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158B1 -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 Google Patents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158B1
KR100423158B1 KR10-2000-0075965A KR20000075965A KR100423158B1 KR 100423158 B1 KR100423158 B1 KR 100423158B1 KR 20000075965 A KR20000075965 A KR 20000075965A KR 100423158 B1 KR100423158 B1 KR 100423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node
handle
exchange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505A (ko
Inventor
김성진
김영호
은상태
김진석
이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0-007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1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의 교환이 가능하며, 교환될 수 있는 헤드가 손잡이(1)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교환헤드(2)와 손잡이(1)의 결합 후 사용시에 체결된 교환헤드(2)가 손잡이(1)에 대하여 회전 또는 가변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강모들이 식재되는 식모부(3)를 포함하는 헤드와 손잡이(1)를 포함하는 칫솔에 있어서, 교환헤드(2)와 손잡이(1)가 서로에 대하여 분리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환헤드(2)의 일측은 강모들이 식재되는 식모부(3)로 이루어지고, 그 타측은 손잡이(1)와 연결되는 연결마디(4)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1)의 일측에는 상기 교환헤드(2)의 연결마디(4)를 수용하여 연결마디(4)와 결합되는 마디수용홈(7)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마디(4)의 단부에는 후크(5)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마디(4)의 교환헤드(2)와의 연결부분의 외주면에 다수의 언더컷(6)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디수용홈(7)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마디(4)의 후크(5)와 결합되는 후크걸림턱(8)이 형성되고, 상기 마디수용홈(7)의 입구 주변에는 상기 연결마디(4)의 언더컷(6)들을 수용하는 언더컷수용홈(9)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Head changeable toothbrush}
본 발명은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헤드의 교환이 가능하며, 교환될 수 있는 헤드가 손잡이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교환헤드와 손잡이의 결합 후 사용시에 체결된 교환헤드가 손잡이에 대하여 회전 또는 가변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보통 식모부 즉, 강모들이 식재된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와 이 헤드와 일체로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는 헤드의 식모부에 식재된 강모들 상에 치약을 묻혀 손잡이를 파지한 채 식모부의 강모들을 치면과 마찰시켜 치약에 의하여 잇솔질을 하여 치면을 청결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칫솔의 대부분은 손잡이와 헤드가 일체로 되어 있는 일체형 칫솔이며, 통상의 칫솔에 식재된 강모들은 일정기간 사용하면 마모가 일어나며, 강모들이 서로에 대하여 벌어지는 등 변형이 일어나서 정상적인 잇솔질이 불가능하게 되며, 칫솔은 그대로 폐기되어야만 한다. 이는 경제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며, 칫솔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의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칫솔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칫솔의 헤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이 개발되었었다. 이러한 종래의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은 헤드 부분만 교환되고, 폐기되기 때문에 손잡이 부분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한, 손잡이 부분은 계속 사용가능하며, 그에 따라 종래의 일체형 칫솔의 단점을 상당 부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은 헤드의 탈, 부착에 대한 불편함과 잇솔질시 헤드가 손잡이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손잡이를 기준으로 헤드가 돌아가는 문제 및 헤드와 손잡이 간의 결합부분에 치약 등의 이물질이 끼어 자주 세척하여야 하며, 교환용 헤드가 두꺼워서 잇솔질시 사용감이 좋지 않아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가 어렵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일체형 칫솔이 가지는 경제성 및 환경친화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헤드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손잡이에 결합된 교환헤드가 사용 중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환헤드와 손잡이 간의 결합부분에 치약 등의 이물질이 잘 끼지 않도록 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환헤드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잇솔질을 편하게 하고 그에 따라 프라그 제거효과를 높일 수 있는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을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측면도로서, 헤드 부분은 측면도로 도시하고, 손잡이 부분은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을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헤드 부분은 평면도로 도시하고, 손잡이 부분은 부분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칫솔의 헤드 부분의 측면도로서, 부분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칫솔의 헤드 부분의 평면도로서, 부분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칫솔의 손잡이 부분의 측면도로서, 부분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칫솔의 손잡이 부분의 평면도로서, 부분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손잡이 2 : 교환헤드
3 : 식모부 4 : 연결마디
5 : 후크 6 : 언더컷
7 : 마디수용홈 8 : 후크걸림턱
9 : 언더컷수용홈 10 : 안내홈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은, 강모들이 식재되는 식모부를 포함하는 헤드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칫솔에 있어서, 교환헤드와 손잡이가 서로에 대하여 분리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환헤드의 일측은 강모들이 식재되는 식모부로 이루어지고, 그 타측은 손잡이와 연결되는 연결마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는 상기 교환헤드의 연결마디를 수용하여 연결마디와 결합되는 마디수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마디의 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마디의 교환헤드와의 연결부분의 외주면에 다수의 언더컷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디수용홈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마디의 후크와 결합되는 후크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마디수용홈의 입구 주변에는 상기 연결마디의 언더컷들을 수용하는 언더컷수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교환헤드의 연결마디의 두께는 연결마디와 일체로 형성되는 교환헤드의 두께보다 90 내지 30% 축소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의 마디수용홈에는 상기 교환헤드의 연결마디의 후크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마디와 마디수용홈의 결합강도는 4 내지 8㎏f이고, 10회 이상의 탈, 부착후의 결합강도가 적어도 4㎏f 이상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은, 강모들이 식재되는 식모부(3)를 포함하는 헤드와 손잡이(1)를 포함하는 칫솔에 있어서, 교환헤드(2)와 손잡이(1)가 서로에 대하여 분리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환헤드(2)의 일측은 강모들이 식재되는 식모부(3)로 이루어지고, 그 타측은 손잡이(1)와 연결되는 연결마디(4)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1)의 일측에는 상기 교환헤드(2)의 연결마디(4)를 수용하여 연결마디(4)와 결합되는 마디수용홈(7)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교환헤드(2)와 손잡이(1)는 교환헤드(2)에 형성된 연결마디(4)와 손잡이(1)에 형성된 마디수용홈(7)들의 서로에 대한 결합으로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마디(4)의 단부에는 후크(5)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마디(4)의 교환헤드(2)와의 연결부분의 외주면에 다수의 언더컷(6)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5)는 마디수용홈(7) 내에 형성된 후크걸림턱(8)에 걸려 교환헤드(2)가 손잡이(1)로 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후크(5)는 두 개의 인출부로 구성되고, 그 인출부의 외측단부에 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턱의 외면이 원호상으로 둥글게 가공되어 상기 교환헤드(2)의 연결마디(4)를 상기 손잡이(1)의 마디수용홈(7) 내로 밀어넣는 것에 의하여 후크걸림턱(8)의 높이에도 불구하고, 인출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의하여 수축되었다가 다시 인출부 자체의 탄성으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마디수용홈(7) 내의 후크걸림턱(8)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한다. 상기 후크(5)의 인출부의 내측단부에 형성되는 모서리도 약간 둥글게 모서리를 깎아내는 가공에 의하여 교환헤드(2)의 교체를 위하여 교환헤드(2)를 손잡이(1)와 분리시킬 때 교환헤드(2)가 손잡이(1)로부터 멀어지도록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인출이 가능하게 한다. 이는 오직 상기 교환헤드(2)를 상기 손잡이(1)로부터 멀어지도록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만 교환헤드(2)가 손잡이(1)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잇솔질 등의 칫솔의 사용 중에는 교환헤드(2)가 손잡이(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마디(4)의 교환헤드(2)와의 연결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언더컷(6)들은 상기 마디수용홈(7)의 언더컷수용홈(9)들과의 결합에 의하여 교환헤드(2)가 손잡이(1)에 보다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언더컷(6)들은 적어도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 정도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언더컷(6)들이 상기 마디수용홈(7)의 언더컷수용홈(9)들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1)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교환헤드(2)가 돌아거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여 잇솔질을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들 언더컷(6)들에 의하여 상기 교환헤드(2)와 상기 손잡이(1)가 서로 보다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어 교환헤드(2)와 손잡이(1) 사이의 결합부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및 도 6에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에 형성되는 상기 마디수용홈(7)은 상기 손잡이(1)와 교환헤드(2)의 결합시 교환헤드(2)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마디(4)를 수용하여 교환헤드(2)와 손잡이(1)가 서로에 대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교환헤드(2)의 후크(5)를 수용하는 후크걸림턱(8)이 그 내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교환헤드(2)의 언더컷(6)을 수용하는 언더컷수용홈(9)들이 형성된다.
상기 교환헤드(2)의 연결마디(4)의 두께는 연결마디(4)와 일체로 형성되는 교환헤드(2)의 두께보다 90 내지 30% 축소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연결마디(4)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교환헤드(2)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교환헤드(2)의 부피는 잇솔질 시 사용자의 사용감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연결마디(4)의 두께를 가능한 한 얇게 하는 것에 의하여 교환헤드(2)의 부피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의 마디수용홈(7)에는 상기 교환헤드(2)의 연결마디(4)의 후크(5)를 안내하는 안내홈(10)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안내홈(10)은 상기 교환헤드(2)의 상기 손잡이(1)에의 결합시 상기 연결마디(4)의 후크(5)를 후크걸림턱(8)까지 미끌어져 인입되도록 안내하여 교환헤드(2)와 손잡이(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마디(4)와 마디수용홈(7)의 결합강도는 4 내지 8㎏f이고, 10회 이상의 탈, 부착후의 결합강도가 적어도 4㎏f 이상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마디(4)와 마디수용홈(7)의 결합강도가 4㎏f 미만으로 되는 경우, 사용시 교환헤드(2)와 손잡이(1)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연결마디(4)가 파괴되어 칫솔 자체가 사용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8㎏f을 초과하는 것은 오히려 칫솔이 너무 뻣뻣한 느낌을 주어 역시 사용감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교환헤드(2)와 손잡이(1)의 반복 착탈 후에도 적어도 4㎏f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칫솔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칫솔의 손잡이(1)는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G),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셀룰로오스-프로필렌 공중합체(CP ; Cellulose-propionate Copolymer) 등의 통상의 플라스틱과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EBS ; 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Copolymer) 등의 통상의 고무를 사용하여 단일 사출과 이중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며, 식모부(3)를 포함하는 교환헤드(2)와 결합하는 손잡이(1)에는 마디수용홈(7)이 형성되어 마디수용홈(7) 내의 안내홈(10)에 의하여 상기 교환헤드(2)의 후크(5)가 상기 마디수용홈(7) 내로 안내되어 후크걸림턱(8)에 걸리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교환헤드(2)와 손잡이(1)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마디수용홈(7)의 길이(C)는 10 내지 3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디수용홈(7)의 길이(C)가 10㎜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결합력이 약화되어 잇솔질시 헤드가 손잡이(1)로부터 빠질 수 있으며,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칫솔의 전체 길이가 너무 길어져서 잇솔질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식모부(3)를 포함하는 교환헤드(2)도 상기 손잡이(1)와 마찬가지로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G),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셀룰로오스-프로필렌 공중합체(CP ; Cellulose-propionate Copolymer)등의 통상의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며, 이때 교환헤드(2)의 식모부(3)는 도 2,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모들을 식재할 수 있도록 수개 내지 수십개의 홀(hole)들을 가지며, 또한 교환헤드(2)의 연결마디(4)에 두께(D) 0.5 내지 3.0㎜, 길이(L) 1.0 내지 5.0㎜로 2개의 돌출된 후크(5)를 가지며, 이때 후크(5)의 형태는 둥근형, 사각형, 삼각형 등 여러가지 모양이 될 수 있다. 또한, 칫솔의 손잡이(1)와 연결되는 교환헤드(2)의 연결마디(4)에는 높이(I) 0.3 내지 2.0㎜, 길이(H) 1.0 내지 5.0㎜의 1 내지 4개의 언더컷(6)(undercut)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교환헤드(2)와 손잡이(1)의 결합시 완전하게 결합되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칫솔의 손잡이(1)와 결합되는 부분인 연결마디(4)는 높이(A) 3 내지 10㎜, 길이(B) 10 내지 30㎜로 하며, 연결마디(4)를 제외한 목부분 크기보다 30 내지 90%의 축소된 크기로 만들어 줌으로써 적절한 결합강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환헤드(2)의 후크(5)의 두께(D), 길이(L)와 언더컷(6)의 높이(I), 길이(H) 및 연결마디(4)의 높이(A), 길이(B) 등은 최소값 이하에서는 결합력이 약해져서 잇솔질시 교환헤드(2)가 빠질 위험이 있으며, 최대값 이상에서는 결합력은 증가될 수 있으나, 탈, 부착시 불편함 및 효과적인 잇솔질을 위한 칫솔 형태가 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상호보완적인 부분들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칫솔 손잡이(1)의 마디수용홈(7)의 길이 및 두께 등과 식모부(3)를 포함하는 교환헤드(2)의 후크(5)나 연결마디(4), 언더컷(6) 등의 길이, 두께, 갯수 등은 모두 최적의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적절한 시너지효과(Synergy effect)를 갖도록 고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은 탈, 부착에 대한 불편함과 잇솔질시 교환헤드(2)가 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 및 연결부위에 치약 혹은 다른 이물질이 끼어 자주 세척해 주어야 하며, 교환헤드(2)가 두꺼워서 잇솔질시 사용감이 좋지 않다는 점을 개선하여 손잡이(1)에 식모부(3)를 포함하는 교환헤드(2)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실험예 1 ; 소비자의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의 형태를 내부공간(cavity)로 갖는 금형을 준비하여 이중 사출 기술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제조한 칫솔을 실시예로 하고, 기존의 식모부(3) 교체형 칫솔을 비교예로 하여 소비자의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 평가는 성인 남녀 각 15명씩 30명의 패널리스트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칫솔을 30일의 기간 동안 사용토록 한 후,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를 5점 비교법으로 하여 그 평균값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사용성 선호도
실시예 비교예
탈,부착시 편리성 3.7 3.5
잇솔질시 결합력 4.1 3.3
잇솔질시 양치감 3.8 2.7
이물질 부착방지 효과 4.0 3.1
전반적인 만족도 3.9 3.0
* 평가기준 ; 5(매우 양호), 4(양호), 3(보통), 2(불량), 1(매우 불량)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 면에서 훨씬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 발명의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이 잇솔질시 결합력, 양치감 및 이물질 방지 등의 모든 사용성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교환헤드(2)와 손잡이(1) 간의 결합 강도 평가
실시예의 칫솔의 경우, 교환헤드(2)와 손잡이(1) 간의 결합 강도 측정은 만능시험기(독일 Zwick사의 제품명 Zwick 1120)를 이용하여 손잡이(1) 부분을 고정하고, 교환헤드(2)의 식모부(3)를 잡고 결합 부위가 빠질 때까지 당겼을 때 걸리는 최대힘(㎏f)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예의 칫솔의 경우, 동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손잡이(1) 부분을 고정시킨 후, 압축봉으로 교환헤드(2)의 식모부(3) 결합 부위를 수직방향으로 교환헤드(2)가 빠질 때까지 누르고, 이때 걸리는 최대힘(㎏f)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소비자가 잇솔질시 결합 부위가 빠지지 않고 가장 만족하는 최적의 결합강도는 4 내지 8㎏f의 값으로 나타났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결합강도(㎏f) 6.5±0.3 3.2±0.1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의 칫솔은 3.2㎏f로 잇솔질시 최적의 결합강도인 5㎏f 이하인데 비하여, 실시예의 칫솔은 6.5㎏f의 값으로 소비자가 가장 만족할 수 있는 최적의 결합 강도를 나타내어 더욱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반복 탈착에 따른 결합 강도 추이 비교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의 칫솔을 상기의 실험예 2에서 실시한 결합 강도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탈착 횟수를 10정도 반복 했을 경우의 변화되는 결합 강도 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탈착 횟수 결합강도(㎏f)
실시예 비교예
1회 6.5±0.2 3.2±0.1
2회 6.3±0.2 3.0±0.1
3회 5.9±0.1 2.7±0.2
5회 5.6±0.2 2.3±0.1
10회 5.2±0.4 2.2±0.1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의 칫솔이 반복 탈착 실험시 결합 강도 값의 변화가 크며, 특히 3회 이상의 탈착을 반복하면 3.0㎏f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잇솔질시 빠질 우려가 있는데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칫솔은 10회 이상의 반복 탈착 실험 후에도 약 5㎏f의 값으로 소비자가 가장 만족할 수 있는 최적의 결합 강도를 유지시켜 준다는 측면에서 더욱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은 교환헤드(2)의 탈, 부착에 대한 불편함과 잇솔질시 교환헤드(2)가 빠질 수 있다는 치명적인 문제점 및 헤드와 손잡이(1) 간의 결합 부분 주위에 치약 혹은 이물질이 끼어서 자주 세척을 해주어야 하며, 교환헤드(2)가 두꺼워서 잇솔질시 사용감이 좋지 않아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를 할 수 없다는 단점들을 개선하였으며, 또한 사용성에 있어서도 전반적인 만족도가 기존의 칫솔들에 비하여 훨씬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강모들이 식재되는 식모부(3)를 포함하는 헤드(2)와 손잡이(1)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2)가 손잡이(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교환헤드(2)이고, 상기 교환헤드(2)의 일측은 강모들이 식재되는 식모부(3)로 이루어지고, 그 타측은 손잡이(1)와 연결되는 연결마디(4)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의 일측에는 상기 교환헤드(2)의 연결마디(4)를 수용하여 연결마디(4)와 결합되는 10 내지 30㎜ 길이의 마디수용홈(7)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마디(4)의 단부에는 두께가 0.5 내지 3.0㎜이고 길이가 1.0 내지 5.0㎜인 두개의 인출부로 구성된 후크(5)가 형성되고, 여기서 후크(5)의 인출부는 그의 외측단부에 원호상의 둥근턱이 있고, 그의 내측단부에는 둥글게 깍여진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마디(4)의 교환헤드(2)와의 연결부분의 외주면에 높이가 0.3 내지 2.0㎜이고 길이가 1.0 내지 5.0㎜인 1 내지 4개의 언더컷(6)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디수용홈(7)에는 상기 교환헤드(2)의 연결마디(4)의 후크(5)를 안내하는 안내홈(10)이 형성되고, 상기 마디수용홈(7)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마디의 후크와 결합되는 후크걸림턱(8)이 형성되고, 상기 마디수용홈(7)의 입구 주변에는 상기 연결마디(4)의 언더컷(6)들을 수용하는 언더컷수용홈(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교환헤드(2)의 연결마디(4)의 두께는 연결마디(4)와 일체로 형성되는 교환헤드(2)의 두께보다 90 내지 30% 축소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마디와 마디수용홈의 결합강도는 4 내지 8㎏f이고, 10회 이상의 탈, 부착후의 결합강도가 적어도 4㎏f 이상이 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KR10-2000-0075965A 2000-12-13 2000-12-13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KR100423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965A KR100423158B1 (ko) 2000-12-13 2000-12-13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965A KR100423158B1 (ko) 2000-12-13 2000-12-13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505A KR20020047505A (ko) 2002-06-22
KR100423158B1 true KR100423158B1 (ko) 2004-03-18

Family

ID=2768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965A KR100423158B1 (ko) 2000-12-13 2000-12-13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75A (ko) * 2001-11-06 2003-05-17 정정수 칫솔
KR100930048B1 (ko) * 2007-09-21 2009-12-08 지우솔루션주식회사 분리형 칫솔
KR101339558B1 (ko) 2012-04-12 2013-12-10 김정환 헤드 교체형 칫솔
KR200466641Y1 (ko) * 2013-03-08 2013-04-29 김창호 결합력이 향상된 분리형 칫솔
KR200486759Y1 (ko) * 2017-08-31 2018-06-27 김종문 기능성 칫솔
US20220125187A1 (en) * 2020-10-26 2022-04-28 F.S.Korea Industries Inc. Cosmetic brus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6459U (ko) * 1974-03-26 1975-10-17
KR830002162U (en) * 1982-04-19 1983-11-14 Yeong Heui Maeng Head change type tooth-brush
US5058230A (en) * 1990-06-04 1991-10-22 Milton Hodosh Toothbrush with replaceable tip portion
KR940026023U (ko) * 1993-05-20 1994-12-08 김용식 분해 조립이 용이한 1회용 면도기 겸용 치솔
US5774921A (en) * 1991-11-25 1998-07-07 Zooth, Inc. Child's utensi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6459U (ko) * 1974-03-26 1975-10-17
KR830002162U (en) * 1982-04-19 1983-11-14 Yeong Heui Maeng Head change type tooth-brush
US5058230A (en) * 1990-06-04 1991-10-22 Milton Hodosh Toothbrush with replaceable tip portion
US5774921A (en) * 1991-11-25 1998-07-07 Zooth, Inc. Child's utensil
KR940026023U (ko) * 1993-05-20 1994-12-08 김용식 분해 조립이 용이한 1회용 면도기 겸용 치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505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2668B1 (ja) ブラシ楊枝
AU2018205151B2 (en) Oral care implement
RU2145180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варианты)
CN107105875B (zh) 口腔护理器具
US5058230A (en) Toothbrush with replaceable tip portion
RU2352233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гибкой головкой
CN107105882A (zh) 口腔护理器具
HU221790B1 (hu) Fogköztisztító és eljárás annak előállítására
EP1217917A1 (en) Toothbrush having a bristle pattern providing enhanced cleaning
TW201626921A (zh) 具有多組件握柄之口腔保健用具(二)
JP3191472U (ja) 機能を向上した楊枝
KR100423158B1 (ko) 헤드의 교환이 가능한 칫솔
KR100457477B1 (ko)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KR100403967B1 (ko) 리필형 칫솔
JP5556243B2 (ja) 歯ブラシ
JP4544781B2 (ja) 歯ブラシ
KR101860855B1 (ko) 3방향 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KR200484576Y1 (ko) 칫솔
KR20110002319U (ko)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갖는 치간 세정 도구
KR100419403B1 (ko) 교체형 칫솔
KR20130006411A (ko) 치간 칫솔을 포함하는 칫솔
KR20210111087A (ko) 칫솔모의 착탈식 칫솔
KR101798975B1 (ko) 칫솔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19990017624U (ko) 실리콘칫솔
JP3129329U (ja) ホルダー付きデンタル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