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534B1 -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534B1
KR100417534B1 KR10-2000-0076918A KR20000076918A KR100417534B1 KR 100417534 B1 KR100417534 B1 KR 100417534B1 KR 20000076918 A KR20000076918 A KR 20000076918A KR 100417534 B1 KR100417534 B1 KR 10041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micro glass
glass sphere
extruded
retro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331A (ko
Inventor
김수병
Original Assignee
김수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병 filed Critical 김수병
Priority to KR10-2000-007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5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10Forming beads
    • C03B19/109Glass-melting furnac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b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합성수지 또는 이들의 복합물 등의 선형재료에 재귀반사의 원리를 이용해 재귀반사 처리한 선형 재귀반사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형재료의 압출시에 가열된 선형재료의 표면에 미소유리구가 선형재료 표면을 녹이면서 부착함으로 야간에 가시도를 높여 안전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형 재귀반사재를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Description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및 방법{The equipment and manufacture of linear reflexive materials}
본 발명은 야간에 가시도를 높여 안전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선형 재귀반사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형재료(10)의 압출시에 자연스럽게 접촉되어 압출되는 선형재료(10)의 표면을 가열된 미소유리구(20)가 녹이면서 부착함으로서 선형 재귀반사재를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형 재귀반사재의 일부분 단면도로서, 선형재료(10)는 용융상태에서 다이(80)를 통해 압출하고, 압출후 선형재료(10)의 표면에 반사포로서 선형재료(10)를 감싸거나 반사지를 입혀서 선형 재귀반사재를 만드는데, 선형재료 (10)의 압출공정과 반사지를 입히는 공정이 분리되어 있음으로써 공정상의 번거로움과 비용이 많이들며 이용분야도 한정되어 있었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로서, 미소유리구(20) 아래로 반사층(50)과 수지층 (60)이 있고 접착제층이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을 선형재료(10)에 부착하는 공정을 통해 선형 재귀반사재가 만들어 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선형 재귀반사재의 제조공정상의 번거로움과 많은 비용을 간단한 공정과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는 선형 재귀반사재를 만들고 이용분야를 확대하기 위해서이다.
도 1은 종래의 선형 재귀반사재의 일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재귀반사재의 일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선형재료 20. 미소유리구
30. 재귀반사지 40. 절단부
50. 반사층 60. 수지층
70. 접착제층 80. 다이
90. 히터 100. 교반기
110. 냉각기 120. 와인더
130. 요홈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형 재귀반사재의 일부분 단면도로서, 선형재료(10)에 미소유리구(20)가 30~80% 정도로 매몰되어 있는 모습이다.
여기서 재귀반사라 함은 빛이 입사한 경로를 따라 근사적으로 되돌아가는 것으로서, 재귀반사를 구현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상대굴절률이 1.7~2.0 정도인 미소유리구의 절반을 거울로 처리함으로써 입사광이 미소유리구의 표면에서 굴절하여 거울면에 촛점을 이루면 다시 반사하여 입사광의 경로를 되돌아 가는 방법이고, 둘째는 투명한 시트의 한 면에 마이크로 프리즘을 형성하여 평면쪽으로 입사한 빛이 마이크로 프리즘을 만나면 전반사를 일으킴으로써 근사적으로 입사광과 동일한 경로로 반사하게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도로서 다이(80)에 요부를 만들어 굴절률이 1.7~2.0 정도이고 직경이 0.1~500㎛인 미소유리구(20)를 담아두고, 상기 미소유리 구(20)가 용융상태혹은 반용융상태의 선형재료(10)와 접촉하게 하여 선형재료(10)가 다이(80)를 통해 압출될 때 자연스럽게 흡착되도록 한다.
미소유리구(20)가 압출물에 매몰되는 깊이는 30~80% 정도가 적당한데, 이를 위해 미소유리구(20)를 직접 가열한다. 상기한 미소유리구(20)를 가열하기 위해 다이(80)의 요홈부(130)에 온도조절이 가능한 히터(90)를 장착하여 히터(90)의 온도가 압출되는 선형재료(10)의 용융점보다 약간 높게하여 미소유리구(20)가 압출되는 선형재료(10)의 표면에 적당히 매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히터(90)로 미소유리구(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미소유리구(20)의 온도가 높아지면 매몰깊이가 깊어지므로 히터(90)의 온도조절로서 매몰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선형재료(10)의 압출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미소유리구(20)가 상기 선형재료(10)의 표면에 일부분이 매몰되어 이동하게되면 원래의 미소유리구(20)가 있던 자리에는 빈 공간이 생겨 선형재료(10)의 표면에 미소유리구(20)가 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생기는데 이를 위해서 교반기(100)를 설치하였다. 상기한 교반기(100)는 계속적으로 미소유리구(20)를 휘저어줌으로써 미소유리구(20)가 부착되고 난 뒤의 빈 공간을 없애주어 압출되는 선형재료(10)의 표면에 미소유리구(20)가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하였다.
미소유리구(20)가 부착된 선형재료(10)는 냉각기(110)에서 냉각된 후 와인더 (120)에 의해 감기게 된다.
여기서 선형재료(10)의 재질은 합성수지, 금속 또는 이들의 복합재료 등이며,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용융점(melting point)이 미소유리구(20)의 용융점보다 낮아야만 선형재료(10)가 압출될 때 미소유리구(20)가 압출되는 선형재료(10) 표면을 녹이면서 부착될 수 있다.
합성수지의 경우 반사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알미늄 파우더나 실버 혹은 골드안료를 혼합할 수 있으며 착색을 위해 안료를 첨가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 때, 안료 등의 첨가물은 압출재료에 혼합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나 재료비를 절약하기 위해 미소유리구(20)와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미소유리구(20)는 구슬의 절반이 거울면으로 처리된 미소유리구(2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면재질이 금속인 경우는 미소유리구(20)의 매몰된 면이 자체로서 거울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뛰어난 반사휘도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형 재귀반사재의 제조방법은 선형 재귀반사재가 반사포나 반사지가 필요없이 용이하게 제조됨으로 인해 그 응용분야가 전선, 의류, 신발, 가방, 포장재 등으로 다양화 될 수 있으며, 저렴한 제조원가로 인해 그 수요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선형재료(10)에 재귀반사를 구현하기가 어려웠던 점을 고려한다면 제품을 다양하게 만들고, 저렴한 제조원가로 품질을 고급화 시킬 수 있고, 야간에 가시도를 높임으로서 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5)

  1. 요홈부가 형성된 다이와, 상기 다이를 통해 압출되는 선형재료와, 상기 다이의 요홈부에 담기는 미소유리구와, 상기 요홈부 내부에 형성되어 미소유리구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요홈부 내부에 형성되어 미소유리구를 휘저어주는 교반기와, 상기 미소유리구가 부착된 선형재료를 냉각시켜주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선형재료를 감아주는 와인더로 구성된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온도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미소유리구의 온도변화로서 압출되는 선형재료에 매몰되는 미소유리구의 깊이가 변하므로, 히터의 온도조절로서 미소유리구의 매몰깊이 조정이 가능한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계속적으로 요홈부내의 미소유리구를 휘저어줌으로써 미소유리구가 부착되고 난 뒤의 빈 공간을 없애주어 압출되는 선형재료의 표면에 미소유리구가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한 것이 특징인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4. 다이를 통해 압출되는 용융상태 또는 반용융상태의 선형재료에 히터로 가열된 미소유리구가 자연스럽게 접촉이되어 상기 압출되는 선형재료의 표면에 흡착되는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방법
  5. 미소유리구는 별도의 접착층이 없이 선형재료에 30~80% 정도 매몰되고, 상기 미소유리구의 굴절률이 1.7~2.0 정도이며 직경이 0.1~500㎛인 것이 특징인 선형 재귀반사재
KR10-2000-0076918A 2000-12-15 2000-12-15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41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18A KR100417534B1 (ko) 2000-12-15 2000-12-15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18A KR100417534B1 (ko) 2000-12-15 2000-12-15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127U Division KR200223748Y1 (ko) 2000-12-15 2000-12-15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331A KR20010025331A (ko) 2001-04-06
KR100417534B1 true KR100417534B1 (ko) 2004-02-11

Family

ID=1970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918A KR100417534B1 (ko) 2000-12-15 2000-12-15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5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1176A (en) * 1964-04-28 1967-03-28 Allis Chalmers Mfg Co Spinner plow
JPS53140343A (en) * 1977-05-14 1978-12-07 Bayer Ag Method of making thermoplastic material sheet containing glass beads
JPH01292194A (ja) * 1988-05-17 1989-11-24 Tsutomu Yokoi 再帰反射プラスチックワイャー及びプラスチックフラットヤーン及び異形押出品を含むプラスチックパイプ。
JPH06123802A (ja) * 1992-10-12 1994-05-06 Unitika Ltd 透過型光拡散板及びそ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1176A (en) * 1964-04-28 1967-03-28 Allis Chalmers Mfg Co Spinner plow
JPS53140343A (en) * 1977-05-14 1978-12-07 Bayer Ag Method of making thermoplastic material sheet containing glass beads
JPH01292194A (ja) * 1988-05-17 1989-11-24 Tsutomu Yokoi 再帰反射プラスチックワイャー及びプラスチックフラットヤーン及び異形押出品を含むプラスチックパイプ。
JPH06123802A (ja) * 1992-10-12 1994-05-06 Unitika Ltd 透過型光拡散板及びそ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331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6632B1 (en) Retroreflective structures
CA1236720A (en) High-angularity retroreflective shee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e
US4466697A (en) Light dispersive optical lightpip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074742A (en) Colored article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JP4255295B2 (ja) 孔質ポリマー光拡散体の表面形成レンズ
US5885490A (en) Continuous sheet having optical functions
KR930023544A (ko) 역반사성 형광 부직 직물
US20030116747A1 (en) Physical colored inks and coatings
JPH06506408A (ja) 板状ポリマー体とその製造方法
US4457723A (en) Color changeable fabric
CN1201531A (zh) 具有背衬的微结构制品及其制造方法
JP2001290013A (ja) 印刷された再帰反射シート
CN114728467A (zh) 具有增强光泽外观的fdm打印发光装置
JP5271800B2 (ja) 光学的構造体
US4659619A (en) Color changeable fabric
WO1998052078A1 (en) Linear light form with multi-layered jacketing
KR100417534B1 (ko)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223748Y1 (ko) 선형 재귀반사재 제조장치
EP0326186A2 (en) High-angularity retroreflective shee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e
US4528237A (en) Color changeable fabric containing micromagnets adhered to a substrate
JP3274224B2 (ja) プラスチック光学素子の成形金型およびそのプラスチック光学素子
KR100363997B1 (ko) 전사지 제조방법 및 전사지
JP4540330B2 (ja) 再帰反射媒体中間体の製造方法
KR100595994B1 (ko) 재귀반사성 원사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4190157A (ja) 光反射機能構造体、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