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259B1 -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를 함유한 치은염, 구내염,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를 함유한 치은염, 구내염,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259B1
KR100417259B1 KR10-2000-0019974A KR20000019974A KR100417259B1 KR 100417259 B1 KR100417259 B1 KR 100417259B1 KR 20000019974 A KR20000019974 A KR 20000019974A KR 100417259 B1 KR100417259 B1 KR 100417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oup
triamcinolone acetonide
sodium
or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6063A (ko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국보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보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보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9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25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259B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를 핵심성분으로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만성 박리성 치은염, 치주염, 미란 또는 궤양을 수반하는 구내염 및 설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구강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 0.0001∼0.01중량%, 후라보노이드 성분 0.1∼20중량%, 센탈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성분 0.01∼5중량%, 연마제 10∼30중량%, 물 20 ∼60중량%, 습윤제 1∼10중량%, 결속제 2∼10중량%, 보존제 5∼10중량%, 향료 0.1∼5 중량%, 계면활성제 2∼10중량%를 함유한다.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를 함유하므로써 잇몸의 염증을 감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잇몸을 튼튼하게 하여 주어 세균 감염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힘도 길러준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을 사용하여 양치질을 할 경우, 치아미백 효과와 치석제거, 입냄새 제거, 치주염 예방 및 치료, 약한 잇몸을 건강하게 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를 함유한 치은염, 구내염, 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Oral composition containing triamcinolone acetonide}
본 발명은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은염, 구내염, 치주염 관련균의 감수성이 크고 지속적인 항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른 항생제에 비해 이들 구강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능과 실효성이 월등한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를 핵심성분으로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치은염, 구내염 및 치주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주원인은 치면세균막(일명 프라그)으로서, 그 중에서도 치면세균막에 부착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나 락토 바실루스(Lactobacillus)등의 세균이 증식하면서 부산물로 생성된 산이 치아표면을 부식시킴에 의해 결국 충치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구나, 치면세균막을 제거하지 아니한 채 장기간 있게되면 구강내 타액중의 칼슘, 마그네슘 및 인 등의 성분과 결합하여 난용성 염을 형성하여 치아와 유사한 경도를 가진 치석이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치석은 계속 진행되면서 잇몸과 치아의 경계면을 파고들어 양치시 쉽게 출혈을 유발시키고 또한 구강내 세균에 의한 염증을 유발시켜서 치은염 및 치주질환을 발생시킨다. 치은염의 염증증상으로는 치은의 색깔이 붉어지는 발적증상, 부종 및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치은염이 더 진행되면 치주질환을 유발시키게 된다.
치은염이나 치주염의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시 여겨지는 부분은 개개인이 구강위생을 통해 규칙적으로 치석을 제거하여 미생물로 인해 야기되는 감염증을 줄이고, 이렇게 하여도 치은염이나 치주염이 발생될 경우 항균제로 치료하는 것이다.
여러 항균제들이 치은, 치주염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지만, 이들 중에서 치석을 조절할 수 있는 약물은 거의 없다. 가능성이 있는 약물들로는 식물의 추출물, 금속염, 페놀 그리고 비스비구아나이드류(bisbiguanides) 등이 있다(Lander, P.E. Newcomb, G. M., Seymour, G. J., Powell, R. N. (1986) The antimacrobial and clinlical effects of a single subgingival irrigation of chlorohexidine in advanced periodontal lesions, J. clin. periodontal. 13: 74-80)
치주질환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으로 치주질환균을 단시간 노출로 사멸시킬 수 있는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lorohexidine gluconate) ,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cetylpyridium chloride), 생귀나린(sanguinarine) 및 트리클로산(Triclosan)과 같은 항균제가 개발되어 양치약 및 치약과 같은 구강제품에 적용되어 왔으나, 아직까지도 치은염증의 발생은 근본적으로 예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특허 제 52,308,895 호에는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을 함유하는약효물질이 지속적으로 송달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치주조직을 분해시키는 콜라젠에이즈의 효소활성을 억제함으로서 치주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바 있다.
유럽 공개 특허 제 528468 A1 호에는 트리클로산(Triclosan)을 함유하는 치약 및 구강청정제를 개발하여 치은염증 유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여 치주질환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민간에서 널리 쓰이던 충치 원인균 및 치주질환 원인균에 효과를 나타내는 생귀나리아 추출물(미국 특허 4,689,216 호 참조), 세이지 및 미진향 등의 추출물(일본특허 소 58-134013호 참조), 죽염을 함유하는 치약조성물(한국 특허 공고 제 94-64 호)등의 약용식물의 추출물이 사용되어 왔다. 또 다른 약물들보다 식물의 추출물인 생약제제들은 화학물질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 즉 치아변색, 자극감 및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물질로 평가받고 있고, 치은 출혈이나 부종과 같은 치주질환의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었다는 보고가 있다(Yankell, L.L., Dolan, M. M., Emling, R.C.(1988) Efficacy of therapeutic agent against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 J. Antibact. Antifung. Agensts 11:451-61).
그러나, 이러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들은 타성분과의 상용성면에서 좋지 않아 함량에 있어 제한이 심하고 특유의 냄새를 없애기 위한 공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은염, 구내염, 치주염 관련균의 감수성이 크고 지속적인 항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른 항생제에 비해 이들 구강질환에 대한 효능과 실효성이 월등한 항생제인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를 핵심성분으로 이용하여 치은염, 구내염 및 치주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구강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 0.0001∼0.01중량%, 후라보노이드 성분 0.1∼20중량%, 센탈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성분 0.01∼5중량%, 연마제 10∼30중량%, 물 20 ∼60중량%, 습윤제 1∼10중량%, 결속제 2∼10중량%, 보존제 5∼10중량%, 향료 0.1∼5 중량%, 계면활성제 2∼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를 핵심성분으로 이용하여 치은염, 구내염 및 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능과 실효성이 월등한 구강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옛부터 치아는 오복중의 하나로 꼽아 왔으며, 치아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치아를 감싸고 받쳐주는 잇몸이다. 잇몸질환 중에서 치주염은 치태 또는 치주낭에존재하는 혐기성 세균들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감염성 질환이므로 이러한 세균들의 제거는 치주염 예방 및 치료의 기본이 된다.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는 반합성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로서, 특히 치주염 관련균의 감수성이 크고 치면의 칼슘에 흡착되므로 지속적인 항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치주낭 형성에 관여하는 효소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등 타 항생제에 비해 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능과 실효성이 월등한 항생제이다.
또한,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에 감수성인 Bacteroides gingivalis, Bacteroides intermedius, Bacteroided melaninogenicus, Eikenellacorrodens, Fusobacterium nucleatrm, Capnocytophaga spp, Haemophilus actinomycetemcomitans에 의한 하기질환의 제증상의 개선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효능을 갖는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을 이용하여 치은염, 치주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을 만드는데, 이때 구강용 조성물은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 성분 0.0001∼0.01중량%, 후라보노이드 성분 0.1 ∼20중량%, 연마제 10∼30중량%, 물 20∼60중량%, 습윤제 1∼10중량%, 결속제 2∼10 중량%, 보존제 5∼10중량%, 향료 0.1∼5중량%, 색소 0.1∼2중량%, 계면활성제 2∼1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연마제 성분으로서 침강 실리카, 침강 탄산칼슘, 이 인산칼슘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등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결속제 성분으로서, 결정성 실리카, 크산탄 검 또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등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보존제 성분으로서, 안식향산 나트륨, 메틸 파라벤 또는 프로필 파라벤 등에서 선택된 물질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향료 성분으로서, 멘톨,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후레쉬민트,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물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습윤제는 타제제들과 상용성이 좋고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가 없는 것들이어야 하며,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마니톨, 자이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서 알파-올레핀 설포네이트(α-OLEFFIN SULFONATE),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소디움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ARYL ETHER), 탄소수 11-13를 갖고 EO 5-20몰을 갖는 2차-알코올 에톡실레이트(SECONDARY-ALCOHOL ETHOXYLATE), 탄소수 8-14를 갖고 EO 5-20몰을 갖는 1차-알코올 에톡실레이트(PRIMARY-ALCOHOL ETHOXYLATE),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ARYL ETHER)(여기에서 ALKYL기는 탄소수 8-12를 갖는 직쇠 사슬을 표시하며, ARYL기는 탄소수 6-12의 방향족기를 나타냄), 소디움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 SULFOSUCCINATE)(상품명 AEROSOL OT 또는 CR-DOC70), 트윈류(TWEEN), 소르비탄 모노 올리에이트(SORBITAN MONO OLEATE(SPAN 80)), 소르비탄 모노 라우레이트(SORBITAN MONO LAURATE(SPAN 20)), 글리세린 모노 올리에이트(GLYCERIN MONO OLEATE(GMO)), 글리세린 모노 라우레이트(GLYCERIN MONO LAURATE(GML))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하기 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조성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 1〉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 0.0001∼0.01g
침강 실리카 10∼20g
솔비톨 1∼10g
사카린 나트륨 1∼10g
안식향산 나트륨 5∼10g
색소 1∼5g
향료 0.1∼5g
크산탄 검 0.5∼3g
소르비탄 모노 올리에이트 1∼5g
글리세린 모노 라우레이트 1∼5g
프로필렌 글리콜 1∼3g
물 적량
합계 100g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조성으로 잇몸질환 예방용 및 치아미백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실시예 2〉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 0.0001∼0.01g
침강 탄산칼슘 10∼20g
센탈라 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5∼100mg
자이리톨 1∼10g
사카린 나트륨 1∼10g
안식향산 나트륨 5∼10g
색소 1∼5g
향료 0.1∼5g
크산탄 검 0.5∼3g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 1∼5g
글리세린 모노 라우레이트 1∼5g
글리세린 1∼3g
물 적량
합계 100g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조성으로 치아 미백 및 잇몸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실시예 3〉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 0.0001∼0.01g
침강 탄산칼슘 10∼15g
후라보노이드 0.1∼10g
자이리톨 1∼10g
사카린 나트륨 1∼10g
프로필 파라벤 5∼10g
색소 1∼5g
향료 0.1∼5g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0.5∼3g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 1∼5g
글리세린 모노 라우레이트 1∼5g
글리세린 1∼3g
물 적량
합계 100g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조성으로 잇몸 질환, 치아 미백 및 입냄새 제거효과의 구강용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 0.0001∼0.01g을 함유하므로써, 만성 박리성 치은염, 치주염, 미란 또는 궤양을 수반하는 구내염 및 설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잇몸의 염증을 감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잇몸을 튼튼하게 하여 주어 세균 감염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힘도 길러준다. 또한, 식물추출물인 후라보노이드와 파네졸을 함유시켜 입안의 악취발생 방지효과와 발생된 입냄새를 제거하고, 센탈라 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함유하므로서 입안의 상처를 치료하는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며, 여기에 마모제, 습윤제, 감미제, 결속제, 희석제, 보존제, 향료, 색소, 계면활성제, 물 등의 부형제와 보조제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을 사용하여 양치질을 할 경우, 기존의 잇몸 질환 구강용 조성물과는 달리, 치아미백 효과와 치석제거, 입냄새 제거, 치주염 예방 및 치료, 약한 잇몸을 건강하게 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정정)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 0.0001∼0.01중량%, 후라보노이드 성분 0.1∼20중량%, 센탈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성분 0.01∼5중량%,침강 실리카, 침강 탄산칼슘, 이 인산칼슘 및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연마제 10∼30중량%, 물 20 ∼60중량%,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마니톨, 자이리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1종 이상의습윤제 1∼10중량%,침강 실리카, 크산탄 검 및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결속제 2∼10중량%,안식향산 나트륨, 메틸 파라벤 및 프로필 파라벤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 1종 이상의보존제 5∼10중량%,멘톨,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후레쉬민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향료 0.1∼5 중량%,알파-올레핀 설포네이트(α-OLEFFIN SULFONATE),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소디움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ARYL ETHER), 탄소수 11-13를 갖고 EO 5-20몰을 갖는 2차-알코올 에톡실레이트(SECONDARY-ALCOHOL ETHOXYLATE), 탄소수 8-14를 갖고 EO 5-20몰을 갖는 1차-알코올 에톡실레이트(PRIMARY-ALCOHOL ETHOXYLATE),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ARYL ETHER)(여기에서 ALKYL기는 탄소수 8-12를 갖는 직쇠 사슬을 표시하며, ARYL기는 탄소수 6-12의 방향족기를 나타냄), 소디움 디 옥틸 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 SULFOSUCCINATE)(상품명 AEROSOL OT 또는 CR-DOC70), 트윈류(TWEEN), 소르비탄 모노 올리에이트(SORBITAN MONO OLEATE(SPAN 80)), 소르비탄 모노 라우레이트(SORBITAN MONO LAURATE(SPAN 20)), 글리세린 모노 올리에이트(GLYCERIN MONO OLEATE(GMO)), 글리세린 모노 라우레이트(GLYCERIN MONO LAURATE(GML))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계면활성제 2∼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00-0019974A 2000-04-17 2000-04-17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를 함유한 치은염, 구내염,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KR100417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974A KR100417259B1 (ko) 2000-04-17 2000-04-17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를 함유한 치은염, 구내염,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974A KR100417259B1 (ko) 2000-04-17 2000-04-17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를 함유한 치은염, 구내염,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063A KR20010096063A (ko) 2001-11-07
KR100417259B1 true KR100417259B1 (ko) 2004-02-05

Family

ID=1966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974A KR100417259B1 (ko) 2000-04-17 2000-04-17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를 함유한 치은염, 구내염,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6280B (zh) * 2012-02-21 2013-08-14 牛俊芝 一种治疗口腔溃疡的中药组合物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906A (en) * 1979-06-25 1982-03-09 Establissement Rinrone Medicin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treating wounds
JPS5913721A (ja) * 1982-07-15 1984-01-24 Tsurui Yakuhin Kogyo Kk 歯苔形成抑制剤
JPH01121218A (ja) * 1987-11-04 1989-05-12 Ikeda Mohandou:Kk 外用皮膚疾患治療クリーム剤
KR930002265A (ko) * 1991-07-06 1993-02-22 유청석 바이오 세라믹과 피복유리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950010146A (ko) * 1993-09-07 1995-04-26 이헌조 전계 발광소자
KR960021028A (ko) * 1994-12-30 1996-07-18 김준웅 항염증성 스테로이드(steroid) 구내염 치료제
KR0119269B1 (ko) * 1993-09-02 1997-10-17 최근선 구강 위생 개선용 조성물
KR980008207A (ko) * 1996-07-25 1998-04-30 성재갑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906A (en) * 1979-06-25 1982-03-09 Establissement Rinrone Medicin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treating wounds
JPS5913721A (ja) * 1982-07-15 1984-01-24 Tsurui Yakuhin Kogyo Kk 歯苔形成抑制剤
JPH01121218A (ja) * 1987-11-04 1989-05-12 Ikeda Mohandou:Kk 外用皮膚疾患治療クリーム剤
KR930002265A (ko) * 1991-07-06 1993-02-22 유청석 바이오 세라믹과 피복유리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0119269B1 (ko) * 1993-09-02 1997-10-17 최근선 구강 위생 개선용 조성물
KR950010146A (ko) * 1993-09-07 1995-04-26 이헌조 전계 발광소자
KR960021028A (ko) * 1994-12-30 1996-07-18 김준웅 항염증성 스테로이드(steroid) 구내염 치료제
KR980008207A (ko) * 1996-07-25 1998-04-30 성재갑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063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1540B1 (en) Cyclodextrins and hydrogen peroxide in dental products
CA2927624C (en) Dentifrice composition comprising zinc oxide and zinc citrate
US7592025B2 (en) Vehicles for oral care with magnolia bark extract
US5942211A (en) Antiseptic dentifrice
US20080031831A1 (en) Oral anti-calculu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4272512A (en) Antigingivitis composition
WO1994014406A1 (en)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antiplaque, anticalculus agents
NZ240390A (en) Anti-plaque/gingivitis composition comprising a morpholinoamino alcohol and a chelating agent
WO1994014407A1 (en)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antiplaque, anticalculus agents
US5147632A (en) Anti-plaque composition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morpholinoamino alcohol and chelating agent
RU2604667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WO2013075920A2 (en) An oral care composition
ES2276453T3 (es) Composicion oral para el tratamiento de la halitosis.
US20060280700A1 (en) Oral hygiene system to fight the effects of aging on the mouth, gums, and teeth
WO2005072691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litosis
KR100368007B1 (ko) 미노싸이클린 hcl을 함유한 치주염 예방 및 치료용구강 조성물
KR100417260B1 (ko) 옥수수의 불검화 정량 추출물을 함유한 잇몸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KR100417259B1 (ko) 트리암씨놀론 아세토나이드를 함유한 치은염, 구내염,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US6440395B1 (en) Antiplaque mouth rinse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JP2003012483A (ja) 口腔用組成物
KR20000024742A (ko) 키토산이 함유된 치약
KR20170037230A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0417261B1 (ko) 박테리오신을 함유한 치주병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JPH06239723A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