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092B1 -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092B1
KR100423092B1 KR10-2001-0007681A KR20010007681A KR100423092B1 KR 100423092 B1 KR100423092 B1 KR 100423092B1 KR 20010007681 A KR20010007681 A KR 20010007681A KR 100423092 B1 KR100423092 B1 KR 10042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cellulose
acetobacter
producing
bacterioc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226A (ko
Inventor
변유량
국무창
최찬익
Original Assignee
변유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유량 filed Critical 변유량
Priority to KR10-2001-000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0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9/00Processes involving microorganisms of different genera in the same process, simultaneous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과,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정치 혼합 배양 또는 교반 혼합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젖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에 의해 잡균 오염이 방지되고 셀룰로오스 수율이 현저히 향상된다.

Description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Producing method of microbial cellulose by mixed culture}
본 발명은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 생산균주와 항균 펩타이드 생산균주와의 혼합배양을 이용하여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오스(cellulose)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고분자 다당류로써 포도당의 β-1,4 결합으로 이루어진 물질이며, 고등식물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광합성에 의하여 매년 재생산되는 생물자원이다.
이러한 셀룰로오스는 펄프자원 등 각종 산업적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화장품 및 의약품의 소재, 스피커 진동판의 소재, 종이코팅제, 고품질의 종이제조시 첨가제 등 다양한 용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중 미생물에서 생산되는 셀룰로오스를 미생물 셀룰로오스(microbial cellulose)라고 하며, 미생물 셀룰로오스는 식물 셀룰로오스에 비해 섬유결정도, 보수성, 흡착성 및 포괄성이 높은 특성 때문에 고강도 및 고탄력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체에서 분해되지 않는 식이 섬유로서 건강 보조 식품이며, 일부 국가에서는 디저트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균주로는 아세토박터(Acetobacter)속, 리조비움(Rhizobium)속 및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속 등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 생산수율이 가장 우수한 미생물은 호기성이고 그램음성인 아세토박터 자일리늄(Acetobacter xylinum)이다.
아세토박터 자일리늄을 호기적 조건에서 정치배양하면 균막(pellicle)형태로 배양액의 표면에서 3차원 망상 조직의 셀룰로오스가 생산되며, 이 막 속에서 균체가 증식하는 특성을 보인다.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정치배양보다 교반배양이 경제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은 교반배양에서 전단력에 의해서 셀룰로오스를 생산하지 못하는 돌연변이(Cel-)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 아세토박터 자일리늄을 이용하여 셀룰로오스를 생산함에 있어서는 교반배양은 일반적으로 정치배양보다 수율이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현재 산업적 규모로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정치배양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배양에서는 배양속도가 느려 장시간의 배양이 필요하며, 산업현장에서는 5-15일간 정치배양한다. 이때 배양환경을 완전히 무균상태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배지에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pH를 3.5-5.0 정도의 산성으로 조절한다.
그러나 배지의 pH를 산성으로 하면 오염을 어느정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완전히 방지할 수 없으므로 잡균이 오염되어 배양물 전체를 폐기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며, 미생물 셀룰로오스 생산균주의 생장이 저해되고 품질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생산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항균 펩타이드인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과, 셀룰로오스 생산균주인 아세토박터를 혼합배양함으로써 항생물질인 박테리오신을 이용하여 산업적 생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잡균의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셀룰로오스 생산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아세토박터 자일리늄과 락토코커스 락티스를 혼합하여 플라스크 정치배양한 경우의 셀룰로오스생산을 경시적으로 측정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세토박터 자일리늄과 락토코커스 락티스를 혼합하여 발효조 교반배양한 경우의 셀룰로오스생산을 경시적으로 측정한 그래프,
도 3은 아가 웰 확산법에 의해 박테리오신에 의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의 생장저해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과,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정치 혼합 배양 또는 교반 혼합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에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배양한 배양액에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정제 또는 부분정제한 박테리오신을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 배양용 배지에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 배양용 배지에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미생물로는 아세토박터속의 미생물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아세토박터속의 미생물 중에서도 현재 셀룰로오스 생산미생물 중 생산수율이 가장 높은 미생물로 알려져 있는 아세토박터 자일리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중에서도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성이 우수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5(특허 제231917호, 기탁번호 KCCM-10100), BRC20, BRC21(기탁번호 KFCC 11270), BRC22, BRC23, BRC24, BRC25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세토박터 자일리늄과 혼합배양하기 위한 미생물로는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미생물로서 항균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균주를 사용한다. 항균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미생물 중에서도 오랫동안 사람들이 안전하게 먹어온 젖산균 중에서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미생물이면 어느 미생물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젖산균 중에서도 김치에서 분리·동정되고 박테리오신 생산성이 매우 우수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A164(Lactococcus lactissubsp.lactisA164, 특허 0273742) 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 균을 혼합배양하기 전에 먼저 별도로 전배양을 하여 각 균의 상태를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토박터와 락토코커스의 혼합배양을 위한 배지로는 아세토박터와 락토코커스가 성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미생물 셀룰로오스 생산용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생물 셀룰로오스 생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배지인 HS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미생물 셀룰로오스 생산용 배지에 아세토박터와 락토코커스의 탄소원인 당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탄소원이 되는 당으로는 미생물이 자화할 수 있는 포도당, 과당, 락토오스, 갈락토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아세토박터의 탄소원인 포도당과 락토코커스의 탄소원인 락토오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의 첨가량은 필요 및 배양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배지에 대해 2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세토박터와 락토코커스를 혼합배양함에 있어서 혼합비율은 배양조건에 따라 다양한 비율로 조절할 수 있으나, 10:1 내지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1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양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 균을 혼합배양할 때 배양법으로는 플라스크배양이나 발효조배양을 사용하며, 플라스크배양이나 발효조배양은 정치 또는 교반상태에서 진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 미생물을 동시에 혼합배양용 배지에 접종하는 방법 외에도,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먼저 단독배양하여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도록 한 후 박테리오신이 생산된 배양액에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접종하여 혼합배양할 수 있다.
또한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먼저 단독배양하여 박테리오신이 포함된 배양액을 만든 후, 셀룰로오스 생산용 배지에 상기 박테리오신 배양액을 첨가하거나 상기 배양액에서 박테리오신을 정제 또는 부분정제하여 첨가하고 셀룰로오스 생산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두균의 혼합배양에 의하여 잡균의 오염이 방지될 뿐 아니라 셀룰로오스 생산수율이 현저히 향상된다. 이는 젖산균이 박테리오신 이외의 젖산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물질을 생산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세토박터 자일리늄과 락토코커스 락티스의 혼합정치배양
셀룰로오스 생산균주인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과, 박테리오신 생산균주인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A164를 먼저 별도로 전배양하였다.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은 탄소원으로 2% 포도당이 첨가된 HS배지(포도당 20.00g/ℓ, 효모추출물 5.00g/ℓ, 박토펩톤 5.00g/ℓ, 인산나트륨 2.70g/ℓ, 구연산 1.15g/ℓ)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250㎖ 삼각플라스크에 50㎖ HS배지를 분주하고 120℃에서 15분간 살균한 후에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각각 접종하고, 진탕배양기에서 30℃, 150rpm으로 38시간 배양하였다.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A164는 탄소원으로 0.5% 락토오스가 첨가된 M17 배양액(트립톤 5.00g/ℓ, 소이톤 5.00g/ℓ, 쇠고기추출물 5.00g/ℓ, 효모추출물 2.50g/ℓ, 아스코르브산 0.50g/ℓ, 황산마그네슘 0.25g/ℓ, 디소디움-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19.00g/ℓ) 5㎖에 접종하여 30℃에서 16시간 정치배양하였다.
250㎖ 삼각플라스크에 0.6% 포도당과 0.4% 락토오스가 혼합된 HS 배지 50㎖를 넣고 120℃에서 15분간 살균한 후에 상기 전배양된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A164 1%와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5% 접종하여 30℃에서 160시간동안 정치배양하였다.
(실시예 2)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배양액에 락토코커스 락티스 배양액의 첨가 정치배양
포도당이 2% 첨가된 HS배지 37.5㎖와 실시예 1의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A164의 전배양액 12.5㎖을 250㎖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120℃에서 15분간 살균한 후에 실시예 1의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의 전배양액을 5% 접종하여 30℃에서 160시간 동안 정치배양하였다.
(실시예 3)
아세토박터 자일리늄과 락토코커스 락티스의 혼합교반배양
셀룰로오스 생산균주인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사용하고, 박테리오신 생산균주인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A164를 먼저 별도로 전배양하였다.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은 탄소원으로 2% 포도당이 첨가된 HS배지(포도당 20.00g/ℓ, 효모추출물 5.00g/ℓ, 박토펩톤 5.00g/ℓ, 인산나트륨 2.70g/ℓ, 구연산 1.15g/ℓ)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250㎖ 삼각플라스크의 50㎖ HS배지에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접종하고, 진탕배양기에서 30℃, 150rpm으로 38시간 배양하였다.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A164는 탄소원으로 0.5% 락토오스가 첨가된 M17 배양액(트립톤 5.00g/ℓ, 소이톤 5.00g/ℓ, 쇠고기추출물 5.00g/ℓ, 효모추출물 2.50g/ℓ, 아스코르브산 0.50g/ℓ, 황산마그네슘 0.25g/ℓ, 디소디움-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19.00g/ℓ)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락토코커스를 5㎖ M17배양액에 접종하여 30℃에서 16시간 정치배양하였다.
5ℓ소형발효조에 1.6% 포도당과 0.4% 락토오스가 혼합된 HS 배지 2ℓ를 넣고 120℃에서 15분간 살균한 후에 전배양된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A164 1%를 먼저 접종하여 30℃, 100rpm으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에 전배양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5% 접종하여 30℃, 0.25vvm으로 교반배양하였다. 교반속도는 초기 2시간동안에는 500rpm, 대수기 이후로는 1,000rpm으로 조절하였고, DO제어기를 사용하여 배양액 내의 용존산소량을 조절하였다.
(비교예 1)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의 단독 정치 배양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은는 탄소원으로 2% 포도당이 첨가된 HS배지(포도당 20.00g/ℓ, 효모추출물 5.00g/ℓ, 박토펩톤 5.00g/ℓ, 인산나트륨 2.70g/ℓ, 구연산 1.15g/ℓ)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250㎖ 삼각플라스크의 50㎖ HS배지에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5를 각각 접종하고, 진탕배양기에서 30℃, 150rpm으로 38시간동안 전배양하였다.
전배양을 한 후 배양액을 4℃, 8,000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동량의 HS 배지를 첨가하여 균 현탁액을 조제하여 접종균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접종균을 50㎖ HS 배지가 들어있는 250㎖ 삼각플라스크에 5% 접종하여 30℃에서 160시간 동안 정치배양하였다.
(실시예 4)
미생물 셀룰로오스 생산수율의 비교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생산된 셀룰로오스의 생산 수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배양이 종료된 배양액을 여과하여 생성된 셀룰로오스 덩어리를 회수하였다. 셀룰로오스 덩어리에 존재하는 균체 등 단백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1% NaOH 수용액에 침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다음에 1% 아세트산 용액에 침지하여 중화처리 하였다. 중화처리 후에 충분히 수세하고 진공건조하여 얻어진 건조물의 중량을 칭량하여 생성된 셀룰로오스 양으로 하였다.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과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를 동시에 접종하여혼합정치배양한 실시예 1에서 생산된 셀룰로오스의 양은 5.97g/ℓ이었다. 또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A164의 전배양액을 25% 첨가하고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배양한 실시예 2에서 생산된 셀룰로오스 양은 6.2g/ℓ이었다. 또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를 전배양한 후 이 배양액에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접종하여 교반배양한 실시에 3에서 생산된 셀룰로오스의 양은 6.02g/ℓ이었다. 반면 아세토박터 자일리늄의 단독정치배양인 비교예 1에서는 4.02g/ℓ의 미생물 셀룰로오스가 생산되었다.
이 결과에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과 락토코커스 락티스를 혼합배양함으로써 아세토박터 자일리늄을 단독배양할 때보다 약 50% 정도 수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배양방법에 따른 미생물 셀룰로오스 생산수율
1.6% 포도당과 0.4% 락토오스를 혼합한 탄소원에서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를 먼저 접종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접종하여, 플라스크 정치배양 및 발효조 교반배양하였다. 배양에 따른 균체증식과 셀룰로오스생산을 경시적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의 그래프에서,는 세포의 광학적 농도,는 pH,는 셀룰로오스 농도,는 박테리오신 활성,는 포도당 농도,는 글루콘산 농도, ◆는 락토오스의 농도, ◇는 젖산의 농도, -는 용존산소량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플라스크 정치배양에서는 아세토박터 자일리늄BRC21을 첨가한 때부터 셀룰로오스가 생성되기 시작하였으나 배양 50시간을 전후로 급속히 생산되기 시작하여 배양 종료시(배양 160시간)에는 6.2g/ℓ(0.62%의 농도)가 생산되었다. 기질당 수율(YP/S)은 0.31로 단독배양의 수율 0.2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발효조 교반배양에서도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첨가한 때부터 셀룰로오스가 생성되기 시작했으나 배양 30시간을 25시간을 전후로 급속히 생산되기 시작하여 배양 종료시(배양 60시간)에는 5.7g/ℓ(0.57%의 농도)가 생산되었다. 기질당 수율(YP/S)은 0.29로 단독배양의 수율 0.2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상기의 결과에서 최종 기질당 수율은 플라스크 정치배양이 더 높으나, 동일시간 배양시 발효조 교반배양에서의 수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와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의 혼합배양의 최적 배양조건확인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와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의 혼합배양시 최적 탄소원조성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포도당과 락토오스의 혼합비를 달리하여 배양하였다.
기본배지로는 HS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다른 배양조건은 동일하되 탄소원으로 포도당과 락토오스의 혼합비를 달리하면서 총 2%를 첨가하고 30℃에서 160시간 동안 정치배양을 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대조구에 대해서 실험하였으며, 대조구 1은 HS배지(2% 포도당)에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를 단독배양한 경우, 대조구 2는 HS배지(2% 과당)에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를 단독배양한 경우, 대조구 3은 M17배지(0.5% 락토오스)에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와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의 혼합배양한 경우이다.
생산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셀룰로오스농도(g/ℓ)
대조구 1 4.02
대조구 2 2.26
대조구 3 3.15
2% 포도당 3.39
1.9% 포도당 + 0.1% 락토오스 4.14
1.8% 포도당 + 0.2% 락토오스 4.69
1.7% 포도당 + 0.3% 락토오스 4.75
1.6% 포도당 + 0.4% 락토오스 5.97
1.5% 포도당 + 0.5% 락토오스 4.87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포도당만을 첨가한 경우에 비해 포도당과 락토오스를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생산량이 증가되었다. 또한 1.6%의 포도당과 0.4%의 락토오스를 첨가한 배지에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과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 균을 혼합배양하였을 때 셀룰로오스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이때 박테리오신활성은 4086AU/㎖로 M17배지(0.5% 락토오스)에서의 활성인 8196 AU/㎖에 비하여 낮았다.
(실시예 7)
아가 웰 확산법을 통한 박테리오신에 의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의 저해여부확인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와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의 혼합배양시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에 의해 생산된 박테리오신이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에 미치는 저해영향을 확인하였다.
저해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아가웰 확산법(Agar well diffusion assay)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에 의해 생산된 박테리오신은 셀룰로오스 생산균주인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의 생육 및 그에 따른 셀룰로오스의 생산을 저해하지 않았다.
(실시예 8)
아세토박터 자일리늄의 정치배양 과정에서 오염도 조사
2% 포도당이 첨가된 HS배지에서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를 평판형 플라스틱 상자 (가로 30㎝ ×세로 15㎝ ×높이 5㎝)에서 정치배양하였다. 플라스틱 상자에 배양액을 2㎝높이 만큼 채우고 BRC21 균주 전배양액을 5% 접종한 후 살균한 가제를 덮어서 30℃ 항온실에서 일주일간 정치배양하면서 잡균의 오염을 현미경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대조구로서 포도당 1.6%와 0.4%의 락토오스를 첨가한 HS배지에 이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과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를 각각 0.5% 접종하여 동일방법으로 정치배양하였다.
실험군 총시료수 오염된 시료수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단독배양 20 0 0 0 1 0 2 1 4
혼합배양 20 0 0 0 0 0 1 0 1
정치배양 과정 중에 오염발생 정도를 관찰한 결과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를 단독배양한 경우 3일까지는 잡균이 오염되지 않았으나 4일째는 플라스틱 상자 1개, 6일째는 2개, 7일째 1개로 총 4개의 상자가 오염되어 약 20%의 오염율을 보였다. 그러나 대조구인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과 락토코커스 락티스 A164를 혼합배양한 경우에는 6일째에 단지 1개의 상자에서만 오염균이 관찰되어 현저히 오염율이 감소되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과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혼합배양함으로써 젖산균의 대사과정에서 생산되는 젖산 등이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에 의한 셀룰로오스의 생산을 촉진하여 생산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동시에, 또한 젖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이 장시간 배양시 문제가 되는 잡균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므로 장시간 배양해도 아세토박터의 성장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이에 의해서도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3)

  1.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과,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정치 혼합 배양 또는 교반 혼합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2.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배양한 배양액에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3.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정제 또는 부분정제한 박테리오신을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 배양용 배지에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 배양용 배지에 아세토박터 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KR10-2001-0007681A 2001-02-16 2001-02-16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KR10042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681A KR100423092B1 (ko) 2001-02-16 2001-02-16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681A KR100423092B1 (ko) 2001-02-16 2001-02-16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226A KR20020067226A (ko) 2002-08-22
KR100423092B1 true KR100423092B1 (ko) 2004-03-18

Family

ID=2769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681A KR100423092B1 (ko) 2001-02-16 2001-02-16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143B1 (ko) * 2006-08-17 2008-02-05 주식회사 바이넥스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에의혼합배양 방법
DE102010012437A1 (de) 2010-03-19 2011-09-22 Friedrich-Schiller-Universität Jena Mehrphasige Biomaterialien auf Basis bakteriell synthetisierter Nanocellulos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2088350B1 (ko) * 2010-10-26 2020-03-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바이오셀룰로오스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MX2017009180A (es) 2015-01-15 2018-03-28 JeNaCell GmbH Biomateriales de nanocelulosa sintetizada bacterialmente y de fases múltiples, y método para producirlos.
KR102310365B1 (ko) 2015-06-30 2021-10-08 (주)아모레퍼시픽 인장강도가 강화된 바이오셀룰로오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8446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베스트앤퍼스트바이오텍 개선된 마스크, 마스크 팩, 및 그 제조 방법
WO2023136404A1 (ko) * 2022-01-11 2023-07-20 대상 주식회사 이종 미생물 혼합 발효에 의한 조미소재의 제조방법
CN114752083A (zh) * 2022-05-26 2022-07-15 华中科技大学 利用超疏水界面原位培养细菌纤维素水凝胶微球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226A (ko)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s et al. Isolation, purification & mass production of protease enzyme from Bacillus subtilis
Okiyama et al. Bacterial cellulose I. Two-stage fermentation process for cellulose production by Acetobacter aceti
Neera et al. Occurrence of cellulose-producing Gluconacetobacter spp. in fruit samples and kombucha tea, and production of the biopolymer
Goncalves et al. Inert supports for lactic acid fermentation—a technological assessment
CN102660461A (zh) 一种缩短烟叶发酵周期的微生物制剂及其应用
CN115322912B (zh) 麦角硫因高产菌株及其筛选方法和应用
CN113736716B (zh) 一株副干酪乳杆菌及黄贮复合生物发酵剂和黄贮方法
KR100423092B1 (ko) 혼합배양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방법
CN101487033A (zh) 微生物发酵直接生物合成细菌纤维素异型产品
CN105671115B (zh) 一种构建微生物共培养体系产细菌纤维素的方法
JPH051718B2 (ko)
John et al. Production of L (+) lactic acid from cassava starch hydrolyzate by immobilized Lactobacillus delbrueckii
KR20050022591A (ko) 맥주 발효 폐효모액을 이용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제조방법
JP5445822B2 (ja) 有機廃棄物分解作用を示す微生物、微生物組成物、有機廃棄物の分解方法および堆肥の製造方法
CN113174342B (zh) 高效降解氨基甲酸乙酯的菌株及其应用
CN108102981A (zh) 一种提高丁酸梭菌筛选效率的培养基
Dobreva et al. Immobil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cells, producers of thermostable α-amylase, on polymer membranes
WO2022136277A1 (en) Bacterial strains for biocellulose production
CN1141383C (zh) 一种蜡状芽孢杆菌及其制备方法
Al-Baarri et al. Glucose and D-Allulose contained medium to support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Zhu et al. Enhancement of bacterial cellulose production 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FALAHAT et al.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a protease from an alkalophilic Bacillus sp. 2-5 strain isolated from soil
CN116790692A (zh) 一种纳米银辅助开放式发酵生产细菌纤维素膜的方法
NZ221455A (en) Microbial production of cellulose
JP5445821B2 (ja) 有機廃棄物分解作用を示す微生物、微生物組成物、有機廃棄物の分解方法および堆肥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