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631B1 -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631B1
KR100419631B1 KR10-1999-0059959A KR19990059959A KR100419631B1 KR 100419631 B1 KR100419631 B1 KR 100419631B1 KR 19990059959 A KR19990059959 A KR 19990059959A KR 100419631 B1 KR100419631 B1 KR 10041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otation
side guide
contact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3089A (ko
Inventor
정병완
홍헌호
김완일
박원석
원상철
박부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5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63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20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Abstract

본 발명은 후판압연공정에서 압연재를 회전시킬 때 회전완료 여부를 검출하는 경우에 압연재가 회전제한거리만큼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압연재와 측면안내판과의 접촉여부로 판단하는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회전롤러테이블에 이송된 후판압연된 압연재를 모서리직각도 향상을 위하여 압연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압연재의 회전제한거리를 설정하는 좌우측면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재의 회전에 따라 압연재의 모서리와 좌우 측면안내판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검출하도록 각 측면안내판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된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검출된 충격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충격신호변환기와, 상기 충격신호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연재와 좌우 측면안내판간의 접촉여부 및 그에 따른 회전완료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회전롤러테이블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완료판별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A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TURNING FINISHED OF THICK STEEL PLATE}
본 발명은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후판압연공정에서 압연재를 회전시킬 때 회전완료 여부를 검출하는 경우에 압연재가 회전제한거리만큼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압연재와 측면안내판과의 접촉여부로 판단하는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판제품은 폭이 넓고 다양하기 때문에 압연재를 평면상에서 회전롤러테이블을 이용하여 90°수평회전하여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며, 폭내기 압연 중에는 회전롤의 좌우 직경차이로 인하여 압연재가 압연기에 치입시 중심선이 조금씩 틀어지기 때문에 폭내기 압연 완료 후 압연재의 형상이 평행사변형 형태가 되는 모서리 귀나옴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폭내기 압연중에 발생한 귀나옴 현상을 보상하여 모서리 형상을 직각화시키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가 나온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압연재(3a->3b)를 회전시킨 다음 압연을 실시하여 귀가 들어간 부분이 많이 압연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폭내기 압연시 압하율, 길이내기 압연 제 1 패스의 압하율 및 압연재(3)의 모서리 부분의 비직각도(θs,이하 스큐각이라 칭함)을 이용하여 비직각도를 보상하여 직각화하기 위한 각(θ1,이하 보상각이라 칭함)을 결정하고, 이 보상각에 해당하는 회전제한거리(K)를 압연재의 폭과 길이, 보상각으로부터 구한 다음, 좌우 측면 안내판(2a)(2b)을 회전제한거리(K)만큼 연 뒤 회전롤러 테이블(10)을 구동하여 압연재를 모서리 귀가 나온 반대방향으로 좌우측면 안내판(2a)(2b)에 닿을때까지 회전시키는 과정을 거친후 길이내기 압연을 실시한다. 따라서, 모서리 직각도가 우수한 후강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압연재를 회전제한거리 만큼 정확히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후강판의 모서리 직각도를 개선하기 위해 압연재가 회전롤러테이블(10)상에서 회전제한거리(K)만큼 회전하여 측면안내판(2a)(2b)과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육안 관찰과 청각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였다. 이때 작업자는 회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회전롤러테이블(10)을 정지시키고 이어서길이내기 압연을 계속 실시하였다. 그러나, 운전실에 위치한 작업자의 시야와 청각은 후판압연 작업장의 조명이나 수증기와 같은 장애물과 소음등으로 인해 제한을 받으므로 압연재가 회전제한거리만큼 정확히 회전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회전이 완료되었는데도 작업자가 이를 판단하고 회전롤러테이블을 정지시키는 것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조업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압연재가 측면안내판을 계속 밀어내어서 측면안내판이 파손되는 설비사고의 가능성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모서리 직각도가 우수한 후강판제조에 있어서 압연재가 회전롤러테이블상에서 회전제한거리만큼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압연재와 좌우 측면안내판의 접촉 여부로 판단하는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안내판에 부착된 충격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다수의 신호중에서 압연재와 측면 안내판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신속, 정확하게 판별하여 회전완료신호를 발생시키는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후강판 회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시스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 검출장치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장치의 증폭 및 필터부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비교기의 상세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부의 상세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장치의 출력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9는 본발명에 따른 회전완료 검출회로를 리세트시키기 위한 리세트회로의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장치의 일예에 따른 신호파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실험결과에 대한 신호파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압연재, 4a~4d...충격센서,
10...회전롤러테이블, 11,12...충격신호변환기,
21,22...증폭/필터부, 30...파형비교기,
40...디지털신호처리부, 50...출력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는 회전롤러테이블에 이송된 후판압연된 압연재를 모서리직각도 향상을 위하여 압연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압연재의 회전제한거리를 설정하는 좌우측면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재의 회전에 따라 압연재의 모서리와 좌우 측면안내판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검출하도록 각 측면안내판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된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검출된 충격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충격신호변환기와, 상기 충격신호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연재와 좌우 측면안내판간의 접촉여부 및 그에 따른 회전완료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회전롤러테이블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완료판별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방법은 회전롤러테이블에 이송된 후판압연된 압연재를 모서리직각도 향상을 위하여 압연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압연재의 회전제한거리를 설정하는 좌우측면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연재의 회전시 좌우측면안내판과 압연재의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충격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신호증폭 및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충격검출신호와 접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설정된 접촉임계치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접촉임계치이상이면 압연재와 측면안내판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여 소정의 디지털펄스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발생되는 디지털펄스를 계수하여 기설정된 기준펄스수와 비교하고, 비교결과 계수된 디지털 펄스수가 기준펄스수이상이면 회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회전롤러테이블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시스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 검출장치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연재(3)를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롤러테이블(10)과 위치제어가 가능한 좌우 측면안내판(2a)(2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강판의 제조장치에는 어디에든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강판 회전완료 검출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센서(4), 충격센서고정부(5), 충격센서케이블(6), 충격신호변환기(11)(12), 증폭 및 필터부(20), 파형비교부(30), 디지털신호처리부(40) 및 출력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충격센서(4)는 물체의 기계적충격을 검출하는 것으로써 좌우 측면 안내판(2a)(2b)에 각각 2개씩 모두 4개(4a~4d)를 설치하며, 1100℃이상 고온의 압연재(3)와 직접 닿는 일이 없도록 측면안내판(2)의 후면에 설치된다.
각 측면안내판(2a)(2b)에 각각 2개씩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4a~4d)를 설치하는 것은 회전방향에 따라서 압연재(3)가 측면안내판(2a)(2b)과 접촉하는 위치가 다르게 되어서 각 센서의 신호감도에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즉, 도 2에서처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센서신호감도는 제 2 센서검출값 및 제 3 센서검출값이 각각 제 1 센서검출값 및 제 4 센서검출값보다 크다. 시계방향의 회전인 경우에는 반대가 된다. 또한, 압연재는 제조하는 후강판에 따라 크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방향의 회전이라도 접촉 부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 측면안내판(2a)(2b)에 2개의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신호 검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한 센서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센서에 의해서 충격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충격센서고정부(5)는 충격센서(4)를 측면안내판(2)에 단단히 고정하여 측면안내판(2)의 충격이 충격센서(4)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온, 수분등 외부환경 영향으로부터 충격센서(4)를 보호한다.
상기 충격센서케이블(6)은 충격센서(4)와 충격신호변환기(11)(12)를 연결하여 충격센서(4)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격센서가 감지한 충격신호를 충격신호변환기(11)(1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신호변환기(11)(12)는 충격센서(4)가 감지한 기계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써 각 측면안내판(2a)(2b)에 부착된 2개의 충격센서(4a,4b)(4c,4d)와 충격센서케이블(6)을 통해 각각 연결된다.
이때, 각 충격신호변환기(11)(12)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충격센서검출신호는 증폭 및 필터부(21)(22)로 입력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장치의 증폭 및 필터부의 상세회로도이다. 상기 충격센서(4a,4b)(4c,4d)로부터 검출되어 입력되는 신호(s1,s2)는 압연재와 측면안내판의 접촉에 의한 신호, 측면안내판의 위치설정시 측면안내판 자체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 및 주변기기의 진동에 의한 신호등이 있다. 이러한 신호중에서 압연재(3)와 측면안내판(2)의 접촉시 발생하는 신호의 주파수대역은 실험에 의한 조사결과 200Hz~20kHz 대역에 포함되므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된 신호(s1)를 필터 및 신호증폭기에 의해서 200Hz~20kHz대역으로 필터링하고 다시 반전증폭기(op2)를 거쳐 원래신호의 위상으로 보상하며 입력된 신호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서 딥스위치(21a)를 사용하여 증폭도를 선택설정한다.
한편, 상기 잡음이 제거된 후 증폭된 신호는 파형비교기(30)에 의해 각각 접촉임계치와 비교되어 접촉임계치보다 크면 일예로 0V전위를, 작으면 +5V전위를 갖는 디지털펄스신호로 변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비교기의 상세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파형비교기(30)는 임계치설정저항(Rv)에 의해 설정된 접촉 임계치값을 증폭기(op3)에 의해 증폭출력하여 제 1 및 제 2 연산기(op4)(op5)의 비반전입력신호로 출력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연산기(op4)(op5)의 반전입력단에는 각각 증폭 및 필터부(21)(22)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접촉 임계치와 비교된 후 그 비교결과에 따라 각각 0V,+5V의 디지털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파형비교기(30)에 의해 발생되는 디지털 펄스는 디지털 신호처리부(40)로 입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부의 상세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교기(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펄스 신호(일예로 제 1 연산기의 출력신호)는 디지털 신호처리부(40) 내부에 구성된 4비트 카운터(41)에 의해 카운트되고, 카운트된 그 수가 압연재와 측면 안내판이 접촉했음을 알리는 기준펄스수와 같은지의 여부를 4비트 비교기(42)를 통해 판단한다. 만약, 카운트된 값이 기준펄스수와 같으면 D플립플롭(43)의 클록신호로 입력되어 D플립플롭(43)은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D플립플롭(43)으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발생된 후 다시 이 신호는 인버터를 거쳐 로우레벨 신호로 된 후 피드백되어 4비트비교기(42)의 제어신호를 로우레벨로 만들어 주어 후강판의 회전완료 판별회로가 전체적으로 리셋될 때까지는 더 이상 비교를 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오어게이트(OR1)에 입력되는 또다른 신호는 상기 파형비교기(30)의 제 2 연산기(op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대한 전술한 연산을 수행한 결과에 따른 신호이다.
만약 오어 게이트(OR1)로 입력되는 두 개의 펄스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 펄스수와 같으면 JK플립플롭(44)을 통해 출력부(50)를 구동시키는 하이 레벨의 출력신호가 출력부(50)의 릴레이(51)를 클로우즈시켜 회전완료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완료신호는 상위제어시스템이 충분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출력부의 릴레이를 일정시간동안 클로우즈시킬 필요가 있다. 실험결과 회전완료신호는 3초가 적정한 값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회전완료신호를 3초간 유지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타이머(45)를 카운터로서 구성한다. 상기 디지털 타이머(45)는 평소에는 동작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JK플립플롭(44)의 출력이 하이레벨이 되면 시동되어 디지털 타이머(45) 내부에서 시스템클럭을 카운트하고, 기설정된 시간인 3초만큼 카운트되었을 때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JK플립플롭(44)의 K입력에 인가된다. 이때에는 J와 K입력이 하이레벨이 되므로 JK플립플롭(44)의 출력은 로우레벨이 되고 디지털 타이머(45)를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게 하며 출력부(50)의 릴레이를 오픈시킨다. 이러한 동작순서로 3초동안 회전완료신호가 출력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충격센서 검출신호(S1,S2)중에서 어떤 신호가 먼저 압연재(3)와 측면안내판(2a)(2b)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었는지를 발광다이오드(D1,D2,D3)를 통해서 알 수 있도록 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클리어(Clear)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디지털 처리부(40)에서 각각의 충격센서 검출신호(s1)(s2)를 처리하는 도 7의 G블록을 통해 압연재와 좌우 측면안내판(2a)(2b)간의 접촉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충격센서 검출신호(s1)에 의해서 회전완료검출신호가 발생되었다면 회전완료신호를 나타내는 발광다이오드(D3)와 충격센서 검출신호(s1)에 의한 접촉여부 해당되는 발광다이오드(D1)이 3초간 점등된다.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장치의 출력부(50)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한편, 도 9는 본발명에 따른 회전완료 검출회로를 리세트시키기 위한 리세트회로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디지털 타이머(45)의 출력신호, 검출개시신호 및 시스템 리세트신호에 의하여 D플립플롭(43), 4비트카운터(41) 그리고 JK플립플롭(44)이 리셋된다. D플립플롭(43)과 4비트 카운터(41)는 디지털타이머(45)의 출력이 하이레벨인 경우에는 클리어상태를 유지한다. 또, 측정개시신호(T)가 로우레벨인 기간동안에는 어떠한 디지털 펄스가 후강판의 회전완료 판별회로에 인가되더라도 후강판의 회전완료 판별회로는 출력부(50)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즉, 측정개시신호(T)가 하이레벨로 인가된 경우에만 압연재와 측면안내판간의 충격으로 발생한 회전완료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요약하여 설명하면 상기 파형비교기(30)는 충격센서에 의해 검출된 충격신호들을 전달받아서 측면안내판과 압연재의 접촉에 해당하는 접촉임계치와 비교하여 구형파의 디지털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디지털 신호 처리부(40)에서는 충격센서(4)의 각 채널에서 입력되는 펄스를 계수하여 기준펄스수를 초과하면 해당 충격센서의 채널에서는 압연재와 측면안내판의 접촉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좌우 각 측면안내판에 2개씩 부착된 충격센서중 어느 한 채널이라도 접촉되면 해당 측면안내판은 압연재와 접촉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며 좌우 측면안내판과 압연재가 모두 접촉하면 회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에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장치를 이용하여 후강판 압연재의 회전완료 검출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 검출방법에서는 단계(s10)에서 측면 안내판이 회전제한거리(K)만큼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지령이 내려지면 단계(s15)에서 회전롤러테이블(10)이 구동되어서 압연재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중 압연재가 측면안내판(2a)(2b)과 접촉에 의해 충격이 발생하고, 이때 단계(s20)에서 충격센서에 의해 충격신호가 검출된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좌우 측면 안내판은 회전제한거리(K)만큼 열려 있는 상태에서 회전롤러테이블(10)에 의해 압연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압연재가 회전제한거리(K)만큼 회전되면 압연재가 좌우 측면안내판과 부딪치게 되며 이때 각 측면안내판이 받게 되는 힘의 크기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M*V)/Δt
(여기서, M:압연재의 질량, V:압연재의 선속도, Δt:압연재와 측면안내판의 접촉시간).
한편, 각 측면안내판의 위치는 회전제한거리에 정지되어 있으므로 압연재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으며, 이렇게 발생된 힘은 각 측면안내판을 고정된 위치에서 기계적으로 진동하게 만든다. 이러한 진동은 측면안내판과 압연재가 부딪칠 때만 발생하고 진동의 크기는 힘 F에 비례하며 측면안내판의 구조, 재질 및 중량등에 의해 고유 진동수가 결정되어 항상 일정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압연재와 측면안내판이 부딪칠 때 발생하는 고유한 진동특성을 미리 파악하고, 압연재가 회전할 때 이러한 진동을 발생하면 압연재와 측면안내판의 접촉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에 단계(s25)에서 좌우 측면안내판에 부착된 4개의 충격센서의 신호는 각각 신호변환기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다음 단계(s30)에서 신호감도를 높이기 위해 증폭 및 필터부로 입력되어 신호증폭 및 잡음제거과정을 거친 후에 파형비교기로 출력된다. 따라서, 단계(s35)에서 파형비교기는 기설정된 접촉임계치와 각 충격센서로부터 검출입력되는 충격검출신호(s1,s2)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검출신호가 접촉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각각 디지털 펄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접촉 임계치는 압연재와 측면안내판의 접촉에 해당하는 최저의 충격신호크기를 말하는 것으로 충격신호가 접촉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은 압연재와 측면안내판의 접촉에 의한 충격으로 측면안내판이 진동하고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상기의 충격신호가 접촉 임계치와 비교하여 큰 경우에만 단계(s40)에서 디지털펄스를 1회 발생시킨다.
다음 단계(s45)에서는 상기의 디지털 펄스를 계수하고, 다음 단계(s50)에서는 상기 계수한 디지털펄스수와 기설정된 기준펄스수(reference pulse), 일예로 5~10를 비교하여 계수된 펄스수가 기준펄스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충격센서 채널은 압연재와 측면안내판의 접촉을 검출한 것으로 간주하고 그렇지 않으면 충격신호를 계속검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충격센서가 모두 4개가 있으므로 각 충격센서 채널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며 각 측면안내판의 충격센서중 어느 한 센서만이라도 기준펄스수를 초과하면 해당 측면안내판은 압연재와 접촉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 단계(s55)에서는 좌우측면안내판과 압연재가 모두 접촉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모두 접촉된 경우에는 회전완료인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단계(s60)에서 회전테이블의 구동을 정지시켜 압연재의 회전을 정지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장치의 일예에 따른 신호파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는 잡음이 포함된 충격신호에 의한 진동파형을 나타낸것이고, (b)는 상기 (a)의 파형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여 잡음을 제거한 신호파형과 접촉임계치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c)는 상기 파형과 접촉임계치를 비교하여 구형파의 디지털펄스를 0.2초에서 0.6초까지 7회발생시킨 것을 나타내며, (d)는 상기 디지털펄스를 계수하여 기준펄스수를 초과한 시점인 0.6초부터 3초동안 접촉완료신호를 출력한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 회전완료검출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실험결과에 대한 신호파형도를 나타낸 것으로, 임의의 후판 압연재를 회전롤러테이블에 위치시키고 측면안내판의 회전제한거리(K)를 임의로 2100mm에서 3000mm로 바꾸어가면서 벌려놓은 다음 압연재를 회전시키고, 본 발명을 적용하였을 때 회전완료 신호가 제대로 발생하는 지 조사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접촉임계치는 50㎨로 하고 기준펄스수를 7로 했을 때, 압연재가 회전을 시작한지 4초후에 측면안내판과 접촉하여 0.3초간 디지털 펄스를 계수한 뒤에 회전완료신호가 4.3초만에 발생하여 약 3초간 지속됨을 확인한 결과 측면안내판의 접촉시점과 본 발명을 이용한 신호발생시점이 일치하여서 압연재가 회전제한거리(K)만큼 회전하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장치 및방법에서는 압연재와 좌우 측면안내판의 접촉여부를 충격센서에 의한 진동신호 검출에 의해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서 회전롤러테이블에 놓인 압연재가 회전제한거리(K)만큼 정확히 회전되도록 제어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회전롤러테이블에 이송된 후판압연된 압연재를 모서리직각도 향상을 위하여 압연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압연재의 회전제한거리를 설정하는 좌우측면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재의 회전에 따라 압연재의 모서리와 좌우 측면안내판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검출하도록 각 측면안내판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된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검출된 충격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충격신호변환기와,
    상기 충격신호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연재와 좌우 측면안내판간의 접촉여부 및 그에 따른 회전완료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회전롤러테이블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완료판별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완료판별수단은
    상기 충격신호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고 소정 레벨로 증폭출력하는 증폭 및 필터부와,
    상기 증폭출력되는 충격검출신호를 압연재와 좌우측면안내판간의 접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설정된 접촉임계치와 비교하여 접촉여부를 판단하고, 접촉으로 판단되면 소정레벨의 디지털펄스를 발생시키는 파형비교부와,
    상기 파형비교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펄스를 계수하여 회전완료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기준펄스수와 비교하고, 계수된 펄스수가 기준펄스수이상인 경우에는 압연재의 회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회전롤러테이블의 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장치.
  3. 회전롤러테이블에 이송된 후판압연된 압연재를 모서리직각도 향상을 위하여 압연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압연재의 회전제한거리를 설정하는 좌우측면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연재의 회전시 좌우측면안내판과 압연재의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충격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신호증폭 및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충격검출신호와 접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설정된 접촉임계치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접촉임계치이상이면 압연재와 측면안내판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여 소정의 디지털펄스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발생되는 디지털펄스를 계수하여 기설정된 기준펄스수와 비교하고, 비교결과 계수된 디지털 펄스수가 기준펄스수이상이면 회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회전롤러테이블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강판의 회전완료검출방법.
KR10-1999-0059959A 1999-12-21 1999-12-21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41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959A KR100419631B1 (ko) 1999-12-21 1999-12-21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959A KR100419631B1 (ko) 1999-12-21 1999-12-21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089A KR20010063089A (ko) 2001-07-09
KR100419631B1 true KR100419631B1 (ko) 2004-02-25

Family

ID=1962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959A KR100419631B1 (ko) 1999-12-21 1999-12-21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927B1 (ko) * 2008-04-10 2010-05-13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선단 검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트립 권취 장치
KR101990961B1 (ko) * 2017-10-11 2019-06-20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소재 터닝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3507A (ja) * 1982-04-14 1983-10-26 Kawasaki Steel Corp スラブの搬送方法
JPS6075522A (ja) * 1983-09-28 1985-04-27 Rozai Kogyo Kk スラブ自動載置装置
JPS62218345A (ja) * 1986-03-19 1987-09-25 Hitachi Ltd 厚板精整ラインの鋼板搬送異常検出システム
KR100246055B1 (ko) * 1997-11-20 2000-04-01 최규철 열간 압연공정의 사이드가이드 제어 장치
JP2000102812A (ja) * 1998-09-30 2000-04-11 Kawasaki Steel Corp スラブの転回姿勢検知装置
KR20010038523A (ko) * 1999-10-26 2001-05-15 이구택 폭측정장치 부하전류를 이용한 소재회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3507A (ja) * 1982-04-14 1983-10-26 Kawasaki Steel Corp スラブの搬送方法
JPS6075522A (ja) * 1983-09-28 1985-04-27 Rozai Kogyo Kk スラブ自動載置装置
JPS62218345A (ja) * 1986-03-19 1987-09-25 Hitachi Ltd 厚板精整ラインの鋼板搬送異常検出システム
KR100246055B1 (ko) * 1997-11-20 2000-04-01 최규철 열간 압연공정의 사이드가이드 제어 장치
JP2000102812A (ja) * 1998-09-30 2000-04-11 Kawasaki Steel Corp スラブの転回姿勢検知装置
KR20010038523A (ko) * 1999-10-26 2001-05-15 이구택 폭측정장치 부하전류를 이용한 소재회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089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7022B1 (en) Impact detection device
US5224835A (en) Shaft bearing wear detector
JPS54156285A (en) Device for detecting chip damage of milling cutter
JPS569099A (en) Abnormality detecting method of automatic press
KR100419631B1 (ko) 후강판의 회전완료 검출장치 및 방법
US69229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ransmitted signals from a probe system
GB2046970A (en) Electric motor monitoring
EP1172662A3 (en) Counter verification circuit
CN102338644A (zh) 具备噪声量检测功能的编码器
GB1597639A (en) Evaluating yarn signals
JPH08199950A (ja) 自動シャッター装置
JPS6120734B2 (ko)
JPH0249384Y2 (ko)
JPH0216463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監視装置
JPS62196418A (ja) 軸受の異常検知方法
JP4552799B2 (ja) 自律走行装置
JP2000275097A (ja) 振動モニタ装置
KR20140086269A (ko) 베어링 잔여 수명 예측 방법
JPS605893B2 (ja) 軸受の異常監視装置
KR0117863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덱크 조립체 이상 진동 검사 장치
JPS5644907A (en) Anomaly monitor device
JP2585593B2 (ja) 半導体装置の静電気検出装置
JPH02263155A (ja) 軸受機構のクラツク検出装置及び方法
JPS61131856A (ja) 切削工具異常検出装置
JP2510391Y2 (ja) 超音波探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