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627B1 - 스타터 - Google Patents

스타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627B1
KR100420627B1 KR10-2001-0001163A KR20010001163A KR100420627B1 KR 100420627 B1 KR100420627 B1 KR 100420627B1 KR 20010001163 A KR20010001163 A KR 20010001163A KR 100420627 B1 KR100420627 B1 KR 10042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starter
snap rings
snap ring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972A (ko
Inventor
이노우에노부히로
구스모토게이이치
이케다히로히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01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62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2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 F02N15/02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of the overrunn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2015/061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said axial displacement being limited, e.g. by using a st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스타터는 아마추어의 회전이 전달되고 후단측에 대경부가 형성된 출력샤프트와, 출력샤프트에 헬리컬 스프라인에 의해 결합된 클러치 아우터 및 클러치 아우터에 롤러를 통해서 결합되고 한 방향 회전을 전단측의 피니온에 전달하는 클러치 인너로 되며, 피니온을 전진후퇴 복귀시키는 오버런닝 클러치와, 출력샤프트의 대경부와 오버런닝 클러치와의 사이에서 출력샤프트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후퇴복귀한 클러치 아우터의 후단을 받는 축방향으로 겹쳐서 설치된 다수의 스냅링을 구비한 스타터에 있어서, 다수개의 스냅링에 서로 걸어맞춰서 회전방향의 상호의 이동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설치되어있다.

Description

스타터{STARTER}
본 발명은 아마추어의 회전을 출력샤프트에 전달하고, 출력샤프트의 회전을 오버런닝 클러치를 통해서 피니온에 전달하며, 기관을 구동시키는 스타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오버런닝 클러치의 후퇴운동을 정지시키는 스냅링을 갖는 스타터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종래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일부를 단면으로 하는 측면도이다. 스타터(100)는 아마추어의 회전이 전달되는 출력샤프트(8)와, 출력샤프트(8)에 헬리컬 스프라인(8a)(21a)에 의해 결합된 오버런닝 클러치(20)와, 후퇴복귀한 오버런닝 클러치(20)를 받는 2개의 스냅링(24)을 갖고 있다.
출력샤프트(8)에는 아마추어측인 후단측에 대경부(8b)가 형성되어 있다. 오버런닝 클러치(20)는 출력샤프트(8)에 헬리컬 스프라인(8a)(21a)에 의해 결합된 클러치 아우터(21)와, 클러치 아우터(21)에 롤러(23)를 통해서 결합되고 일방향 회전을 전단측의 피니온(26)에 전달하는 클러치 인너(22)로 되어 있다.
헬리컬 스프라인은 축방향으로 나선상으로 뻗어서 출력샤프트(8)에 형성된 철(凸)부인 출력샤프트 헬리컬 스프라인(8a)과, 클러치 아우터(21)에 설치되어 출력샤프트 헬리컬 스프라인(8a)에 걸어맞추는 요(凹)부인 클러치 아우터 헬리컬 스프라인(21c)으로 되어 있다. 오버런닝 클러치(20)는 시프트레버(25)에 의해 출력샤프트(8)상을 진퇴운동한다. 그리고, 전단측에 설치된 피니온(26)을 전진, 후퇴 복귀시킨다.
2개의 스냅링(24)은 도 10에 표시되는 E형 스냅링으로서, 출력샤프트(8)의 대경부(8b)와 오버런닝 클러치(20)와의 사이에서 출력샤프트(8)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또, 2개의 스냅링(24)은 축방향으로 겹쳐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퇴복귀한 클러치 아우터(21)의 후단에 접촉해서 축방향의 하중을 받는다. 2개의 스냅링(24)은 두께가 큰 하나의 것으로 대치해도 되나, 두께가 큰 E형 스냅링은 제조상 어려우므로, 2개로 하여 소정의 두께 및 소정의 강도를 얻고 있다.
다음 동작을 설명한다. 자동차 등의 기관의 시동스위치가 넣어지면, 전자스위치(110)의 도시하지 않은 여자코일에 통전되고, 도시하지 않은 플랜저가 안쪽으로 흡인후퇴되며, 샤프트레버(25)가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오버런닝 클러치(20)를 전진이동시킨다. 이로써, 피니온(26)이 기관의 링기어에 맞물리게 된다. 그후, 아마추어가 회전하고, 회전력이 출력샤프트(8)에 전달된다. 이 회전은 또 오버런닝 클러치(20)를 통해서 피니온(26)에 전달되고, 기관의 링기어를 회전시켜서 기관을 시동시킨다. 기관이 시동되면, 기관의 고속회전이 피니온(26)을 같은 방향으로 구동시키나, 오버런닝 클러치(20)의 개재에 의해 아마추어측에는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있다.
기관이 시동하여 시동스위치가 끊어지면, 전자스위치(110)의 플랜저의 전진복귀로 시프트레버(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복귀하고, 오버런닝 클러치(20)를 후퇴 복귀시킨다. 이때, 클러치 아우터(21)가 후방으로의 큰 추진력을 받은 경우에 스냅링(24)이 부러지는 일이 있었다.
이같은 구성의 스타터(100)에서는 2개의 스냅링(24)은 차량의 진동이나 오버런닝 클러치(20)의 회전에 의해 도 1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방향으로 어긋났을 때가 있었다. 이와 같이 2개의 스냅링(24)이 축의 회전방향으로 어긋났을 때, 오버런닝 클러치(20)의 후퇴복귀때 발생하는 축방향 하중을 반복해 받아서 스냅링이 부러지는 경우가 있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스냅링의 정면도.
도 2 는 2개의 스냅링의 도 1 의 A-A 선에 따른 화살표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3 은 2개의 스냅링을 출력샤프트에 끼운 모양을 표시하는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 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스냅링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스냅링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 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스냅링의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 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스냅링의 정면도.
도 8 은 2개의 스냅링의 도 7 의 C-C 선을 따른 화살표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9 는 종래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일부를 단면으로하는 측면도.
도 10 은 종래의 스냅링의 정면도.
도 11 은 스냅링이 어긋나는 모양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타터 8 : 출력샤프트
20 : 오버런닝 클러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오버런닝 클러치의 후퇴운동을 멈추게 하는 스냅링의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타터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는 아마추어의 회전이 전달되고 하단측에 대경부가 형성된 출력사프트와, 출력샤프트에 헬리컬 스프라인에 의해 결합된 클러치 아우터 및 클러치 아우터에 롤러를 통해서 결합되고, 한 방향 회전을 전단측의 피니온에 전달하는 클러치 인너로 이루어지고, 피니온을 전진후퇴 복귀시키는 오버런닝 클러치와, 출력샤프트의 대경부와 오버런닝 클러치와의 사이에서 출력샤프트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후퇴복귀한 클러치 아우터의 후단을 받는 축방향으로 겹쳐서 설치된 다수의 스냅링을 구비한 스타터에 있어서, 다수의 스냅링에 서로 걸어맞춰서 회전방향의 상호의 이동을 방지하는 요철(凹凸)부가 설치되어 있다.실시의 형태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E형 스냅링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2개의 스냅링의 도 1 의 A-A 선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3 은 2개의 스냅링을 출력샤프트에 끼워준 모양을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또 도면에 표시한 이외의 구성은 종래의 스타터와 같다.
본 실시의 형태에 스냅링(31)은 예를 들면 프레스에 의해 작성된 E형 스냅링의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스냅링의 중앙부에 철(凸)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철(凸)부(31a)의 이면에 요(凹)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스냅링(31)중 한쪽의 스냅링(31)에 형성된 철(凸)부(31a)는 다른쪽의 스냅링(31)에 형성된 요(凹)부(31b)에 걸어맞춰져 있다.
2개의 스냅링(31)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출력샤프트(8)에 형성된 홈 (8c)에 끼워붙여져 있다.
그리고, 홈(8c)의 폭 B는 2개의 스냅링(31)의 위치가 출력샤프트(8)의 축방향으로 넓혀진 경우에도 요철(凹凸)부의 걸어맞춤이 빠지지 않도록 규제하는 폭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철(凸)부(31a)와 요(凹)부(31b)는 차량의 진동이나 오버런닝 클러치(20)의 회전에 의해서도 빠지는 일이 없다.
이러한 구성의 스타터에서는 2개의 스냅링(31)은 차량의 진동이나 오버런닝 클러치(20)의 회전에 의해서도 회전방향으로 어긋나지가 않고, 오버런닝 클러치(20)의 후퇴복귀때에 발생하는 축방향 하중을 반복해도 받아도 스냅링(31)이 부러지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스냅링(31)은 2개이나 2개에 한정하지않고, 필요에 따라 3개 또는 그 이상이라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E형 스냅링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스냅링(32)의 E형 스냅링의 중앙부에 사각형의 철(凸)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철(凸)부(32a)의 이면에는 철(凸)부(32a)에 걸어 맞추는 같은 4각형의 요(凹)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타터에서는 2개의 스냅링(32)은 걸어맞춤의 정도가 높아지고, 또 어긋나기도 힘들게 되므로 더욱 부러지는 일이 없다.
실시의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E형 스냅링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스냅링(33)은 E형 스냅링의 중앙부에 삼각형의 철(凸)부 (3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철(凸)부(33a)의 이면에는 철(凸)부(33a)에 걸어맞추는 같은 삼각형의 요(凹)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타터에서는 2개의 스냅링(33)은 걸어맞춤의 정도가 높아지고, 또 어긋나기 힘드므로 더욱 부러지는 일이 없다.
실시의 형태 4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 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E형 스냅링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스냅링(34)은 E형 스냅링의 중앙부와 양단부에 철(凸)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철(凸)부(34a)에 걸어맞추는 요(凸)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구성의 스타터에서는 2개의 스냅링(34)은 전체적으로 양호하게 걸어맞추고, 걸어맞춤 정도가 높아지고, 어긋나기가 힘들게 되므로 더욱 부러지기가 힘들게 된다.
실시의 형태 5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 의 스타터를 표시하는 E형 스냅링의 정면도이다.
도 8은 2개의 스냅링의 도 7의 C-C선에 따른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스냅링(35)은 E형 스냅링의 중앙부의 외주연에 철(凸)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철(凸)부(35a)의 이면에는 철(凸)부(35a)에 걸어맞추는 요(凹)부(35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타터에서는 철(凸)부(35a) 및 요(凹)부(35b)는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형성이 쉬운 동시에 회전방향으로 어긋나기 힘들고, 또 부러지는 일이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는 아마추어의 회전이 전달되고 후단측에 대경부가 형성된 출력샤프트와, 출력샤프트에 헬리컬 스프라인에 의해 결합된 클러치 아우터 및 클러치 아우터에 롤러를 통해서 결합되고, 한 방향 회전을 전단측의 피니온에 전달하는 클러치 인너로 이루어지고, 피니온을 전진·후퇴복귀시키는 오버런닝 클러치와, 출력샤프트의 대경부와 오버런닝 클러치와의 사이에서 출력샤프트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후퇴복귀한 클러치 아우터의 후단을 받는 축방향으로 겹쳐서 설치된 다수의 스냅링을 구비한 스타터에 있어서, 다수의 스냅링을 서로 걸어맞춰서 회전방향의 상호의 이동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2개의 스냅링이 차량의 진동이나 오버런닝 클러치의 회전에 의해서도 회전방향으로 어긋나는 일이 없고, 오버런닝 클러치의 후퇴복귀에 발생하는 축방향 하중을 반복해서 받아도 스냅링이 부러지는 일이 없는 것이다.또,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는 출력샤프트에 형성된 다수의 스냅링을 끼워붙이기 위한 홈의 축방향의 폭은 이 다수의 스냅링의 위치가 축방향으로 넓혀진 경우에도 요철부의 걸어맞춤이 빠지지 않도록 규제하는 폭으로 되어 있으므로, 2개의 스냅링은 걸어맞춤의 정도가 높아지고, 또 어긋나기 힘들게 되므로 더욱 부러지는 일이 없는 것이다.또,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는 스냅링은 E형 스냅링이고, 요철부는 E형 스냅링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2개의 스냅링은 걸어맞춤의 정도가 높아지고, 또 어긋나기 힘드므로 더욱 부러지는 일이 없는 것이다.

Claims (3)

  1. 아마추어의 회전이 전달되고 후단측에 대경부가 형성된 출력샤프트와, 상기 출력샤프트에 헬리컬 스프라인에 의해 결합된 클러치 아우터 및 이 클러치 아우터에 롤러를 통해서 결합되고, 한방향 회전을 전단측의 피니온에 전달하는 클러치 인너로 되고, 상기 피니온을 전진, 후퇴복귀시키는 오버런닝 클러치와, 상기 출력샤프트의 대경부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와의 사이에서 이 출력샤프트에 끼워져 설치되고, 후퇴복귀한 상기 클러치 아우터의 후단을 받는 축방향으로 겹쳐서 설치된 다수의 스냅링을 구비한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냅링에 서로 걸어맞춰서 회전방향의 상호의 이동을 방지하는 요철(凹凸)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샤프트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스냅링을 끼워붙이기 위한 홈의 축방향의 폭은 이 다수의 스냅링의 위치가 축방향으로 넓혀진 경우에도 상기 요철(凹凸)부의 걸어맞춤이 빠지지 않도록 규제하는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은 E형 스냅링이고, 상기 요철(凹凸)부는 상기 E형 스냅링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KR10-2001-0001163A 2001-01-09 2001-01-09 스타터 KR10042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163A KR100420627B1 (ko) 2001-01-09 2001-01-09 스타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163A KR100420627B1 (ko) 2001-01-09 2001-01-09 스타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972A KR20020059972A (ko) 2002-07-16
KR100420627B1 true KR100420627B1 (ko) 2004-03-02

Family

ID=3748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163A KR100420627B1 (ko) 2001-01-09 2001-01-09 스타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7489B1 (en) * 2019-01-10 2020-06-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nap ring having retention fea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6964A (ja) * 1987-01-28 1988-08-02 Nippon Denso Co Ltd スタ−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6964A (ja) * 1987-01-28 1988-08-02 Nippon Denso Co Ltd スタ−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972A (ko) 200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388B2 (en) Starter with overrunning clutch
JP5267602B2 (ja) スタータ
KR100420627B1 (ko) 스타터
KR100931037B1 (ko) 출력 샤프트와 피니언 기어 사이에서 신뢰성 있는 결합을확보할 수 있는 개선된 헬리컬 스플라인 구성을 구비하는엔진 스타터
US6766707B2 (en) Shaft clutch
JP5645969B2 (ja) 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始動装置
KR20030087903A (ko) 스타터
JP7290388B2 (ja) ラチェット型クラッチ
JP3874707B2 (ja) スタータ
US7159480B2 (en) Pinion slip-off preventive structure of starting apparatus
JP2007218217A (ja) スタータ
JP2009156327A (ja) 自動車用変速機
US20150114177A1 (en) Starter and engaging device thereof
KR100535134B1 (ko) 자동차의 오버런 방지용 시동모터 구조
KR100433158B1 (ko) 시동전동기의 시프트 레버
JP2002115636A (ja) スタータのピニオンストッパ装置
JP2537282B2 (ja) スタ―タ
JP4532451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705104B1 (ko) 자동차의 변속기
KR100620822B1 (ko) 수동변속기
KR970006105Y1 (ko) 자동차 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져
JPH0631182Y2 (ja) スタータモータにおけるガバナ装置
KR19980058968A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슬리이브의 기어치
KR100280004B1 (ko) 싱크로나이저의 스토퍼 구조
KR200148304Y1 (ko) 자동차의 스타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