가능하게 구성되고, 도 10(A)와 같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인터록 프레임(29)이 이동시켜져서 있을 때는 셔터(11)가 이동가능해지고, 도 10(B)와 같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인터록 프레임(29)이 이동시켜져 있는 경우에는 셔터(11)가 이동불가능하게 된다.
다음 상기 인터록 프레임(29)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인터록 프레임(29)은 인장스프링(30)에 의해 인터록 프레임(29)의 2개의 선단부(29A),(29B)가 통상, 차단기실(24)의 바닥부(2)의 연장인 정면측의 수직부에 개설된 구멍으로부터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이하 양자를 합쳐서 단지도어라고 한다)의 이면측으로 향해 튀어나가도록 작동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려 있을 때는 선단부(29A)가 차단기실 도어(26)의 이면측에 선단부(29B)가 하단도어(27)의 이면측에 각각 돌출한다. 이경우, 바닥부(2)의 정면측의 수직부의 배면과 인터록 프레임(29)의 지지프레임(28)의 전면측과의 극간(9)에 인터록 프레임(29)이 진출하기 때문에 이 극간(9)을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셔터(11)는 그 이동이 금지된다.
또, 도 11은 화살표Q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셔터(11)에 대해 도면에서 좌측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위치에 즉 인터록 프레임(29)의 측면과 셔터(11)의 좌단이 맞닿은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인터록 프레임(29)은 도 11에서 지면의 두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10(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의 적어도 한쪽이 닫히면, 인터록 프레임(29)의 2개의 선단부(29A),(29B)가 도어에 눌려서 인터록 프레임(29)이 배전반의 속으로 밀려서 상기 극간에서 후퇴하므로, 인터록 프레임(29)과 셔터(11)의 간섭이 없어지고, 셔터(11)는 도 11에서 좌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다음, 도 1, 도 3에서 차입구 개폐수단으로의 셔터를 설명한다. 셔터(11)는 바닥부(2)의 정면측의 수직부배면에 있고, 바닥부(2)의 수직부의 배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주행이 가능하게 구성된 판상의 부재이며, 상기 복귀 스프링(31)(도 3)에 의해 우측으로 작동되고, 도시한대로 차입구(10)를 막는 위치(이하 폐쇄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폐쇄상태는 바닥부(2)의 수직부에 개설된 슬릿 (32)의 도면에서 우단에 셔터(11)에 설치된 조작핀(33)이 닿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폐쇄상태에서 셔터(11)에 개설되어 있는 조작창(46)과 바닥부(2)의 정면측에 개설되어 있는 차입구(10)와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창(46)과 차입구(10)와의 개구부는 일치하지 않고 따라서, 외부조작수단으로서의 핸들(19)의 축을 차입구(10)에 삽입할 수가 없다.
상기 셔터(11)에는 합계 4개의 핀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 하나는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상기 조작핀(33)이고, 이외에 셔터(11)의 수평이동을 서포트시키기 위한 서프트핀(34)이 2개와, 후술하는 차단기(1)의 어싱스위치 조작핸들(이하 단지 ES핸들이라고도 함)이 차입되는 받는 곳으로서의 차입구 (51)를 개폐하는 어싱스위치의 셔터(36)(이하, 단지 ES셔터라고도 함)를 인터록하기 위한 인터록용 핀(3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어싱스위치는 주회로가 접지전위가 되도록 접지를 하는 스위치이다(도 14).
다음에, 어싱스위치 및 어싱스위치 불능화수단을 도 1, 도 3, 도 12내지 도 15에 따라 설명한다. 도 13, 도 14는 어싱스위치를 스위칭조작하면 ES핸들(50)이 차입되는 차입구(51)를 개폐하는 ES셔터에 관한 측면도, 도 15는 그 정면도이다. 또, 도 14중의 부호 42는 ES핸들을 받아들이는 차입구를 구비한 스위치레버, 도 15중의 부호 36는 ES셔터이다.
이 어싱스위치 불능화수단은 상기 셔터(11), 즉 차입구 개폐수단이 개방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해서 어싱스위치의 조작을 불능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차단기실 도어록수단에 의한 차단기실 도어의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해서 어싱스위치의 조작을 불능화시키는 것이다.
도 1, 도 3에서, 조작핀(33)을 통해서 셔터(11)를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차입구(10)와 조작창(46)이 일치해서 핸들(19)의 축이 차입가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셔터(11)의 이동에 의해, ES셔터(36)를 폐쇄상태로 인터록하는인터록용 핀(35)도 좌측으로 슬라이드해서 ES셔터(36)가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록된다.
도 12, 도 13에서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의 기어샤프트(18)와 록레버(37)는 링크(38)를 통해서 연동되어 있다. 길이방향 중앙의 핀(37a)에 고착되어 있는 록레버(37)의 양단에는 각각 걸림 금구(39)이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차단기실 도어(26)측, 즉 차단기실 도어(26)와 하단도어(27)의 각각에 설치된 받는 금구(40)에 대해 록레버(37)의 요동에 따라 걸림과 이탈이 자유롭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의 부호 41은 어싱스위치 록금구로 록레버(37)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의 록상태에서 ES셔터(36)의 상단을 아래로 밀어서 폐쇄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셔터(11)가 폐쇄상태 즉 우측으로 복귀하면 인터록용 핀(35)이 무효가 되나, 그대신 어싱스위치 인터록금구(41)가 ES셔터(36)를 폐쇄상태로 보존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4, 도 15에서 도 14중의 부호 42는 ES핸들(50)을 받아들이는 ES차입구 (51)를 구비한 스위치레버(이하, ES레버 라고 함), 도 15중의 부호 36이 ES셔터이다.
도 14에서 ES레버(42)는 통상체로 그 길이방향중앙의 핀(42a)으로 고착되어 요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ES레버(42)의 한쪽단측은 ES핸들(50)의 축을 받아들이는 받는 곳으로서의 ES차입구(51)가 개구되어 있고, 다른 쪽이 링크(104)를 통해서 ES본체(101)에 걸어맞춰져 있다.
도 15에 표시한 바와 같이 ES레버(42)가 조작되고 그 ES차입구(51)가 도면의상방에 위치(도 14의 1점쇄선)하면, 스위치(101)가 들어가고(「ES입」이라 도시), 하방에 위치(도 14의 실선위치)하면 스위치(101)가 끊어진다(「ES절」이라 도시).
도 12에서, 외부조작수단으로서의 핸들(19)에서 기어샤프트(18)를 시계회전방향으로, 즉 차단기(1)의 삽입방향으로 195도 회동시키면 링크(38)를 통해서 차단기실 도어록수단(7)의 록레버(37)가 시계회전방향으로 40도 회동해서 차단기실(26) 및 하단도어(27)를 폐쇄상태에서 록한다.
이때 차단기(1)는 차단기 이동조작수단(5)에 의해 단로위치에서 접속위치로 이동하고 차단기실 도어(26) 및 하단도어(27)를 열수가 없다.
한편, 어싱스위치 불능화수단(9)을 구성하는 어싱스위치 록금구(41)가 작동하여 ES셔터(36)를 폐쇄상태에서 록한다. 즉 ES셔터(36)가 도 15의 부호 36b로 표시하는 상태에 위치하고 ES차입구(51)를 막는다. 이 예에서는 ES차입구(51)가 ES ON 또는 ES OFF의 소정접속위치에 있을 때 이들의 ES차입구(51)로 통하는 2개의 구멍(ES차입공(100))이 설치된 판상의 접속부재의 양쪽의 ES차입공(100)을 막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ES핸들(50)의 축을 ES스위치레버(42)의 ES차입구(51)에 삽입할 수가 없다.
한편 어싱스위치 투입증은 차단기(1)를 단로위치에서 접속위치로 삽입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ES스위치레버(42)의 선단에 설치된 돌기(43)가 ES셔터(36)의 개방위치로의 복귀를 저지하고 인터록용 핀(35)의 좌측방향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므로, 차입구 개폐수단으로서의 셔터(11)를 열수가 없기 때문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차단기에 대한 삽입/인출레버를, 차단기의 아래측에 배치하였으므로 장치전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또, 차단기 접속위치에서 레버의 방향을 삽입방향과 일치시키고 있으므로 차단기가 전면으로 튀어나오는 힘을 받았을 때는 레버에 걸리는 튀어나오는 힘은 그대로 데드포인트의 위치에서 레버의 회동측에 전달되므로 레버에 이동력으로서 작용하지 않고, 따라서 차단기의 튀어나옴이 불가능해진다. 또 차단기 단로위치에서의 레버의 위치를 접속위치에서 180도 보다도 더 회동시킨 위치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레버가 삽입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단기를 접속위치에 손으로 밀어넣으려고 해도 밀어넣을 수가 없다.
또, 레버가 접속위치로부터 단로위치로 이동하고 이를 넘어서 소정거리만큼 이동한 반전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회로차단기가 우발적으로 가해진 누르는 힘에 의해 접속위치로 되돌아 갈 수 없도록 하였으므로 단로위치나 접속위치의 소정 회동위치를 넘어서 무리하게 회동조작하는 일이 없어지고 조작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장치의 파손도 적게된다.

Claims (3)

  1. 차단기실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차단기실내에서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에 이동이 자유로운 차단기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용의 삽입/인출장치로서, 상기 회로차단기를 상기 단로위치와, 상기 접속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은 상기 차단기실외로부터의 외부조작수단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측과 상기 회로차단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회로차단기를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레버와,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로차단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동운동을 상기 회로차단기의 상기 단로위치와 상기 접속위치 사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운동변환장치를 구비한 차단기 삽입/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차단기의 상기 단로위치에 대응하는 단로위치와, 상기 차단기의 상기 접속위치에 대응하는 접속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고 상기 단로 및 접속위치가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경방향 대향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삽입/인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레버는 레버가 접속위치로부터 단로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초과해서 소정거리만큼 이동한 반전위치에 이동할 수 있어, 상기 회로차단기가 우발적으로 가해진 누르는 힘에 의해 접속위치로 되돌아가지 못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삽입/인출장치.
  3. 차단기실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차단기실내에서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에 이동이 자유로운 차단기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용의 삽입/인출장치로서, 상기 회로차단기를 상기 단로위치와, 상기 접속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은 상기 차단기실외로부터의 외부조작수단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로차단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회로차단기를 단로위치와 접속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레버와,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로차단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동운동을 상기 회로차단기의 상기 단로위치와, 상기 접속위치 사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운동변환장치를 구비한 차단기 삽입/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이동조작수단은 폐위치에서 차단기실 도어의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조작핸들이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되며 상기 구동축에 작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 삽입구 개폐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삽입/인출장치.
KR10-2001-0025274A 1999-11-10 2001-05-09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 KR100423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986499A JP4074038B2 (ja) 1999-11-10 1999-11-10 遮断器の挿入/引出し装置
TW090110708A TW521464B (en) 1999-11-10 2001-05-04 Apparatus for inserting/pulling a circuit breaker
US09/849,603 US6563062B2 (en) 1999-11-10 2001-05-07 Insertion/withdrawal mechanism for a circuit interrupter
BR0101809-4A BR0101809A (pt) 1999-11-10 2001-05-08 Mecanismo de inserção/extração para um interruptor de circuito
SG200102666A SG102624A1 (en) 1999-11-10 2001-05-08 Insertion/withdrawal mechanism for a circuit interrupter
KR10-2001-0025274A KR100423718B1 (ko) 2001-05-09 2001-05-09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274A KR100423718B1 (ko) 2001-05-09 2001-05-09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655A KR20020085655A (ko) 2002-11-16
KR100423718B1 true KR100423718B1 (ko) 2004-03-18

Family

ID=3749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274A KR100423718B1 (ko) 1999-11-10 2001-05-09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21B1 (ko) * 2007-11-02 2009-12-17 유기현 배전반 유니트 인출장치
KR200482940Y1 (ko) * 2015-04-13 2017-03-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수동 트립장치
KR102600333B1 (ko) * 2021-01-26 2023-11-09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조작기구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655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4038B2 (ja) 遮断器の挿入/引出し装置
US5477016A (en) Circuit breaker with remote control and disconnection function
CA1154062A (en) Electrical switchboard having improved drawout apparatus
SK285064B6 (sk) Uzáver na veká, klapky a pod., najmä vozidiel, napr. motorových vozidiel
CA2397044A1 (en) Automatically operating interlock assembly requiring an electrical cabinet to be closed before connection of the equipment therein
CN111608494A (zh) 一种全自动安全锁体
AU572531B2 (en) A manual actuating device for enclosed electrical switches
KR100423718B1 (ko)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
EP1420422B1 (en) Fuse block with door sensing rotary disconnect
CN107293427B (zh) 一种接地开关与前后门的联锁装置
JP4891495B2 (ja) 開閉器用操作器
CN109680464A (zh) 一种洗衣机门锁以及洗衣机
US5542272A (en) Numerical combination lock with turning knob, cam plate, and drop lever
CN217426593U (zh) 一种电缆室门板联锁装置及环网柜
JPH09130930A (ja) 配電盤
CN109273302A (zh) 一种断路器电动操作机构
CN212271848U (zh) 一种全自动安全锁体
KR20060072697A (ko) 진공차단기의 도어 및 투입 인터록장치
CN111725022A (zh) 一种三工位真空断路器
CN111341604A (zh) 一种断路器用电动操作机构
JP2005184943A (ja) 回路遮断器収納箱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CN217061968U (zh) 一种联锁机构及开关柜
CN114388283B (zh) 一种旁路型双电源自动转换开关
CN110739165A (zh) 三工位开关操作手柄限位装置及三工位开关连锁装置
CN220106304U (zh) 用于开关柜的联锁系统和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