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383B1 -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383B1
KR100422383B1 KR10-1998-0702318A KR19980702318A KR100422383B1 KR 100422383 B1 KR100422383 B1 KR 100422383B1 KR 19980702318 A KR19980702318 A KR 19980702318A KR 100422383 B1 KR100422383 B1 KR 10042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ans
terminal device
display
input means
functio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848A (ko
Inventor
유하니 쿠피아이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6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말 장치(30)가 개시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예를들어 이동국 또는 고정 단말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는 제1 기능모드에서 사용되는 제1 입력수단과 제1 디스플레이 수단(23) 및 제2 기능모드에서 사용되는 제2 입력수단(31,32)과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을 포함한다. 싱기 단말장치는 상호 이동될 수 있는 제1 부분(201)과 제2 부분(202)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1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 수단(23) 및 제2 입력수단(31,32)과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은 다음의 방법으로 제1 부분(201)과 제2 부분(202)에 위치한다. 제1 기능모드에서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제1 입력수단 및 제1 디스플레이 수단(23)을 포함하고, 제2 기능모드에서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제2 입력수단(31,32) 및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에 의하여 음성 전송 접속들과 텍스트/데이터 전송 접속들의 모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종래에는 이동전화 또는 고정 네트워크 전화가 주로 음성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문자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도 전송하고 처리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단말장치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는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다 진보된 기능들은 단말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특별한 요구사항들을 제시한다.
도 1에는 종래의 알려진 이동전화를 도시하였다. 이동국(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숫자 키패드(11), 기능 키패드(12) 및 디스플레이(13)를 포함한다. 숫자 키패드(11)는 접속이 요구되는 전화 번호를 이동국에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들(예를들어 0에서 9)을 포함한다. 또한, 숫자 키패드(11)는 일반적으로 몇몇 부호 키들을 포함한다. 기능 키패드(12)는 이동국 또는 통신 시스템의 기능들을 활성화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도 1에는 이동국의 수화구(14), 마이크로폰(15) 및 안테나(16)를 도시하였다.
이동국(10)은 접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동국(10)은 기능 키패드(12)의 키에 의하여 활성모드로 접속되고, 그 다음에 이동국(10)은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형성하며, 상기 접속은 이동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들에 계속하여 접속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접속하기를 희망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와 같은 가입자 코드를 입력하기 위하여 이동국의 숫자키들(11)을 사용한다. 상기 숫자가 바르게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입력숫자는 이동국의 디스플레이(11)상에 표시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접속키를 누름으로써, 이동국이 가입자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활성화시킨다. 그러면 상기 이동 네트워크는 선택된 가입자 코드에 해당하는 다른 단말장치와의 접속을 형성한다.
또한, 일상적인 통화들과 더불어, 특히 디지털 셀방식 시스템에서 텍스트 형태의 짧은 메시지들, 텔레팩스 메시지들,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이동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송 또는 수신 데이터는 이동국내에서 또는 이동국에 접속되는 컴퓨터내에서 처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국은 효율적인 프로세서를 구비하기 때문에 그 이동국내에서 간단한 텍스트 메시지들의 입력, 처리 및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국들이 더 발전된다면 향후에는 그 이상의 정보처리에사용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컴퓨터로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동국들은 뉴스와 같은 공중 텍스트 정보가 이동국에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대중 전달 매체에서도 사용되어질 것이다.
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때는 긴 텍스트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많은 텍스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이동국들에서는 프론트 패널 사용자 표면의 주요 부분이 키패드, 수화구, 및 마이크로폰을 위하여 사용되므로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잔여 면적이 작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들어갈 수 있는 텍스트의 양이 매우 적다. 작은 부분의 디스플레이로 정보를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오직 소량의 텍스트 정보만이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므로 많은 양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정보를 전체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어렵다.
텍스트 정보의 전송을 위해서는 숫자들만을 입력하는 것과 더불어 글자들 및 특수 부호들을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이동국은 가능한 한 작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키들의 수도 최소화된다. 이는 만일 키들의 수가 많으면 키 버튼들의 크기와 상기 키들의 상호 간격이 작게 되어 통상의 음성통화에서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음성 통화 모드에서 이동국은 종종 한손만으로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우연히 인접한 버튼들을 활성화할 위험성이 없이 용이하게 버튼들을 누를 수 있어야 한다. 즉, 만일 이동국의 프론트 패널이 각 알파벳 및 숫자 문자에 대하여 하나의 버튼이 장착된다면 버튼들의 크기 및 간격이 작아져서 통상적인 음성통화들을 위한 키패드 사용이 매우 어렵게 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숫자들을 위하여 준비된 키들이 글자들을 입력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텍스트의 입력을 해결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각 숫자 키에는 숫자와 더불어 세 개의 글자들이 마킹되어 있다. 글자들의 입력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이동국의 특정 기능키를 누르면 키패드가 글자 입력 모드로 설정된다. 그 다음 숫자/글자 키가 첫 번째로 눌리어지면 상기 키 상에 마킹된 첫 번째 글자가 장치의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로 전송된다. 만일 상기 키가 빠르게 두 번째로 눌리어지면 메모리내와 디스플레이내의 상기 글자는 상기 키 버튼상에 마킹된 두 번째 글자로 변경된다. 만일 상기 키가 역시 빠르게 세 번째로 눌리어지면 메모리내와 디스플레이내의 상기 글자는 상기 키 버튼상에 마킹된 세 번째 글자로 변경된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키를 누른 다음 소정의 시간동안 대기하면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난 글자는 입력 글자로 결정되고, 다음으로 이동국은 다음 글자 입력을 기다리기 시작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키를 한 번, 두 번, 또는 세 번 누름으로써 키 버튼상에 마킹된 모든 글자들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 누름간의 시간은 소정의 시간폭 미만이어야 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다음 글자를 입력하기 전에 최소한 상기 시간 동안 대기하여야 한다.
상술한 종래의 알려진 해법은 많은 단점들이 있다. 첫 번째로, 한 글자를 입력하는데 평균적으로 하나의 버튼을 두 번 눌려야 한다. 두 번째로, 사용자는 두 글자를 입력하는 사이에 최소한 소정 시간만큼 대기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기록이 매우 늦어지게 된다. 더욱이 누름간의 시간을 측정하기가 그다지 쉽지 않고, 따라서 기록할 때 많은 실수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해법에는 교대로 숫자 입력 모드와 글자 입력 모드로 이동국의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텍스트내에 숫자들과 글자들을 동시에 입력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 해법에서는 특수부호들을 입력하는 것이 전혀 가능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되어질 텍스트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이동국에 접속되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영숫자 키보드와 큰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이동국 단말장치는 통상 이동국과 랩톱(laptop) 컴퓨터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장치는 케이블로 연결되는 두 개의 개별적인 장치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조합을 운반하고 사용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다. 그리고 휴대용 컴퓨터는 또한 상대적으로 크고 무겁다. 상기 조합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많은 테이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더욱이 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들을 시작하는데는 시간이 필요한다. 고정 단말 장치에서도 텍스트 정보를 처리할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몇가지 서비스들은 전화를 통하여 제공되며, 여기서 전화의 키패드에 의하여 선택 작업들이 수행된다. 하지만 입력 수단으로서 숫자 키패드는 상당히 한정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서비스 중에는 뱅킹(banking) 서비스와 같이 계좌 일람표처럼 수신된 정보를 큰 디스플레이에 나타낼 필요가 있는 몇가지 서비스들이 있다. 가능한 종래의 해법중의 하나는 전화기와 컴퓨터를 조합하는 것이며, 여기서 텍스트 정보는 컴퓨터에 의하여 전송되고 전화기는 음성 접속에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많은 경우에 너무 크고 가격이 비싸다.
상술한 내용을 기초로, 종래기술에서는 사용하기 용이하고 음성과 텍스트/데이터 모두를 전송하기 위한 비싸지 않은 단말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장치 및 특히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아울러 단말 장치내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 장치는 셀방식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는 이동국과 같이 통신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는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전화 세트와 같은 고정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으로의 접속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달성되는 무선 접속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제1 기능모드의 이동국의 전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제1 기능모드의 이동국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제2 기능모드의 이동국의 전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제2 기능모드의 이동국의 단부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제2 기능모드의 이동국의 전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제2 기능모드의 이동국의 단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제1 기능모드의 이동국을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기능모드의 고정 단말장치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기능모드의 고정 단말장치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제거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가 두 기능모드들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음성을 전송하기 위하여 단말장치를 사용될 때는 제1 기능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텍스트 정보나 기타 데이터를 처리 또는 전송하기 위하여 단말장치를 사용할 때는 제2 기능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말장치가 제1 디스플레이 수단 및 제2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제1 기능모드에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수단상에 정보가 표시되고 제2 기능모드에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수단상에 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수단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제1 기능모드에서 덮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말장치가 상기 제1 기능모드에서 음성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때는 장치의 전체 전면 표면이 제1 기능모드에서 사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입력수단을 위하여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는 제1 기능모드에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입력수단 및 제2 기능모드에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수단을 포함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입력수단은 또한 장치의 사용자 표면이 제1 기능모드에서 사용되는 제1 입력수단 및 제1 디스플레이수단으로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1 기능모드에서는 덮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력정보는 단말장치와 통신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정보와, 또한 예를들어 이동국과 통신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정보 및 이동국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제외한 입력정보를 의미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최소한 두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들은 제1 기능모드에서 제1 상호위치와 제2 기능모드에서 제2 상호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제1 기능모드에서는 장치의 사용자 표면이 제1 입력수단 및 제1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제2 기능모드에서는 장치의 사용자 표면이 제2 입력수단 및 제2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분들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는 청구항 제1항 및/또는 제8항의 특징부에 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제24항 및/또는 제25항의 특징부에 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첨부된 도면들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a 및 도 2b에 제1 기능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을 도시하였다. 도 2a에는 이동국(20)이 전면으로부터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이동국(20)이 측면으로부터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국은 제1 부분(201) 및 제2 부분(202)의 두 부분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부착수단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법으로 경첩들(28) 또는 어떤 유사한 부착수단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어 있다. 제2 부분(202)의 모서리는 도면상에서 참조번호(203)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경첩들을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상대적으로 예를들어 180도 회전될 수 있다. 제1 부분(201)은 디스플레이(23), 수화구(24), 및 안테나(26)를 포함한다. 숫자 키패드(21), 기능 키패드(22) 및 마이크로폰(25)은 제2 부분(202)내에 위치한다. 제1 기능모드에서 이동국은 예를들어 종래기술을 기술한 설명부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이동전화에서와 같은 접속을 형성하고 음성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이동국이 제2 기능모드에서 부분들(201,202)이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3a에서는 이동국이 전면으로부터 도시되었고 도 3b에서는 이동국이 단부로부터 도시되었다. 제2 기능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숫자 키패드(32) 및 제2 디스플레이(33)를 포함한다. 이 해법에서 제1 디스플레이(23) 및 제2 디스플레이(33)는 합치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한다. 제1 기능모드에서 텍스트 정보는 이동국이 수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텍스트가 수평위치로 되는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다. 제2 기능모드에서 텍스트 정보는 이동국이 수평위치에 있을 때 상기 텍스트가 수평위치로 되는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다. 즉, 문자들은 디스플레이상에서 기능모드에 따라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직인 두 위치로 표시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정보를 다른 두 위치들로써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표시부분이 양기능모드들에서 수평 위치가 되기 때문에 텍스트 정보를 읽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들은 그 디스플레이들이 단일 디스플레이 부품으로 구성된다 하더라도 제1 디스플레이로서 작동하는 부분은 제2 기능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들어 투명 보호시트를 부착하여 제1 기능모드에서 디스플레이의 전면 표면을 제1 기능모드에서 사용되는 키패드의 표면 수준까지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음성접속이 사용될 때 이동국은 크기가 크고 사용이 편리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는 통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텍스트/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큰 디스플레이 및 특수문자 키들이 구비될 수도 있는 영숫자 키패드를 포함한다. 이동전화와 그에 따른 영숫자 키패드의 크기는 통상적인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영숫자 키보드들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이동국의 영숫자 키패드는 포인터 펜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기능모드의 또 다른 이동전화를 도시하였다. 이 이동국(40)은 역시 경첩들(48)에 의하여 서로 부착된 제1 부분(401) 및 제2 부분(402)의 두 부분들로 구성된다. 제2 기능모드에서 이동국(4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부분(401) 내에 디스플레이(43)를 포함하고 제2 부분(402) 내에 영숫자 키패드(41)와 기능 키패드(42)를 포함한다.
이동국(40)은 제1 부분상의 제2 부분을 뒤집어 키패드들(41,42) 및 디스플레이(43)가 덮여지도록 함으로써 제1 기능모드로 설정된다. 도 5에는 제1 기능모드의 이동국을 도시하였다. 제1 기능모드에서 제2 부분의 제1 반쪽부는 이동국의 전면 표면을 형성한다. 이 제 2 부분의 제1 반쪽부는 제1 기능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기능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은 숫자 키패드(51), 선택 키패드(52) 및 디스플레이(53)를 포함한다. 도 5에는 또한 수화구(54), 마이크로폰(53), 안테나(55) 및 경첩들(58)을 도시하였다.
제2 기능모드에서 사용되는 키패드들(41,42) 및 디스플레이(43)는 키패드들(41,42)이 제1 부분(401)내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43)가 제2 부분(402)내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장치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는 제1 부분(401)이 사용자에게 보다 가깝도록 자연스럽게 사용된다.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의 이동국은 제1 기능모드와 제2 기능모드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들이 제1 기능모드에서 제2 부분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덮여지는 단일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5에서 도시한 이동국은 제2 기능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들 모두가 이동국의 전면 표면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능한 가장 크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만일 단말장치가 텍스트를 입력하는데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면 상기 장치는 제2 키패드 없이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는 인입되는 메시지들을 보여주는데만 사용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수단들은 예를들어 액정표시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 형광(fluorescence) 디스플레이 또는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텍스트, 데이터등을 처리하고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제2 디스플레이는 음성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제1 디스플레이보다 큰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목적상 제2 디스플레이의 표면 면적은 제1 디스플레이의 표면 면적의 최소한 두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수단은 예를들어 기계적 키 버튼들 또는 멤브렌(membrane) 키패드로 만들어진 키패드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어떤 장소를 포인터 펜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결합(combined) 터치 스크린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는 접촉되어질 영역들과 상기 영역을 접촉함으로써 활성화되는 기능들의 심볼을 표시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당해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액정표시장치(LCD) 및 화면 상에 올려지는 투명한 저항성 멤브렌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동국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경첩들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호 움직임을 허용하는 다른 부착 수단에 의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또한 제2 기능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부분과 키패드 부분을 서로 더 멀리 놓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자로부터 서로 단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키패드 부분과 디스플레이 부분이 사용자로부터 적절한 간격으로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놓여질 수 있기 때문에, 제2 기능모드에서 텍스트를 입력할 때 장치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해 준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사이의 신호 전송 및 전압 운용은 예를들어 플렉시블평면 케이블(flexible flat cable)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단절될 수 있다면, 적외선 데이터 전송 또는 유도성 데이터 전송과 같이 무선적인 신호 전송이 구현될 수 있다. 적외선 데이터 전송에서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적외선 빔으로 변조되고 유도성 데이터 전송에서는 데이터가 상기 부분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으로 변조된다. 만일 무선 데이터 전송이 사용된다면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모두는 축전지와 같은 독자적인 전원을 필요로 한다. 무선데이터 전송은 일반적으로 유선데이터 전송에서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제1 기능모드에서는 양 부분들 사이에는 항상 유선데이터 전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2 기능모드에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분리된다면 상기 부분들은 제1 기능모드에서 서로 접속되어지는 커넥터들을 구비함으로써 제1 기능모드에서 상기 부분들이 접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분들 사이에서는 제1 기능모드에서 이러한 커넥터들의 쌍을 통하여 신호들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들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상기 부분들 사이에 접속되는 케이블에 의하여 수행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구비하는 하나의 해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부분들의 상호위치는 케이블 길이로 결정되는 상호 간격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유선데이터 전송이기 때문에 무선 데이터 전송에서와 같은 높은 전력 소모를 피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기능모드의 고정 단말장치를 도시하였다. 제1 기능모드에서 단말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63), 숫자 키패드(61), 기능 키패드(62) 및 직접통화 키패드(65)를 포함한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통상적인 전화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접속이 요구되는 번호를 선택하기 위하여 숫자 키패드가 사용되고, 인입통화의 전환과 같은 특수기능들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기능 키패드(62)가 사용될 수 있다. 직접통화 키패드(65)는 메모리내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번호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3)에는 선택된 전화번호 및 단말장치의 상황, 접속시간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단말장치는 전선(59)에 의하여 단말장치의 나머지와 접속되는 핸드세트(64)를 구비한다. 제2 기능모드로 들어가면, 단말장치의 제2 부분(602)은 경첩들(68)의 주위로 대략 180도 정도 회전된다.
도 7에는 제2 기능모드의 도 6에 따른 고정 단말장치를 도시하였다. 제2 기능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73), 영숫자 키패드(71) 및 기능 키패드(72)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는 제2 디스플레이의 일부이고, 따라서 두 기능 모드들의 디스플레이들은 합치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몇가지 장점들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음성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휴대하는 것을 고려할 때 소형이다. 즉, 접속을 형성할 때, 이동국에 이야기할 때, 그리고 이동국을 휴대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은 다루기가 용이하다. 더욱이 통상의 이동전화 용도를 위한 키패드와 디스플레이가 충분히 설계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단말장치는 테이블 또는 기타 수납 표면이 필요하지 않으며, 또한 통상의 통화 용도를 위한 단순한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텍스트 메시지들을 전송 및 수신을 처리하는 것과 같이 보다 진보된 기능들의 경우, 대량의 텍스트가 들어갈 수 있는 대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큰 텍스트 집합이 한번에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기 때문에 텍스트를 읽는 것이 용이하다. 두 번째로 다른 텍스트 처리 장치에서도 역시 사용되고 그 사용법은 특별한 훈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 통상적인 종류의 영숫자 키패드에 의하여 텍스트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텍스트 입력은 보다 빠르고, 입력 오류는 거의 없게 유지된다. 더욱이 통상의 영숫자 키패드는 입력 문자들 사이에서 기능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텍스트내에서 특수문자들이나 숫자들을 사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부여한다. 또한 컴퓨터 키패드들로 특징되는 기능키들이 영숫자 키패드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어떤 단말장치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오직 전화로서만 사용한다면 이러한 종류의 사용자들은 음성 용도를 위한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을 배우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응용들 및 실시예들이 기술되었다. 예를들어 상세한 구현들 및 사용 영역들과 관련하여 청구항들에 의하여 결정되는 보호 범주내에서 본 발명의 원리가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Claims (37)

  1. 제1 기능모드 및 제2 기능모드를 구비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모드에서 텍스트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수단(23,53); 및
    상기 제2 기능모드에서 텍스트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43);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기능모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수단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수단상에 디스플레이 된 텍스트 라인들의 특성 방향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당에 디스플레이 된 텍스트 라인들의 특성 방향과 서로 대체로 수직의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모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수단(23,53,63)은 상기 단말장치의 기능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기능모드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43,73)은 상기 단말장치와 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전송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43,73)의 표면 면적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수단의 표면 면적의 최소한 두 배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제1 기능모드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덮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정보를 입력장치로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수단(21,22,51,52,61,62,6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43,73)은 상기 제1 기능모드에서 상기 제1 입력수단에 의하여 덮여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수단(23,63)과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73)은 합치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수단(23,63)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73)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 기능모드 및 제2 기능모드를 구비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모드에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 수단(21, 22, 51, 52); 및
    상기 제2 기능모드에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 수단(31, 32, 41, 42);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기능모드에서 상기 제1 입력 수단과 상기 제2 입력 수단은, 상기 제1 입력 수단의 특성 수평 방향과 제2 입력 수단의 특성 수평 방향은 서로 수직적인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수단은 제1 기능모드에서 가입자 코드를 입력하는 숫자 키패드(21,51,6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수단은 제2 기능모드에서 영숫자 텍스트를 입력하는 수단(31,41,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기능모드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제1 입력수단과 제1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제2 기능모드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제2 입력수단과 제2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제1 부분(201,601)과 제2 부분(202,6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제1 표면은 제1 입력수단(21,22,61,6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제1 표면은 제1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다른 부분의 상부에서 하나로 합체되고,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제1 입력수단(21,22,61,62)과 제2 디스플레이 수단(23,6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의 제2 표면은 제2 입력수단(31,32,71,7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제1 표면은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73)을 포함하며, 제2 위치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상기 제1 부분의 제2 표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제1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 및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제1 부분(401)과 제2 부분(4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제1 표면은 제1 입력수단(51,52)과 제1 디스플레이 수단(53)을 포함하고,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다른 부분의 상부에서 하나로 합체되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상기 제1 부분의 제1 표면을 포함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상기 제1 부분(401)의 제2 표면과 상기 제2 부분(402)의 제1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제2 표면은 제2 입력수단(41,4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제1 표면은 제2 디스플레이 수단(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제2 표면은 제2 디스플레이 수단(4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제1 표면은 제2 입력수단(4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제1 표면과 제2 표면은 상기 제1 부분의 마주보는 표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201,401,601)과 상기 제2 부분(202,402,602)은 부착수단(28,48)에 의하여 그 모서리들로부터 서로 부착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부착수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28,48)은 경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플렉시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무선적으로 신호를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커넥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커넥터 수단을 포함하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커넥터 수단과 상기 제2 커넥터 수단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수단(23,53,63) 및/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43,73)은 액정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고정 통신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단말기 장치에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기능모드와 제2 기능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능모드에서 텍스트 라인 등의 정보가 제1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고, 상기 제2 기능모드에서 텍스트 라인 등의 정보가 제2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며,
    상기 두 기능 모드들의 정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수단상에 디스플레이된텍스트 라인들의 특성 방향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당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라인들의 특성 방향과 대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모드에서는 제1 입력 수단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제2 기능모드에서는 제2 입력 수단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입력 수단은 상기 제1 기능 모드에서는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제1 기능모드에서 대화를 전송하는데 이용되고,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제2 기능모드에서는 텍스트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8항에 있어서, 제1 기능모드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제1 입력수단과 제1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제2 기능모드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제2 입력수단과 제2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8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제1 부분(201,601)과 제2 부분(202,6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제1 표면은 제1 입력수단(21,22,61,6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제1 표면은 제1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다른 부분의 상부에서 하나로 합체되고,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제1 입력수단(21,22,61,62)과 제2 디스플레이 수단(23,6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의 제2 표면은 제2 입력수단(31,32,71,7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제1 표면은 제2 디스플레이 수단(33,73)을 포함하며, 제2 위치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상기 제1 부분의 제2 표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제1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8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제1 부분(401)과 제2 부분(4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제1 표면은 제1 입력수단(51,52)과 제1 디스플레이 수단(53)을 포함하고,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다른 부분의 상부에서 하나로 합체되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상기 제1 부분의 제1 표면을 포함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표면은 상기 제1 부분(402)의 제2 표면과 상기 제2 부분(402)의 제1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제2 표면은 제2 입력수단(41,4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제1 표면은 제2 디스플레이 수단(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제2 표면은 제2 디스플레이 수단(4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제1 표면은 제2 입력수단(4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제1 표면과 제2 표면은 상기 제1 부분의 마주보는 표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201,401,601)과 상기 제2 부분(202,402,602)은 부착수단(28,48)에 의하여 그 모서리들로부터 서로 부착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부착수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28,48)은 경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수단(21,22,51,52,61,62,65) 및/또는 상기 제2 입력수단(31,32,41,42,71,72)은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02318A 1995-09-28 1996-09-30 단말장치 KR100422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54621A FI113518B (fi) 1995-09-28 1995-09-28 Päätelaite
FI954621 1995-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848A KR19990063848A (ko) 1999-07-26
KR100422383B1 true KR100422383B1 (ko) 2004-05-24

Family

ID=854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318A KR100422383B1 (ko) 1995-09-28 1996-09-30 단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0872098B1 (ko)
JP (3) JPH11512890A (ko)
KR (1) KR100422383B1 (ko)
AU (1) AU7087496A (ko)
DE (1) DE69635132T2 (ko)
FI (1) FI113518B (ko)
WO (1) WO1997012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919297A (en) * 1996-10-29 1998-05-22 Ericsson Inc.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ual keypads
US6125286A (en) * 1997-06-05 2000-09-26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I114267B (fi) 1998-01-29 2004-09-15 Nokia Corp Elektroninen laite ja menetelmä tietojen näyttämiseksi
FR2775857A1 (fr) 1998-03-03 1999-09-03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electronique a clavier variable
FI114435B (fi) 1999-04-22 2004-10-15 Nokia Oyj Kannettava viestintälaite
SE516510C2 (sv) 1999-09-21 2002-01-22 Ericsson Telefon Ab L M Portabel kommunikationsapparat med första och andra användargränssnitt, samt en tillbehörsanordning innefattande en knappsats och en display för en portabel radiotelefon
IL146262A (en) * 2000-03-14 2007-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 digital assistant / integrated telephone device
US7439957B2 (en) 2001-01-25 2008-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universal keyboard
DE10106812A1 (de) * 2001-02-14 2002-09-05 Siemens Ag Kleingerätesystem mit erweiterten Eingabemöglichkeiten
JP4648551B2 (ja) * 2001-02-15 2011-03-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携帯電話機
DE10132812A1 (de) 2001-07-06 2003-01-16 Siemens Ag Elektronisches Gerät
US20030044000A1 (en) * 2001-08-29 2003-03-06 Kfoury Tony N.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keypad and display
JP4417002B2 (ja) * 2002-01-09 2010-02-1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071917B2 (en) 2002-01-09 2006-07-04 Sony Corporatio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of controlling the same
WO2003073258A2 (en) 2002-02-21 2003-09-04 Mobicom Corporation Article comprising an adaptable input device
US7499029B2 (en) 2002-08-02 2009-03-03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double-sided operable keyboard
TW200407784A (en) 2002-11-12 2004-05-16 Mitac Technology Corp Computer system having function of keyboard on/off notification and its processing method
US7010333B2 (en) * 2003-02-19 2006-03-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adiotelephone terminal with dual-sided keypad apparatus
US20040229663A1 (en) * 2003-05-16 2004-11-18 Tosey Joseph P. 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tactile keyboard
US20050162338A1 (en) * 2004-01-26 2005-07-28 Masayuki Ikeda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3755530B2 (ja) * 2004-01-29 2006-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装置
JP3952022B2 (ja) * 2004-01-26 2007-08-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における情報伝送方式および電子機器
US8072427B2 (en) 2006-05-31 2011-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EP1862881A1 (en) * 2006-05-31 2007-1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US7953448B2 (en) 2006-05-31 2011-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for mobile device
US7986921B2 (en) * 2007-03-06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evice with privacy screen
JP5529383B2 (ja) 2008-01-18 2014-06-2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8412279B2 (en) 2010-05-10 2013-04-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EP2387209B1 (en) * 2010-05-10 2017-07-12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EP2387210A1 (en) * 2010-05-10 2011-11-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632A (en) * 1990-08-20 1993-02-23 Oy Nokia Ab Portable personal computer and mobile telephon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9963A5 (ko) * 1990-03-19 1992-05-15 Andreas Peiker
SG47982A1 (en) * 1991-09-26 1998-04-17 Casio Computer Co Ltd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including electronic notebook function
JP3120592B2 (ja) * 1991-09-26 2000-12-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
JP3179217B2 (ja) * 1992-11-16 2001-06-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用情報通信装置
US5844543A (en) * 1993-05-14 1998-12-01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602001B2 (ja) * 1993-11-01 1997-04-2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縮小可能キーボード付パーソナル通信機
JP3374485B2 (ja) * 1993-12-14 2003-02-04 ソニー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装置
CA2166928A1 (en) * 1995-02-06 1996-08-07 Shrirang Nilkanth Jambhekar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eable housing element and a keypad disposed therein
US5715524A (en) * 1995-02-06 1998-02-03 Motorola, Inc. Radio communication device with movable housing element control
US5797089A (en) * 1995-09-07 1998-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ersonal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switches which independently energize a mobile tele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632A (en) * 1990-08-20 1993-02-23 Oy Nokia Ab Portable personal computer and mobile telephon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7631A2 (en) 2006-01-18
EP1617631A3 (en) 2008-09-10
EP0872098B1 (en) 2005-08-31
FI954621A0 (fi) 1995-09-28
JP2005348443A (ja) 2005-12-15
FI113518B (fi) 2004-04-30
DE69635132T2 (de) 2006-07-06
FI954621A (fi) 1997-03-29
EP0872098A1 (en) 1998-10-21
DE69635132D1 (de) 2005-10-06
AU7087496A (en) 1997-04-17
KR19990063848A (ko) 1999-07-26
JP4331708B2 (ja) 2009-09-16
JPH11512890A (ja) 1999-11-02
WO1997012470A1 (en) 1997-04-03
JP4700019B2 (ja) 2011-06-15
JP2007151191A (ja)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383B1 (ko) 단말장치
US6798882B2 (en) Mobile station
KR100621811B1 (ko) 손목-시계무선전화기
US6662244B1 (en) Information terminal
FI111897B (fi) Kaksitoiminen tiedonvälityslaite
US671480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irst and second user interfaces, and an accessory device comprising a keypad and a display for a portable radio telephone
US5797089A (en) Personal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switches which independently energize a mobile tele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6201951B1 (en) Telephone set with a detachable cordless control and display panel
US20030073414A1 (en) Textual and telephony dual input device
US7068259B2 (en) Key data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6744890B1 (en) Keypad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keypad module
JPH11143604A (ja) 携帯端末装置
US7206616B2 (en) Handphon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like keyboard
GB2327558A (en) Two-way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touchpad-based user interface
US20020173340A1 (en) Input device connect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which characters can be input easily
US2009014695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293457A1 (en) Mobile phone
KR100230665B1 (ko) 한글입력장치를 구비한 디지탈 이동전화기
KR200203824Y1 (ko) 표시장치를 통해 광고를 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
KR2001000875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형 키보드 장치
KR200202214Y1 (ko) 휴대전화기용 키보드
CA2230924C (en) Personal communications terminal
KR20020000021A (ko) 휴대폰 전용 키보드
KR20040023234A (ko) 휴대폰의 폰북
JP2000151780A (ja) 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