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903B1 -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 과 Hg를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 과 Hg를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903B1
KR100420903B1 KR1019960076923A KR19960076923A KR100420903B1 KR 100420903 B1 KR100420903 B1 KR 100420903B1 KR 1019960076923 A KR1019960076923 A KR 1019960076923A KR 19960076923 A KR19960076923 A KR 19960076923A KR 100420903 B1 KR100420903 B1 KR 10042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beam
adsorbent
wastewater
waste water
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624A (ko
Inventor
김덕경
김유리
한범수
케이 피카에프 에이
비 포노마레프 에이
이 마카로프 아이
Original Assignee
이비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비테크(주) filed Critical 이비테크(주)
Priority to KR101996007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903B1/ko
Priority to US08/878,344 priority patent/US6121507A/en
Priority to MYPI97002756A priority patent/MY118239A/en
Priority to DE19726269A priority patent/DE19726269C2/de
Priority to CNB971159564A priority patent/CN1162338C/zh
Priority to IDP972155A priority patent/ID19567A/id
Publication of KR1998005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electr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2Chromium or chromium compounds, e.g. chrom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과 Hg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개시된 Cr과 Hg 제거방법은, +6가 Cr 이온 또는 +2가 Hg 이온을 함유하는 폐수에 Cr 이온 또는 Hg 이온 흡착제를 투입하는 흡착제 투입 단계와, 상기 흡착제가 투입된 상기 폐수에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발생된 전자선을 조사하여 상기 흡착제와 상기 폐수중의 Cr 이온 또는 Hg 이온과의 흡착반응과 상기 흡착제 사이의 응집반응을 촉진시키는 전자선 조사 단계와, 상기 전자선 조사 단계에서 형성된 응집입자들을 침전시키는 침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방법에 비해 공정이 단순하고, 침전이 빨라서 처리시간이 단축되며, 특히 가격이 싼 밀가루 등의 식물성 흡착제를 사용하면서도, 유해한 중금속인 +6가 Cr 이온 및 +2가 Hg 이온을 99%이상 제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과 Hg를 제거하는 방법
본 발명은 폐수중의 중금속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유해한 중금속, 특히 +6가 Cr과 +2가 Hg 이온을 제거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과 Hg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물질문명의 눈부신 발달과 더불어 물질의 풍요와 삶의 질이 더욱 더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문명의 발달은 인류의 생활에 매우 유익하다고 할 수 있으나, 반면에는 산업의 발달과 문명의 이기로 파생된 각종 산업 폐기물로 인해 인류의 생활 터전인 자연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쳐 왔다. 따라서, 산업 폐기물과 같은 환경오염물질은 별도로 회수하거나 정화 또는 여과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만약 정화 또는 여과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 또는 방류될 경우에는 자연환경을 파괴하여 인류의 생존권을 위협하게 되므로, 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종 제도적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산업 폐수에 의한 수질 오염은 인류의 식수원을 위협하게 되므로 공업 발달에 따라 발생되는 산업 폐수에 의한 자연계의 환경 파손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중금속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특히 스테인레스 제조 공정이나 도금 공정에서 발생하는 +6가 크롬(Cr)은 독성이 매우 크다. 또한 +2가 수은(Hg)도 체내에 축적되면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고, 자연계에 방류되면 수질과 토양을 오염 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업 폐수중에 함유된 유해 중금속 이온은 세계 각국에서 엄격히 규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해 중금속 이온의 일반적인 제거 방법으로는 수산화물 침전법 및 황화물 또는 탄산염 처리, 제올라이트 또는 코오랄샌드 등을 흡착제로 사용하는 방법등이 있으나, 폐수내에 함유된 각종 방해 물질로 인하여 일반 약품으로는 처리가 곤란할 때가 많고, 또한 중금속이 많이 함유된 폐수의 경우 다량의 슬러지를 발생시킴으로써 일반 약품으로 현장에서 중금속 이온을 완벽하게 처리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6가 Cr 이온을 함유한 폐수 처리방법으로는 +6가 Cr을 +3가 Cr으로 환원시켜 이것을 알칼리성에서 침전시켜 제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즉 염기성에서 안정한 크롬산(CrO4 2-)을 환원제인 황산철(FeSO4)과 아황산나트륨(Na2SO3) 으로 처리하여 +3가 Cr으로 환원시킨 후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슘으로 pH8.5정도로 유지시켜 수산화크롬의 침전을 형성시켜 여과한다. 이때 여액을 중화시켜 방출하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다단계의 공정을 거치게 되어 복잡하고, 다량의 약품을 사용하는 관계로 비용의 부담이 크다.
한편, +2가 Hg 이온을 함유한 폐수의 처리 방법은 일반적인 중금속 이온 제거 방법에 따르고 있으며, +2가 Hg 이온에 특히 효과적인 제거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폐수중의 중금속 처리방법은 다단계의 화학 반응이 필요하여 그 처리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다량의 약품이 필요하게 되어 처리비용이 고가이며, 또한 유해 중금속을 완벽히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방법에 비해 보다 단순하면서도 경제적으로, 높은 중금속 제거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중금속함유폐수 처리방법이 모색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금속 제거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중의 Cr 이온과 Hg 이온을 99%까지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보다 경제적인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과 Hg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 개략 구성도.
도 3은 전자선 조사에 의한 흡착제의 침전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흡착제의 종류에 따른 +6가 Cr 이온의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버블링 가스의 종류와 조사선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전자선의 조사선량에 따른 +2가 Hg 이온의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흡착제 투입기 22...버블링(Bubbling) 장치
23...전자선 반응조 24...전자선 가속기
25...침전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과 Hg를 제거하는 방법은: +6가 Cr 이온 또는 +2가 Hg 이온을 함유하는 폐수에 Cr 이온 또는 Hg 이온 흡착제를 투입하는 흡착제 투입 단계; 상기 흡착제가 투입된 상기 폐수에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발생된 전자선을 조사하여, 상기 흡착제와 상기 폐수중의 Cr 이온 또는 Hg 이온과의 흡착반응과 상기 흡착제 사이의 응집반응을 촉진시키는 전자선 조사 단계; 상기 전자선 조사 단계에서 형성된 응집입자들을 침전시키는 침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과 Hg를 제거하는 방법은, 상기 침전 단계 전에, 상기 폐수와 상기 흡착제를 혼합시키고, 상기 전자선이 효율적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를 상기 폐수내에 불어 넣어 버블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금속함유폐수 처리방법은 유해 중금속 중 +6가 Cr 이온과 +2가 Hg 이온의 제거에 더욱 더 효과적이다.
상기 흡착제는 폴리펩티드 구조로 된 단백질 성분을 함유한 물질인 것이 효과적이며, 특히 단백질 성분이 많이 함유된 밀가루 또는 식물성 단백질 덩어리인 글루틴(Gluten)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과 Hg를 제거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중의 중금속 이온(특히, +6가 Cr 이온 또는 +2가 Hg 이온)의 제거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상기 단계별로 사용되는 폐수처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처리 단계들중 흡착제 투입 단계와 전자선 조사 단계와 침전 단계를 구비하게 된다.
흡착제 투입 단계는 중금속을 함유하는 폐수중의 중금속 이온을 흡착하기 위하여 흡착제를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흡착제는 전자선 반응조(23)로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가 흘러 들어가기 전에 일정량의 흡착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흡착제 투입기(21)에 의해 투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흡착제로는 일반적으로 중금속 이온을 흡착할 수 있는 무기물이나 유기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식물성 천연 유기물, 즉 셀룰로스(Cellulose), 칼복시메틸 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 스타치(Starch), 밀가루 또는 글루틴(Gliten)등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식물성 천연 유기물 중에서도 밀가루 또는 글루틴(Gluten)과 같이 폴리펩티드 결합으로 구성된 단백질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을 첨가하는 것이 흡착 효과가 뛰어나 유해 중금속 이온, 특히 Cr 이온과 Hg 이온의 제거 효율이 높게 되어 바람직하다. 특히, 값싸고 천연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는 밀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다음 단계는 전자선 조사 단계로, 전자선 가속기(24)로부터 발생된 전자선을 상기 흡착제가 투입된 상기 폐수에 조사하는 단계이다. 흡착제와 혼합된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는 전자선 반응조(23)에 흘러 들어가고, 폐수면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며 상부에 설치된 전자선 가속기(24)로부터 발생된 전자선에 조사된다. 전자선에 조사된 흡착제는 폴리펩티드 결합 부분이 분리되어 불안정하게 되므로, 반응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착제는 폐수중의 중금속 이온, 특히 Cr 이온 또는 Hg 이온을 높은 효율로 흡착하게 되고, 또한 서로 응집하게 되어 침전 속도도 매우 빠르게 된다.
그 다음 단계는 침전 단계로, 상기 전자선 조사 단계에서 중금속 이온을 흡착한 응집입자들을 침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전자선 조사 단계에서 중금속 이온을 흡착하고 서로 응집된 응집입자들은 침전조(25)에서 빠른 속도로 침전하게 되므로 처리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처리방법에 비해 중금속 이온, 특히 Cr 이온과 Hg 이온의 제거 효율이 높으며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흡착제 투입 단계와 전자선 조사 단계에서 버블링 가스(Bubbling gas)를 투입시키는 버블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제 투입 단계와, 버블링 단계와, 전자선 조사 단계와, 침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흡착제 투입 단계, 전자선 조사 단계 및 침전 단계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추가되는 상기 버블링 단계는 전자선 반응조(23)의 하부에 버블링 (Bubbling) 장치(22)를 설치하여, 상기의 첨가제 투입 단계부터 전자선 조사 단계까지 전자선 반응조(23)의 하부로부터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의 내부로 버블링 가스를 불어 넣어주는 단계이다.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의 내부에 투입된 버블링 가스는 버블(Bubble 즉, 기포)을 형성하여, 중금속함유폐수와 상기 흡착제를 완전히 혼합시키고, 상기 전자선이 중금속함유폐수의 깊숙히까지 효율적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줌으로써 중금속 이온과 상기 흡착제의 반응 효율을 더욱 더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버블링 단계에서의 버블링 가스는 공기, 질소 또는 아르곤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불활성 기체인 질소 또는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예 1>
도 3은 전자선 조사에 의한 흡착제의 침전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에서 흡착제로는 밀가루를 투입하고, 전자선은 조사선량을 0kGy~6kGy로 변화시키며 조사한다.
그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전자선을 전혀 조사하지 않은 경우에는 밀가루의 침전시간이 약 90초 정도 소요되나, 전자선을 조사함에 따라 침전 속도가 매우 빨라져서 조사선량이 3kGy 정도에서는 침전시간이 약 5초 이하로 나타난다.
따라서, 전자선 조사에 의해 중금속을 흡착한 흡착제의 침전이 보다 쉽고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침전조의 크기를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실험예 2>
도 4는 흡착제의 종류와 전자선의 조사선량에 따른 중금속 이온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에서 처리 대상인 중금속은 초기 농도 5mg/ℓ의 +6가 Cr 이온이며, 흡착제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6가지 종류를 각각 투입하고, 아르곤 가스를 투입시켜 버블링 시키면서, 전자선은 조사선량을 0kGy~6kGy로 변화시키며 조사한다.
그 결과 도 4에서와 같이, 250mg/ℓ의 밀가루를 첨가한 경우와 60mg/ℓ의 글루틴을 첨가한 경우가 적은 조사선량으로도 99% 이상의 +6가 Cr 이온 제거율을 나타내는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특히, 250mg/ℓ의 밀가루를 첨가한 경우보다 60mg/ℓ의 글루틴을 첨가한 경우가 같은 초기 농도에서, 보다 적은 조사선량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폴리펩티드 결합으로 구성된 단백질 성분을 약 20% 함유하고 있는 밀가루에 비해, 글루틴(Gluten)은 약 90% 정도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흡착제로는 단백질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밀가루와 글루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값이 싼 밀가루가 경제적이나, 초기 Cr 이온 농도가 고농도(10ppm 이상)일 경우에는 글루틴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실험에서 +6가 Cr 이온의 제거를 위한 바람직한 조건을 알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경우에는 흡착제로서 밀가루를 500mg/ℓ 이하 첨가하고, 조사선량은 2.0kGy 이하인 것이 경제적이고, 초기 Cr 이온 농도가 고농도일 경우에는 같은 조건에서, 흡착제로서 글루틴을 100mg/ℓ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장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일반적인 경우에는 흡착제로서 밀가루를 250mg/ℓ 첨가하고, 조사선량은 1.5~2.0kGy인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초기 Cr 농도가 고농도일 경우에는 흡착제로서 글루틴을 60mg/ℓ 첨가하고, 조사선량은 1.0~2.0kGy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험예 3>
도 5는 버블링 가스의 종류에 따라 중금속 이온의 제거에 필요한 조사선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에서 처리 대상인 중금속은 +6가 Cr 이온이며, 흡착제로는 250mg/ℓ의 밀가루를 첨가하고, 버블링 가스로는 공기와 아르곤 가스를 각각 투입하여 버블링 시키면서, 조사선량을 0kGy~4kGy로 변화시키며 전자선을 조사한다.
그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버블링 가스로 공기를 사용한 경우 보다 불활성 기체인 아르곤 가스를 사용한 것이 보다 적은 조사선량으로도 +6가 Cr 이온을 거의 완전히(99% 이상)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 이유는 공기중에 존재하는 산소가 중금속 제거에 대하여 지연작용을 하는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공기보다 불활성 기체인 질소 또는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도 6은 전자선의 조사선량에 따른 +2가 Hg 이온의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에서 처리 대상인 중금속은 +2가 Hg 이온이며, 그 초기농도는 1mg/ℓ과 10mg/ℓ인 두가지 경우에 대해, 흡착제는 250mg/ℓ의 밀가루를 투입하고, 아르곤 가스를 투입시켜 버블링 시키면서, 전자선은 조사선량을 0kGy~2kGy로 변화시키며 조사한다.
그 결과 도 6에서와 같이, 조사선량 1.5kGy 이상에서는 두가지 경우 모두 99% 이상의 우수한 +2가 Hg 이온 제거율을 나타내며, 조사선량 1.5kGy 이하에서는 초기 농도가 낮은 경우(1mg/ℓ의 Hg 농도)가 조금 더 높은 제거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 +2가 Hg 이온의 제거를 위한 바람직한 조건을 알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경우에는 흡착제로서 밀가루를 500mg/ℓ 이하 첨가하고, 조사선량은 2.0kGy 이하인 것이 경제적이고, 초기 Hg 이온 농도가 고농도일 경우에는 같은 조건에서, 흡착제로서 글루틴을 100mg/ℓ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장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일반적인 경우에는 흡착제로서 밀가루를 250mg/ℓ 첨가하고, 조사선량은 1.5~2.0kGy인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초기 Hg 농도가 고농도일 경우에는 흡착제로서 글루틴을 60mg/ℓ 첨가하고, 조사선량은 1.0~2.0kGy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의 실험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와 그 효과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술한 기술적 사상에 의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과 Hg를 제거하는 방법은 종래 방법에 비해 공정이 단순하고, 침전이 빨라서 처리 시간이 단축되며, 특히 가격이 싼 밀가루 등의 식물성 흡착제를 사용하면서도, 유해한 중금속인 +6가 Cr 및 +2가 Hg를 99%이상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6가의 Cr 이온을 함유하는 폐수에 Cr 이온 흡착제를 투입하는 흡착제 투입 단계;
    상기 흡착제가 투입된 상기 폐수에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발생된 전자선을 조사하여, 상기 흡착제와 상기 폐수중의 Cr 이온과의 흡착반응과 상기 흡착제 사이의 응집반응을 촉진시키는 전자선 조사 단계; 및
    상기 전자선 조사 단계에서 형성된 응집입자들을 침전시키는 침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을 제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 단계 전에, 상기 폐수와 상기 흡착제를 혼합시키고, 상기 전자선이 효율적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를 상기 폐수내에 불어 넣어 버블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을 제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폴리펩티드 구조로 된 단백질 성분을 함유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을 제거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그 투입 농도가 500mg/ℓ 이하인 밀가루이고, 상기 전자선의 조사선량은 2kG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을 제거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실질적인 투입 농도가 약 250mg/ℓ인 밀가루이고, 상기 전자선의 조사선량은 1.5kGy~2kGy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을 제거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그 투입 농도가 100mg/ℓ 이하인 글루틴(Gluten)이고, 상기 전자선의 조사선량은 2kG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을 제거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실질적인 투입 농도가 약 60mg/ℓ인 글루틴(Gluten)이고, 상기 전자선의 조사선량은 1.0kGy~2kGy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을 제거하는 방법.
  8. +2가 Hg 이온을 함유하는 폐수에 Hg 이온 흡착제를 투입하는 흡착제 투입 단계;
    상기 흡착제가 투입된 상기 폐수에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발생된 전자선을 조사하여, 상기 흡착제와 상기 폐수중의 Hg 이온과의 흡착반응과 상기 흡착제 사이의 응집반응을 촉진시키는 전자선 조사 단계; 및
    상기 전자선 조사 단계에서 형성된 응집입자들을 침전시키는 침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Hg를 제거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 단계 전에, 상기 폐수와 상기 흡착제를 혼합시키고, 상기 전자선이 효율적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를 상기 폐수내에 불어 넣어 버블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Hg를 제거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폴리펩티드 구조로 된 단백질 성분을 함유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Hg를 제거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그 투입 농도가 500mg/ℓ 이하인 밀가루이고, 상기 전자선의 조사선량은 2kG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Hg를 제거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실질적인 투입 농도가 약 250mg/ℓ인 밀가루이고, 상기 전자선의 조사선량은 1.5kGy~2kGy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Hg를 제거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그 투입 농도가 100mg/ℓ 이하인 글루틴(Gluten)이고, 상기 전자선의 조사선량은 2kG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Hg를 제거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실질적인 투입 농도가 약 60mg/ℓ인 글루틴(Gluten)이고, 상기 전자선의 조사선량은 1.0kGy~2kGy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Hg를 제거하는 방법.
KR1019960076923A 1996-06-21 1996-12-30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 과 Hg를 제거하는 방법 KR10042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23A KR100420903B1 (ko) 1996-12-30 1996-12-30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 과 Hg를 제거하는 방법
US08/878,344 US6121507A (en) 1996-06-21 1997-06-18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containing hazardous matter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MYPI97002756A MY118239A (en) 1996-06-21 1997-06-19 A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containing hazardous matter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DE19726269A DE19726269C2 (de) 1996-06-21 1997-06-20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Abwasser, das Schwermetallionen oder Fluorid enthält, unter Verwendung von Elektronenstrahlung
CNB971159564A CN1162338C (zh) 1996-06-21 1997-06-21 一种用电子束照射处理含有有害物质的废水的方法
IDP972155A ID19567A (id) 1996-06-21 1997-06-23 Suatu metode untuk pengolahan air limbah yang mengandung zat-zat yang berbahaya yang menggunakan iradiasi sinar elektr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23A KR100420903B1 (ko) 1996-12-30 1996-12-30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 과 Hg를 제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24A KR19980057624A (ko) 1998-09-25
KR100420903B1 true KR100420903B1 (ko) 2004-04-17

Family

ID=3732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923A KR100420903B1 (ko) 1996-06-21 1996-12-30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 과 Hg를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9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081A (ja) * 1982-08-09 1984-02-1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フミン酸,フルボ酸含有廃水の処理方法
JPH02164490A (ja) * 1988-12-19 1990-06-25 Japan Atom Energy Res Inst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KR950003170A (ko) * 1993-07-30 1995-02-16 이규동 전자가속기의 전자빔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KR950031917A (ko) * 1994-05-31 1995-12-20 안덕기 폐수처리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0169809B1 (ko) * 1995-05-31 1999-01-15 경주현 전자빔 가속기를 이용한 감량폐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081A (ja) * 1982-08-09 1984-02-1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フミン酸,フルボ酸含有廃水の処理方法
JPH02164490A (ja) * 1988-12-19 1990-06-25 Japan Atom Energy Res Inst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KR950003170A (ko) * 1993-07-30 1995-02-16 이규동 전자가속기의 전자빔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KR950031917A (ko) * 1994-05-31 1995-12-20 안덕기 폐수처리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0169809B1 (ko) * 1995-05-31 1999-01-15 경주현 전자빔 가속기를 이용한 감량폐수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24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 et 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the landfill leachate containing refractory matters and nitrogen compounds
WO2005070833A1 (ja) 難分解性物質含有水の処理方法
CN112850946A (zh) 一种增强型Fenton氧化工艺处理焦化废水的方法
CN109879386B (zh) 一种食品工业废水处理工艺
US3635817A (en) Waste water treatment process
CN109437386B (zh) 一种去除废水中金属铊的方法
CN104230122B (zh) 黄金矿山氰化废渣淋溶液处理方法
US6121507A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containing hazardous matter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KR100420903B1 (ko) 전자선을 조사하여 폐수중의 Cr 과 Hg를 제거하는 방법
Kuhlmeier et al. Treatability of inorganic arsenic and organoarsenicals in groundwater
CN107531511B (zh) 通过与吸附剂材料接触处理水的方法和设备
CN104193122A (zh) 一种黄金矿山氰化废渣淋溶液处理方法
Valdés et al. Advanced treatment of benzothiazole contaminated waters: comparison of O3, AC, and O3/AC processes
JPS58196888A (ja) 廃水の処理方法
JPS5929081A (ja) フミン酸,フルボ酸含有廃水の処理方法
Jung et al. Removal of Se (IV) by the dithionite/ultraviolet advanced reduction process: effects of process variables
KR0176744B1 (ko) 전자선 조사에 의한 불소함유폐수 처리방법
CN116730554A (zh) 一种垃圾焚烧厂沥滤液深度处理工艺
KR100208956B1 (ko) Ph조정후전자선조사에의한폐수처리방법
KR100431473B1 (ko) 전자선 조사에의한폴리비닐알콜(pva)이함유된 염색폐수 처리방법
SU1204577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вискозных производств
JPH09253695A (ja) 難分解性有機物含有排水の処理方法
KR100251530B1 (ko) 폐수처리방법
KR19980085025A (ko) 전자선 조사에 의한 제지페수 처리방법
KR100461894B1 (ko) 오폐수 고도 정화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