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144B1 -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144B1
KR100422144B1 KR10-1999-0047336A KR19990047336A KR100422144B1 KR 100422144 B1 KR100422144 B1 KR 100422144B1 KR 19990047336 A KR19990047336 A KR 19990047336A KR 100422144 B1 KR100422144 B1 KR 100422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signal
control signal
activ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096A (ko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144B1/ko
Publication of KR2001003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10Providing fault- or trouble-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에 있어서,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에 발생하는 문제를 감지하여 디바이스 보드의 이중화된 통신포트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복수개의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의 이중화 제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이중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디바이스 보드로부터 경계신호(alram signal)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경계신호를 기초로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동작모드와 일치하는 이중화 제어신호를 다시 출력하는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를 기초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하며,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에 장애가 있는 경우 경계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특정 프로세서 보드를 감지하여 상기 특정 프로세서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중화 제어신호에 발생하는 장애를 감지하여 프로세서 보드와 디바이스간의 통신이 단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중화 제어신호의 장애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Apparatus for dual controlling of communication port i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에 있어서,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에 발생하는 문제를 감지하여 디바이스 보드의 이중화된 통신포트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복수개의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의 이중화 제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화 제어장치는, 액티브/스탠바이 동작모드에 따라 이중화 제어신호부(12)(22)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1)(21)와,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모드에 따라 이중화 제어신호(ACTIVE)를 디바이스 보드(30)로 출력하며 동작신호를 DA-버스 포트(13)(23)로 각각 출력하는 이중화 제어신호부(12)(22)와,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부(12)(22)에서 출력되는 동작신호가 액티브 모드일 때 DA-버스를 통해 디바이스 보드(30)와 통신하는 DA-버스 포트(13)(23)를 각각 구비한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10)(20)와;
포트 선택부(33)에서 액티브 모드의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특정의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하는 복수개의 DA-버스 포트(31)(32)와,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보드(10)(20)로부터 이중화 제어신호가 각각 입력되면 저준위의 이중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특정의 프로세서 보드와 연결되는 DA-버스 포트가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포트선택부(33)를 구비한 디바이스 보드(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이중화 제어장치의 상세한 동작을 제1 프로세서 보드(10)의 프로세서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동작하고 제2 프로세서 보드(20)의 프로세서는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동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프로세서 보드(10)의 프로세서(11)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여 저준위(Low Level)의 이중화 제어신호(A-ACTIVE)를 디바이스 보드(30)로 출력하도록 이중화 제어신호부(12)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이중화 제어신호부(12)는 DA-버스 포트(Data Access Bus Port)(13)에 액티브 모드의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디바이스 보드(30)와 통신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2 프로세서 보드(20)의 프로세서(23)는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여 고준위(High Level)의 이중화 제어신호(B-ACTIVE)를 디바이스 보드(30)로 출력하도록 이중화 제어신호부(22)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이중화 제어신호부(22)는 DA-버스 포트(23)에 스탠바이 모드의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디바이스 보드(30)와 통신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디바이스 보드(30)의 포트 선택부(33)는,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10 및 20)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A-ACTIVE 및 B-ACTIVE) 중에서 저준위상태의 이중화 제어신호를 출력한 프로세서 보드와 연결되는 특정의 DA-버스 포트를 선택하여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제1 프로세서 보드(10)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A-ACTIVE)가 저준위이고 제2 프로세서 보드(20)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B-ACTIVE)가 고준위이면, 포트 선택부(33)는 제3 DA-버스 포트(31)를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제1 프로세서 보드(10)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때 제4 DA-버스 포트(32)는 제2 프로세서 보드(20)가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므로 제2 프로세서 보드(10)와의 통신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제1 프로세서 보드(10)의 제1 DA-버스 포트(13)와 디바이스 보드(30)의 제3 DA-버스 포트(31)가 각각 액티브 모드의 동작신호를 받게 되면 DA-버스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의 이중화 제어장치는, 이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특정의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다른 프로세서는 대기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복수개의 프로세서와 하나의 디바이스간의 이중화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중화 제어장치는,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가 모두 고준위 상태이거나 모두 저준위 상태인 경우에 포트 선택부에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서만을 구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프로세서 보드와 디바이스 보드간의 통신이 단절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전자교환기가 안정하게 동작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에 있어서,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에 발생하는 문제를 감지하여 디바이스 보드의 이중화된 통신포트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이중화 제어할 수 있는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의 블럭구성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50 : 프로세서 보드 41, 51 : 프로세서
42, 52 : 이중화 제어신호부 43 : 제1 DA-버스 포트
44, 54 : 경계신호 감지부 53 : 제2 DA-버스 포트
60 : 디바이스 보드 61 : 제3 DA-버스 포트
62 : 제4 DA-버스 포트 63 : 프로세서 동작감지부
64 : 경계신호 생성부 65 : 포트 선택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장치는,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이중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디바이스 보드로부터 경계신호(alram signal)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경계신호를 기초로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동작모드와 일치하는 이중화 제어신호를 다시 출력하는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를 기초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하며,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에 장애가 있는 경우 경계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특정 프로세서 보드를 감지하여 상기 특정 프로세서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는, 상기 디바이스 보드와 DA 버스(Device Access Bus)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DA -버스 포트와, 상기 DA-버스 포트를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모드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이중화 제어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이중화 제어신호부와,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부를,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동작모드에 따라서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로, 상기 디바이스 보드에서 생성되는 경계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경계신호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장치는, 상기 디바이스 보드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특정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DA-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DA-버스 포트와, 상기 복수개의 DA-버스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동작모드를 감지하는 프로세서 동작 감지부와,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중화 제어신호에 장애 발생시 경계신호를 생성하는 경계신호 생성부와, 상기 경계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 중에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서 보드와 연결되는 DA-버스 포트에 액티브 모드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계신호 생성부에서 경계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프로세서 동작감지부에서 감지한 동작모드가 액티브 모드인 특정의 프로세서 보드와 연결되는 DA-버스 포트에 액티브 모드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포트 선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는, 프로세서 동작모드에 따라 이중화 제어신호(ACTIVE)를 출력하여 디바이스 보드(60)와 통신하고, 이중화 제어신호(ACTIVE)에 장애에 대한 경계신호(ALARM)가 입력되면 이중화 제어신호(ACTIVE)의 장애를 제거하는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40)(50)와;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40)(50)에서 각각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A-ACTIVE)(B-ACTIVE)에 따라 특정의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하며,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ACTIVE)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는 경계신호(ALARM)를 출력하고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동작하는 특정의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 디바이스 보드(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40)(50)는, 액티브/스탠바이 동작모드에 따라 이중화 제어신호부(42)(52)를 제어하고 경계신호 감지부(44)(5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중화 제어신호(ACTIVE)의 장애를 제거하는 프로세서(41)(51)와; 상기 프로세서(41)(51)의 동작모드에 따라 이중화 제어신호(ACTIVE)를 디바이스 보드(60)로 출력하며 동작신호를 DA-버스 포트(43)(53)로 각각 출력하는 이중화 제어신호부(42)(52)와;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부(42)(52)에서 출력되는 동작신호가 액티브 모드일 때 DA-버스를 통해 디바이스 보드(60)와 통신하는 DA-버스 포트(43)(53)와; 이중화 제어신호의 장애 발생시 디바이스 보드(60)에서 출력되는 경계신호(ALARM)를 감지하여 프로세서(41)(51)로 출력하는 경계신호 감지부(44)(5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보드(60)는,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40)(50)와DA-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포트 선택부(65)에서 액티브 모드의 동작신호가 출력되면 특정의 프로세서 보드와 각각 통신하는 복수개의 DA-버스 포트(61)(62)와; 상기 복수개의 DA-버스 포트(61)(62)의 DA-버스를 통해 각 프로세서의 동작모드를 감지하여 포트 선택부(65)에 출력하는 프로세서 동작감지부(63)와;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40)(50)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ACTIVE)를 포트 선택부(65)에 각각 출력하고, 이중화 제어신호(ACTIVE)에 장애 발생시 경계신호(ALARM)를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40)(50) 및 포트 선택부(65)에 각각 출력하는 경계신호 생성부(64)와; 상기 경계신호 생성부(64)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ACTIVE) 중에서 저준위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 특정의 프로세서 보드와 연결되는 DA-버스 포트에 액티브 모드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계신호 생성부(64)에서 경계신호(ALARM)가 출력되면 상기 프로세서 동작감지부(63)에서 감지한 동작모드가 액티브 모드인 특정의 프로세서 보드와 연결되는 DA-버스 포트(61)(62)에 액티브 모드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포트 선택부(6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1 프로세서 보드(40)의 프로세서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동작하고 제2 프로세서 보드(50)의 프로세서는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동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바이스와 통신할 프로세서인 제1 프로세서 보드(40)의 프로세서(41)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여 이중화 제어신호부(42)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프로세서 보드(40)의 이중화 제어신호부(42)는 저준위(Low Level) 상태의 이중화 제어신호(A-ACTIVE)를 디바이스 보드(60)로 출력하고, 제1 DA-버스 포트(43)를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2 프로세서 보드(50)의 프로세서(51)는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여 이중화 제어신호부(52)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 보드(50)의 이중화 제어신호부(52)는 고준위(High Level) 상태의 이중화 제어신호(B-ACTIVE)를 출력하고, 제2 DA-버스 포트(53)를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래서 이중화 제어신호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하나의 신호는 고준위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신호는 저준위 상태이면, 디바이스 보드(60)의 경계신호 생성부(64)에서는 경계신호를 생성시키지 않고 이중화 제어신호를 모두 포트 선택부(65)에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포트 선택부(65)는 저준위 상태의 이중화 제어신호(A-ACTIVE)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보드인 제1 프로세서 보드(40)와 연결되는 제3 DA-버스 포트(61)를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고준위 상태의 이중화 제어신호(B-ACTIVE)를 출력하는 제2 프로세서 보드(50)와 연결되는 제4 DA-버스 포트(62)에는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중화 제어에 의해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제1 프로세서 보드(40)의 제1 DA-버스 포트(43)와 디바이스 보드(60)의 제3 DA-버스 포트(61)간에 DA-버스를 통한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이중화 제어신호(ACTIVE)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 프로세서 보드(40)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A-ACTIVE)와 제2 프로세서 보드(50)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B-ACTIVE)가 동시에 고준위 상태이거나 동시에 저준위 상태가 되어 통신을 수행할 DA-버스 포트를 선택할 수 없게 되는 장애가 발생하면, 디바이스 보드(60)의 경계신호 생성부(64)는 제1 및 제2 프로세서 보드(40)(50)와 포트 선택부(65)에 이중화 제어신호의 이상을 알리는 경계신호(ALARM)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40 및 50)의 프로세서 동작모드에 따라 제1 프로세서 보드(40)의 제1 DA-버스 포트(43)가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고 제2 프로세서 보드(50)의 제2 DA-버스 포트(53)가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가 DA-버스를 통해 디바이스 보드(60)의 제3 및 제4 DA-버스 포트(61)(62)에 각각 입력된다.
그러면 프로세서 동작감지부(63)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제1 프로세서 보드와 연결되는 제3 DA-버스 포트(61)로부터 DA-버스 통신 프로토콜(Protocol)상의 프레임 싱크(Frame Sync)와 DA-버스 통신모드를 읽어 제1 프로세서 보드(40)의 프로세서 동작모드가 액티브 모드(Active Mode)임을 감지하여 포트 선택부(65)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 동작감지부(63)가 제1 프로세서 보드(40)의 프로세서(41)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동작하고 제2 프로세서 보드(50)의 프로세서(51)는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각각 동작하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출력하면, 포트 선택부(65)는 제1 프로세서 보드(40)와 연결된 제3 DA-버스 포트(61)에 액티브 모드(Active Mode)의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 동작감지부(63)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동작하는 프로세서 보드와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동작하는 프로세서 보드를 구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중화 제어신호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통신단절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이중화 제어신호가 동시에 고준위 상태이거나 동시에 저준위 상태에 놓이게 되는 장애가 발생하여 디바이스 보드(60)의 경계신호 생성부(64)에서 경계신호(ALARM)를 출력하게 되면, 제1 및 제2 프로세서 보드(40)(50)의 경계신호 감지부(44)(54)에서 상기 경계신호(ALARM)를 각각 감지하여 각 프로세서(41)(51)에 각각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각 프로세서(41)(54)는 프로세서 동작모드와 일치하는 이중화 제어신호(ACTIVE)가 출력되도록 이중화 제어신호부(42)(52)를 제어하여 이중화 제어신호(ACTIVE)에 발생한 장애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프로세서 보드(40)의 이중화 제어신호부(42)에서는 저준위(Low Level)의 이중화 제어신호(A-ACTIVE)가 출력되고, 제2 프로세서 보드(50)의 이중화 제어신호부(52)에서는 고준위(High Level)의 이중화 제어신호(B-ACTIVE)가 출력되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 제어장치는, 이중화 제어신호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디바이스 보드에서 각 프로세서 보드의 동작모드를 감지하여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중에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보드를 구분하게 됨으로써 이중화 제어신호의 장애로 인하여 데이터 통신이 단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경계신호를 각 프로세서 보드에 출력함으로써 이중화 제어신호의 장애를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는, 이중화 제어신호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디바이스 보드에서 각 프로세서 보드의 동작모드를 감지하여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중에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보드를 구분하게 됨으로써 이중화 제어신호의 장애로 인하여 특정의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의 통신이 단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이중화 제어신호에 장애가 발생하면 디바이스 보드에서 경계신호를 각 프로세서 보드에 출력함으로써 각 프로세서 보드에서 이중화 제어신호의 장애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정정)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이중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디바이스 보드로부터 경계신호(alram signal)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경계신호를 기초로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동작모드와 일치하는 이중화 제어신호를 다시 출력하는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를 기초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하며,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에 장애가 있는 경우 경계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특정 프로세서 보드를 감지하여 상기 특정 프로세서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2. (정정)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는,
    상기 디바이스 보드와 DA 버스(Device Access Bus)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DA -버스 포트와;
    상기 DA-버스 포트를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모드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이중화 제어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이중화 제어신호부와;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부를,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동작모드에 따라서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로, 상기 디바이스 보드에서 생성되는 경계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경계신호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3. (정정)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보드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특정 프로세서 보드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DA-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DA-버스 포트와;
    상기 복수개의 DA-버스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동작모드를 감지하는 프로세서 동작 감지부와;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중화 제어신호에 장애 발생시 경계신호를 생성하는 경계신호 생성부와;
    상기 경계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이중화 제어신호 중에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서 보드와 연결되는 DA-버스 포트에 액티브 모드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계신호 생성부에서 경계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프로세서 동작감지부에서 감지한 동작모드가 액티브 모드인 특정의 프로세서 보드와 연결되는 DA-버스 포트에 액티브 모드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포트 선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KR10-1999-0047336A 1999-10-29 1999-10-29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KR100422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336A KR100422144B1 (ko) 1999-10-29 1999-10-29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336A KR100422144B1 (ko) 1999-10-29 1999-10-29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096A KR20010039096A (ko) 2001-05-15
KR100422144B1 true KR100422144B1 (ko) 2004-03-10

Family

ID=1961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336A KR100422144B1 (ko) 1999-10-29 1999-10-29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535B1 (ko) * 2000-12-29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출력단 선택회로
CN100407619C (zh) * 2003-11-18 2008-07-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使用网络处理器实现端口主备切换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0952A (en) * 1985-02-13 1987-12-01 Nec Corporation Distributed control type electronic switching system
KR910013718A (ko) * 1989-12-30 1991-08-08 경상현 이중화된 시스템의 포트 스위칭 제어장치
KR960028260A (ko) * 1994-12-30 1996-07-22 배순훈 텔레비젼 수상기
KR980013469A (ko) * 1996-07-25 1998-04-30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프로세서간 통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0952A (en) * 1985-02-13 1987-12-01 Nec Corporation Distributed control type electronic switching system
KR910013718A (ko) * 1989-12-30 1991-08-08 경상현 이중화된 시스템의 포트 스위칭 제어장치
KR960028260A (ko) * 1994-12-30 1996-07-22 배순훈 텔레비젼 수상기
KR980013469A (ko) * 1996-07-25 1998-04-30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프로세서간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096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3737A (en) Control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JP2728066B2 (ja) ユニット切替装置
KR100422144B1 (ko)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EP0545001B1 (en) Failure detection in a redundant duplex system
JP2003242048A (ja) バスシステム
JP3107104B2 (ja) 待機冗長方式
KR100247008B1 (ko) 이중화 모듈간 스위칭제어회로
KR100220228B1 (ko) 이중화구조에 있어서 상태천이제어장치
JPH0697989A (ja) 二重系処理装置のプロセス系用回線への切替方法及び装置
JP2946541B2 (ja) 二重化制御システム
KR100202398B1 (ko) 이중화구조를 갖는 종합정보통신망 디바이스 제어계
JPH0371217A (ja) 電源供給制御システム
KR20020048502A (ko) 이중 스위치 보드 및 이중화 방법
JPH08314843A (ja) 計算機システム
KR19990038594U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에서의 출력 하이웨이디스에이블 장치
JP2697481B2 (ja) 二重化切替制御方式
JP2508606B2 (ja) 二重化装置
JPH05346864A (ja) 情報処理装置の障害処理方式
KR20000009164A (ko)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JPH0588926A (ja) 監視制御系の自動切替回路
JP2000306174A (ja) 自動火災報知受信機
JPH0329033A (ja) フォールトトレラントプロセッサ
KR19990010981A (ko) 핫-스탠바이 이중화 장치 및 그의 구현방법
JPH04333162A (ja) 系切替方式
JPH036741A (ja) 二重化システムのデータ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