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019B1 - 압출 제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출 제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019B1
KR100417019B1 KR10-1999-7001160A KR19997001160A KR100417019B1 KR 100417019 B1 KR100417019 B1 KR 100417019B1 KR 19997001160 A KR19997001160 A KR 19997001160A KR 100417019 B1 KR100417019 B1 KR 100417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flow index
lyocell
extruded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935A (ko
Inventor
존 폴 뉴버리
토마스 다비
Original Assignee
텐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29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0.85 내지 6 범위의 젯트 유동지수에 대한 관 유동지수 비율 값을 갖는 셀룰로우스를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의 제조에 사용하면 많은 이점, 특히 셀룰로우스 용액의 이송 및 방사 안정성에서 이점을 가져옴. 관 유동지수는 이송 배관에서 나타나는 저 전단조건하에서 셀룰로우스 유동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됨. 젯트 유동지수는 압출 중에 나타나는 고 전단조건하에서 셀룰로우스 유동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됨.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은 (1) 셀룰로우스를 수성 3급 아민 N-옥사이드 용액에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하는 공정; (2) 용액을 금형으로부터 가스 갭을 거쳐 응고욕 속으로 압출하여 압출된 라이오셀 전구물질을 형성하는 공정;(3) 압출된 라이오셀 전구물질을 세척하여 3급 아민 N-옥사이드를 제거하는 공정; 및 (4) 세척된 라이오셀 전구물질을 건조하여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됨.

Description

압출 제품 제조방법{MANUFACTURE OF EXTRUDED ARTICLES}
수성 3급 아민 N-옥사이드 용매 중의 셀룰로우스 용액(도프라고 부름)을 응고욕속으로 압출하여 성형된 셀룰로우스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 4,246,22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목재 펄프나 면 섬유 같은 가용성 등급의 셀룰로우스가 원료로 사용된다.
EP-A-0,648,808호에는 압출조건이 용융액 흐름 중단을 야기하여 생산 중단(방사 안전성의 손실)을 가져 올 수 있는 압출공에서의 용액의 흐름 불안정성이 나타나지 않도록 선택하여야 한다고 지적되어 있다. 용액의 흐름 불안정성은 예를 들면 용액 중의 셀룰로우스의 농도 또는 중합도(D.P.)를 감소시켜 용액의 점도를 감소시키면 압출 생산성이 감소됨이 없이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감소는 압출된 섬유에 적용되는 드래프트 비를 증가시키고 섬유의 인출속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감소는 공정상에 불이익을 가져오고 생산성을 감소시키며 용매회수 시스템에 로드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EP-A-0,648,808호에는 셀룰로우스가 500-2000 범위의 중합도(D.P.)를 갖는 제1 셀룰로우스 성분(1)과 350-900 범위의 중합도를 갖는 제2 셀룰로우스 성분(2)으로 조성된 혼합물을 포함하고 성분(1)의 중합도에 대한 성분(2)의 중합도 비율이 0.9:1 보다 크지 않고 성분(2)에 대한 성분(1)의 중량비가 95:5 내지 50:50의 범위로 되는 수성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 중의 셀룰로우스 용액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이러한 용액이 통상의 라이오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라이오셀 섬유에 유사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라이오셀 섬유가 안정하게 고속으로 압출될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성 3급 아민 N-옥사이드 용매 중의 셀룰로우스 용액을 응고욕 속으로 압출하여 섬유나 필름 같은 라이오셀 압출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이오셀은 용매압출 또는 이러한 종류의 용매-방사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셀룰로우스에 대한 일반 명칭이다.
본 발명은
(1) 수성 3급 아민 N-옥사이드 용매에 셀룰로우스를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2) 용액을 금형을 통하여 압출하고 가스 갭을 통하여 응고욕 속으로 보내어 압출된 라이오셀 전구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3) 압출된 라이오셀 전구물질을 세척하여 3급 아민 N-옥사이드를 제거하는 단계, 및
(4) 세척한 전구물질을 건조하여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셀룰로우스가 0.85 내지 6.0 범위의 젯트 유동지수(시험방법 3으로 나타냄)에 대한 관 유동지수(시험방법 2로 나타냄)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된 라이오셀 제조방밥으로 구성된다. 관 유동지수(PFI)는 제조공장의 이송 배관에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은 저 전단 조건에서 셀룰로우스 용액의 유동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된다. 젯트 유동지수(JFI)는 방사구나 기타의 압출금형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고 전단조건 하에서 셀룰로우스 용액의 유동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두 경우, 높은 유동지수 값은 주어진 압력 하에서의 증가된 유속에 해당하거나 또는 주어진 유속을 유도하는데 요구되는 낮은 압력에 해당한다.
3급 아민 N-옥사이드는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NMMO)가 바람직하다. 용액 중의 셀룰로우스 양은 5-25중량%, 특히 10-20중량%가 바람직하다. 용액 중의 물의 양은 7-14중량% 범위일수 있으나, 셀룰로우스/NMMO/물 조성물의 알려진 행동 특성에 따라서 허용될 수 있는 물 농도의 범위가 변경될 수도 있다.
용해, 압출, 세척 및 건조단계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실행된다.
셀룰로우스 용액은 셀룰로우스를 NMMO와 물의 60/40 혼합물에 분산시켜 슬러리 또는 프리믹스를 형성하고 예를 들면 필름트루더(버스 아게의 상품명) 같은 박막증발기에서 과잉의 물을 증발시켜 요구하는 용액을 얻을 수 있다.
가스 갭 내의 가스는 공기가 바람직 하지만 질소와 같은 기타의 불활성 가스도 사용할 수 있다. 가스 갭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10 내지 100mm 범위이다. 응고욕은 전형적으로 수성 NMMO를 포함한다. 세척 및 건조 단계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은 연속 필라멘트 얀, 토우 또는 스태플 섬유와 같은섬유의 형태일 수도 있고, 시이트나 튜우브와 같은 필름 형태일 수도 있다. 섬유의 경우에는 압출 금형 또는 방사구가 50-200㎛, 특히 70-120㎛ 범위의 직경을 갖는 방사공을 갖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PFI/JFI의 비율 값이 폴리디스퍼시티(광범위한 D.P. 분포)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비율 값은 상이한 D.P.의 셀룰로우스를 혼합하거나 또는 고유의 광범위한 D.P. 분포를 갖는 셀룰로우스 공급원을 선택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용성 펄프는 0.5 내지 0.8 범위의 PFI/JFI 비율 값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고 최근에는 전술한 두 경우 중 전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D.P. 분포도는 범위의 하한 값으로 갈수록 비대칭 분포로 된다. 본 발명자들은 EP-A-0,648,808호에 기재된 셀룰로우스 혼합물의 PFI/JFI 비율이 0.3 내지 8의 범위 정도로 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셀룰로우스 공급원이 혼합물로 사용되는 경우, 혼합물 중에 함유된 셀룰로우스의 평균 D.P.에 따라 어느 정도 변화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비율이 혼합물을 형성하는 각개 셀룰로우스 공급원들의 평균 D.P. 사이로 떨어진 평균 D.P.에서 최대치로 나타나고 이러한 최대치에서 작업하거나 작업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게 되었다. 혼합물은 200-750, 특히 250-500 범위의 평균 D.P.를 갖는 저 점도 셀룰로우스 성분과 800-1500 범위의 평균 D.P.를 갖는 고 점도 셀룰로우스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 점도 셀룰로우스의 D.P.는 일반적으로 가용성 펄프에 대한 통상적인 상용 범위의 하한선이거나 또는 그 밑이다. 셀룰로우스 원료 물질의 점도는 필요에 따라 이래디에이션, 증기 처리, 산 가수분해나 산화제에 의한 체인 절단을 포함하는 화학 처리 또는 예를 들면 셀룰라제를 사용하는 효소처리 등과 같은 공지된 기술에 의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폐 비스코우스 레이욘과 같은 미리 가공된 셀룰로우스 물질은 저 점도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로 사용될 수 있다.
단일 셀룰로우스 공급원의 D.P. 분포도 폭은 필요에 따라 셀룰로우스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전술한 기술로 셀룰로우스를 처리하므로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셀룰로우스 자체에 실시할 수도 있고 NMMO/물 중의 셀룰로우스 슬러리 또는 프리믹스에 실시할 수도 있으나 셀룰로우스 자체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JFI 값은 0.1 이상, 특히 0.5 이상이 바람직 하지만 10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낮은 JFI 값은 압출기에서의 높은 역압에 해당한다. 1.0 내지 2.0 범위의 JFI 값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모델링 실험 결과는 실질적인 목적을 위한 PFI/JFI 비율의 최대 값이 약 6임을 알려 주었다. 이러한 실험들은 JFI가 비율 범위의 하한선 쪽으로 불필요하게 낮은 값으로 되려는 경향을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PFI/JFI 비율 값은 0.9 내지 4, 특히 1.0 내지 2.0 범위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통상의 라이오셀 제조공장에서 사용하는 도프 대신 본 발명에 의한 도프를 사용하였을 때 생산성이 실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본 발명자들은 도프를 교체함으로서 방사 안정성이 향상됨을알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압출 헤드를 통한 생산속도의 증가라는 이점을 가져온다. 둘째, 본 발명자들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도프 제조 및 취급에 사용하는 대구경 파이프를 통한 압력강하가 감소되고, 그 결과 방사구에서의 역압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거나 또는 서서히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도프를 사용하면 도프 이송 시스템을 통하여 도프를 압송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투자 없이도 도프 이송 시스템을 통과하는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향상된 방사 안정성은 제품 품질의 저하 없이 저 점도 도프(예를 들면, 감소된 셀룰로우스 농도, 감소된 셀룰로우스 D.P. 또는 높은 온도의 도프)를 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용액 압송 비용을 더 감소시키거나 또는 도프 운송 시스템을 통한 유속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이점들은 감소된 셀룰로우스 농도에 의하여 나타나는 용매 회수 시스템에서의 증가된 로드와 주어진 셀룰로우스 처리능력에 대한 증가된 도프 유속의 필요성을 능가할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반대로 예를 들면 셀룰로우스의 농도 또는 D.P.를 감소시키거나 온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최적의 조건하에서 방사되는 통상적인 도프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방사 안정성을 감소시킨다.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에서 측정되는 PFI와 JFI의 값 및 이들의 비율은 셀룰로우스 공급원에서 측정된 것들과 서로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음의 시험방법과 실시예에서, 특별히 별도로 특정하지 않은 한 부와 비율은 중량으로 표시한 것이다.
시험방법 1: 시험용 셀룰로우스 용액의 제조
진공관과 가열 자켓에 연결된 윙크워드 8Z(상표)(작업용량 4리터)와 같은 Z-인편 혼합기를 사용한다. 가열 자켓의 온도는 100℃로 고정한다. 혼합기에 60% NMMO와 40%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셀룰로우스 시료 및 이소프로파놀에 용해시킨 소량의 프로필갈레이트(열안정제)를 주입하고, 혼합기를 균일한 슬러리(프리믹스)가 얻어질 때까지 5분 또는 그 이상 가동시킨다. 혼합기를 6.5kPa (50mmHg) 절대압력으로 진공시켜 과잉의 물을 제거하고 셀룰로우스가 용해되도록 한다. 혼합과 증발은 용액(도프)의 굴절율이 1.4895로 되고, 미용해 섬유가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계속한다. 이러한 상태는 뱃치 중량 2kg 및 15% 셀룰로우스와 10% 물을 포함하는 용액에 해당한다. 셀룰로우스 함량은 중량 측정법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용액을 냉각하여 응고시키고 조각으로 절단하여 시험용 시편으로 사용한다. 도프 조각을 밀봉 플라스틱 백에 넣고 함수량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제인 실리카겔이 들어 있는 밀봉용기 속에 저장한다. 시험 2 및 3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시험용 시료의 셀룰로우스 농도가 15 ±0.25%로 되어야 한다.
시험방법 1은 가용성 펄프, 면 섬유 또는 안료나 마감제 같은 다른 화학물질이 함유되지 아니한 재생 또는 재구성 셀룰로우스 제품 같은 셀룰로우스 공급원에 적용된다.
시험방법 2: 관 유동지수(PFI)의 측정
관 유동지수(PFI)는 제조공장의 이송 배관관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저 전단 조건하에서의 셀룰로우스 유동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PFI의 높은 값은 전술한 저 전단 조건하에서의 저 점도( 및 그에 따른 보다 용이한 유동)에 해당한다.
도프 조각은 시험방법 1에 따라 제조한다. PFI는 하이-토크 측정헤드(2000g.cm 최대 토크)가 장비되고 30mm 직경/5.44°원추체 및 판을 이용하는 볼린 부이오알(상표)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 장치의 기판의 중앙에는 원추체가 형성되고 판의 외주에는 액체를 원통형으로 유지하는 원통형 측판이 상향 연장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었다. 이 장치는 105℃까지 가열할 수 있도록 되었고 원추체와 판 사이에는 150㎛의 측정 간극이 형성되었다. 도프 조각(약 5g)을 판 위에 올려놓고 장치의 단열 덮개를 덮는다. 이어서 장치와 시험 중의 시료가 손상되지 않도록 장치의 수직력 판독을 20% 이하로 유지하면서 간극을 600㎛로 조절한다. 덮개를 열고 과잉의 용액을 원추체와 판 조립체의 외부로 제거한다. 재차 덮개를 덮고 수직력 판독을 15% 이하로 유지하면서 간극을 230㎛으로 조절하고 과잉의 액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거한다. 이어서 휘발성 성분이 휘발되지 않도록 실리콘 오일(다우 코닝 200/10cs: 상표임)을 원추체의 밑 부분이 덮이도록 원추체와 판 조립체 위에 붓고 덮개를 덮는다. 이어서 수직력 판독을 10% 이하로 유지하면서 간극을 150㎛로 조절한다. 열 평형을 위하여 10분 동안 방치한 다음, 다음의 조건하에서 정상상태의 전단을 측정한다: 전단 속도 0.0927-9.27 s-1(11 포인트), 체류 시간 180 s(스트레인), 적분 시간 15 s, 아우토제로 온 (10s 지체), 연속적인 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반복한다. 측정할 때 마다 새로운 도프 조각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예비 실험에서는 1 s-1의 전단속도가 믿을 만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단속도에서의 전단 스트레인은 다음 공식에 따라 파워 로우 커브를 1 s-1바로 위의 두 데이터 포인트와 1s-1바로 밑의 두 데이터 포인트에 고정시켜 다음 방정식에 따라 결정하였다.
[방정식]
전단 응력 = A x (전단속도)b
식 중, A와 B는 유도된 정수이다. 이러한 예비실험에 따라서, A와 B의 값이 각각 1440 및 0.4195인 셀룰로우스 14.71%를 포함하는 도프의 시료를 다음 방정식에 따라 PFI를 계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대조용으로 선택하였다:
[방정식]
PFI = Cx/Ax.As/Cs.((3Bs+1)/Bs)Bs.(Bx/(3Bx+1))Bx.0.25(Bs-Bx)
식 중, 표시 문자 s 와 x 는 각각 대조용 시료와 검사할 시료를 나타내는 것이고, C 는 용액 중의 셀룰로우스 %를 나타내며, A 와 B 는 파워 로우 정수이다. As, Bs 및 Cs의 값은 각각 1440, 0.4195 및 14.71이다. Ax와 Bx의 값은 파워 로우 커브를 전단응력 1440 Pa의 바로 위에 있는 두 데이터 포인트와 바로 밑에 있는 두 데이터 포인트에 고정시켜 계산하였다. 이 방정식은 전단 희석에도 적용된다. 동일한 목재 펄프와 도프가 시험방법 3의 임의 표준값을 설정하는데 사용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된 스트레인 범위 내에서 특정 전단응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고 점도 시료에서는 적당한 저 스트레인 범위가 선택되어야 하고, 이 경우 측정은 체류시간 180 s (정수)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 저 점도 시료에서는 적당한 고 스트레인 범위가 선택되어야 하지만, 너무 높은 스트레인 범위(파워 로우 커브의 선형이 깨어지게 나타남)에서는 오류성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PFI가 특정 전단응력에 가까운 세 데이터 포인트 중에서 내삽법에 의하여 결정하거나 또는 전술한 세 데이터 포인트로부터 외삽법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1 s-1의 전단 속도는 공장 내 이송 배관을 통한 이송 중 라이오셀 도프에 의하여 나타나는 전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고 전단 속도(예를 들면 10 또는 20 s-1)는 공장의 특정 환경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고, 저 전단속도는 여유 있게 설계된 기구(예를 들면, 시험공장 또는 저속 생산시설)에서 나타날 수 있다.
시험방법 3: 젯트 유동지수(JFI) 결정
이 시험은 방사구나 기타의 압출 금형에서 나타나는 종류의 고 전단 조건에서의 셀룰로우스 용액의 유동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높은 JFI 값은 고 전단하에서의 낮은 점도( 및 주어진 압력 또는 주어진 유속에서의 낮은 역압하에서 용이한 흐름)에 해당한다.
도프 조각들을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JFI는 제트 유량계라고 부르는 특수하게 제작된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 장비는 일 측 단부에 압력 질소 가스 공급관을 갖고 있고 타 측 단부에 직경 100㎛의 단일 압출공을 갖는 판이 설치된 원통을 포함한다. 이 원통은 열 분해에 의한 잠재적인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압력배출 기구를 갖고 있다. 이 원통은 길이 150mm x 내경 20mm의 스테인레스스틸 튜우브로 형성되었다. 통의 일측 단부에는 8.5mm 직경의 축방향 구멍이 형성되도록 스테인레스 인서트가 삽입되었으며, 원통의 단부와 삽입물의 단부 사이에는 턱이 형성되었다. 전술한 삽입물의 단부에 의하여 형성된 턱에는 40㎛의 망공 크기를 갖는 스테인레스스틸 망 필터가 12 x 1.5mm 직경을 갖는 3mm 두께의 다공판에 의하여 지지되었다. 이 필터와 다공판은 인서트 내에 설치된 압출 헤드에 의하여 턱에 고정된다. 압출 헤드는 내경이 8.5mm로부터 3.5mm로 되도록 경사진 20.5mm 길이의 원추형 부분과 내경 3.5mm, 길이 2mm의 원통형 부분으로 구성된 길이 방향의 내부 통로를 갖고 있다. 이 압출 헤드의 일측 단부에 압출판이 고정되었다. 압출판은 1400㎛의 두께를 갖고 있으며, 압출공은 다음과 같은 사양을 갖고 있다: 제1 원추형 부분 400㎛ 깊이, 45°원추 각도(배면); 제2 원추형 부분 300㎛ 깊이, 36°원추 각도; 제3 원추형 부분 300㎛ 깊이, 20°원추 각도; 제4 원추형 부분 300㎛ 깊이, 10°원추 각도; 100㎛ 모세관 직경 100㎛(압출면).
도프 조각(25g)을 실온의 원통 내에 넣고, 원통을 105℃로 예열된 가열 자켓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온도에서 30분 동안 유지하여 도프 조각이 용융되도록 한다. 도프 내부에 함유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프를 눌러서 다졌다. 젯트 유량계를 105℃에서 30분 동안 더 유지하여 도프가 완전히 용융되어 열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질소를 원통내로 주입하여 도프가 방사공을 통하여 압출되도록 한다. 방사공을 통하여 압출되는 도프를 상면이 평평한 저울(감도 0.1mmg) 위에 놓여 있는 평량 용기에 수집한다. 이어서 소량의 액체 파라핀으로 용기 내의 도프를 덮어서 휘발성 물질이 휘발되어 손실되지 않도록 한다. 도프의 유량은 질소 압력(게이지)을 40바(4 x 106Pa)에서 2바(2 x 105)씩 강하시켜 2바(2 x 105)로 띨 때까지 측정한다. 측정은 1시간 동안 실시되었고, 결과는 mg/s로 표시하였다. 실험 중에 분해의 위험이 최소한도로 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특정한 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압출공의 부분 폐쇄에 의한 오류가 나타나지 않도록 실험을 반복할 수 있다.
전술한 예비실험에 따르면, 셀룰로우스 14.7%를 포함하는 임의 표준 도프(시험방법 2에서 임의 표준 값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과 동일한 셀룰로우스로 제조)는 방사공을 통한 1 mg/s의 도프 유속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하여 25.3바(2.53 x 106Pa)의 질소 압력을 필요로 함을 알게 되었다. 이 압력은 JFI를 측정하는데 임의 표준 값으로 인용하였다. JFI는 다음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방정식]
JFI = V.C/14.71
식 중, V 는 mg/s로 나타낸 특정 압력 하에서의 유속을 의미하고, C 는 도프 내의 셀룰로우스 농도(%)를 나타낸다. V 는 기록된 데이터 포인트 사이에서 선형 내삽법에 의하여 결정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라이오셀 도프를 제조하여 시험공장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1.7dtex 섬유로 방사한다. 방사속도는 75m/min이었으며, 방사공 직경은 70㎛였다. 방사구와 응고욕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 갭을 통하여 공기를 횡방향으로 송풍하였다. 출발물질로는 두 성분의 목재 펄프를 다양한 비율로 배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배관과 방사구를 통한 도프 이송의 용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방사 펌프와 최종 필터 사이의 압력강하(P psig)와 방사 어셈블리의 역압(J psig)을 측정하였다. ( P 와 J 는 임의 측정 값으로서, 이들의 절대 값은 오직 전술한 시험공장에만 적용되는 것이다.) 방사가 안정하게 이루어지는 에어 갭 내의 횡방향 공기 유속을 측정하였다; 최저의 유속은 보다 안정한 방사조건에 해당한다. 공기의 유속을 14 유니트로부터 7 유니트까지 감소시키는 것은 방사 량이 약 20% 정도 증가됨을 의미한다. 기타 조건들은 표 1에 기재한다.
[표 1]
상기 표1에서, 비스코크라프트 HV, 비스코크라프트 LV, 비스코크라프트 ELV 및 에스터셀은 상표이다. 실시예 2, 3과 5-7에서와 실시예 4에서는 다른 점도 등급의 에스터셀을 사용하였다. 펄프의 P.P.는 제조회사에서 설정한 것을 인용하였다. CiD는 도프 중의 셀룰로우스 농도를 나타낸다. 실시예1은 대조용 실험이다.
모든 섬유 시료의 인장 특성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와 3의 반복실험 결과를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보면, 실시예 2와 3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흐름특성을 나타내면서도 (P 와 J 값이 유사함) 개선된 방사 안정성과 생산성(감소된 최소 공기 속도)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4를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보면, 방사 안정성은 유사하지만 실시예 4가 현저하게 감소된 P 와 J 값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4에서는 평균 D.P.가 실시예 1에서 보다 낮았으나 P 값은 현저히 낮았다. 실시예 5는 실시예 4의 PFI/JFI 비율이 이점을 보여준다: 증가된 셀룰로우스 농도는 J 와 방사 안정성을 실시예 1에 유사하게 되돌려 놓았으나, P 는 실시예 1에서 보다 현저하게 낮게 유지되었다. 실시예 6은 본 발명의 장점이 나타나도록 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증가된 도프 온도는 J 와 방사 안정성이 실시예 1에 유사게 되도록 하였으나 P 값은 현저하게 낮아졌다. 반면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도프는 동일 온도에서 빈약한 방사 안정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7은 본 발명의 장점이 나타나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감소된 셀룰로우스 농도는 방사 안정성의 손실이 더 낮은 P 와 J 값으로 되었다. 보다 큰 도프 이송의 용이성은 보다 큰 공장 내 셀룰로우스 유속을 허용한다. 증가된 도프 유속은 증가된 셀룰로우스 유속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결과는 용매 회수 시스템에서 증가된 로드로부터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Claims (9)

  1. (1) 셀룰로우스를 수성 3급 아민 N-옥사이드 용액에 용해시켜 셀룰로우스 용액을 형성하는 공정;
    (2) 용액을 금형으로부터 가스 갭을 거쳐 응고욕 속으로 압출하여 압출된 라이 오셀 전구물질을 형성하는 공정;
    (3) 압출된 라이오셀 전구물질을 세척하여 3급 아민 N-옥사이드를 제거하는 공정; 및
    (4) 세척된 라이오셀 전구물질을 건조하여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셀룰로우스가 0.85 내지 6.0 범위의 젯트 유동지수에 대한 관 유동지수의 비율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 제품 제조방법.
  2. 제1항에서, 젯트 유동지수에 대한 관 유동지수의 비율이 0.9 내지 4.0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서, 젯트 유동지수에 대한 관 유동지수의 비율이 1.0 내지 2.0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전술한 청구항 중의 한 항에서, 셀룰로우스 젯트 유동지수 값이 0.1 내지 10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서, 셀룰로우스의 젯트 유동지수 값이 1.0 내지 2.0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전술한 청구항 중의 한 항에서, 셀룰로우스가 상이한 D.P.를 갖는 셀룰로우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서, 셀룰로우스가 200-750 범위의 D.P.를 갖는 제1 셀룰로우스(a)와 800-1500 범위의 D.P.를 갖는 제2 셀룰로우스(b)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서, 제1 셀룰로우스(a)의 D.P.가 250-500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전술한 청구범위 중의 한 항에서, 압출된 라이오셀 제품이 섬유 형태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1160A 1996-08-14 1997-12-08 압출 제품 제조방법 KR100417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617043.6 1996-08-14
GBGB9617043.6A GB9617043D0 (en) 1996-08-14 1996-08-14 Manufacture ofd extruded 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935A KR20000029935A (ko) 2000-05-25
KR100417019B1 true KR100417019B1 (ko) 2004-02-05

Family

ID=1079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160A KR100417019B1 (ko) 1996-08-14 1997-12-08 압출 제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093355A (ko)
EP (1) EP0918892B1 (ko)
JP (1) JP3717946B2 (ko)
KR (1) KR100417019B1 (ko)
CN (1) CN1082102C (ko)
AR (1) AR009045A1 (ko)
AT (1) ATE206492T1 (ko)
AU (1) AU3947797A (ko)
BR (1) BR9711071A (ko)
CA (1) CA2263135C (ko)
DE (1) DE69707136T2 (ko)
DK (1) DK0918892T3 (ko)
ES (1) ES2165082T3 (ko)
GB (1) GB9617043D0 (ko)
ID (1) ID19697A (ko)
PT (1) PT918892E (ko)
TR (1) TR199900295T2 (ko)
TW (1) TW384321B (ko)
WO (1) WO1998006886A1 (ko)
ZA (1) ZA977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36738B2 (en) * 2001-09-24 2005-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soft absorbent web material
JP4084174B2 (ja) * 2002-12-10 2008-04-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熱交換器
US7097737B2 (en) * 2003-04-16 2006-08-29 Weyerhaeuser Company Method of making a modified unbleached pulp for lyocell products
WO2005024102A1 (de) * 2003-08-30 2005-03-17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 Und Kunststoff - Forschung E.V. Formkörper, insbesondere fasern und deren flächengebilde, mit thermoregulativen eigenschaften
US8173799B2 (en) * 2004-04-13 2012-05-08 Hercules Incorporated Raw cotton linters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and uses thereof
DE202009017292U1 (de) * 2009-12-19 2011-04-28 Wolf, Michael Flächenbauelement und seine Verwendung
EP2565303A1 (de) * 2011-09-02 2013-03-06 Aurotec GmbH Extrusionsverfahren
AT515152B1 (de) 2013-11-26 2015-12-15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m Vorbehandeln von rückgewonnenen Baumwollfasern zur Verwendung bei de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aus regenerierter Cellulose
AT517020B1 (de) 2015-02-06 2020-02-15 Chemiefaser Lenzing Ag Recycling von cellulosischen Kunstfasern
EP3467161A1 (en) 2017-10-06 2019-04-10 Lenzing Aktiengesellschaft Lyocell type cellulose filament production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8458A (en) * 1971-12-08 1973-09-11 Fmc Corp Low d p high d p viscose mixture using high cellulose concentration
US4983730A (en) * 1988-09-02 1991-01-08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Water soluble cellulose acetat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KR100297308B1 (ko) * 1993-02-16 2001-10-24 나가이 야타로 성형용셀룰로오즈용액및이를사용하는성형방법
AT399348B (de) * 1993-05-05 1995-04-25 Chemiefaser Lenzing Ag Form- bzw. spinnmasse enthaltend cellulose und verwendung bestimmter stoffe zu ihrer stabilisi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8892A1 (en) 1999-06-02
ATE206492T1 (de) 2001-10-15
BR9711071A (pt) 1999-08-17
DE69707136D1 (de) 2001-11-08
ZA977048B (en) 1998-06-05
DE69707136T2 (de) 2002-06-06
JP3717946B2 (ja) 2005-11-16
EP0918892B1 (en) 2001-10-04
AR009045A1 (es) 2000-03-08
TR199900295T2 (xx) 1999-07-21
ES2165082T3 (es) 2002-03-01
CN1082102C (zh) 2002-04-03
ID19697A (id) 1998-07-30
WO1998006886A1 (en) 1998-02-19
CA2263135A1 (en) 1998-02-19
CN1244221A (zh) 2000-02-09
DK0918892T3 (da) 2002-01-28
TW384321B (en) 2000-03-11
JP2000516652A (ja) 2000-12-12
GB9617043D0 (en) 1996-09-25
KR20000029935A (ko) 2000-05-25
US6093355A (en) 2000-07-25
CA2263135C (en) 2005-06-28
AU3947797A (en) 1998-03-06
PT918892E (pt)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100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целлюлозных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х волокон
US4144080A (en) Process for making amine oxide solution of cellulose
EP1033385B1 (en) Method of producing a shaped article from a cellulose solution
US7214727B2 (en)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dissolved in N-methylmorpholine-N-oxide and high tenacity lyocell multifilament using the same
JP6488482B2 (ja) 多糖類フィルムおよび当該多糖類フィルムの製造のための方法
KR100417019B1 (ko) 압출 제품 제조방법
EP2097563B1 (en) Composite fiber of cellulose-polyvinylalcoho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4367191A (en) Preparation of cellulose films or fibers from cellulose solutions
RU251812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ых изделий
CA2775918A1 (en) A process of manufacturing lowfibrillating cellulose fibers
JPH07505673A (ja) ギ酸セルローズをベースとし,繊維またはフィルムを生成し得る組成物
US5512230A (en) Process for making cellulose acetate fibers
JPH06298999A (ja) セルロース成形用溶液及びそれを用いる成形方法
US6756001B2 (en) Process for making a spun article from cellulose material
US4129640A (en) Proces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of cellulose
RU2194101C2 (ru) Целлюлозные волокна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с сильным удлинением при разрыве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EP0620871B1 (en) Cellulose ester shaped articles from solutions capable of increased production speeds
CA1082694A (en) Process for producing regenerated cellulosic articles
JPH07229016A (ja) セルロース繊維の製造方法
JP4216340B2 (ja) セルロース材料を主成分とする液晶溶液用の水性凝固剤
GB1560773A (en) Spinnable cellulose solutions
JPS61239018A (ja) 繊維の連続製造法
MXPA99001436A (en) Manufacture of extruded articles
KR100987757B1 (ko) 셀룰로오스-폴리비닐알코올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28441A (ko) 암모니아 또는 아민을 이용한 균질 셀룰로오스 n-메틸모르폴린-n-옥사이드 용액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