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452B1 -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 Google Patents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452B1
KR100418452B1 KR10-2001-0029242A KR20010029242A KR100418452B1 KR 100418452 B1 KR100418452 B1 KR 100418452B1 KR 20010029242 A KR20010029242 A KR 20010029242A KR 100418452 B1 KR100418452 B1 KR 100418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rela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778A (ko
Inventor
안자이쯔네히로
이노우에가즈히꼬
니시까와마사까즈
후지이가즈히사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0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 H01P1/12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by mechanical chopper
    • H01P1/125Coaxial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05K1/0219Printed shielding conductors for shielding around or between signal conductors, e.g. coplanar or coaxial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3Components mounted in and supported by recessed area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809Coaxial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56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2Plated through-holes or plated via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은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한 표면상의 거의 전체에 형성된 접지층을 가진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는 케이스 상에 장착되고, 고주파 릴레이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스위칭용으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다. 고주파 릴레이는 복수의 릴레이 접촉단자와 접지단자를 가지고 있다. 각 내부도체와 외부도체를 가진 복수의 동축케이블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릴레이 접촉단자에 접속한다. 고주파 릴레이의 접지단자와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층에 접속되고, 동축케이블의 각 내부도체는 고주파 릴레이의 릴레이 접촉단자중 한개에 접속된다.

Description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HIGH FREQUENCY SIGNAL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입력단자에서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복수의 출력단자를 스위칭하거나 하나이상의 입력단자와 하나이상의 출력단자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7 은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상자형 금속케이스 (1) 내부에 고정된 3개의 고주파 릴레이 (10) 를 포함하는 종래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동축 스위칭 또는 고주파 유닛으로 알려져 있음) 을 도시한다. 고주파 릴레이 (10) 는 릴레이 접촉 단자 (11) 에서 동축케이블 (30) 에 의해 금속케이스 (1) 의 측벽상에 장착된 5개의 동축커넥터 (3) 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코일단자 (12) 에서 리드선 (41) 에 의해 금속케이스 (1) 의 다른 측벽상에 장착된 릴레이커넥터 (40) 에 접속되어 있다. 중심의 동축커넥터 (3) 는 고주파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이고, 다른 4개의 동축커넥터 (3) 는 고주파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출력단자이다.
각 고주파 릴레이 (10) 에는 릴레이 접촉단자 (11) 주위에 배치된 차폐판 (4) 이 제공되어 있다. 각 동축케이블 (30) 은 납땜으로 릴레이 접촉단자들 (11) 중 하나에 접속된 내부도체 (코어) (31) 를 포함하고, 또한 순서대로 접지된 차폐판 (4) 에 접속된 외부도체 (32) (도시된 동축케이블 (30) 의 경우에, 전체 피복이 외부도체임) 를 포함하고 있다. 차폐판 (4) 에는 동축케이블 (30) 로부터 리드선 (41) 으로 누설되는 고주파신호를 흡수하기 위해 장착된 칩커패시터 (C) 가 제공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고주파 릴레이 (10) 에 릴레이커넥터 (40) 를 통해서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입력단자를 형성하는 동축커넥터 (3) 중 하나로부터 입력된 고주파신호가 나머지 4개의 동축커넥터 (3)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게한다.
상기 구조의 종래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에서, 도전성 재료로 금속케이스 (1) 에 고주파 릴레이 (10) 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주파 릴레이 (10) 의 위치는 항상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동축케이블 (30) 은 대향하는 접속부들에 의해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조립시 동축케이블 (30) 의 위치설정 및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따라서 작업효율을 떨어뜨리고 제품특성의 편차를 증가시킨다. 또한, 주위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들 (11) 사이에서 차폐가 수행되지 않아서 절연성질 (고주파 특성임) 을 악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고주파 특성을 갖고, 고주파 릴레이들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동축케이블이 용이하게 위치설정되고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의 스위칭회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의 주요부의 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지만, 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V-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VI-V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4 와 유사하지만,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은 도 6 과 유사하지만,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 는 도 6 과 유사하지만,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은 도 4 와 유사하지만,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 은 도 4 와 유사하지만,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2 주요부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2 의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위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5 는 다른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의 스위칭회로도이다.
도 16 은 또 다른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의 스위칭회로도이다.
도 17 은 바닥커버를 제거한 종래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의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금속케이스 3. 동축커넥터
10. 고주파 릴레이 11. 릴레이 접촉단자
12. 코일단자 20. 동축케이블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은 케이스 및 그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제 1 면과 제 2 면을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은 제 1 면의 거의 전체 상에 형성된 접지층을 구비한다. 또한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은 케이스상에 장착된 하나이상의 입력단자와 하나이상의 출력단자 그리고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된 하나이상의 고주파 릴레이를 포함하여, 입력단자로 입력된 고주파신호가 출력단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고주파 릴레이는 복수의 릴레이 접촉단자 및 접지단자를 구비한다. 각각의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갖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은 케이스내에서 수용되어,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고주파 릴레이의 릴레이 접촉단자에 접속한다. 각 동축케이블의 내부커넥터는 고주파 릴레이의 릴레이 접촉단자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고, 고주파 릴레이의 접지단자 및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층에 접속되어 있다.
이런 배치로 고주파 릴레이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케이스내에서 동축케이블의 위치설정와 임시고정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더욱이, 고주파 릴레이의 접지단자 및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층에 모두 접속되어, 고주파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인쇄회로기판은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를 구비하고, 그 리세스에는 동축케이블의 단부들이 각각 수용된다. 또한, 이런 배치는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동축케이블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도체는 리세스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이런 형태에 의해, 동축케이블을 각 리세스에 삽입하는 때에, 동축케이블은 임시로 고정된다. 따라서, 고주파 릴레이의 릴레이 접촉단자와 관련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 사이 거리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고주파 특징을 안정화시킨다.
리세스는 동축케이블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렇게 해서,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동축케이블의 임시고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동축케이블의 조립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만든다.
리세스의 깊이는 내부도체가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에 정렬되도록 결정된다. 이렇게 하여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고주파 릴레이의 릴레이 접촉단자와 관련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그의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홈을 그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인쇄회로기판 내의 홈형성은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홈은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층과 접속되는 도전층을 그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도전층의 형성은 동축케이블의 접촉면적 및 접속강도를 증가시킨다. 더욱이,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 및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층을 감소된 거리로 접속시킴으로써, 접지강도의 증가를 가져오고 더욱 신뢰성있는 접지를 보장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은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갖고, 그 관통공의 홈 중 인접하는 하나의 홈과 연통하며, 고주파 릴레이의 릴레이 접촉단자중 하나를 수용한다. 각 관통공은 그 내벽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층과 접속되도록 한다. 도전층은 릴레이 접촉단자를 차폐하여, 절연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편의상, 각 내부도체는 평면 자유단 및 그 자유단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가져서, 릴레이 접촉단자중 한개가 그 관통공로 삽입된다. 이 구성은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내부도체와 릴레이 접촉단자 사이의 접속강도를 강화시킨다.
인쇄회로기판은 한 층위에 다른 층이 형성된 두개의 층과 그 두개의 층 사이에 도전물질로 만들어진 스트립라인이 삽입된 다층구조일 수 있다. 스트립라인은 고주파 릴레이의 릴레이 접촉단자를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에 접속하도록 되어있다. 이 경우에, 인쇄회로기판은 또한 각 두개의 층의 외면 상에 형성된 두개의 접지층을 갖고 있다. 이런 구성으로, 가능한 삽입손실을 적게 억제하면서도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동축케이블의 위치와 릴레이 접촉단자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은 고주파 릴레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스상에 장착된 릴레이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고주파 릴레이는 코일단자를 갖고, 인쇄회로기판은 릴레이커넥터를 코일단자들에 접속하는, 접지층내에 형성된 배선패턴을 갖는다. 배선패턴의 형성은 리드선을 통해 접속되는 릴레이커넥터 및 코일단자를 접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 및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은 그의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홈을 구비하여 그 안에 동축 케이블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고 있다. 각 홈은 그 내벽 상에 형성된 도전층을 구비하며, 그 도전층은 인쇄회로기판의 두개의 접지층과 접속된다. 이런 정렬로, 인쇄회로기판의 두개의 접지층 및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가 모두 도전층을 통하여 접속되어서, 고주파 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인쇄회로기판은 불소함유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함유수지는 적은 유전손실인자 (dielectric dissipation factor) 를 포함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을 박형으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손실도 줄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은 그 내부의 일측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를 구비하여,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와 스트립라인 사이의 접속부를 노출시키도록 한다. 이런 정렬로,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는 스트립라인에 직접 접속될 수 있으므로 삽입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주위 스트립라인 사이의 차폐를 성취할 수 있다.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은 인쇄회로기판의 두개의 접지층에 접속된 도체를 더 포함하고, 인쇄회로기판의 리세스는 그 도체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그 도체는 차폐특성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 도체는 다른 인쇄회로기판의 하나의 면 상의 거의 전체에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의 두개의 접지층에 접속된 접지층일 수 있다. 접지층은 차폐특성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경우에, 만약 스트립라인에 접한 부품이 절연체 (기판) 이면, 회로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고주파 신호 스위칭은 고주파 릴레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스상에 장착된 릴레이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고주파 릴레이가 코일단자를 갖고, 다른 인쇄회로기판은 릴레이커넥터를 코일단자에 접속하는, 접지층 내에 형성된 배선패턴을 갖고 있다. 이런 정렬에서, 릴레이커넥터와 고주파 릴레이의 코일단자를 접속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스트립라인에서 배선패턴으로 고주파신호의 점프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고주파 신호의 누설을 흡수하는데 사용되던 커패시터없이 할 수 있게 되어,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징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더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본 출원은 2000년 5월 26일에 출원된 일본출원번호 제 2000-157256 호를 기초로 하며, 그 내용은 본 출원에서 전체로서 인용된다.
본 출원 전체에 사용된 "접지단자"라는 용어는 요구되는 고주파특성을 제공하도록 특정 임피던스를 만드는, 고주파 정합을 얻는데 필요한 단자로서 정의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이 도 1 에 도시되었다. 도시된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은 일반적으로 4개의 측벽, 상벽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저벽) 및 바닥개구를 가진 상자형 금속케이스 (1) 를 포함한다. 측벽들 중 하나는 일렬형태로 그 내부에 형성된 5개의 일반적인 원형구멍 (1a) 을 가지고 있고, 그와 반대의 다른 측벽은 그 내부에 형성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구멍 (1b) 을 가지고 있다.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를 형성하는 동축커넥터 (3) 는 각 원형구멍 (1a) 에 장착되고, 고주파 릴레이 (10) 를 제어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릴레이커넥터 (40) 는 직사각형 구멍 (1b) 내에 장착된다. 그 내부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 (20) 을 수용하고 있고, 금속케이스 (1) 는 복수 (예를 들어, 3개) 의 고주파 릴레이 (10) 가 장착되어 있다. 금속케이스 (1) 의 바닥개구는 평면 금속바닥커버 (2) 로 단단하게 폐쇄되어 있다.
각 고주파 릴레이 (10) 는 릴레이 접촉부, 코일등을 수용하는 금속케이스를 가지며, 그 금속케이스를 통하여, 릴레이 접촉부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접촉부) 에 접속되는 릴레이 접촉단자 (11), 전기를 공급하여 코일을 구동시키는 코일단자 (12) 및 접지단자 (13) 가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메카니컬 릴레이(mechnical relay)이다. 메카니컬 릴레이는 예를 들어, 절연 또는 삽입손실, 전압정상파비 (VSWR) 또는 비슷한 고주파 특성에서 뛰어나다.
도 2 에서는 금속케이스 (1) 내에 수용된 3개의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 (11)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제 1 고주파 릴레이 (10) 는 3개의 릴레이 접촉단자 (11a, 11b 및 11c) 를 포함하고, 제 2 고주파 릴레이 (10) 는 3개의 릴레이 접촉단자 (11d, 11e 및 11f) 를 포함하고, 제 3 고주파 릴레이 (10) 는 3개의 릴레이 접촉단자 (11g, 11h 및 11i) 를 포함한다. 배선패턴은 제 1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 (11b) 를 제 2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 (11d) 에 접속하고 또한, 제 1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 (11c) 를 제 3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 (11g) 를 접속한다. 배선패턴 대신에, 복수 (이 경우에는 2개) 의 케이블을 관련 릴레이 접촉단자를 서로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이 1개의 입력단자와 4개의 출력단자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고주파 릴레이 (10) 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성의 논의와 도시는 생략했다.
동축커넥터 (3) 는 나선형 (threaded) 접속부와 내부도체 (코어) (31) 및 내부도체 (31) 를 수용할 수 있는 노출된 외부도체 (32) 를 가진 동축케이블 (30) 을 갖는다. 외피전체가 편물전선 (knitted wires) 으로된 외부도체 (32) 를 형성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회로기판 (20) 은 배면상의 거의 전체에 형성된 접지층 (21) 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고주파 릴레이 (10) 의 관련 릴레이 접촉단자 (11) 를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배선패턴 (도시되지 않음), 릴레이커넥터 (40) 에 접속된 리드선 (전력선) 을 고주파 릴레이 (10) 의 코일단자 (12) 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배선패턴 (도시되지 않음), 동축케이블 (30) 의 외부도체 (32) 에 접속된 도전성패턴 (22) 및 인쇄회로기판 (20) 의 전면에 도출된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 (11) 에 접속된 랜드부 (23)(land portion) 를 구비하며, 이들 모두는 인쇄회로기판 (20) 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전성패턴 (22) 은 관통공 (24) 을 통해 인쇄회로기판 (20) 의 배면상에 형성된 접지층 (21) 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 릴레이 (10) 의 관련 릴레이 접촉단자 (11) 들을 접속하는 배선패턴은 복수의 케이블이나 다른 적절한 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동축케이블 (30) 의 단부는, 내부도체 (31) 가 릴레이 접촉단자 (11) 중 관련되는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 (20) 의 도전성패턴 (22) 상에 위치된다. 나중에, 단부의 외부도체 (32) 는 도전성패턴 (2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내부도체 (31) 는 예를 들어, 납땜으로 관련 릴레이 접촉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주파 릴레이 (10) 의 접지단자 (13) 는 인쇄회로기판 (20) 의 접지층 (21) 에 직접 또는 각 관통공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고주파 릴레이 (10) 의 접지단자 (13) 및 동축케이블 (30) 의 외부도체 (32) 는 인쇄회로기판 (20) 의 접지층 (21) 에 접속되고,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는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 (11) 에 접속된다. 즉, 모든 고주파 릴레이 (10) 는 인쇄회로기판 (20) 에 고착되고, 따라서, 도 17 에 도시된 종래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과는 다르게 고주파 릴레이 (10) 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케이스 (1) 내부의 동축케이블 (30) 의 위치설정과 임시 고정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고주파 릴레이 (10) 의 접지단자 (13) 및 동축케이블 (30) 의 외부도체 (32) 는 인쇄회로기판 (20) 의 같은 접지층 (21) 에 모두 접속되어 있다. 이런 방법으로 접지를 집적시켜,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킨다. 만약 작은 유전손실인자를 가진 불소함유수지 예를 들어, 고분자 사염화 에틸렌 (제품명: 테플론) 이 인쇄회로기판 (20) 의 기판으로 사용되면, 인쇄회로기판 (20) 은 얇게 만들어 질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삽입손실 또한 줄어들 수 있다.
도 4 내지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회로기판 (20) 은 그 전면에 복수의 가늘고 긴 리세스 (25;한개만 도시됨) 를 구비하여, 동축케이블 (30) 중 하나의 단부를 수용할 수도 있다. 가늘고 긴 리세스 (25) 각각은 랜드부 (23) 에 인접한 단측부를 갖고, 관련 동축케이블 (30)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늘고 긴 리세스 (25) 는 외부도체 (32) 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고,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는 인쇄회로기판 (20) 의 전면에 정렬되도록 그 깊이가 결정된다.
동축케이블 (30) 의 각 단부는 인쇄회로기판 (20) 내의 관련 가늘고 긴 리세스 (25)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 (20) 에 대한 동축케이블 (30) 의 위치설정을 더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가늘고 긴 리세스 (25) 의 폭은 외부도체 (32) 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동축케이블 (30) 의 단부는 그 가늘고 긴 리세스 (25) 의 대향하는 내측벽에 의하여 빠르게 유지되고 따라서, 그 가늘고 긴 리세스 (25) 내에 수용된 동축케이블 (30) 은 측면으로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 (11) 와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고주파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리세스 (25) 는 동축케이블 (30)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 (20) 에 대해 동축케이블 (30) 의 임시고정을 쉽게 수행할 수 있고, 동축케이블 (30) 의 조립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늘고 긴 리세스 (25) 의 깊이를 결정하여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가 인쇄회로기판 (20) 의 전면에 정렬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는 동축케이블 (30) 을 가늘고 긴 리세스 (25) 내에서 적절하게 수용되는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 (20) 의 전면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내부도체 (31) 의 자유단을 릴레이 접촉단자 (11) 의 근처에 위치시켜,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킨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늘고 긴 리세스 (25) 는 인쇄회로기판 (20) 의 에지까지 연장되도록 하여 개구단을 가질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장된 리세스 (25) 내에 동축케이블 (30) 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8 은 인쇄회로기판 (20) 이 동축케이블 (30) 중 하나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가늘고 긴 리세스 (25) 대신에 복수의 홈 (26) (한개만 도시됨) 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각 홈 (26) 은 가늘고 긴 리세스 (25) 와는 다르게 인쇄회로기판 (20) 의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되어서, 저벽을 갖지 않는다.
도 4 내지 7 에 도시된 가늘고 긴 리세스 (25) 와 비교하면, 인쇄회로기판 (20) 의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된 홈 (26) 의 형성은 상대적으로 쉽고, 인쇄회로기판 (20) 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회로기판 (20) 은 각 홈 (26) 의 내측벽 상에 형성된 도전층 (26a) 을 가질 수 있다. 도전층 (26a) 은 땜납으로 홈 (26) 의 내측벽을 도금함으로써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 (20) 의 반대측면 상에 형성된 도전성패턴 (22) 과 접지층 (21) 이 그 도전층 (26a) 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도전층 (26a) 의 형성은 동축케이블 (30) 의 접촉부위를 증가시켜, 접속강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접지층 (21) 과 도전성패턴 (22) 은 관통공이 아니라 도전층 (26a) 을 통해서 서로 접속되기 때문에, 동축케이블 (30) 의 외부도체 (32) 는 감소된 거리에서 접지층 (21) 에 접속되어, 접지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회로기판 (20) 은 인접하는 홈 (26) 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공 (27)(1개만 도시됨)을 구비하여,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 (11) 중 하나를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관통공 (27) 은 인쇄회로기판 (20) 의 접지층 (21) 과 접속되도록 그 내측벽상에 형성된 도전층 (27a) 을 가지고 있다. 도전층 (27a) 은 땜납으로 관통공 (27) 의 내측벽을 도금하여 형성되고, 관통공 (27) 이 인쇄회로기판 (20) 의 배면상의 접지층 (21) 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도전층 (27a) 은 릴레이 접촉단자 (11) 를 차폐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절연특성이 향상된다. 릴레이 접촉단자 (11) 의 자유단을 인쇄회로기판 (20) 의 두께보다 낮은 위치에서 잘라서, 릴레이 접촉단자 (11) 가 잡음을 내는 안테나로서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는 평면 자유단과 일반적으로 그 내부에 형성된 원형 관통공 (31a) 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릴레이 접촉단자 (11) 는 일반적으로 원형 관통공 (31a) 안으로 먼저 삽입된 후, 내부도체 (31) 에 접속되어, 릴레이 접촉단자 (11) 와 내부도체 (31) 사이의 접속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2 및 1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회로기판 (50) 은 스트립라인 구성을 가진 다층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50) 은 한 층위에 다른 층이 형성된 두개의 층과 그 두개의 층 사이에 도전체로 만들어진 스트립라인 (52) 이 끼워진 두개의 절연층 (50a, 50b) 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 (50) 은 전면 및 배면 상 (두개의 절연층 (50a, 50b) 의 전체 외부면) 의 거의 전체에 형성된 상하부 접지층 (51) 을 가지고 있다. 고주파 릴레이 (10) 의 릴레이 접촉단자 (11) 및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는 스트립라인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만약 작은 유전손실인자를 가진 불소함유수지 예를 들어, 테플론이 인쇄회로기판 (50) 의 기판으로 사용되면, 인쇄회로기판 (50) 을 얇게 만들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삽입손실도 줄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50) 은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된 복수의 홈 (53; 1개만 도시됨)을 구비하여 동축케이블 (30) 중 하나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각 홈 (53) 은 대향하는 내측벽 상에 형성된 도전층 (54) 을 갖는다. 도전층 (54) 은 양 상하부 접지층 (51) 에 접속되어 있다. 홈 (53) 은 동축케이블 (30) 의 외부도체 (32) 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따라서, 만약 동축케이블 (30) 이 홈 (53) 내부에 수용되면, 도 13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는 스트립라인 (52) 중 관련된 하나위에 위치된다. 도전층 (54) 은 납땜으로 홈 (53) 의 내측벽을 도금하여 형성되어, 도전층 (54) 이 인쇄회로기판 (50) 의 대향하는 면상의 접지층 (51) 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2 및 1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회로기판 (50) 은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와 인쇄회로기판 (50) 의 스트립라인 (52) 사이의 접속부가 노출되도록 (층 50a 측의) 일측면에 형성된 통상 직사각형의 복수의 리세스 (55; 단 1 개만 도시함) 를 갖는다. 각 동축케이블 (30) 을 관련된 리세스 (55) 안으로 수용하는 조건하에서, 전자의 내부도체 (31) 는 관련 스트립라인 (52) 에 접속되고, 외부도체 (32) 는 접지층 (51) 에 접속된다. 이후에, 도 1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회로기판 (50) 은 하나의 면 상의 거의 전체에 형성된 접지층 (61) 을 갖는 다른 인쇄회로기판 (60) 으로 커버되어, 리세스 (55) 의 개구가 인쇄회로기판 (60) 의해 폐쇄될 수 있게 한다. 인쇄회로기판 (60) 의 접지층 (61) 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50) 의 접지층 (51) 에 접속된 도전체이다. 인쇄회로기판 (60) 은 동축케이블 (30) 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상 직사각형의 복수의 홈 (62;한개만 도시됨) 을 갖는다. 접지층 (61) 은 인쇄회로기판 (50) 에 접속된 인쇄회로기판 (60) 의 표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와 인쇄회로기판 (50) 의 스트립라인 (52) 사이의 접속부와 대면하는 접지층 (61) 부분은 단락방지를 위하여 제거된다.
인쇄회로기판 (50) 의 다층구성은 삽입손실을 많이 줄일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 (50) 에 대해서 동축케이블 (30) 의 위치 또는 릴레이 접촉단자 (11) 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이 때문에, 모든 동축케이블 (30) 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조비용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또한, 접지층 (51) 으로 연결되는 도전층 (54) 은 각 홈 (53) 의 내측벽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동축케이블 (30) 의 외부도체 (32) 가 감소된 거리에서 접지층 (51) 에 접속되어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동축케이블 (30) 의 내부도체 (31) 와 인쇄회로기판 (50) 내부의 스트립라인 (52) 사이의 접속부가 노출되도록 통상 직사각형의 리세스 (55) 가 제공되기 때문에, 내부도체 (31) 는 스트립라인 (52) 에 직접 접속될 수 있어, 삽입손실을 줄이고 인접한 스트립라인 (52) 에서 각 스트립라인 (52) 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리세스 (55) 의 개구가 접지층 (61) 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60) 으로 커버되기 때문에, 접지층 (61) 은 차폐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고, 스트립라인 (52) 부근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60) 의 절연체가 단락회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 에 도시된 바와같이, 만약 릴레이커넥터 (40) 의 단자 (도시되지 않음) 와 고주파 릴레이 (10) 의 코일단자 (12) 의 접속용 배선패턴 (56) 이 접지층 (51) 중 하나의 내부에 형성되었다면, 릴레이커넥터 (40) 와 고주파 릴레이 (10) 의 코일단자 (12) 가 리드선 (41) 을 통해서 접속된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의 수와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릴레이커넥터 (40) 의 단자와 고주파 릴레이 (10) 의 코일단자 (12) 의 접속용 배선패턴은 인쇄회로기판 (60) 의 접지층 (6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층 인쇄회로기판 (50) 의 스트립라인 (52) 에서 릴레이커넥터 (40) 와 고주파 릴레이 (10) 의 코일단자 (12) 의 접속용 배선패턴으로 고주파 신호의 점프 가능성을 줄인다. 결과적으로, 고주파 신호의 누설을 흡수하는데 사용되는 커패시터를 없앨 수 있어, 부품의 수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만든다.
상기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고주파 릴레이를 가진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도 15 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지 하나의 고주파 릴레이를 갖을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은 1개의 입력단자와 복수의 출력단자를 갖지만, 도 1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의 입력단자와 복수의 출력단자를 갖는다.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고주파 릴레이, 하나이상의 입력단자 및 하나이상의 출력단자를 가진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에 적용된다.
도 14 에 도시된 바와같이, 만약 릴레이커넥터 (40) 의 단자 (도시되지 않음) 와 고주파 릴레이 (10) 의 코일단자 (12) 의 접속용 배선패턴 (56) 이 접지층 (51) 중 하나의 내부에 형성되었다면, 릴레이커넥터 (40) 와 고주파 릴레이 (10) 의 코일단자 (12) 가 리드선 (41) 을 통해서 접속된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의 수와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릴레이커넥터 (40) 의 단자와 고주파 릴레이 (10) 의 코일단자 (12) 의 접속용 배선패턴은 인쇄회로기판 (60) 의 접지층 (6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층 인쇄회로기판 (50) 의 스트립라인 (52) 에서 릴레이커넥터 (40) 와 고주파 릴레이 (10) 의 코일단자 (12) 의 접속용 배선패턴으로 고주파 신호의 점프 가능성을 줄인다. 결과적으로, 고주파 신호의 누설을 흡수하는데 사용되는 커패시터를 없앨 수 있어, 부품의 수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과 실시예로서 충분히 기술되지만, 다양한 변형과 수정은 당해기술의 전문가에게는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과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이것들은 이것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어야 한다.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1 면 상의 거의 전체에 접지층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케이스 상에 장착된 하나이상의 입력단자 및 하나이상의 출력단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를 스위칭하여 상기 입력단자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복수의 릴레이 접촉단자와 접지단자를 갖는 고주파 릴레이;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한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접지단자 및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도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접지층에 접속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 각각을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중 하나에 접속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내부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 내부도체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에 정렬되도록 결정된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6.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1 면 상의 거의 전체에 접지층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케이스 상에 장착된 하나이상의 입력단자 및 하나이상의 출력단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를 스위칭하여 상기 입력단자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복수의 릴레이 접촉단자와 접지단자를 갖는 고주파 릴레이;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한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접지단자 및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도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접지층에 접속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 각각을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중 하나에 접속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홈을 구비하여, 그 안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단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도체는 상기 복수의 홈을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접지층에 직접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홈은 그 내벽 상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도전층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접지층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내부에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의 각각은 복수의 홈 중 인접하는 하나의 홈과 연통하게 구성되어서,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 중 하나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9.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1 면 상의 거의 전체에 접지층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케이스 상에 장착된 하나이상의 입력단자 및 하나이상의 출력단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를 스위칭하여 상기 입력단자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복수의 릴레이 접촉단자와 접지단자를 갖는 고주파 릴레이;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한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접지단자 및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도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접지층에 접속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 각각을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중 하나에 접속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내부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각 내부도체는 평면 자유단 및 그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 중 하나가 상기 관통공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10.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1 면 상의 거의 전체에 접지층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케이스 상에 장착된 하나이상의 입력단자 및 하나이상의 출력단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를 스위칭하여 상기 입력단자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복수의 릴레이 접촉단자와 접지단자를 갖는 고주파 릴레이;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한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접지단자 및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도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접지층에 접속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 각각을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중 하나에 접속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홈을 구비하여, 그 안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단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한 층위에 다른 층이 형성된 두개의 층과 그 두개의 층 사이에 도전물질로 만들어진 스트립라인이 끼워진 다층구조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또한 상기 두개의 층 각각의 외표면상에 형성된 2 개의 접지층을 갖고,
    상기 스트립라인은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를 접속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도체는 상기 복수의 홈을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접지층과 직접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릴레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상에 장착된 릴레이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가 코일단자를 갖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릴레이커넥터와 상기 코일단자를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접지층 내에 형성된 배선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홈 각각은 그 내벽 상에 형성된 도전층을 구비하여, 상기 도전층은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두개의 접지층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불소함유수지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14.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1 면 상의 거의 전체에 접지층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케이스 상에 장착된 하나이상의 입력단자 및 하나이상의 출력단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를 스위칭하여 상기 입력단자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복수의 릴레이 접촉단자와 접지단자를 갖는 고주파 릴레이;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한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접지단자 및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도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접지층에 접속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 각각을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중 하나에 접속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내부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한 층위에 다른 층이 형성된 두개의 층과 그 두개의 사이에 도전물질로 만들어진 스트립라인이 끼워진 다층구조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또한 상기 두개의 층의 외표면상에 형성된 두개의 접지층을 갖고,
    상기 스트립라인은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를 접속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일측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를 구비하여,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와 상기 스트립라인 사이의 접속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두개의 접지층에 접속된 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리세스는 상기 도체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다른 인쇄회로기판의 하나의 면 상의 거의 전체에 형성된 접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릴레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상에 장착된 릴레이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는 코일단자를 갖고,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릴레이커넥터를 상기 코일단자와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접지층 내에 형성된 배선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18.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1 면 상의 거의 전체에 접지층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케이스 상에 장착된 하나이상의 입력단자 및 하나이상의 출력단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를 스위칭하여 상기 입력단자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복수의 릴레이 접촉단자와 접지단자를 갖는 고주파 릴레이;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한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접지단자 및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도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접지층에 접속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 각각을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중 하나에 접속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홈을 구비하여, 그 안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단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각 내부도체는 평면 자유단 및 그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 중 하나가 상기 관통공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한 층위에 다른 층이 형성된 두개의 층과 그 두개의 층 사이에 도전물질로 만들어진 스트립라인이 끼워진 다층구조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또한 상기 두개의 층 각각의 외부면상에 형성된 2 개의 접지층을 갖고,
    상기 스트립라인은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릴레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상에 장착된 릴레이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가 코일단자를 갖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릴레이커넥터와 상기 코일단자를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접지층 내에 형성된 배선패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내부에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복수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은 상기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고,
    상기 홈의 각각은 그 내벽에 형성된 도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도전층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두개의 접지층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22.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1 면 상의 거의 전체에 접지층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케이스 상에 장착된 하나이상의 입력단자 및 하나이상의 출력단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를 스위칭하여 상기 입력단자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복수의 릴레이 접촉단자와 접지단자를 갖는 고주파 릴레이;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한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접지단자 및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도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접지층에 접속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 각각을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중 하나에 접속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홈을 구비하여, 그 안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단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한 층위에 다른 층이 형성된 두개의 층과 그 두개의 층 사이에 도전물질로 만들어진 스트립라인이 끼워진 다층구조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또한 상기 두개의 층 각각의 외부면상에 형성된 2 개의 접지층을 갖고,
    상기 스트립라인은 상기 고주파 릴레이의 상기 릴레이 접촉단자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를 접속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일측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를 구비하여,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부도체와 상기 스트립라인 사이의 접속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두개의 접지층에 접속된 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리세스는 상기 도체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다른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의 거의 전체에 형성된 접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릴레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상에 장착된 릴레이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 릴레이는 코일단자를 갖고,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릴레이커넥터를 상기 코일단자와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접지층 내에 형성된 배선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KR10-2001-0029242A 2000-05-26 2001-05-26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KR100418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7256 2000-05-26
JP2000157256 2000-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778A KR20010107778A (ko) 2001-12-07
KR100418452B1 true KR100418452B1 (ko) 2004-02-14

Family

ID=1866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242A KR100418452B1 (ko) 2000-05-26 2001-05-26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74645B2 (ko)
EP (1) EP1168481A3 (ko)
KR (1) KR100418452B1 (ko)
CN (1) CN118998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4497B2 (ja) * 2003-02-14 2008-07-09 住友電装株式会社 回路構成体用ケース及び回路構成体の製造方法
US7364470B2 (en) * 2006-07-05 2008-04-29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ommunications connectors with signal current splitting
JP2008085676A (ja) * 2006-09-27 2008-04-10 Sharp Corp 受信装置および複合受信装置
US8002583B2 (en) * 2008-03-14 2011-08-23 Fci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and latching features
CN101599604A (zh) * 2008-06-04 2009-12-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线缆连接器
US8062051B2 (en) * 2008-07-29 2011-11-22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latching and strain relief features
US8716699B2 (en) * 2009-10-29 2014-05-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having white light emission
CA2704683A1 (en) * 2010-05-28 2010-08-12 Ibm Canada Limited - Ibm Canada Limitee Grounded lid for micro-electronic assemblies
JP5992721B2 (ja) * 2012-04-27 2016-09-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6162908A (ja) * 2015-03-03 2016-09-05 アズビル株式会社 回路基板の接続構造
JP6658263B2 (ja) * 2016-04-25 2020-03-04 富士通株式会社 基板及びケーブル接続基板
WO2018007580A1 (de) * 2016-07-08 2018-01-11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Kabelmontage für koaxialkabel auf dicken leiterplatten
CN106841699B (zh) * 2017-01-16 2019-06-04 东南大学 对绞电缆电磁防护性能测试端接夹具
CN106912160A (zh) * 2017-03-14 2017-06-30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pcb板及其制作方法
BE1025734A9 (de) * 2017-11-27 2019-07-03 Phoenix Contact Gmbh & Co Modularer Steckverbinder austauschbarer Modul-Leiterplatte
CN111896783B (zh) * 2020-07-10 2023-03-10 杭州斡维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同轴开关模块及其构成的同轴扫描开关
CN112072435B (zh) * 2020-08-14 2022-04-0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三研究所 射频电缆焊接印刷电路板的射频带线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9286B1 (fr) 1985-10-25 1988-05-13 Cit Alcatel Ensemble d'interconnexion de cartes de circuits imprimes orthogonales et reseaux de commutation en faisant application
JPS6388771A (ja) 1986-10-02 1988-04-19 オムロン株式会社 入出力リレー用ターミナル
US5402088A (en) * 1992-12-03 1995-03-28 Ail Systems, Inc. Apparatus for the interconnection of radio frequency (RF)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
JP2581460B2 (ja) 1994-06-21 1997-02-12 日本電気株式会社 調整ねじ付ストリップライン及びこのストリップラインの組立方法
JPH0945204A (ja) 1995-07-28 1997-02-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レーの収容構造
JP3166611B2 (ja) * 1996-04-19 2001-05-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195731B2 (ja) * 1996-07-25 2008-12-10 富士通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板及びこれを利用した高周波回路装置
US6049709A (en) 1996-12-06 2000-04-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RF circuit module
US5903829A (en) * 1996-12-06 1999-05-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RF equalizer module
US6159586A (en) * 1997-09-25 2000-12-12 Nitto Denko Corporation Multilayer wiring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292166B2 (ja) * 1999-02-12 2002-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周波電子機器
JP4089098B2 (ja) * 1999-08-18 2008-05-21 横河電機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の冷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4624A (zh) 2002-02-06
CN1189983C (zh) 2005-02-16
US20020004321A1 (en) 2002-01-10
EP1168481A2 (en) 2002-01-02
US6674645B2 (en) 2004-01-06
EP1168481A3 (en) 2003-05-07
KR20010107778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452B1 (ko) 고주파 신호 스위칭 유닛
US5679008A (en) Electrical connector
US5552752A (en) Microwave vertical interconnect through circuit with compressible conductor
US9577394B2 (en) RJ-45 communications plug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in a housing and a lossy dielectric material inbetween
US5633615A (en) Vertical right angle solderless interconnects from suspended stripline to three-wire lines on MIC substrates
JP4652454B2 (ja) インピーダンス調整された終端組立体及び同組立体を含むコネクタ
US5466160A (en) Surface mount type receptacle of coaxial connector and mounting arrangement for mounting receptacle of coaxial connector on substrate
US6837741B2 (en) Connector and cable positioning member of connector
EP060063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terconnection of radio frequency (RF)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
CN109638457A (zh) 天线及其移相馈电装置
US4768004A (en) Electrical circuit interconnect system
US20180076155A1 (en) Extremely High Frequency Electronic Component
KR930008831B1 (ko) 동축-마이크로스트립 직교런처
US6100774A (en) High uniformity microstrip to modified-square-ax interconnect
US6759987B2 (en) Device for the transmission and /or reception of radar beams
US4906957A (en) Electrical circuit interconnect system
EP4089842B1 (en) Connector cable
US6417812B1 (en) Electrical connector incorporating antenna
JPH09199228A (ja) グランド強化型電気コネクタ
US6636180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tenna
JP4211240B2 (ja) 高周波信号切換装置
US7011545B2 (en) Socket connector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termination sockets for coaxial cables
EP1388189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transmissions paths
JPH05135826A (ja) インピーダンス整合型電気コネクタ
US20230156910A1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