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297B1 -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 Google Patents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297B1
KR100417297B1 KR10-2000-0072971A KR20000072971A KR100417297B1 KR 100417297 B1 KR100417297 B1 KR 100417297B1 KR 20000072971 A KR20000072971 A KR 20000072971A KR 100417297 B1 KR100417297 B1 KR 10041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bending
bent portion
bent surface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835A (ko
Inventor
한수열
정원지
Original Assignee
코리아프랜트 주식회사
대한민국(창원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프랜트 주식회사, 대한민국(창원대학교) filed Critical 코리아프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29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combined with measuring of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6Folding; Pl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된 강판(PRE COATED METAL)을 냉장고용 캐비넷(CABINET)으로 밴딩성형하기 위하여 일단으로부터 소정 너비로 제1절곡면,제2절곡면,제3절곡면을 구획한 후 상기 제1절곡면과 제2절곡면의 접점하부는 제1절곡부, 상기 제2절곡면과 제3절곡면의 접점상부는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에서 제2절곡면측으로 인접된 하부는 제3절곡부, 상기 제1절곡면을 소정 너비의 제1절곡면A,B로 구획한 후 그 상부의 접점은 제4절곡부, 상기 제1절곡면B를 소정 너비의 제1절곡면C,D로 구획한 후 그 상부의 접점은 제5절곡부, 상기 제2절곡면과 제3절곡면이 접철된 상태에서의 제2절곡면과 제3절곡면을 제2절곡면A,B로 구획하고 그 상부의 접점을 제6절곡부로 설정하여 밴딩성형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강판 절곡 시 도막의 수축/이완에 따른 변위량을 산출하여 인접한 절곡부와 변위량이 대응되도록 다단계로 연계절곡하도록 한다.
따라서, 강판이 밴딩된 후 도장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추가되는 도장설비 및 건조설비가 필요없게 되고, 이에 따라 설비절감으로 원가경쟁력이 우수하며,아울러, 밴딩 후 도장 및 도금 시 발생되었던 환경공해 문제의 해소와 밴딩공정 전에 도료를 간단히 도포함으로써 도료를 절감함과 동시에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아울러, 도장강판의 고광택 도장면이 밴딩후에도 깨끗한 표면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BANDING METHOD FOR REFRIGERATOR USING PRE COATED METAL}
본 발명은 도장된 강판(PRE COATED METAL)을 냉장고용 캐비넷(CABINET)으로 밴딩성형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장강판 절곡 시 도막의 수축/이완에 따른 변위량을 공정별로 산출하여 인접한 절곡부와 변위량이 대응되도록 다단계로 연계절곡함으로써, 도장강판의 고광택 도장면이 밴딩후에도 깨끗한 표면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캐비넷(1)내측으로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사출성형물(2)을 캐비넷(1)의 내측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캐비넷(1) 전,후면의 선단부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하고, 상기 절곡된 캐비넷(1)의 전,후면 선단부에는 소정형상의 사출성형물(2)을 도1과 같이 삽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출성형물(2)과 캐비넷(1)사이에는 도1과 같이 우레탄(3)을 충진시켜 단열처리를 함으로써, 냉장고의 수용공간내의 저온이 외부의 온도와 간섭이 발생함으로써, 온도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캐비넷(1)은 냉장고의 외곽케이싱을 이루는 것으로서 캐비넷(1)의 외관에는 각종 도료가 도장되어 미려한 외관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소비자의 구매욕구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캐비넷(1)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할 경우에는 캐비넷(1)에 도장된 도료가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 이를 도1과 같은 형상으로 절곡 할 경우에는 냉장고의 전면을 향하는 도1,도2의 A부분 도막이 깨지거나 크랙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외관이 지저분해지며 이에 따라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낳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크랙이 발생한 제품을 조립하여 제품을 시장에 출하시키게 되면 실수요자들 입장에서는 외관이 깨끗하지 못한 상품은 불량품으로 간주하여 구매하기를 꺼려하므로, 제품의 경쟁력이 저하되게 되고, 이에 따라, 판매량이 저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외관이 깨끗하지 못한 상품을 그대로 시장에 출하시킬 경우에는 해당 상품을 생산/판매하는 기업의 이미지가 추락하게 되어, 해당상품 외의 상품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다.
따라서,상기 캐비넷(1)을 절곡할 때 도막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종래의 방법으로는, 캐비넷(1)을 이루는 강판에 도장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밴딩작업을 수행하여 도1과 같은 단면형상이되도록 절곡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도1의 단면형상대로 절곡된 캐비넷(1)에 도장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도막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밴딩작업이 수행되고 난 후에 도장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캐비넷(1) 전체에 균일하고도 깔끔한 도장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절곡에 의하여 강판과 강판이 접촉하는 부위에는 도료가 뭉쳐지거나 울퉁불퉁한 불규칙한 도막의 두께와 표면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곡된 강판에 도장작업을 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추가된 도장설비와 건조설비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상온에서의 도장된 강판(PRE COADED METAL)을 밴딩(Roll Forming)할 때 강판의 도장된 도막에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깨지는 등의 표면손상을 방지하여 미려한 외관을 확보하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장된 강판(PRE COATED METAL)을 냉장고용 캐비넷(CABINET)으로 밴딩성형하기 위하여 일단으로부터 소정 너비로 제1절곡면(101),제2절곡면(102),제3절곡면(103)을 구획한 후 상기 제1절곡면(101)과 제2절곡면(102)의 접점하부는 제1절곡부(104), 상기 제2절곡면(102)과 제3절곡면(103)의 접점상부는 제2절곡부(105), 상기 제2절곡부(105)에서 제2절곡면(102)측으로 인접된 하부는 제3절곡부(106), 상기 제1절곡면(101)을 소정 너비의 제1절곡면A,B(101a)(101b)로 구획한 후 그 상부의 접점은 제4절곡부(107), 상기 제1절곡면(101)B를 소정 너비의 제1절곡면C,D(101c)(101d)로 구획한 후 그 상부의 접점은 제5절곡부(108), 상기 제2절곡면(102)과 제3절곡면(103)이 접철된 상태에서의 제2절곡면(102)과 제3절곡면(103)을 제2절곡면A,B(102a)(102b)로 구획하고 그 상부의 접점을 제6절곡부(109)로 설정하여 밴딩성형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에 있어서, 도장강판 절곡 시 도막의 수축/이완에 따른 변위량을 산출하여 인접한 절곡부와 변위량이 대응되도록 다단계로 연계절곡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도1은 종래 냉장고용 캐비넷의 절곡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 냉장고용 캐비넷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 제1밴딩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 제2밴딩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 제3밴딩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 제4밴딩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 제5밴딩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 제6밴딩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 제7밴딩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01,102,103-제1,제2,제3절곡면
104,105,106,107,108,109-제1,제2,제3,제4,제5,제6절곡부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기술을 도?내지 도?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장된 강판(PRE COATED METAL)을 냉장고용 캐비넷(CABINET)으로 밴딩성형하기 위하여 일단으로부터 소정 너비로 제1절곡면(101), 제2절곡면(102), 제3절곡면(103)을 구획한 후 상기 제1절곡면(101)과 제2절곡면(102)의 접점하부는 제1절곡부(104), 상기 제2절곡면(102)과 제3절곡면(103)의 접점상부는 제2절곡부(105), 상기 제2절곡부(105)에서 제2절곡면(102)측으로 인접된 하부는 제3절곡부(106), 상기 제1절곡면(101)을 소정 너비의 제1절곡면A,B(101a)(101b)로 구획한 후 그 상부의 접점은 제4절곡부(107), 상기 제1절곡면(101)B를 소정 너비의 제1절곡면C,D(101c)(101d)로 구획한 후 그 상부의 접점은 제5절곡부(108), 상기 제2절곡면(102)과 제3절곡면(103)이 접철된 상태에서의 제2절곡면(102)과 제3절곡면(103)을 제2절곡면A,B(102a)(102b)로 구획하고 그 상부의 접점을 제6절곡부(109)로 설정하여 밴딩성형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에 있어서, 도장강판 절곡 시 도막의 수축/이완에 따른 변위량을 산출하여 인접한 절곡부와 변위량이 대응되도록 다단계로 연계절곡하도록 한다.
상기 제3절곡부(106)의 반지름 내경을 적어도 2mm로 절곡하고, 제1,제2절곡면(101)(102)이 상부절곡되도록 제2절곡부(105) 내경의 반지름을 4.87mm~5.07mm, 3.57mm~3.87mm, 3.14mm~3.34mm, 2.8mm~3.0mm로 점차 절곡하여 제2절곡면(102)이 17°~19°,37°~39°,47°~49°,57°~59°의 기울기를 갖도록 하며, 제1절곡부(104)는 내경반지름을 11.32mm~13.32, 4.07mm~6.07mm, 2.97mm~4.97mm, 2.25mm~4.25mm로 점차절곡하는 제1밴딩단계와, 상기 제1절곡면A(101a)가 상부로 향하도록제4절곡부(107) 내경의 반지름을 1.5mm로 절곡하고, 제1절곡부(104)의 내경 반지름이 2.75mm ~ 3.75mm, 2.24mm ~ 3.24mm, 1.52mm ~ 2.52mm,로 점차 절곡하며, 제2절곡부(105)를 2.4mm ~ 3.4mm, 2.12mm ~ 3.12mm, 1.88mm ~ 2.88mm로 점차절곡하여 제2절곡면(102)이 67°~69°,77°~79°의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제2밴딩단계와, 상기 제1절곡부(104)의 내경 반지름을 2.02mm로 유지하고, 제2절곡부(105)의 내경반지름이 1.76mm ~ 2.76mm, 1.5mm ~ 2.5mm, 1.54mm ~ 2.14mm, 1.5mm ~ 1.9mm가 되도록 절곡하고, 제3절곡부(106)의 내경반지름을 적어도 1mm로 절곡하며, 제4절곡부(107)를 1.5mm로 절곡하도록 하는 제3밴딩단계와, 상기 제2절곡부(105)의 외접각을 122°,130°,138°로 절곡하되 제3절곡부(106)의 내접각을 수직상태로 유지하고, 제2절곡부(105)의 외접각을 148°,162°절곡하되 제3절곡부(106)의 내접각이 77°가 유지되도록 절곡하는 제4밴딩단계와, 상기 제2절곡부(105)를 R1.6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을 제3절곡면(103)의 상부에 겹치도록 하고, 제3절곡부(106)의 내경 반지름을 적어도 R1.0mm로 절곡하도록 하는 제5밴딩단계와, 상기 제4절곡부(107)를 R1.4mm로 절곡하며, 제5절곡부(108)의 내경 반지름을 2.69mm,1.34mm로 단계적으로 절곡하고, 상기 제2절곡면A(102a)가 상부로 절곡되도록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14.35mm~15.35mm, 6.52mm~7.52mm, 4.11mm~4.71mm, 3.01mm~3.21mm, 2.22mm~2.42mm, 2.02mm,1.72mm로 절곡하여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15°,30°,45°,60°,75°,83°의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제6밴딩단계와, 상기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의 복원력을 제거하여 90°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1.72mm로 절곡 한 후 1.88mm로 확경시킴과 동시에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의 기울기를 89°,93°,90°,90.5°,90°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7밴딩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밴딩단계에서는 제2절곡부(105)의 내경 반지름(이하, R(radius)이라 함)을 4.97mm, 제3절곡부(106)는 R2.0mm,제1절곡부(104)는 R12.32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18°가 되도록 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3.67mm,제1절곡부(104)를 R5.07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38°가 되도록 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3.24mm,제1절곡부(104)를 R3.97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48°가 되도록 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9mm,제1절곡부(104)를 R3.25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58°가 되도록 하는 제4공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밴딩단계에서는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9mm로 유지하고,제1절곡부(104)를 R3.25mm로 절곡하고 제1절곡부A(104a)가 상부를 향하도록 제4절곡부(107)를 R1.5mm로 절곡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58°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5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62mm,제1절곡부(104)를 R2.74mm로 절곡하되, 제4절곡부(107)를 R1.5mm로 유지시키고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68°가 되도록 하는 제6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38mm,제1절곡부(104)를 R2.02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78°가 되도록 하는 제7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밴딩단계에서는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26mm,제3절곡부(106)를 R1.0mm로 절곡하되, 제1절곡부(104)를 2.02mm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8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0mm로 절곡하되, 제1절곡부(104)를 2.02mm, 제3절곡부(106)를 R1.0mm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9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1.84mm와 R1.7mm로 단계적으로 절곡하되 제1절곡부(104)는 R2.02mm, 제3절곡부(106)는 R1.0mm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10공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4밴딩단계는 제3절곡부(106)의 내접각을 90°로 유지시키며 제2절곡부(105)의 외접각을 122°,130°,138°로 단계별 절곡하는 제11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의 외접각을 148°,162°로 단계별 절곡하되, 제3절곡부(106)의 내접각을 77°로 절곡유지시키도록 하는 제12공정을 수행되도록 하며, 아울러, 제5밴딩단계에서는 제2절곡부(105)를 R1.6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을 제3절곡면(103)의 상부에 겹치도록 하고, 제3절곡부(106)의 내경 반지름을 적어도 R1.0mm로 절곡하는 제13공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6밴딩단계에서는 제5절곡부(108)의 내경 반지름을 R2.69mm,R1.34mm로 단계적으로 절곡하는 제14공정과, 상기 제2절곡면A(102a)가 상부로 절곡되도록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14.85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15°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15공정과, 상기 제1절곡부(104)의 내경반지름을 R1.49mm로 절곡하고,제5절곡부(108)의 내경반지름을 R1.34mm로 절곡하는 제16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7.02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30°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17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4.41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45°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18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3.11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60°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19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2.32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75°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0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2.02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83°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1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7밴딩단계에서는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89°의 기울기가 되도록 절곡하되 제6절곡부(109)의 내경반지름이 R2.02mm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2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반지름이 R1.72mm가 되도록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93°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3공정과, 상기 제2절곡면A(102a)와 제2절곡면(102)B의 제6절곡부(109) 내경반지름을 R3.0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90°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4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반지름이 R1.8mm가 되도록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90.5°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5공정과, 상기 제2절곡면A(102a)와 제2절곡면(102)B의 제6절곡부(109) 내경반지름을 R3.0mm로 유지시키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90°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6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캐비넷 밴딩방법에 의하면 고광택으로 도장된 강판을 상기한 7단계, 26공정을 거치면서 제2절곡부(105)를 서서히 단계별로 절곡하므로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고광택 도장면이 제2절곡부(105)에서 파손되어 도장면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즉, 종래에는 도장된 강판을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서서히 절곡시키지 않고 급격하게 절곡시키므로 강판의 도장면에 응력이 집중되어져서 강판의 표면으로 부터 도장면이 파열되어지거나 크랙이 발생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비넷 밴딩방법의 경우에는 서서히 여러 단계에 걸쳐서 도장된 강판을 절곡시키므로 도장면이 깨지거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장된 강판(PCM) 고광택 도장면이 밴딩공정 시 표면에 발생되었던 긁힘자국이나 균열 등의 손상이 다단계의 공정으로 인하여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종래 강판이 밴딩된 후 도장을 수행함으로써 추가된 도장설비 및 건조설비가 필요없게 되고, 이에 따라 설비절감으로 원가경쟁력이 우수하며,아울러, 밴딩 후 도장 및 도금 시 발생되었던 환경공해 문제의 해소와 밴딩공정 전에 도료를 간단히 도포함으로써 도료를 절감함과 동시에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아울러, 밴딩후에도 깨끗한 표면을 얻을 수 있게 됨으로써 향상된 품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매우 훌륭한 발명이다.

Claims (9)

  1. 도장된 강판(PRE COATED METAL)을 냉장고용 캐비넷(CABINET)으로 밴딩성형하기 위하여 일단으로부터 소정 너비로 제1절곡면(101), 제2절곡면(102), 제3절곡면(103)을 구획한 후 상기 제1절곡면(101)과 제2절곡면(102)의 접점하부는 제1절곡부(104), 상기 제2절곡면(102)과 제3절곡면(103)의 접점상부는 제2절곡부(105), 상기 제2절곡부(105)에서 제2절곡면(102)측으로 인접된 하부는 제3절곡부(106), 상기 제1절곡면(101)을 소정 너비의 제1절곡면A,B(101a)(101b)로 구획한 후 그 상부의 접점은 제4절곡부(107), 상기 제1절곡면(101)B를 소정 너비의 제1절곡면C,D(101c)(101d)로 구획한 후 그 상부의 접점은 제5절곡부(108), 상기 제2절곡면(102)과 제3절곡면(103)이 접철된 상태에서의 제2절곡면(102)과 제3절곡면(103)을 제2절곡면A,B(102a)(102b)로 구획하고 그 상부의 접점을 제6절곡부(109)로 설정하여 밴딩성형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절곡부(106)의 반지름 내경을 적어도 2mm로 절곡하고, 제1,제2절곡면(101)(102)이 상부절곡되도록 제2절곡부(105) 내경의 반지름을 4.87mm~5.07mm, 3.57mm~3.87mm, 3.14mm~3.34mm, 2.8mm~3.0mm로 점차 절곡하여 제2절곡면(102)이 17°~19°,37°~39°,47°~49°,57°~59°의 기울기를 갖도록 하며, 제1절곡부(104)는 내경반지름을 11.32mm~13.32, 4.07mm~6.07mm, 2.97mm~4.97mm, 2.25mm~4.25mm로 점차절곡하는 제1밴딩단계와,
    상기 제1절곡면A(101a)가 상부로 향하도록 제4절곡부(107) 내경의 반지름을 1.5mm로 절곡하고, 제1절곡부(104)의 내경 반지름이 2.75mm~3.75mm, 2.24mm~3.24mm,1.52mm~2.52mm,로 점차 절곡하며,제2절곡부(105)를 2.4mm~3.4mm, 2.12mm~3.12mm,1.88mm~2.88mm로 점차절곡하여 제2절곡면(102)이 67°~69°,77°~79°의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제2밴딩단계와,
    상기 제1절곡부(104)의 내경 반지름을 2.02mm로 유지하고, 제2절곡부(105)의 내경반지름이 1.76mm~2.76mm,1.5mm~2.5mm,1.54mm~2.14mm,1.5mm~1.9mm가 되도록 절곡하고, 제3절곡부(106)의 내경반지름을 적어도 1mm로 절곡하며, 제4절곡부(107)를 1.5mm로 절곡하도록 하는 제3밴딩단계와,
    상기 제2절곡부(105)의 외접각을 122°,130°,138°로 절곡하되 제3절곡부(106)의 내접각을 수직상태로 유지하고, 제2절곡부(105)의 외접각을 148°,162°절곡하되 제3절곡부(106)의 내접각이 77°가 유지되도록 절곡하는 제4밴딩단계와,
    상기 제2절곡부(105)를 R1.6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을 제3절곡면(103)의 상부에 겹치도록 하고, 제3절곡부(106)의 내경 반지름을 적어도 R1.0mm로 절곡하도록 하는 제5밴딩단계와,
    상기 제4절곡부(107)를 R1.4mm로 절곡하며, 제5절곡부(108)의 내경 반지름을 2.69mm,1.34mm로 단계적으로 절곡하고, 상기 제2절곡면A(102a)가 상부로 절곡되도록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14.35mm~15.35mm, 6.52mm~7.52mm, 4.11mm~4.71mm, 3.01mm~3.21mm, 2.22mm~2.42mm, 2.02mm,1.72mm로 절곡하여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15°,30°,45°,60°,75°,83°의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제6밴딩단계와,
    상기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의 복원력을 제거하여 90°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1.72mm로 절곡 한 후 1.88mm로 확경시킴과 동시에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의 기울기를 89°,93°,90°,90.5°,90°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7밴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딩단계는 제2절곡부(105)의 내경 반지름(이하, R(radius)이라 함)을 4.97mm, 제3절곡부(106)는 R2.0mm,제1절곡부(104)는 R12.32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18°가 되도록 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3.67mm,제1절곡부(104)를 R5.07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38°가 되도록 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3.24mm,제1절곡부(104)를 R3.97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48°가 되도록 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9mm,제1절곡부(104)를 R3.25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58°가 되도록 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밴딩단계는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9mm로 유지하고,제1절곡부(104)를 R3.25mm로 절곡하고 제1절곡부A(104a)가 상부를 향하도록 제4절곡부(107)를 R1.5mm로 절곡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58°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5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62mm,제1절곡부(104)를 R2.74mm로 절곡하되, 제4절곡부(107)를 R1.5mm로 유지시키고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68°가 되도록 하는 제6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38mm,제1절곡부(104)를 R2.02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의 기울기가 78°가 되도록 하는 제7공정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밴딩단계는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26mm, 제3절곡부(106)를 R1.0mm로 절곡하되, 제1절곡부(104)를 2.02mm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8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2.0mm로 절곡하되,제1절곡부(104)를 2.02mm,제3절곡부(106)를 R1.0mm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9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를 R1.84mm와 R1.7mm로 단계적으로 절곡하되 제1절곡부(104)는 R2.02mm, 제3절곡부(106)는 R1.0mm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10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밴딩단계는 제3절곡부(106)의 내접각을 90°로 유지시키며 제2절곡부(105)의 외접각을 122°,130°,138°로 단계별 절곡하는 제11공정과,
    상기 제2절곡부(105)의 외접각을 148°,162°로 단계별 절곡하되, 제3절곡부(106)의 내접각을 77°로 절곡유지시키도록 하는 제1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5밴딩단계는 제2절곡부(105)를 R1.6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102)을 제3절곡면(103)의 상부에 겹치도록 하고, 제3절곡부(106)의 내경 반지름을 적어도 R1.0mm로 절곡하는 제13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밴딩단계는 제1절곡부(104)의 내경반지름을 R1.7mm로 절곡하고, 제4절곡부(107)의 내경반지름을 R1.4mm로 절곡하며, 제5절곡부(108)의 내경 반지름을 R2.69mm로 절곡하 는 제14공정과,
    상기 제2절곡면A(102a)가 상부로 절곡되도록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14.85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15°의 기울기가 되도록 절곡하는 제15공정과,
    상기 제1절곡부(104)의 내경반지름을 R1.49mm로 절곡하고,제5절곡부(108)의 내경반지름을 R1.34mm로 절곡하는 제16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7.02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30°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17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4.41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45°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18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3.11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60°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19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2.32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75°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0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 반지름을 R2.02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83°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1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7밴딩단계는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89°의 기울기가 되도록 절곡하되 제6절곡부(109)의 내경반지름이 R2.02mm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2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반지름이 R1.72mm가 되도록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93°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3공정과,
    상기 제2절곡면A(102a)와 제2절곡면(102)B의 제6절곡부(109) 내경반지름을 R3.0mm로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90°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4공정과,
    상기 제6절곡부(109)의 내경반지름이 R1.8mm가 되도록 절곡하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90.5°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5공정과,
    상기 제2절곡면A(102a)와 제2절곡면(102)B의 제6절곡부(109) 내경반지름을 R3.0mm로 유지시키되, 제2절곡면A(102a)와 제3절곡면(103)이 90°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는 제26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KR10-2000-0072971A 2000-12-04 2000-12-04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KR10041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971A KR100417297B1 (ko) 2000-12-04 2000-12-04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971A KR100417297B1 (ko) 2000-12-04 2000-12-04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835A KR20020043835A (ko) 2002-06-12
KR100417297B1 true KR100417297B1 (ko) 2004-02-05

Family

ID=2767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971A KR100417297B1 (ko) 2000-12-04 2000-12-04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552A (ko) * 2001-05-14 2002-11-23 코리아프랜트 주식회사 고광택 도장된 소재의 성형장치
KR102101499B1 (ko) * 2018-07-16 2020-04-16 (주) 보림테크 자동차 조향장치용 칼럼 하우징 제조 방법
CN116493487B (zh) * 2023-06-28 2023-11-24 合肥高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中梁自动化辊轧生产流水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835A (ko)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5698B2 (en) Case,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se
KR100417297B1 (ko) 도장강판을 이용한 냉장고용 캐비넷 밴딩방법
US20130283712A1 (en) Window, Muntin and Method
US7558069B2 (en) Extension structure for plastic molding portable memory product
CN103486805B (zh) 冰箱门、金属容器、加工金属板的装置及其相关方法
US20160114955A1 (en) Liquid crystal panel packing box and liquid crystal panel packing method
US20050115734A1 (en) Assembly structure of case and the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7236374B2 (en) Enclosure structure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1175380A (zh) 便携式电子装置外壳及其制造方法
US6765145B2 (en) Protective casing for a display screen and a method and tool for manufacturing such a casing
EP0621141B1 (en) Applicator
US6120837A (en) Priming method for uneven surface
JP3677794B2 (ja) 冷蔵庫の扉
TW201703947A (zh) 模組化工具盒及其製造方法
US20080047108A1 (en) Handle structure
JP2016169928A (ja) 冷蔵庫の断熱扉及びその製造方法
US2464149A (en) Nose block for spectacle cases
JPH05116194A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方法
CN216103838U (zh) 塑料制成的鸡蛋盒
CN219651840U (zh) 一种隔热隔温的聚氨酯材料存储箱
CN217192072U (zh) 一种金属制品机箱复杂孔型结构成型装置
EP3554833A1 (fr) Article déformable à mémoire de form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article déformable à mémoire de forme et stratifié obtenu au cours de la mise en oeuvre du procédé de fabrication
CN215278340U (zh) 一种新型胶枪
JP2002337363A5 (ko)
US20210190412A1 (en)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