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408B1 -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 Google Patents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408B1
KR100423408B1 KR10-2002-0005317A KR20020005317A KR100423408B1 KR 100423408 B1 KR100423408 B1 KR 100423408B1 KR 20020005317 A KR20020005317 A KR 20020005317A KR 100423408 B1 KR100423408 B1 KR 100423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gnal
voice
key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625A (ko
Inventor
김재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408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전화통화, 통화음성 기록 및 재생기능을 핸드프리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추가기능을 제공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있어서, 10키, 전화통화키, 종료키, 기록키, 재생키 및 스크롤키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부(23); 통화상태를 감시하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23)를 통한 통화키, 기록키, 재생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화통화, 전화통화음성의 저장, 기 저장된 전화통화음성에 대한 인덱스의 화면출력 및 선택한 전화통화음성의 재생을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호출신호 및 착신신호를 포함하는 전화신호와 통화음성신호의 변복조 과정을 수행하는 무선모뎀(25); 음파를 전기신호를 변환하는 마이크(34); 상기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의 동작신호(SCLK,SS)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무선모뎀(25)을 통한 착신신호 검출시 전화벨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신호(MOSI)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모뎀 및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각각 처리하고, 또한, 통화음성의 저장 및 재생을 수행하며, 그리고, 그 동작의 결과신호(MISO)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보이스 레코더(31); 상기 보이스 레코더(31)로부터의 전화벨 신호 및 통화음성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신호증폭기(32); 상기 신호증폭기(32)로부터의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33);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동작상태 및 통화음성 리스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 표시부(3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TELEMATIC SYSTEM WITH FUNCTION OF HANDS-FREE}
본 발명은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전화통화, 통화음성 기록 및 재생기능을 핸드프리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용 정보 단말기(Telematic System)는 차량의 식별정보 및 위치 정보를 비롯하여 차량의 상태 정보를 중앙 관제 시스템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사고 발생시에는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에 구조를 요청하고, 도난 발생시에는 차량의 식별번호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도난 당한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그리고, 노트북등의 휴대용 컴퓨터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 차량용 정보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은 종래 차량용 정보 단말기의 전체 개략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GPS 안테나(ANT1)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롯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11)와, 차량의 각종 장치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12)와,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13)와,센싱정보, 자기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 및 갱신시키고, 데이터 입력에 따른 처리를 제어하며, 차량의 식별정보 및 위치 정보를 비롯하여 차량의 상태 정보를 휴대통신망을 통한 송신을 제어하는등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제어 유니트(14)와, 상기 마이크로 제어 유니트(14)의 제어에 따라 통신용 안테나(ANT2)를 통해 중앙 관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CDMA 모뎀(15)과, 동작에 필요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6)와, 설정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처리부(17)와, PC를 접속하기 위한 RS-232C 인터페이스부(18)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정보 단말기는 전원공급부(19)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전원공급부(19)는 차량의 배터리(B1)로부터 대략 12V의 전압을 공급받아 장치의 각 부에 필요한 동작전압(V1)(2.5V,3.3V 및 5V)과 시스템 백업전압(VB1)(3.3V) 및 긴급메시지 송신을 위한 통신용 전압을 각각 공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정보 단말기에서는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정보단말기에서는 전화통화를 자유롭게 수행하기 위한 핸즈프리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전화통화, 통화음성 기록 및 재생기능을 핸드프리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정보단말기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이스 레코더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전화통화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 : 데이터 입력부 24 :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
25 : 무선모뎀 31 : 보이스 레코더
32 : 신호증폭기 33 : 스피커
34 : 마이크 35 : 화면 표시부
311 : 링검출/벨발생부 312 : 다이얼 펄스 송출회로부
313 : 통화회로부 314 : 메모리 제어부
315 : 플래쉬 메모리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있어서, 10키, 전화통화키, 종료키, 기록키, 재생키 및 스크롤키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부; 통화상태를 감시하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한 통화키, 기록키, 재생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화통화, 전화통화음성의 저장, 기 저장된 전화통화음성에 대한 인덱스의 화면출력 및 선택한 전화통화음성의 재생을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호출신호 및 착신신호를 포함하는 전화신호와 통화음성신호의 변복조 과정을 수행하는 무선모뎀; 음파를 전기신호를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의 동작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무선모뎀을 통한 착신신호 검출시 전화벨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모뎀 및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각각 처리하고, 또한, 통화음성의 저장 및 재생을 수행하며, 그리고, 그 동작의 결과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보이스 레코더; 상기 보이스 레코더로부터의 전화벨 신호 및 통화음성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신호증폭기; 상기 신호증폭기로부터의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상태 및 통화음성 리스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의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는 10키, 전화통화키, 종료키, 기록키, 재생키 및 스크롤키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부(23)와, 통화상태를 감시하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23)를 통한 통화키, 기록키, 재생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화통화, 전화통화음성의 저장, 기 저장된 전화통화음성에 대한 인덱스의 화면출력 및 선택한 전화통화음성의 재생을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와,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호출신호 및 착신신호를 포함하는 전화신호와 통화음성신호의 변복조 과정을 수행하는 무선모뎀(25)과, 음파를 전기신호를 변환하는 마이크(34)와, 상기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의 동작신호(SCLK,SS)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무선모뎀(25)을 통한 착신신호 검출시 전화벨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신호(MOSI)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모뎀 및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각각 처리하고, 또한, 통화음성의 저장 및 재생을 수행하며, 그리고, 그 동작의 결과신호(MISO)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보이스 레코더(31)와, 상기 보이스 레코더(31)로부터의 전화벨 신호 및 통화음성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신호증폭기(32)와, 상기 신호증폭기(32)로부터의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33)와,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동작상태 및 통화음성 리스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 표시부(3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23)의 10키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화통화키로 전화통화를 선택하고, 종료키로 통화종료 또는 기록 및 재생의 종료를 선택하고, 기록키로 기록을 선택하고, 재생키로 재생을 선택하며, 그리고, 스크롤키로 화면에 표시되는 전화통화 음성 리스트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23)의 통화키 선택시에는 전화통화를 제어하고, 기록키 선택시에는 전화통화 음성의 기록을 제어하고, 재생키 선택시에는 저장된 전화통화음성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이스 레코더(31)는 차량용 정보 단말기에서 전화통화 음성을 기록 및 재생을 위해서 적용되었으며, 또한 전화통화를 위한 통화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화키 선택에 따라 통화기능을 수행하다가, 저장키 또는 재생키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는 내부의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가 동작하여 아날로그 신호인 전화통화음성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거나 또는 디자탈의 전화통화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면 표시부(36)에 표시되는 동작상태로는 통화중, 저장중, 재생중 등과같은 전화통화에 관련되는 정보이고, 또한, 통화음성 리스트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통화음성의 인덱스, 즉, 기록일자를 의미할 수 있는데, 이 리스트에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23)의 스크롤키를 조작하면, 선택바가 상기 통화음성 리스트상에서 이동되고, 이때, 원하는 통화음성에 선택바가 위치한 경우에 재생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가 선택된 통화음성에 대한 재생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보이스 레코더의 내부 블록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이스 레코더(31)는 상기 무선모뎀(25)을 통한 착신신호를 검출하여 전화벨신호를 발생시키는 링검출/벨 발생부(311)와,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다이얼 펄스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모뎀으로 제공하는 다이얼 펄스 송출회로부(312)와, 상기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의 동작신호(SCLK,SS)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의 제어신호(MOSI)에 포함된 통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화통화를 위한 상기 무선모뎀 및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통화회로부(313)와, 상기 제어신호(MOSI)에 포함된 저장 및 재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회로부(313)의 통화음성에 대한 저장을 제어하고, 이 저장된 통화음성에 대한 인덱스를 상기 제어부(24)로 제공하고, 선택된 통화음성에 대한 재생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314)와, 상기 메모리 제어부(314)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화회로부(313)로부터의 통화음성을 인덱스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플래쉬 메모리(315)를 포함한다.
통상, 보이스 레코더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는 통화회로부(313)가 디지털신호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와 달리 상기 통화회로부(313)가 디지털신호처리 프로세서를 별도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어의 간편화를 위해서 통화회로부에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를 포함시켜 구현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는 ADC와 DA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전화통화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에서의 핸즈프리 전화통화 기능에 대해서 성명하면, 먼저,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의 제어신호중 클럭신호(SCLK) 및 슬레이브 선택신호(SS)에 의해서 보이스 레코더(31)가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모뎀(25)을 통한 착신신호 검출시 전화벨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 벨신호는 증폭기(32)에서 증폭된후 스피커(33)를 통해 출력되어, 차량에 탑승자(또는 송화자)는 전화벨을 듣고 데이터 입력부(23)를 통해 통화키를 선택하여 상대편의 수화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S410,S411-S413).
또한, 차량에 탑승자한 송화자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핸드프리로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데이터 입력부(23)를 통해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제어신호(MOSI)로 다이얼 펄스 송출을 제어하는데, 이에 따라 보이스 레코더(31)의 다이얼 펄스 송출 회로부(312)가 다이얼 펄스를 발생하여 무선모뎀(25) 및 전화망을 통해 상대편의 수화자의 전화기로 전송하는데, 이와 동시에, 다이얼 펄스 송출신호는 스피커(33)를 통해서 출력된다. 이 다이얼 펄스 송출신호로 상대편의 응답으로 상대편과 핸드프리로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S420,S421-S425).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핸드프리기능은 보이스 레코더(31), 스피커(33)와 마이크(34)에 의해서 달성되는데, 이때, 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는 보이스 레코더(31)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보이스 레코더(31)의 통화회로부(313)는 무선모뎀을 통해 입력되는 수화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증폭기(32)를 통해 스피커(33)로 출력하고, 마이크(34)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자의 음성신호를 무선모뎀(25)으로 제공함으로서, 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동안에, 데이터입력부(23)를 통해 저장키를 선택하면, 이 선택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부(24)가 보이스 레코더(31)로 제공하고, 이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이스 레코더(31)의 통화회로부(313)에 포함된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 제어부(314)가 동작하고, 이때,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의 ADC 및 DAC 기능을 통한 디지털 음성신호를 메모리 제어부(314)의 제어에 따라 플래쉬 메모리(315)에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플레쉬 메모리(315)에 저장된 전화통화음성은 인덱스로 구분되어 저장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인덱스는 여러 가지 다양한 구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날짜 및 시간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한 바와같이 플레쉬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통화음성은 상기 데이터 입력부(23)에서 재생키를 선택하면, 상기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통화음성 리스트가 인덱스 형태로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화면표시부(35)에 표시되고, 이 리스트중에서 상기 데이터입력부(23)의 스크롤키의 조작으로 해당 전화통화음성을 선택하면, 선택된 전화통화음성이 메모리 제어부(314)의 제어에 의해 플래쉬 메모리(315)에서 통화회로부(313)의 디지털신호처리 프로세서를 통해 스피커(33)를 통해 재생 출력된다(S430,S431-433).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전화통화, 통화음성 기록 및 재생기능을 핸드프리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추가기능을 제공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에 있어서,
    10키, 전화통화키, 종료키, 기록키, 재생키 및 스크롤키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부(23);
    통화상태를 감시하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23)를 통한 통화키, 기록키, 재생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화통화, 전화통화음성의 저장, 기 저장된 전화통화음성에 대한 인덱스의 화면출력 및 선택한 전화통화음성의 재생을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호출신호 및 착신신호를 포함하는 전화신호와 통화음성신호의 변복조 과정을 수행하는 무선모뎀(25);
    음파를 전기신호를 변환하는 마이크(34);
    상기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의 동작신호(SCLK,SS)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무선모뎀(25)을 통한 착신신호 검출시 전화벨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신호(MOSI)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모뎀 및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각각 처리하고, 또한, 통화음성의 저장 및 재생을 수행하며, 그리고, 그 동작의 결과신호(MISO)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보이스 레코더(31);
    상기 보이스 레코더(31)로부터의 전화벨 신호 및 통화음성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신호증폭기(32);
    상기 신호증폭기(32)로부터의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33);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동작상태 및 통화음성 리스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 표시부(3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레코더(31)는
    상기 무선모뎀(25)을 통한 착신신호를 검출하여 전화벨신호를 발생시키는 링검출/벨 발생부(311);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다이얼 펄스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모뎀으로 제공하는 다이얼 펄스 송출회로부(312);
    상기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의 동작신호(SCLK,SS)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차량용 정보단말기 제어부(24)의 제어신호(MOSI)에 포함된 통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화통화를 위한 상기 무선모뎀 및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통화회로부(313);
    상기 제어신호(MOSI)에 포함된 저장 및 재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회로부(313)의 통화음성에 대한 저장을 제어하고, 이 저장된 통화음성에 대한 인덱스를 상기 제어부(24)로 제공하고, 선택된 통화음성에 대한 재생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314); 및
    상기 메모리 제어부(314)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화회로부(313)로부터의 통화음성을 인덱스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플래쉬 메모리(3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KR10-2002-0005317A 2002-01-30 2002-01-30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KR10042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317A KR100423408B1 (ko) 2002-01-30 2002-01-30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317A KR100423408B1 (ko) 2002-01-30 2002-01-30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625A KR20030065625A (ko) 2003-08-09
KR100423408B1 true KR100423408B1 (ko) 2004-03-18

Family

ID=3221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317A KR100423408B1 (ko) 2002-01-30 2002-01-30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4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7371B2 (ja) * 2006-12-08 2014-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625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9210B1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JP2001333143A (ja) 通信端末の着信音再生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KR20050071005A (ko) 외부음향기기를 통해 음성신호와 알림음을 출력하는휴대폰 제어방법
US8880130B2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JP2002064626A (ja) 携帯電話機
KR100423408B1 (ko)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보단말기
US7403895B2 (en) Control system outputting received speech with display of a predetermined effect or image corresponding to its ambient noise power spectrum
US2002013156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re-recording voice data for notification
KR100330081B1 (ko) 컴퓨터를 이용한 통화음 녹음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179155Y1 (ko) 휴대폰의 통화녹음장치
JP2001069205A (ja) 携帯無線電話端末を利用した音響装置
KR19990068365A (ko) 휴대폰의통화녹음장치및그방법
JP2000106685A (ja) 無線端末装置
JPH08223259A (ja) 携帯電話機
JP2008228055A (ja) 携帯電話機および留守番録音方法
JP2001069199A (ja) 着信音出力機能付き携帯端末機
US20200184984A1 (en) Recording device
KR0168799B1 (ko) 차량용 핸즈프리키트의 녹음/재생장치
KR10107168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대기음을 송출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6147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키톤 녹음 및 재생방법
JP200108621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165522Y1 (ko) 휴대폰용 음성 녹음 및 재생 장치
JP2001036669A (ja) 携帯無線電話端末
JPH03224394A (ja) ボタン電話装置
WO2000079770A1 (en) User customizable announ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