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577B1 -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577B1
KR100419577B1 KR10-2000-0082260A KR20000082260A KR100419577B1 KR 100419577 B1 KR100419577 B1 KR 100419577B1 KR 20000082260 A KR20000082260 A KR 20000082260A KR 100419577 B1 KR100419577 B1 KR 100419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oam
performance monitoring
head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804A (ko
Inventor
박상택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0-0082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5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4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fabrics
    • H04L49/105ATM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망에서 ATM 계층의 OAM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ITU-T 권고안 I.610에 의거하여 ATM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수신측 해당 연결 설정시에 ATM 계층의 모든 성능감시 및 장애관리 기능 등을 하드웨어로 구현함으로써, ATM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OAM)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비동기전달모드(ATM) 계층을 운용 및 유지보수(OAM)하는 방법에 있어서,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을 참조하여, 장애관리 처리부에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장애표시신호(AIS) 셀을 생성한 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장애관리 관련 셀(AIS, RDI, 루프백 셀) 입력시에 헤더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해당 연결(가상연결 포함)에 필요한 연속성 관련 파라미터를 읽어들여 사용자 셀이나 연속성 검사 OAM 셀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연결에 장애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해 인터럽트의 종류와 연결식별자를 출력하여, 장애가 발생했음을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및 성능감시 처리부에서 상기 해당 연결에 대한 순방향 성능감시(FRM) OAM 셀 수신시에 성능감시 기능 처리를 수행한 후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를 통해 상기 해당 연결에 필요한 성능감시 결과 파라미터를 상기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에 저장하며, 역방향 성능보고(BR) OAM 셀을 생성하여 헤더 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와 송신측(역방향)으로 전송하며, 수신된 역방향 성능보고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equipment to process ATM layer OAM functions in the reciever for ATM subscriber interface}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수신측 해당 연결 설정시에 ATM 계층을 운용 및 유지보수(OAM : Operation and Maintenance)하는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참고적으로, ATM 정합장치와 관련하여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역방향 모니터링 셀을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한국특허등록번호 "0226453", 등록일 1999. 7. 27 등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 특허(한국특허등록번호 "0226453", 등록일 1999. 7. 27 등록)는 제어부에서 처리하던 성능감시 기능중 역방향 성능보고 셀을 하드웨어에서 처리하여 제어부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가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임의의 셀을 송수신하는 ATM 정합장치들이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사용자 셀을 감시하여 가상 연결의 전송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수신측에서 역방향 모니터링 셀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에서 순방향 모니터링 셀을 수신한 경우 순방향 모니터링 셀의 연결식별자만을 ATM 정합장치내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시스템의 유지보수 데이터로 사용하고, 성능감시 하드웨어에서 필요한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 역방향 모니터링 셀을 생성함으로써 제어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즉, 제어부에서 처리하던 성능감시 기능중 역방향 성능보고 셀을 하드웨어에서 처리하여 제어부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순방향 성능감시 셀을 수신한 경우 성능감시 기능 처리를 수행한 후 셀의 연결식별자만을 ATM 정합장치내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시스템의 유지보수 데이터로 사용하고, 제어부에서 생성시키던 역방향 성능보고 셀을 하드웨어에서 생성하여 역방향으로 전송하여 제어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 성능감시 기능을 하드웨어에서 구현하여 효율적인 성능감시를 제공하며, 제어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모든 성능감시 기능을 하드웨어에서 처리하므로 실시간으로 성능감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며, 가상경로 성능감시 기능을 추가한다. 즉, 해당 연결에 순방향 성능감시 셀을 수신하면 성능감시 기능 처리를 수행한 후 역방향 성능보고 셀의 생성을 하드웨어로 구현하여 제어부와 역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된 역방향 성능보고 셀을 헤더변환한후 제어부로 송신한다. 또한, 가상경로 성능감시 기능을 추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상기 선행 특허는 순방향 성능감시 셀을 수신하면 역방향 성능보고 셀의 생성을 하드웨어로 구현하여 역방향으로 보내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순방향 성능감시 셀을 수신하면 역방향 성능보고 셀의 생성을 하드웨어로 구현하여 제어부와 역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된 역방향 성능보고 셀을 헤더변환한 후 제어부로 송신한다. 따라서, 연결식별자를 사용하여 제어부에서 테이블을 읽어들여 제어부에서 판단하던 과정을 줄임으로써 시스템의 OAM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ATM 망에서 ATM 계층의 OAM 기능으로는 장애관리, 성능감시, 장애관리와 성능감시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키는 기능 등이 있다.
장애관리 기능은 장애가 발생된 지점을 각 연결 점의 노드간에 주고 받는 장애표시신호(AIS : Alarm indication Signal)와 원격장애표시(RDI : Remote Defact Indication) OAM 셀이 정의되어 있고 그 절차가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작점에서 종단점으로 가상 연결이 설정되어 있을 때, 중간 선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한 중간 노드에서는 다음 노드로 AIS OAM 셀을 전달하고 다음 노드는 다시 다음 노드로 전달하여 종착지로 해당 연결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야 하고 연결의 종단점인 노드에서는 AIS OAM 셀을 수신하면 RDI OAM 셀을 시작점 노드쪽으로 전달하여 해당 연결에 장애가 있음을 시작점 노드로 알린다.
이러한 장애를 검출하기 위하여, 연속성 검사(CC : Continuity Check) 기능과 루프백(Loopback) 시험 기능이 있다.
연속성 검사 기능은 가상연결이 설정되어 있는데도 장시간 해당 연결을 통해 사용자 셀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해당 연결을 장애로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전달할 사용자 셀이 없어서 셀이 전달되고 있지 않은 것인지 해당 연결에 장애가 있어서 셀이 전달되지 않고 있는 것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연속성 검사가 활성화되어 있는 연결에 대해 일정 시간동안(약 1초) 셀이 전송되지 않고 있는 송신부에서는 CC OAM 셀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수신부에서는 일정시간동안(약3.5초) 사용자 셀이나 CC OAM 셀이 입력되지 않으면 해당 연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AIS 셀을 생성하여 다음노드로 AIS 셀을 전달하여 장애를 알린다.
한편, 루프백 시험은 각 연결점으로 루프백 OAM 셀을 전송하여 루프백되어 돌아오는지를 감시하여 장애 노드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이다.
성능감시는 사용자 정보에 대한 유지보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유지보수 정보는 해당 연결의 출발지에서 사용자 정보에 추가되며, 해당 연결의 종단점에서 순방향 감시(FPM : Forward Performance Monitoring) OAM 셀을 받으면 필요한 OAM 통계처리를 수행하고 역방향 보고(BR : Backward Reporting) OAM 셀을 생성하여 시작점으로 역방향 보고를 하며, 제어부로도 보내서 유지보수 사건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 무결성에 대한 예측을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에, ITU-T 권고안 I.610에 예시된 장애관리, 성능감시와 OAM 활성화/비활성화에 대해, ATM 가입자 정합장치의 수신측에서 ATM 계층에 대한 운용 및 유지보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ITU-T 권고안 I.610에 의거하여 ATM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수신측 해당 연결 설정시에 ATM 계층의 모든 성능감시 및 장애관리 기능 등을 하드웨어로 구현함으로써, ATM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OAM) 효율을 높이기 위한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동기전달모드(ATM)망의 가입자 정합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상기 도 1의 ATM 계층 처리부의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2의 수신 헤더변환 및 OAM 처리부(ATM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장애발생 셀 생성 요구 메시지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장애발생 통보 메시지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ATM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어부로 송신하는 송신 셀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송신측으로 송신하는 송신 셀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수신 셀 헤더 변환부 32 : 장애관리 처리부
33 : 성능감시 처리부 34 :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
35 :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ATM) 계층을 운용 및 유지보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셀 혹은 통과되는 운용 및 유지보수(이하, "OAM"이라 함) 셀에 대해 사용자 파라미터 감시 기능을 수행한 결과 사용자 파라미터를 준수한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신호처리용 셀에 대해 신호처리에 필요한 헤더 변환을 수행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셀 헤더 변환수단;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장애표시신호(AIS) 셀을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장애관리 관련 셀(AIS, RDI, 루프백 셀) 입력시에 헤더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해당 연결(가상연결 포함)에 필요한 연속성 관련 파라미터를 읽어들여 사용자 셀이나 연속성 검사 OAM 셀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연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해 인터럽트의 종류와 연결식별자를 출력하여, 장애가 발생했음을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장애관리수단; 상기 해당 연결에 대한 순방향 성능감시(FRM) OAM 셀 수신시에 성능감시 기능 처리를 수행한 후 관리수단을 통해 상기 해당 연결에 필요한 성능감시 결과 파라미터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며, 역방향 성능보고(BR) OAM 셀을 생성하여 헤더 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와 송신측(역방향)으로 전송하며, 수신된 역방향 성능보고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성능감시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장애관리 및 성능감시 관련 OAM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저장수단; 및 상기 제어부, 상기 셀 헤더 변환수단, 상기 장애관리수단 및 상기 성능감시수단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OAM 파라미터들을 관리(등록, 조회, 갱신)하는 상기 관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ATM) 계층을 운용 및 유지보수(OAM)하는 방법에 있어서,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을 참조하여, 장애관리 처리부에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장애표시신호(AIS) 셀을 생성한 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장애관리 관련 셀(AIS, RDI, 루프백 셀) 입력시에 헤더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해당 연결(가상연결 포함)에 필요한 연속성 관련 파라미터를 읽어들여 사용자 셀이나 연속성 검사 OAM 셀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연결에 장애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해 인터럽트의 종류와 연결식별자를 출력하여, 장애가 발생했음을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및 성능감시 처리부에서 상기 해당 연결에 대한 순방향 성능감시(FRM) OAM 셀 수신시에 성능감시 기능 처리를 수행한 후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를 통해 상기 해당 연결에 필요한 성능감시 결과 파라미터를 상기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에 저장하며, 역방향 성능보고(BR) OAM 셀을 생성하여 헤더 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와 송신측(역방향)으로 전송하며, 수신된 역방향 성능보고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비동기전달모드(ATM) 계층 운용 및 유지보수(OAM) 장치에,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을 참조하여, 장애관리 처리부에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장애표시신호(AIS) 셀을 생성한 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장애관리 관련 셀(AIS, RDI, 루프백 셀) 입력시에 헤더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해당 연결(가상연결 포함)에 필요한 연속성 관련 파라미터를 읽어들여 사용자 셀이나 연속성 검사 OAM 셀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연결에 장애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해 인터럽트의 종류와 연결식별자를 출력하여, 장애가 발생했음을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제 1 기능; 및 성능감시 처리부에서 상기 해당 연결에 대한 순방향 성능감시(FRM) OAM 셀 수신시에 성능감시 기능 처리를 수행한 후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를 통해 상기 해당 연결에 필요한 성능감시 결과 파라미터를 상기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에 저장하며, 역방향 성능보고(BR) OAM 셀을 생성하여 헤더 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와 송신측(역방향)으로 전송하며, 수신된 역방향 성능보고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ATM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수신측 해당 연결 설정시에 ATM 계층을 운용 및 유지보수(OAM)하는 기능 처리에 관한 것이다.
ATM 망에서 ATM 계층의 OAM 기능으로는 장애관리(Fault Management)와 성능감시(Performance Monitoring)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장애관리 기능으로는 장애가 발생한 지점을 다른 노드로 알려주는 장애보고 기능과 장애를 검출하기 위한 연속성 검사, 루프백 시험 기능 등이 있다. 한편, 성능감시 기능으로는 설정된 각 연결별로 성능감시 기능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OAM 셀을 이용하여 설정된 연결의 종단간에 주고 받는 기능이 정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성능감시나 연속성 검사 등을 활성화 비활성화(Activation/Deactivation)하기 위한 절차 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ITU-T 권고안 I.610에 예시된 장애관리, 성능감시와 OAM 활성화 비활성화에 대한 ATM 가입자 정합장치의 수신측에서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동기전달모드(ATM)망의 가입자 정합장치의 구성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11"은 가입자 선로, "12"는 물리계층 처리부, "13"은ATM 계층 처리부, "14"는 스위치 인터페이스부, "15"는 스위치 망, "16"은 제어부, 그리고 "17"은 클럭 수신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동기전달모드(ATM)망의 가입자 정합장치는, 가입자 선로(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ATM 셀을 추출하여 ATM 계층 처리부(13)로 전달하거나 ATM 계층 처리부(13)로부터 수신한 ATM 셀을 프레임에 실어 ATM 가입자 선로(11)로 전송하는 ATM 물리계층 처리부(12)와, ATM 물리계층 처리부(12)로부터 셀을 수신하면 해당 연결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연결식별자를 검색하여 사용자 파라메터 감시와 각종 ATM 계층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고, 헤더변환을 수행하여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4)로 전달하거나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4)로부터 수신한 내부 셀을 물리계층으로 전달하기 위해 ATM 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ATM 계층 처리부(13)와, ATM 계층 처리부(13)로부터 수신한 내부 셀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라인 코딩을 수행하여 ATM 스위치망(15)으로 전달하거나 ATM 스위치 망(15)으로부터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내부 셀을 추출하여 ATM 계층 처리부(13)로 전달하는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4)와, 물리계층 처리부(12)와 ATM 계층 처리부(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와, 시스템 클럭을 수신하여 각 처리부로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 수신부(17)를 구비한다.
상기 ATM 가입자 정합장치내의 ATM 계층 처리부(13)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는 상기 도 1의 ATM 계층 처리부의 구성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21"은수신 연결식별자 관리부, "22"는 사용자 파라미터 감시부, "23"은 수신 헤더변환 및 OAM 처리부, "24"는 스위치 링크 정합부, "25"는 송신 연결식별자 관리부, "26"은 송신 헤더변환 및 성능감시부, 그리고 "27"은 셀 스페이싱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TM 계층 처리부(13)는 물리계층 처리부(12)로부터 셀을 읽어내어, 가상경로식별자(vpi : Virtual Path Identifier)/가상채널식별자(VCI : Virtual Channel Identifier)와 선로번호로 연결식별자를 추출하여 ATM계층 처리부(13) 내부에서 사용되는 셀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 파라메터 감시부(22)로 전달하는 수신 연결식별자 관리부(21)와, 수신 연결식별자 관리부(21)로부터 ATM 셀, 선로번호, 연결 형태 및 연결식별자를 전달받아 사용자 파라메터 감시에 필요한 해당 연결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파라메터 감시를 수행하는 사용자 파라메터 감시부(22)와, 사용자 파라메터 감시 결과 및 해당 연결의 정보를 이용하여 헤더변환을 수행하고 각종 ATM 계층 운용 및 유지보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신 헤더 변환 및 OAM 처리부(23)와, 헤더가 변환된 셀을 수신하여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4)로 셀을 전달하거나 스위치 인터페이스(14)로부터 수신한 셀을 송신 연결식별자 관리부(25)로 전달하는 스위치 링크 정합부(24)와, 스위치 링크 정합부(24)에서 송신한 셀을 받아 송신 연결식별자를 관리하는 송신 연결식별자 관리부(25)와, 연결식별자를 이용하여 라우팅 정보로 송신 셀의 헤더 변환 수행 및 각종 성능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송신 헤더변환 및 성능감시부(26)와, 연결식별자로 사용자 파라메터 정보를 추출하여 셀 스페이싱을 수행하고 물리계층으로 셀을 전달하는 셀 스페이싱부(27)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ATM 계층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는 상기 수신 헤더변환 및 OAM 처리부(23)에 적용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2의 수신 헤더변환 및 OAM 처리부(ATM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수신 헤더변환 및 OAM 처리부(ATM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23)는, 수신측 해당 연결에서 비동기전달모드(ATM)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셀 혹은 통과되는 운용 및 유지보수(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4)로 전달하고, 신호처리용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제어부(16)로 전달하는 수신 셀 헤더 변환부(31)와, 제어부(16)의 명령에 따라 장애표시신호(AIS) 셀을 생성하여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4)로 전달하고, 장애관리 관련 셀(AIS, RDI, 루프백 셀) 입력시에 헤더 변환을 수행하여 제어부(16)로 전달하며, 해당 연결에 대한 연속성 검사를 통해 장애를 감지하고 장애 발생을 제어부(16)로 알리는 장애관리 처리부(32)와, 해당 연결에 대한 순방향 성능감시 OAM 셀 수신시에 성능감시 기능 처리를 수행한 후 역방향 성능보고 OAM 셀을 생성하고, 생성된 역방향 성능보고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제어부(16)와 송신측(39)으로 전송하며, 수신된 역방향 성능보고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제어부(16)로 전송하는 성능감시 처리부(33)와, 제어부(16), 장애관리 및 성능감시 관련 운용 및 유지보수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SRAM으로 구성된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35)과, 수신 셀 헤더 변환부(31), 장애관리 처리부(32) 및 성능감시 처리부(33)의 요구에 따라,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35)에 저장된 파라미터들을 관리하는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신 헤더변환 및 OAM 처리부(ATM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23)는 제어부(16)에서 또는 제어부(16)로 AIS 셀 발생을 요구하는 내부 FIFO(41) 및 제어부(16)로 연속성 검사 결과를 통보하는 내부 FIFO(40)를 구비한다.
수신 셀 헤더 변환부(31)에서는 사용자 셀 또는 통과되는 OAM 셀이 입력되는 경우에 사용자 파라메터 감시 기능을 수행한 결과 사용자 파라메터를 준수하였을 경우 헤더변환을 수행하고 스위치를 통과시키기 위한 라우팅 택 15바이트를 셀의 전단에 부가하여 64바이트의 내부 셀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4)로 출력하거나, 또는 신호처리용 셀이 입력되는 경우는 신호처리에 필요한 헤더변환을 수행하여 64바이트의 내부 셀을 제어부(16)로 출력한다.
장애관리 처리부(32)에서는 제어부(16)에서 발생시키라는 AIS 셀을 생성하여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4)로 보내며, AIS, RDI, 루프백 셀이 입력되면 64바이트의 내부셀로 헤더변환을 수행하여 제어부(16)로 출력한다. 또한,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34)에서 해당 연결에 필요한 연속성 관련 파라메터를 읽어 들여 일정 시간동안(바람직하게는 약3.5초) 사용자 셀이나 연속성 검사(CC) OAM 셀이 입력되지 않으면 해당 연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내부 FIFO(40)로 인터럽트의 종류와 연결식별자를 출력하여 장애가 발생했음을 제어부(16)에서 인식하도록 한다.
성능감시 처리부(33)에서는 순방향 성능 감시(FPM : Forward PerformanceMonitoring) OAM 셀을 받으면 성능감시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고,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34)에서 해당 연결에 필요한 성능감시 결과 파라메터를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35)에 저장하며, 역방향 성능 보고(BR : Backward Reporting) OAM 셀을 생성하여 64바이트의 내부셀로 헤더변환을 수행하여 제어부(16)로 출력하거나, 역방향으로 보고를 위해 54바이트의 내부셀로 송신측(39)으로 출력한다.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34)는 제어부(16)로부터 새로운 파라메터의 등록 및 조회를 요구받으면 그에 따라 파라메터 테이블을 등록하거나 조회하며, 장애관리 처리부(32) 및 성능감시 처리부(33)에서 요구한 등록된 파라메터를 읽거나 갱신한다.
상기 제어부(16)에서 또는 제어부(16)로 AIS 셀 발생을 요구하는 내부 FIFO(41)의 구조가 도 4에 도시되었으며, 도 5 는 제어부(16)로 연속성 검사 결과를 통보하는 내부 FIFO(40)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35)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CA(27)는 연속성 검사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A1(28)은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발생시켜야 될 AIS 셀이 종류가 세그먼트(segment) 셀임을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AS(29)는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AIS 셀을 발생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플래그이다.
A2(30)는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발생시켜야 될 AIS 셀이종류가 종단(end-to-end) 셀임을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TAT1(31)은 연속성 검사가 활성화되었을 때 3.5초를 위반했는지를 계산할 때 필요한 시간값을 나타낸다.
OT(32)는 헤더변환하는 셀의 연결 형태가 가상경로연결(VPC)인지 가상채널연결(VCC)인지를 설정한다.
MA(33)는 성능감시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VMA(34)는 가상경로(VP) 성능감시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SDP(35)는 세그먼트 OAM 셀의 통과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EDP(36)는 종단 OAM 셀의 통과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37" 내지 "43"은 헤더변환 또는 생성하는 BR OAM 셀에 필요한 라우팅 정보, 그룹 라우팅 정보, 출력 라인번호를 나타낸다.
FMF(44)는 BR OAM 셀을 제어부 및 송신부 어느쪽으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플래그이다.
"45" 내지 "46"은 헤더변환 또는 생성하는 BR OAM 셀의 출력 VPI, 출력 VCI를 나타낸다.
P_BR_MCSN(47)은 생성하는 BR OAM 셀의 다음에 생성할 셀 순서 번호를 나타낸다.
P_FM_MCSN(48)은 다음에 입력될 FPM OAM 셀의 셀 순서 번호를 나타낸다.
SECBC(49)는 FPM OAM 셀의 처리에 의한 블록에러 카운터이다.
MI(50)은 성능감시 기능이 활성화되고 성능감시 관련 OAM 테이블이 초기화되었음을 나타낸다.
BLER(51)은 FPM OAM 셀의 BIP-16 코드에 의해 감지된 에러가 발생한 패리티 비트의 수를 나타낸다.
P_FM_TUC01(52)은 FPM OAM 셀에 삽입된 전송된 사용자 셀(즉, CLP=0+1)의 총개수를 나타낸다.
P_FM_TUC0(53)은 FPM OAM 셀에 삽입된 전송된 사용자 셀(즉, CLP=0)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P_FM_TRCC01(54)은 성능감시가 시작된 후 이전에 입력된 성능감시 셀까지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즉, CLP=0+1)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P_FM_TRCC0(55)는 성능감시가 시작된 후 현재까지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즉, CLP=0)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P_FM_BIP-16(56)은 이전에 입력된 성능감시 셀이후에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에 대한 BIP-16 코드이다.
C_FM_TRCC01(57)은 성능감시가 시작된 후 현재 입력된 성능감시 셀까지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즉, CLP=0+1)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VP ConID(58)는 가상경로연결(VPC)에 대한 성능감시를 위한 연결식별자를 나타낸다.
도 7 은 장애관리 처리부(32)에서 처리되는 일부 기능으로 제어부(16)에서 요구하는 AIS 발생 과정을 나타낸다.
만약, 사용자 또는 통과되는 OAM 셀이 수신되면(701), 헤더변환을 수행한후(704)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4)로 출력한다(705).
한편, 사용자 또는 통과되는 OAM 셀이 수신되지 않으면(701), AIS 발생을 요구하는 내부 FIFO(41)에 데이터가 있는지를 검사하여(702), 데이터가 있으면 AIS 셀을 생성하여 헤더변환을 수행한 후(703)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4)로 출력한다(705).
도 8 은 장애관리 처리부(32)에서 처리되는 장애발생 통보/해제 과정을 나타낸다.
만약, 사용자 또는 CC 셀이 수신되지 않으면(801), CA(27)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802), CA(27)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AS(29)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803).
검사결과, AS(29)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으면, 셀이 수신되지 않은 시간이 3.5초가 지났는지를 분석하여(804), 3.5초가 지났으면 AS(29)를 1로 설정하고(805), 내부 FIFO(40)로 CC 위반이 발생했음을 통보한다(806). 이때, 내부 FIFO(40)는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6)로 통보한다.
검사결과, CA(27)가 활성화되어 있고 AS(29)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셀이 수신되지 않은 시간이 1초가 지났는지를 확인하여(807), 1초가 지났으면 A1(28), A2(30)에 의해 내부 FIFO(41)로 AIS 셀을 생성하라고 요구한다(808). 그러면, 내부 FIFO(41)는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6)로 통보한다.
한편, 사용자 또는 CC 셀이 수신되면(801), AS(29)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809), 활성화되어 있으면 AS(29)를 0으로 설정하고(810), 내부 FIFO(40)로 CC 위반이 해제되었음을 통보한다(811). 그러면, 내부 FIFO(40)는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6)로 통보한다.
도 9 는 성능감시 처리부(33)에서의 성능감시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만약, 종단 FPM OAM 셀을 수신하면(901), 첫 번째 FPM OAM 셀인가를 확인하여(902), 첫 번째 FPM 셀이면 MI(50)을 1로 설정하며(903), 성능감시 관련 OAM 테이블을 초기화한 후에(904), BR OAM 셀 생성 및 헤더변환을 수행하고(905), 성능감시 관련 OAM 데이터들을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35)에 저장한다(906).
확인결과(902), 첫 번째 FPM 셀이 아니면, 바로 BR OAM 셀을 생성 및 헤더변환을 수행하고(905), 성능감시 관련 OAM 데이터들을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35)에 저장한다(906).
이후, 헤더변환된 BR OAM 셀을 FMF(44)에 의해 "FMF = 11"이면(907), 제어부(16)로는 도 10(제어부로 송신되는 BR OAM 셀)과 같은 64바이트로 송신하며 송신측으로는 도 11(송신측으로 송신되는 BR OAM 셀)과 같은 54바이트로 송신한다(908).
그리고, 헤더변환된 BR OAM 셀을 FMF(44)에 의해 "FMF = 10"이면(907), 송신측(39)으로 도 11과 같은 54바이트로 송신한다(909).
또한, 헤더변환된 BR OAM 셀을 FMF(44)에 의해 "FMF = 01"이면(907), 제어부(16)로 도 10과 같은 64바이트로 송신한다(910).
한편, 종단 FPM OAM 셀이 아니고(901) 사용자 셀을 수신하면(911), MA(33) 및 MI(50)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912), 활성화되어 있으면 CLP = 0인 사용자 셀을 카운트하며(914), 수신된 모든 사용자 셀을 카운트하고 BIP-16 계산을 수행한 후 패리티 에러 개수를 카운트하여 성능감시 관련 OAM 데이터들을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35)에 저장한다(916).
다른 한편, BR OAM 셀을 수신하면(917), 도 10과 같이 64바이트로 헤더변환을 수행할 때 수신된 BR OAM 셀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9번째 바이트에서 12번째 바이트를 00으로 세트한 후 제어부(16)로 송신한다(918).
가상경로연결(VPC)의 성능감시 요구(34)가 활성화(VMA(34) = 1인 경우)되면, 해당 OAM 연결의 연결식별자를 해당 가상경로(VP)를 사용하는 모든 가상채널연결의 연결 관리 정보에 가상경로연결의 연결식별자(58)을 등록한다.
해당 가상경로연결의 성능감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가상채널연결 연결이 설정되면, 해당 가상경로 연결식별자를 새로운 가상채널연결의 연결 관리 정보에 등록하여야 한다. 설정이 완료된 뒤, 해당 가상경로를 사용하는 임의의 가상채널연결로 셀이 입력되면 기존에 수행하던 기능외에 추가로 해당 가상경로의 연결식별자(58)을 읽어서 이 연결식별자로 가상경로 OAM 연결의 연결 관리 정보를 읽어 도 9와 같은 가상채널연결 성능감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가상경로 OAM 연결로 FPM OAM 셀이 입력되면, 일반 가상채널연결로 FPM OAM 셀이 입력되었을 때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ITU-T 권고안 I.610에 예시된 ATM 계층을 운용 및 유지보수하는 기능 처리 과정을 하드웨어로 구현함으로써, 연결식별자를 사용하여 제어부에서 테이블을 읽어들여 제어부에서 판단하던 과정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의 OAM 처리능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비동기전달모드(ATM) 계층을 운용 및 유지보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셀 혹은 통과되는 운용 및 유지보수(이하, "OAM"이라 함) 셀에 대해 사용자 파라미터 감시 기능을 수행한 결과 사용자 파라미터를 준수한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신호처리용 셀에 대해 신호처리에 필요한 헤더 변환을 수행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셀 헤더 변환수단;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장애표시신호(AIS) 셀을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장애관리 관련 셀(AIS, RDI, 루프백 셀) 입력시에 헤더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해당 연결(가상연결 포함)에 필요한 연속성 관련 파라미터를 읽어들여 사용자 셀이나 연속성 검사 OAM 셀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연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해 인터럽트의 종류와 연결식별자를 출력하여, 장애가 발생했음을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장애관리수단;
    상기 해당 연결에 대한 순방향 성능감시(FRM) OAM 셀 수신시에 성능감시 기능 처리를 수행한 후 관리수단을 통해 상기 해당 연결에 필요한 성능감시 결과 파라미터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며, 역방향 성능보고(BR) OAM 셀을 생성하여 헤더 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와 송신측(역방향)으로 전송하며, 수신된 역방향 성능보고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성능감시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장애관리 및 성능감시 관련 OAM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저장수단; 및
    상기 제어부, 상기 셀 헤더 변환수단, 상기 장애관리수단 및 상기 성능감시수단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OAM 파라미터들을 관리(등록, 조회, 갱신)하는 상기 관리수단
    을 포함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실질적으로, 연속성 검사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CA),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발생시켜야 될 장애표시신호(AIS) 셀이 종류가 세그먼트(segment) 셀임을 나타내는 플래그(A1),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AIS 셀을 발생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플래그(AS),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발생시켜야 될 장애표시신호(AIS) 셀이 종류가 종단(end-to-end) 셀임을 나타내는 플래그(A2), 연속성 검사가 활성화되었을 때 소정의 시간(바람직하게는 3.5초)를 위반했는지를 계산할 때 필요한 시간값(TAT1), 헤더변환하는 셀의 연결 형태가 가상경로연결(VPC)인지 가상채널연결(VCC)인지를 설정하는 값(OT), 성능감시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MA), 가상경로(VP) 성능감시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VMA), 세그먼트 OAM 셀의 통과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SDP), 종단 OAM 셀의 통과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EDP), 헤더변환 또는 생성하는 역방향 성능 보고(BR) OAM 셀에 필요한 라우팅 정보, 그룹 라우팅 정보, 출력 라인번호, BR OAM 셀을 제어부 및 송신부 어느쪽으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플래그(FMF), 헤더변환 또는 생성하는 BR OAM 셀의 출력 VPI, 출력 VCI를 나타낸 값, 생성하는 BR OAM 셀의 다음에 생성할 셀 순서 번호를 나타낸 값(P_BR_MCSN), 다음에 입력될 순방향 성능 감시(FPM) OAM 셀의 셀 순서 번호를 나타낸 값(P_FM_MCSN), FPM OAM 셀의 처리에 의한 블록에러 카운터(SECBC), 성능감시 기능이 활성화되고성능감시 관련 OAM 테이블이 초기화되었음을 나타낸 값(MI), FPM OAM 셀의 BIP-16 코드에 의해 감지된 에러가 발생한 패리티 비트의 수(BLER), FPM OAM 셀에 삽입된 전송된 사용자 셀(즉, CLP=0+1)의 총 개수(P_FM_TUC01), FPM OAM 셀에 삽입된 전송된 사용자 셀(즉, CLP=0)의 총 개수(P_FM_TUC0), 성능감시가 시작된 후 이전에 입력된 성능감시 셀까지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즉, CLP=0+1)의 총 개수(P_FM_TRCC01), 성능감시가 시작된 후 현재까지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즉, CLP=0)의 총 개수(P_FM_TRCC0), 이전에 입력된 성능감시 셀이후에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에 대한 BIP-16 코드(P_FM_BIP-16), 성능감시가 시작된 후 현재 입력된 성능감시 셀까지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즉, CLP=0+1)의 총 개수(C_FM_TRCC01), 가상경로연결(VPC)에 대한 성능감시를 위한 연결식별자를 나타낸 값(VP Con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헤더 변환수단은,
    사용자 셀 혹은 통과되는 OAM 셀이 입력되는 경우에 사용자 파라메터 감시 기능을 수행한 결과 사용자 파라메터를 준수하였을 경우 헤더변환을 수행하고 스위치를 통과시키기 위한 라우팅 택 15바이트를 셀의 전단에 부가하여 64바이트의 내부 셀을 상기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거나, 신호처리용 셀이 입력되는 경우신호처리에 필요한 헤더변환을 수행하여 64바이트의 내부 셀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관리수단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시키라는 AIS 셀을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보내며, 장애표시신호(AIS), 원격장애표시(RDI), 루프백 셀이 입력되면 64바이트의 내부셀로 헤더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저장수단에서 해당 연결에 필요한 연속성 관련 파라메터를 읽어 들여 일정 시간동안(바람직하게는 3.5초) 사용자 셀이나 연속성 검사(CC) OAM 셀이 입력되지 않으면 해당 연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내부 선입선출(FIFO)부로 인터럽트의 종류와 연결식별자를 출력하여 장애가 발생했음을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감시수단은,
    순방향 성능 감시(FPM) OAM 셀을 받으면 성능감시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관리수단에서 해당 연결에 필요한 성능감시 결과 파라메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며, 역방향 성능 보고(BR) OAM 셀을 생성하여 64바이트의 내부셀로 헤더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거나, 역방향으로 보고를 위해 54바이트의 내부셀로 상기 송신측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새로운 파라메터의 등록 및 조회를 요구받으면 그에 따라 파라메터 테이블을 등록하거나 조회하며, 상기 장애관리수단 및 상기 성능감시수단에서 요구한 등록된 파라메터를 읽거나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
  7. 비동기전달모드(ATM) 계층을 운용 및 유지보수(OAM)하는 방법에 있어서,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을 참조하여,
    장애관리 처리부에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장애표시신호(AIS) 셀을 생성한 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장애관리 관련 셀(AIS, RDI, 루프백 셀) 입력시에 헤더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해당 연결(가상연결 포함)에 필요한 연속성 관련 파라미터를 읽어들여 사용자 셀이나 연속성 검사 OAM 셀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연결에 장애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해 인터럽트의 종류와 연결식별자를 출력하여, 장애가 발생했음을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및
    성능감시 처리부에서 상기 해당 연결에 대한 순방향 성능감시(FRM) OAM 셀 수신시에 성능감시 기능 처리를 수행한 후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를 통해 상기 해당 연결에 필요한 성능감시 결과 파라미터를 상기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에 저장하며, 역방향 성능보고(BR) OAM 셀을 생성하여 헤더 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와 송신측(역방향)으로 전송하며, 수신된 역방향 성능보고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은,
    실질적으로, 연속성 검사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CA),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발생시켜야 될 장애표시신호(AIS) 셀이 종류가 세그먼트(segment) 셀임을 나타내는 플래그(A1),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장애표시신호(AIS) 셀을 발생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플래그(AS),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발생시켜야 될 장애표시신호(AIS) 셀이 종류가 종단(end-to-end) 셀임을 나타내는 플래그(A2), 연속성 검사가 활성화되었을 때 소정의 시간(바람직하게는 3.5초)를 위반했는지를 계산할 때 필요한 시간값(TAT1), 헤더변환하는 셀의 연결 형태가 가상경로연결(VPC)인지 가상채널연결(VCC)인지를 설정하는 값(OT), 성능감시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MA), 가상경로(VP)성능감시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VMA), 세그먼트 OAM 셀의 통과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SDP), 종단 OAM 셀의 통과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EDP), 헤더변환 또는 생성하는 역방향 성능 보고(BR) OAM 셀에 필요한 라우팅 정보, 그룹 라우팅 정보, 출력 라인번호, BR OAM 셀을 제어부 및 송신부 어느쪽으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플래그(FMF), 헤더변환 또는 생성하는 BR OAM 셀의 출력 VPI, 출력 VCI를 나타낸 값, 생성하는 BR OAM 셀의 다음에 생성할 셀 순서 번호를 나타낸 값(P_BR_MCSN), 다음에 입력될 순방향 성능 감시(FPM) OAM 셀의 셀 순서 번호를 나타낸 값(P_FM_MCSN), FPM OAM 셀의 처리에 의한 블록에러 카운터(SECBC), 성능감시 기능이 활성화되고 성능감시 관련 OAM 테이블이 초기화되었음을 나타낸 값(MI), FPM OAM 셀의 BIP-16 코드에 의해 감지된 에러가 발생한 패리티 비트의 수(BLER), FPM OAM 셀에 삽입된 전송된 사용자 셀(즉, CLP=0+1)의 총 개수(P_FM_TUC01), FPM OAM 셀에 삽입된 전송된 사용자 셀(즉, CLP=0)의 총 개수(P_FM_TUC0), 성능감시가 시작된 후 이전에 입력된 성능감시 셀까지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즉, CLP=0+1)의 총 개수(P_FM_TRCC01), 성능감시가 시작된 후 현재까지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즉, CLP=0)의 총 개수(P_FM_TRCC0), 이전에 입력된 성능감시 셀이후에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에 대한 BIP-16 코드(P_FM_BIP-16), 성능감시가 시작된 후 현재 입력된 성능감시 셀까지 수신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셀(즉, CLP=0+1)의 총 개수(C_FM_TRCC01), 가상경로연결(VPC)에 대한 성능감시를 위한 연결식별자를 나타낸 값(VP Con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관리 처리부에서 상기 제어부에서 요구하는 장애표시신호(AIS)를 발생하는 과정은,
    사용자 혹은 통과되는 OAM 셀이 수신되면, 헤더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사용자 혹은 통과되는 OAM 셀이 수신되지 않으면, 장애표시신호(AIS) 발생을 요구하는 내부 선입선출(FIFO)부에 데이터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데이터가 있으면 장애표시신호(AIS) 셀을 생성하여 헤더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관리 처리부에서의 장애발생/해제 과정은,
    사용자 혹은 연속성 검사(CC) 셀이 수신되지 않으면, 연속성 검사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CA)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CA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AIS 셀을 발생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플래그(AS)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검사결과, AS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으면, 셀이 수신되지 않은 시간이 제1 소정의 시간(바람직하게는 3.5초)가 지났는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소정의 시간(바람직하게는 3.5초)이 지났으면 AS를 일("1")로 설정하고, 제1 내부 선입선출(FIFO)부로 CC 위반이 발생했음을 통보하며, 이때 내부 선입선출(FIFO)부가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통보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검사결과, CA가 활성화되어 있고 AS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셀이 수신되지 않은 시간이 제2 소정의 시간(바람직하게는 1초)가 지났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소정의 시간(바람직하게는 1초)가 지났으면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발생시켜야 될 장애표시신호(AIS) 셀이 종류가 세그먼트 셀임을 나타내는 플래그(A1), 연속성 검사 결과 위반사항이 발생했을 때 발생시켜야 될 장애표시신호(AIS) 셀이 종류가 종단 셀임을 나타내는 플래그(A2)에 의해 제2 내부 선입선출(FIFO)부로 AIS 셀을 생성하라고 요구하여, 내부 선입선출(FIFO)가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통보하는 제 5 단계; 및
    사용자 혹은 CC 셀이 수신되면, AS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활성화되어 있으면 AS를 영("0")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내부 선입선출(FIFO)부로 CC 위반이 해제되었음을 통보하여, 상기 제1 내부 선입선출(FIFO)부가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통보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감시 처리부에서의 성능감시 과정은,
    수신 셀의 종류의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종단 순방향 성능 감시(FPM) OAM 셀을 수신하면, 첫 번째 FPM OAM 셀인가를 확인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확인결과, 첫 번째 FPM 셀이면 성능감시 기능이 활성화되고 성능감시 관련 OAM 테이블이 초기화되었음을 나타낸 값(MI)을 일("1")로 설정하며, 성능감시 관련 OAM 테이블을 초기화한 후에, 역방향 성능 보고(BR) OAM 셀 생성 및 헤더변환을 수행하고, 성능감시 관련 OAM 데이터들을 상기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확인결과, 첫 번째 FPM 셀이 아니면, 바로 BR OAM 셀을 생성 및 헤더변환을 수행하고, 성능감시 관련 OAM 데이터들을 상기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에 저장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 수행후에, 헤더변환된 BR OAM 셀을 FMF에 의해 "FMF = 11"이면, 상기 제어부로 64바이트로 송신하며 송신측으로는 54바이트로 송신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6 단계 수행후에, 헤더변환된 BR OAM 셀을 FMF에 의해 "FMF = 10"이면, 상기 송신측으로 54바이트로 송신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6 단계 수행후에, 헤더변환된 BR OAM 셀을 FMF에 의해 "FMF = 01"이면, 상기 제어부로 64바이트로 송신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종단 FPM OAM 셀이 아니고 사용자 셀을 수신하면, 성능감시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MA) 및 MI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활성화되어 있으면 CLP = 0인 사용자 셀을 카운트하며, 수신된 모든 사용자 셀을 카운트하고 BIP-16 계산을 수행한 후 패리티 에러 개수를 카운트하여 성능감시 관련 OAM 데이터들을 상기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에 저장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BR OAM 셀을 수신하면, 64바이트로 헤더변환을 수행할 때 수신된 BR OAM 셀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9번째 바이트에서 12번째 바이트를 00으로 세트한 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는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 유지보수 방법.
  12. 프로세서를 구비한 비동기전달모드(ATM) 계층 운용 및 유지보수(OAM) 장치에,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을 참조하여,
    장애관리 처리부에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장애표시신호(AIS) 셀을 생성한 후 스위치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장애관리 관련 셀(AIS, RDI, 루프백 셀) 입력시에 헤더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해당 연결(가상연결 포함)에 필요한 연속성 관련 파라미터를 읽어들여 사용자 셀이나 연속성 검사 OAM 셀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연결에 장애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해 인터럽트의 종류와 연결식별자를 출력하여, 장애가 발생했음을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제 1 기능; 및
    성능감시 처리부에서 상기 해당 연결에 대한 순방향 성능감시(FRM) OAM 셀 수신시에 성능감시 기능 처리를 수행한 후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 관리부를 통해 상기 해당 연결에 필요한 성능감시 결과 파라미터를 상기 헤더변환 및 OAM 테이블에 저장하며, 역방향 성능보고(BR) OAM 셀을 생성하여 헤더 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와 송신측(역방향)으로 전송하며, 수신된 역방향 성능보고 OAM 셀의 헤더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82260A 2000-12-26 2000-12-26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KR100419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260A KR100419577B1 (ko) 2000-12-26 2000-12-26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260A KR100419577B1 (ko) 2000-12-26 2000-12-26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804A KR20020052804A (ko) 2002-07-04
KR100419577B1 true KR100419577B1 (ko) 2004-02-19

Family

ID=2768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260A KR100419577B1 (ko) 2000-12-26 2000-12-26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547B1 (ko) * 2001-11-07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onet 프레임 헤더를 이용한 물리 링크 이중화 구현시스템 및 방법
KR100434345B1 (ko) * 2001-12-28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동기전송모드 망에서 오에이엠의 장애관리 방법
KR100696196B1 (ko) * 2005-12-09 2007-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dh/sonet를 이용한 vpws망에서의유지보수신호 전파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732B1 (ko) * 1995-11-08 1998-11-02 정장호 비동기 전송 모드 단말의 오에이엠 기능 처리 지원 장치
KR100252504B1 (ko) * 1997-10-31 2000-04-15 강병호 비동기전달모드통신시스템에서운용및유지보수셀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732B1 (ko) * 1995-11-08 1998-11-02 정장호 비동기 전송 모드 단말의 오에이엠 기능 처리 지원 장치
KR100252504B1 (ko) * 1997-10-31 2000-04-15 강병호 비동기전달모드통신시스템에서운용및유지보수셀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804A (ko)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938B1 (ko) 에이티엠 계층 수신 운용 및 유지 보수 셀 처리 장치
US70923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packets between ATM and switching networks upon failures
EP1603272B1 (en) Communication network event logging systems and methods
CN101282276B (zh) 一种以太网树业务的保护方法及设备
US64246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packet data integrity using data check field
US6775239B1 (en) Checking communication-path data in MPLS communication scheme
JPH05252184A (ja) バーチャルパス接続装置およびバーチャルパストレース方法
JPH10135964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フレームリレー交換機
US6246665B1 (en) Method for attending occurrence of failure in an exchange system that exchanges cells having fixed-length, and interface unit and concentrator equipped in the exchange system using the method
KR100216370B1 (ko) Atm 스위치 보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419577B1 (ko) 비동기전달모드망에서 비동기전달모드 계층의 운용 및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JPH1141242A (ja) 交換機のパスオーディット制御方法
WO2007132361A2 (en) System and method of interface association for interface operational status event monitoring
US6411600B1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protection triggering method using “receive-AIS (alarm indication signal)” flag
JP3224521B2 (ja) Fc/atm複合ネットワークの通信制御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間接続装置
JP2830866B2 (ja) ネットワークエ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0153934B1 (ko) 에이티엠 계층 성능관리 운용 및 유지 보수 셀 처리 장치
JP3617876B2 (ja) Atm交換機
KR0153936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고정형 가상 경로 연결 설정을 위한 발신 및 착신 처리 방법
JP3599458B2 (ja) Atm交換機におけるソフトウェアとハードウェアの整合処理方式
KR100362165B1 (ko) 성능 감시 셀을 이용한 보호 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JP3379715B2 (ja) コネクション状態管理システム
JP2001313649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コネクション切替方法
KR0153921B1 (ko) 에이티엠 가상 경로 교환 시스템에서 가상 경로 대역 변경을 위한 발신 및 착신 처리 방법
JP3513022B2 (ja) Atm通信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