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376B1 - 여재유실방지 트라프 - Google Patents

여재유실방지 트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376B1
KR100420376B1 KR1020030056765A KR20030056765A KR100420376B1 KR 100420376 B1 KR100420376 B1 KR 100420376B1 KR 1020030056765 A KR1020030056765 A KR 1020030056765A KR 20030056765 A KR20030056765 A KR 20030056765A KR 100420376 B1 KR100420376 B1 KR 10042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gh
filter media
filter
media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구
최근주
노재순
Original Assignee
김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구 filed Critical 김상구
Priority to KR102003005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Abstract

여과지에 억류물이 누적되어 여과기능이 떨어지면 여재를 깨끗이 씻어주는데 이를 역세척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역세척은 물과 공기를 이용하는데 비중이 높은 모래는 물과 공기를 동시에 사용하여 역세척을 행하여도 모래의 유실이 없으나 안트라사이트나 활성탄과 같이 비중이 낮은 여재는 물과 공기를 동시에 사용하여 역세척을 하면 이들 여재는 트라프로 유실되므로 역세척시 물세척과 공기세척을 따로 행하고 있어 효율적인 역세척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트라프로 넘어온 여재를 다시 여과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트라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안트라사이트나 입상활성탄과 같이 비중이 낮은 여재의 역세척시에도 공기세척과 물세척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역세척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깨끗한 여과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

Description

여재유실방지 트라프 {Filter media losing protect trough}
여과지는 정수처리의 최종단계로 수중의 입자들은 여재입자 사이의 공극에 억류됨으로써 물과 분리되어 여과수가 깨끗하게 된다. 여과지가 보유하는 억류능력 이상으로 여과가 진행되면 여과능력을 상실해 여과지를 세척해야 하는데 이를 역세척이라고 한다.
여과지 역세척은 일반적으로 물과 공기를 이용하며, 여재에서 억류물질을 탈리시킨 역세척수는 트라프를 통하여 배제시키는데, 트라프의 형식은 여과지 상부에 수지식으로 설치된 형태와 여과지 측벽 부착된 측벽형트라프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있다.
여과지는 억류능력이 크면 클수록 여과시간이 길어져 역세척 횟수가 줄어들어 경제적이다. 이를 위해서 여과지의 구성을 모래만으로 하지 않고, 안트라사이트와 모래와 같이 2층으로 구성하여 여과지에서 억류능력을 증가시키려 하고 있다. 그러나 안트라사이트는 비중이 낮아 역세척시 공세와 수세를 동시에 하면 유실율이 높아 병행하지 못하고 공세 후 수세를 각각 따로 하고 있다. 이렇게 공세와 수세를 동시에 할 수 없어 역세척이 비효율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유기물 제거를 위하여 설치된 활성탄 여과지의 활성탄은 안트라사이트보다 훨씬 비중이 낮아 공세와 수세를 병행하여 역세척을 하면 유실율이 매우 높아진다. 이와같이 비중이 낮은 여재를 사용하는 여과지의 역세척시 공세와 수세를 동시에 병행 할 수 있으면 여재의 세정효율이 증가될 수 있으나 기존의 트라프는 구조상 동시에 병행 할 수 없어 매우 낮은 역세적 효율을 가진다.
도 1은 수지형트라프 사시도
도 2는 측벽형트라프 사시도
도 3은 수지형트라프 측면도
도 4는 측벽형트라프 측면도
본 발명은 여과지 트라프의 내부에 분리칸(110)과 월류위어(120)를 설치함으로써 역세척시 공세와 수세를 동시에 행하여도 여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트라프이다.
일반적인 트라프 구성는 여과지 상부에 여러개 설치된 수지형과 여과지 벽면과 평행하게 설치된 측벽형트라프가 있는데 본 발명은 어떠한 형식의 트라프라도 분리칸(110)과 월류위어(120)를 설치함으로 여재유출을 방지 할 수 있는 트라프 구성의 적용이 가능하다.
트라프 내의 분리칸(110)은 트라프 내부를 공기분리부(211)와 여재분리부(210)로 나누는 작용을 하는데 공기와 함께 트라프 공기분리부(211)로 유입된 역세척수는 이 부분에서 공기와 역세척수가 분리되어 역세척수 내의 극심한 교란 상태가 안정화되고 다음 단계인 여재분리부(210)에서 역세척수와 함께 트라프로 넘어온 여재는 비중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어 여재는 트라프 아래로 물은 위로 흘러 월류위어(120)를 넘게된다. 트라프 하부는 역세척수와 분리된 여재가 미끄러질 수 있는 정도의 경사를 두며, 경사 끝부분에 여재가 여과지로 빠져나갈 수 있는 여재배출구(130)을 준다. 여재배출구(130) 아래에는 공기유입방지턱(140)을 설치하여 여과지의 공기가 트라프 여재분리부(210)로 직접 유입하지 못하게 한다.
측벽형트라프 구조에서는 트라프하부의 경사를 공기분리부(211)방향으로 두고 경사 끝부분에 여재배출구(130)을 두어 트라프로 넘어온 활성탄이 여과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하며, 트라프 하부 경사를 트라프 외벽까지 돌출시켜 여과지 내의 공기가 트라프로 직접 유입하지 못하게 한다.
표 1은 기존의 트라프와 본 발명에 의한 트라프의 효율을 역세척속도에 따라 비교한 것으로 기존 트라프에서는 공기세척과 물세척을 동시에 병행하면 역세척속도가 낮아도 활성탄의 유실이 있으나 본 발명의 트라프는 수세속도가 높아도 활성탄의 유실이 거의 없었다.
표 1 역세척속도에 따른 트라프 개선 전·후의 활성탄 유출량 비교
수세속도(cm/분) 개선전 유출(mL/250mL) 개선후 유출(mL/250mL)
48 9.0 거의 없음
32 1.5 "
19 1.2 "
11 0.8 "
여재의 비중이 낮아 공세와 수세를 동시에 할 수 없었던 이층여과지나 활성탄여과지에 본 발명에 의한 트라프를 적용하면 수세와 공세를 동시에 사용해도 여재의 유실이 거의 없어 여과지 역세척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층여과지의 경우 여과효율은 우수하나 여재유실이 문제가 되어 적극적으로 도입하지 못하던 문제점도 해결 할 수 있어 이층여과지의 사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Claims (1)

  1. 기존의 트라프 안쪽에 분리칸(110)을 설치하여 전단 공기분리부(211)에서 공기를 배제하여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시킨 뒤 후단의 여재분리부(210)에서 역세척수와 여재를 분리시키고
    여재분리부 끝단에 월류위어(120)를 설치하여 여재와 분리된 역세척수를 배제하며
    역세척수와 분리된 여재는 경사진 트라프 하부에 여재배출구(130)를 두어 여재가 여과지로 배출되도록 하고
    여재배출구(130)로 여과지 내의 공기가 트라프로 직접 유입하지 못하도록 공기유입방지턱(140)을 설치한 여재유실방지 트라프
KR1020030056765A 2003-08-18 2003-08-18 여재유실방지 트라프 KR10042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765A KR100420376B1 (ko) 2003-08-18 2003-08-18 여재유실방지 트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765A KR100420376B1 (ko) 2003-08-18 2003-08-18 여재유실방지 트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376B1 true KR100420376B1 (ko) 2004-02-27

Family

ID=3732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765A KR100420376B1 (ko) 2003-08-18 2003-08-18 여재유실방지 트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3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878B1 (ko) 2008-10-28 2011-10-31 박현석 정수장 여과지의 여재유실 차단장치
KR101466765B1 (ko) 2013-03-13 2014-11-28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KR102127609B1 (ko) 2020-02-11 2020-06-26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지용 트라프
KR102210629B1 (ko) 2020-06-30 2021-02-02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지에 설치되는 여과재 유실 방지용 트라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878B1 (ko) 2008-10-28 2011-10-31 박현석 정수장 여과지의 여재유실 차단장치
KR101466765B1 (ko) 2013-03-13 2014-11-28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KR102127609B1 (ko) 2020-02-11 2020-06-26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지용 트라프
KR102210629B1 (ko) 2020-06-30 2021-02-02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지에 설치되는 여과재 유실 방지용 트라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511446A (ja) 側方暗きょにおける気体逆洗を改善する装置及び方法
TW200922676A (en)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KR100420376B1 (ko) 여재유실방지 트라프
JP6316156B2 (ja) 沈殿池
KR101861283B1 (ko) 수족관
JP2007125479A (ja) 濾過装置
KR101425770B1 (ko) 수평흐름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JPH10151500A (ja) 汚水浄化槽
KR100964784B1 (ko)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JP6488368B2 (ja) 水処理設備
JP3235740B2 (ja) 固液分離装置
KR102377990B1 (ko) 유효공극 가변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처리용 필터장치
KR870003400Y1 (ko) 자동 상향류 여과기
JPH0410890Y2 (ko)
JP6506631B2 (ja) 観賞魚水槽の上部設置用濾過装置
KR100544829B1 (ko) 여재 유실 방지 트러프
JP3391498B2 (ja) 重力式濾過装置
JP3818946B2 (ja) 多段式浮上ろ材上向流ろ過装置
KR900004724Y1 (ko) 사이폰 여과장치
JPH04146752A (ja) 気泡発生装置付循環浄化浴槽
JP3106859B2 (ja) 沈澱池のろ過装置
KR200273295Y1 (ko) 여과기의 자동세척장치
JP2015167932A (ja) ろ過洗浄装置及びろ過洗浄方法
JP3974476B2 (ja) 移動床式ろ過装置
JPH023720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