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839B1 - 이랑 정리기계 - Google Patents

이랑 정리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839B1
KR100416839B1 KR1019970071228A KR19970071228A KR100416839B1 KR 100416839 B1 KR100416839 B1 KR 100416839B1 KR 1019970071228 A KR1019970071228 A KR 1019970071228A KR 19970071228 A KR19970071228 A KR 19970071228A KR 100416839 B1 KR100416839 B1 KR 10041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ge
yirang
shaft
rotation
machin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465A (ko
Inventor
이사오 미나가와
다케시 이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트레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트레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트레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1998008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이랑의 한쪽측면을 따라 성토의 미끄러져 떨어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가 있고, 이랑 한쪽측면의 성토부족이나 이랑 한쪽측면의 상하 위치에서의 성토량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회전 이랑정리체(13)의 회전축선을 이랑의 한쪽측면 측방으로부터 이랑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으로 향하는 소정각도의 상향방향에 배치되고, 구 이랑의 한쪽측면에 성토계류부(K)를 형성가능한 형성체(25)를 가지는 형성기구(24)를 설치하고, 형성체를 상하 조절시키는 상하조절기구(27)를 설치한 것임.

Description

이랑 정리기계
본 발명은, 예를들면 이랑의 조성작업이나 수복작업 등에 사용되는 이랑 정리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이랑 정리기로서는, 특개소 51-141212호 공보, 실공소51-47785호 공보, 실개소 53-102411호 공보, 실개소 53-20316호 공보, 특개소 51-100409호 공보, 실개소 60-119209 호 공보, 실개소 61-175905호 공보, 특개소 61-47103호 공보, 특개소 61-212202 호 공보, 실개소 62-1507호 공보, 실개소 61-158105호 공보, 실개평 3-79605호 공보, 실개평 5-60207호 공보에 나타낸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종래구조애 있어서는, 주행기계 몸체에 연결기구로서 기계틀체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연결하고, 기계틀체에 성토기구로서의 구(舊) 이랑 위로 흙을 퍼올리는 회전로터를 그 회전축선을 이랑조성방향과 평행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하며, 기계틀체에 회전로터의 윗쪽 및 이랑 윗쪽에 커버부재를 설치하고, 회전로터의 진행방향 뒤쪽위치에 이랑 윗면 및 이랑의 한쪽측면에 맞추어진 형상의 이랑 정리체를 설치하며, 또한 그 주행기계 몸체의 동력취출축을 구동원으로서 이랑정리체를 왕복시켜 이랑다지기 동작을 행하는 크랭크식 또는 유압식의 이랑 다짐기구를 설치하고, 주행기계 몸체를 구 이랑을 따라서 주행시켜, 회전로터로 밭 안의 진흙을 구 이랑 위로 쌓아올리고, 이 성토(盛王)를 이랑정리체의 이랑다지기 동작에 의해 다져지도록 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다른 종래구조에 있어서, 이랑 정리기구로서, 주행기계 몸체의 동력취출축을 구동원으로서 이랑정리체를 진동동작시키는 진동기구를 설치하여 구성하고,구 이랑 위에 쌓아 올려진 성토를 이랑정리체의 진동동작에 의해 다져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구조의 경우, 지방에 따라서 상이한 이랑의 토질이나 기후 등의 작업조건에 따라서는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이랑 정리작업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전체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부분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부분확대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부분확대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부분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 이랑 K : 성토 계류부(係留部)
W1: 윗면 W2: 한쪽측면
1 : 주행기계 몸체 2 : 연결기구
3 : 기계틀체 4 : 성토기구
5 : 성토체 5a : 로터판
5b : 칼날 5c : 부착축
6 : 동력취출축 7 : 주축
8 : 방향변환용 기어열 9,20,29 : 체인기구
10 : 커버부재 11 : 측부 커버부재
11a : 승강축 11b : 가이드롤
12 : 이랑정리기구 13 : 회전 이랑정리체
13a : 윗면 이랑정리부 l3b : 측면 이랑정리부
14,26: 회전기구 15 : 브래킷
16 : 축받이 통부 18 : 구동축
19 : 통체 22,32 : 자유죠인트
23 : 탈착기구 24 : 형성기구
25 : 형성체 27 : 상하조절기구
28 : 장착틀 30 : 전동축
31 : 기어기구 33 : 반력받이체
34 : 가이드축 35 : 탄발용 스프링
36 : 안정부재 37 : 유실방지판
38 : 흙누출방지판 39 : 조절기구
본 발명은 주행기계 몸체에 연결기구에 의하여 기계틀체를 연결하고, 이 기계틀체에 구 이랑 위로 흙을 쌓아 올리는 성토기구를 설치하며, 이 성토기구의 윗쪽에 커버부재를 설치하고, 이 성토기구의 진행방향 뒤쪽위치에 성토를 다져서 이랑정리 가능한 이랑정리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랑정리기구는 이랑의 한쪽측면을 회전 이랑정리 가능한 측면 이랑정리부 및 이랑의 윗면을 회전 이랑정리 가능한 윗면 이랑정리부를 가지는 회전 이랑정리체로서 이루어지고, 그 회전 이랑정리체의 회전축선은 이랑의 한쪽측면의 측방으로부터 이랑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으로 향하는 소정각도의 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구 이랑의 한쪽측면에 성토계류부를 형성가능한 형성체를 가지는 형성기구를 설치하고, 그 형성체를 상하조절시키는 상하조절기구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정리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 이랑정리체의 측면 이랑정리부와 윗면 이랑정리부를 탈착이 자유롭게 하는 탈착기구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1)은 주행기구이며, 이 경우 트랙터가 사용되며, 주행기계 몸체(1)의 뒷부분에 3점 링크식의 연결기구(2)에 의하여 기계틀체(3)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4)는 성토기구로서, 이 경우 회전로터로 이루어진 성토체(5)로 구성되고, 이 성토체(5)는 로터몸체(5a)의 바깥둘레에 여러개의 칼날(5b)을 돌출설치함과 동시에 로터판(5a)에 부착축(5c)을 돌출설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기계틀체(3)에 성토체(5)를, 그 회전축선을 이랑조성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기계틀체(3)에 주행기계 몸체(1)에 설치된 동력취출축(6)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축(7)을 축받이하며, 성토체(5)를 주축(7)으로부터 방향변환용 기어열(8) 및 체인기구(9)를 통하여 회전시키고, 성토체(5)에 의해 이랑 근처의 밭의 흙을 파내기 궤적(N)으로서 파내어, 구 이랑을 향해 퍼 올려 쌓아 올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10)은 커버부재로서, 이 경우 상기 기계틀체(3)에 부착되고, 상기 성토체(5)의 윗쪽 및 이랑(W)의 윗쪽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부재(10)의 이랑쪽으로 승강축(11a) 및 가이드롤(11b)에 의하여 이랑의 윗면(W1)에 접촉해서 이랑의 기복을 따라 상하이동이 자유로운 측부 커버부재(11)를 장착하고 있다.
(12)는 이랑 정리기구이며, 이 경우, 이랑의 윗면(W1)을 이랑정리 가능한 윗면 이랑정리부(13a)와 이랑(W)의 한쪽측면(W2)을 이랑정리 가능한 측면 이랑정리부(13b)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랑의 윗면(W1) 및 이랑(W)의 한쪽측면(W2)을 동시 회전 이랑 정리 가능한 대략 북 형상의 회전 이랑정리체(13)를 갖추며, 이 경우 회전 이랑정리체(13)의 회전축선(P1)을 이랑(W)의 한쪽측면(W1)의 측방으로부터 이랑(W)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는 소정각도(θ)의 상향방향에 배치하고, 회전 이랑정리체(13)를 회전기구(14)에 의하여 회전축선(P1)을 중심으로하여 도면중의 화살표방향으로 강제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회전 이랑정리체(13)로서, 이랑의 윗면(W1)을 이랑정리 가능한 윗면 이랑정리부(13a)와 이랑(w)의 한쪽측면(W2)을 이랑정리 가능한 측면 이랑정리부(13b)가 별개로 형성되고, 윗면 이랑정리부(13a)와 측면 이랑정리부(13b)가 각각 회전하는 구조로 채용하는 것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계틀체(3)에 뒷면 하부에 브래킷(15)을 돌출설치하고, 브래킷(15)에 축받이통부(16)를 부착시키며, 이 축받이통부(16)에 구동체(18)를 소정각도(θ)로 비스듬하게 상향하는 형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시키고, 구동축(18)과 회전 이랑정리체(13)의 로터축(13c)을 직접연결하며, 상기 기계틀체(3)의 후부측면에 틀체(19)를 수직설치하고, 틀체(19)내에 체인기구(20)를 설치하며, 체인기구(20)와 주축(7)을 기어기구(21)에 의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체인기구(20)와 구동축(18)을 신축이 자유로운 자유죠인트(22)로 연결하며, 그리하여,주축(7)의 회전으로 회전 이랑정리체(13)를 도면중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측면 이랑정리부(13b)의 회전이 미끄럼접촉으로 이랑(W)의 한쪽측면(W2)을 다져서 정리함과 동시에, 윗면 이랑정리부(13a)의 회전 미끄럼접촉에 의하여 이랑(W)의 윗면(W1)을 다져서 정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23)은 탈착기구이며, 이 경우, 로터축(13c)에 육각축부(23a)를 형성하고, 측면 이랑정리부(13b)에 육각통부(23b)를 형성하며, 육각축부(23a)의 기초부측에 고정컬러(23c)를 핀(23d)으로 고정하여, 육각축부(23a)의 선단부측에 끼움구멍(23e)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컬러(23f)를 끼워맞추고, 고정컬러(23f)와 율각축부(23a)에 탈착핀(23g)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하며, 탈착핀(23g) 및 고정컬러(23f)를 벗기므로써 윗면 이랑정리부(13a)를 탈착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24)는 형성기구이며, 성토기구(4)의 진행방향 전방위치에 배치되고, 구 이랑(W)의 한쪽측면에 성토계류부(K)를 형성 가능한 형성체(25)를 갖추며, 이 경우, 형성체(25)는 회전기구(26)에 의하여 구동회전되고, 형성체(25)는 상부형성체(25a)와 하부형성체(25b)로서 이루어지며, 상부형성체(25a) 및 하부형성체(25b)의 각 로터축(25c ·25d)에 칼형상의 여러개의 칼판(25e·25f)을 방사형상으로 장착하였으며, 상기 커버부재(10)의 앞면에 상하조절기구(27)를 통하여 장착틀(28)을 장착하고, 이 상하조절기구(27)는 장착판(27a)에 2개의 가이드축(27b)에 의하여 슬라이드 블록(27c)을 상하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하며, 장착판(27a)에 나사식 로드(27d)를 설치함과 동시에 나사식 로드(27d)를 슬라이드블록(27c)에 나사식으로 부착하고,나사식로드(27d)에 핸들(27e)을 장착하며, 슬라이드블록(27c)에 장착틀(28)을 장착하고, 핸들(27e)의 회전으로 장착틀(28)을 고저조절이 자유롭게 설치하였으며, 장착틀(28)에 형성체(25)의 상형성체(25a) 및 하형성체(25b)의 로터축(25c ·25d)을 상하 2단으로 가로로 설치하고, 또한, 로터축(25c)과 로터축(25d)과의 사이에 체인 기구(29)를 개재시키며, 기계틀체(3)에 전동축(30)을 가로로 설치하고, 전동축(30)과 주축(7)과의 사이에 기어기구(31)를 사이에 장착하며, 전동축(30)과 로터축(25c)과의 사이에 신축이 자유로운 자유죠인트(32)를 사이에 장치함으로써 주축(7)에 의하여 로터축(25c)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체인기구(29)를 통하여 로터축(25d)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하여 형성체(25a · 25b)를 회전시켜 여러개의 칼판(25e · 25f)에 의하여 구 이랑의 한쪽즉면(W2)에 여러개의 오목형상부분(9)으로서 이루어지는 계단 형상의 성토계류부(K)를 깎아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32)은 반력받이체로서, 이 경우 하측부분이 밭(M)내로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부재(10) 후면에 가이드축(34)을 수평방향으로 가로로 설치하며, 가이드축(34)에 반력받이체(33)를 수평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상기 회전 이랑정리체(13)에 의한 이랑정리동작에 의해서 발생하는 이랑 정리반력을 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과대한 다짐압력이 회전 이랑정리체(13)에 걸리면, 반력받이체(33)가 뚫고 들어가는 것이 정지된 채로, 탄발용 스프링(35)에 저항하여 기계틀체(3)측이 도피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6)은 안정부재이며, 이 경우, 차륜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계틀체(3)의 윗부분에 상하조절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밭(M)위에 접지하여 기계틀체(3)의 안전주행을 도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7)은 유실방지판이며, 상기 회전 이랑정리체(13)의 측면 이랑정리부(13b)의 외주면 바깥쪽 끝단 가장자리부의 하방위치에서 커버부재(10)로부터 돌출설치되고, 커버부재(10)의 후면과 측면 이랑정리부(13b) 외측 끝단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의 하측부분으로부터 진행방향 후방의 성토의 유실을 막도록 구성한 것이다.
(38)은 흙누출방지판이며, 상기 커버부재(10) 하부에 조절기구(39)로 장착되고, 조절기구(39)는 볼트(39a) 및 긴구멍(39b)으로서 이루어지며 흙누출방지판(38)의 돌출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성토체(5)에 의한 깎아낸 흔적(N)과의 상대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므로, 주행기계 몸체(1)를 이랑(W)을 따라 주행시키고, 동력취출축(6)을 회전시키면, 한쪽에서는 성토기구(4)의 성토체(5)로 서의 회전로터가 이랑 옆의 밭진흙을 구 이랑 위에 연속적으로 퍼 올려서 쌓고, 커버부재(10) 및 측부 커버부재(11)는 성토체(5)의 상방 및 이랑측방으로의 진흙비산을 방지하여 퍼올린 진흙은 바깥쪽으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어서 자중으로 낙하하고, 다른쪽에서는 이랑정리기구(12)의 회전 이랑정리체(13)가 회전기구(14)에 의하여 회전하며, 회전 이랑정리체(13)의 회전에 의하여 그 측면 이랑정리부(13b)는 이랑의 한쪽측면(W2)에 회전접촉함과 동시에, 윗면 이랑정리부(13a)는 이랑의 윗면(W1)에 회전접촉하고, 회전 이랑정리체(13)의 미끄럼 접촉회전에 의하여 이랑(W)의 윗면(W1) 및 한쪽측면(W2)을 동시에 다져서 이랑을 정리할 수가 있으며,그 만큼 견고하게 하여 이랑의 표면이 원활한 이랑정리작업을 할 수가 있고, 또, 회전 이랑정리체(13)의 회전축선(P1)을 이랑(W)의 한쪽측면(W1)의 측방으로부터 이랑(W)측으로 비스듬하게 위를 향하는 소정각도(θ)의 상방향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회전 이랑정리체(13)의 회전축선(P1)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구조와 대비하면, 회전 이랑정리체(13)의 진행방향 앞측의 외주면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이랑의 한쪽측면(W2)으로의 흙을 눌러 밀어내는 길이를 길게 할 수가 있으며, 그 만큼 흙의 다짐을 잘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회전 이랑정리체(13)의 수직방향 높이를 회전 이랑정리체의 회전축선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구조와 대비하여 낮게 할 수가 있으며, 그 만큼 장치 전체의 기계높이를 낮게 할 수가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이 경우, 상기 성토기구(4)의 진행방향 전방위치에 구 이랑(W)의 한쪽측면(W2)에 성토계류부(K)를 형성가능한 형성체(25)를 가지는 형성기구(2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형성기구(24)의 구동에 의하여 성토기구(4)에 의한 성토위치의 진행방향 전방위치에서 형성체(25)는 회전하여 구 이랑(W)의 최소한 한쪽측면(W2)에 여러개의 오목형상부분(Q)으로서 이루어지는 성토계류부(K)를 깎아내어 형성하고, 이 성토계류부(K)에 의하여 성토계류작용을 할 수 있고, 성토기구(4)에 의해 구 이랑 위에 쌓여진 흙을 오목형상부분(Q)으로 이루어지는 성토계류부(K)에 의해 계류시켜 이랑의 측면을 따라 성토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랑 한쪽측면(W2) 성토부 족이나 이랑 한쪽측면(W2)의 상하위치에서의 성토량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가 있으며, 양호한 이랑정리작업을 할 수가 있고, 또한 구 이랑의 최소한 한쪽측면(W2)을 이랑정리 전에 사전에 흙을 깎고, 이 흙을 깎은 이랑면 위에 성토기구(4)로 성토하게 되며, 구 이랑토와 성토와의 결착성을 높일 수가 있고, 그 만큼 견고한 이랑을 얻을 수가 있으며, 또, 이 경우, 형성기구(24)를 상하조절시키는 상하조절기구(2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방에 따라 상이한 이랑의 높이나 폭에 대응할 수가 있고, 그 만큼 작업의 융통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이 경우 회전 이랑정리체(13)의 측면 이랑정리부(13b)와 윗면 이랑정리부(13a)를 탈착기구(23)에 의하여 탈착할 수가 있으며, 윗면 이랑정리부(13a)를 탈거하므로써 지방에 따라 상이한 정리를 요하는 이랑의 윗면 폭이나 높이에 대응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둑이나 둑을 쌓을때의 다짐작업도 할 수가 있고, 그 만큼 작업의 융통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 이랑정리체(13)로서의 이랑(W)의 한쪽측면(W2)을 다짐가능한 측면 이랑정리부(13b)의 외주면의 바깥쪽 끝단 가장자리부의 하방위치에 유실방지판(37)을 설치하였으므로, 진행방향 후방으로의 성토의 유실을 방지할 수가 있고, 그만큼 회전 이랑정리제(13)로서의 측면 이랑정리부(13b)의 전방위치로의 성토량을 호가보할 수가 있으며, 구 이랑의 한쪽측면으로의 성토의 다짐을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이 경우, 이랑정리기구(12)애 의하여 생기는 기계틀체(3)에 대한 이랑정리반력을 받는 반력받이체(33)를 설치하였으므로, 다짐 이랑정리에 따른 이랑정리반력을 확실하게 받을 수가 있으며, 이랑정리기구(12)에 의한 다짐이랑정리를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고, 그 만큼 견고한 이랑을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착기구(23)의 구조는 적절히 선택되고, 또, 성토기구(4)로서 이랑조성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는 회전로터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또, 회전기구(14)로서 유압모터를 채용할 수도 있고,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이랑정리기구(12)는 회전 이랑정리체(13)의 회전미끄럼 접촉작용에 의하여 다짐 이랑정리를 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 회전 이랑정리체(13) 대신에, 이랑의 윗면 및 한쪽측면에 맞도록 절곡된 형상의 이랑정리체를 이랑다짐기구로서의 크랭크기구 또는 유압기구에 의하여 왕복 이랑다짐동작을 시켜, 성토를 이랑정리체로서 행하는 구조와 이 이랑정리체를 진동기구로서의 편심중추 회전기구나 유압 바이브레이터기구로 진동시켜 성토를 이랑정리체의 진동동작에 의하여 다지는 구조의 것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회전 이랑정리체(13)를 이랑의 윗면을 회전이랑정리 가능한 상부 회전 이랑정리체로서 구성하고, 하부회전 이랑정리체와 상부회전 이랑정리체를 진행방향 전후위치에 회전축선을 변통시켜서 배치하며, 각각을 회전시켜서 이랑의 한쪽측면(W2) 및 윗면(W1)을 각각으로 이랑정리하는 이랑정리기구(12)의 구조로 할 수도 있으며, 또, 이 경우에 있어서, 하부회전 이랑정리체와 상부회전 이랑정리체를 상이한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 형성기구(24) 및 형성체(25)의 구조나 형태, 오목형상부분(9), 성토계류부(K)의 형태 등은 이랑의 크기나 이랑의 흙 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주행기체를 이랑을 따라 주행시키면 한쪽에서는 성토기구가 이랑 근처의 밭의 진흙을 구 이랑 위에 쌓아 올리고, 커버부재는 진흙 비산을 방지하며, 다른 한쪽에서는 이랑정기가구의 회전이랑정리체의 회전에 의하여 그 측면 이랑정리부는 이랑의 한쪽측면에 회전접촉함과 동시에, 윗면 이랑정리부는 이랑의 윗면에 회전접촉하고, 회전 이랑정리체의 미끄럼 접촉회전에 의하여 이랑의 윗면 및 한쪽측면을 동시에 다짐 이랑 정리할 수가 있으며, 그 만큼 견고하게 하여 이랑의 표면이 원활한 이랑정리 작업을 행할 수가 있으며, 또, 회전 이랑정리체의 회전축선을 이랑의 한쪽측면의 측방으로부터 이랑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는 소정각도의 상하방향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회전 이랑정리체의 회전축선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구조와 대비하면, 회전 이랑정리체의 진행방향 앞측의 외주면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이랑의 한쪽측면에 대한 흙을 눌러 밀어내는 길이를 길게 할 수가 있으며, 그 만큼 흙의 다짐을 잘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회전 이랑정리체의 수직방향 높이를 회전 이랑정리체의 회전축선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구조와 대비하여 낮게 할 수가 있으며, 그 만큼 장치 전체의 기계높이를 낮게 할 수가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이 경우, 구 이랑의 한쪽측면에 성토계류부를 형성 가능한 형성체를 가지는 형성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구 이랑의 최소한 한쪽측면에 여러개의 오목형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성토계류부를 깎아서 형성하고, 이 성토계류부에 의하여 성토계류작용을 얻을 수가 있어 이랑의 측면을 따른성토의 미끄러 떨어짐 현상을 억제할 수가 있으며, 이랑 한쪽측면의 성토부족이나 이랑 한쪽측면의 상하위치에서의 성토량 불균형을 억제 가능하고, 양호한 이랑정리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 상기 형성체를 상하 조절시키는 상하 조절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방에 따라 상이한 이랑의 높이나 폭에 대응할 수가 있어 그 만큼 작업의 융통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이랑정리체의 측면 이랑정리부와 윗면 이랑정리부를 탈착기구에 의하여 탈착할 수가 있으며, 둑이나 둑을 쌓을때 법면의 다짐작업도 가능하여 그 만큼 작업의 융통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주행기계 몸체에 연결기구로 기계틀체를 연결하고, 그 기계틀체에 구 이랑상에 흙을 쌓아 올리는 성토기구를 설치하여 그 성토기구의 상방에 커버부재를 설치하며, 그 성토기구의 진행방향 후방위치에 성토를 이랑에 다짐 정리 가능한 이랑정리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이랑정리기구는 이랑의 한쪽측면을 회전 이랑정리 가능한 측면 이랑정리부 및 이랑의 윗면을 회전 이랑정리 가능한 윗면 이랑정리부를 가지는 회전 이랑정리체로서 이루어지며, 그 회전 이랑정리체의 회전축선은 이랑의 한쪽측면의 측방으로부터 이랑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는 소정 각도의 위를 향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 이랑의 한쪽측면에 성토계류부를 형성가능한 형성체를 가지는 형성기구를 설치하며, 그 형성체를 상하 조절시키는 상하조절기구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정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이랑정리체의 측면 이랑정리부와 윗면 이랑정리부를 탈착이 자유롭게 하는 탈착기구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정리기.
KR1019970071228A 1997-05-12 1997-12-20 이랑 정리기계 KR100416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20883 1997-05-12
JP120883 1997-05-12
JP9120883A JPH10309102A (ja) 1997-05-12 1997-05-12 整畦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465A KR19980086465A (ko) 1998-12-05
KR100416839B1 true KR100416839B1 (ko) 2004-04-08

Family

ID=1479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228A KR100416839B1 (ko) 1997-05-12 1997-12-20 이랑 정리기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309102A (ko)
KR (1) KR100416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1426B2 (ja) * 2007-11-12 2012-09-05 松山株式会社 畦塗り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04A (ja) * 1992-07-03 1994-02-01 Kinsaku Kida 畦形成機
JPH0837803A (ja) * 1994-05-27 1996-02-13 Isao Minagawa 整畦機
JPH08112004A (ja) * 1994-10-15 1996-05-07 Isao Minagawa 整畦機
JPH08140406A (ja) * 1994-11-21 1996-06-04 Matsuyama Plow Mfg Co Ltd 整畦装置
JPH099709A (ja) * 1995-06-30 1997-01-14 Fuji Toreela- Seisakusho:Kk 整畦機
KR100397348B1 (ko) * 1996-07-31 2003-11-17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트레라 세이사쿠쇼 이랑정리기계
KR100397347B1 (ko) * 1996-01-30 2003-11-20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트레라 세이사쿠쇼 이랑정리기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04A (ja) * 1992-07-03 1994-02-01 Kinsaku Kida 畦形成機
JPH0837803A (ja) * 1994-05-27 1996-02-13 Isao Minagawa 整畦機
JPH08112004A (ja) * 1994-10-15 1996-05-07 Isao Minagawa 整畦機
JPH08140406A (ja) * 1994-11-21 1996-06-04 Matsuyama Plow Mfg Co Ltd 整畦装置
JPH099709A (ja) * 1995-06-30 1997-01-14 Fuji Toreela- Seisakusho:Kk 整畦機
KR100397347B1 (ko) * 1996-01-30 2003-11-20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트레라 세이사쿠쇼 이랑정리기계
KR100397348B1 (ko) * 1996-07-31 2003-11-17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트레라 세이사쿠쇼 이랑정리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465A (ko) 1998-12-05
JPH10309102A (ja) 1998-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4545B2 (ja) 整畦機
JP4362671B2 (ja) 整畦機
KR100416839B1 (ko) 이랑 정리기계
KR100397348B1 (ko) 이랑정리기계
JP4210969B2 (ja) 整畦機
JP5132280B2 (ja) 畦塗り機
JP2000135003A (ja) 整畦機
JP2000060213A (ja) 整畦機
JP3622164B2 (ja) 整畦機
JP4174745B2 (ja) 整畦機
JP2000060212A (ja) 整畦機
JP4154546B2 (ja) 整畦機
JP4432001B2 (ja) 整畦機
JP3564621B2 (ja) 整畦機
JPH11243706A (ja) 整畦機
KR100497300B1 (ko) 이랑정리기계
JP3796590B2 (ja) 整畦機
JP2879060B2 (ja) 整畦機
JPH11187701A (ja) 代掻装置
JPH0837803A (ja) 整畦機
JP2000092905A (ja) 整畦機
JP3716396B2 (ja) 整畦機
JPH1098907A (ja) 整畦機
JPH10210804A (ja) 整畦機
JPH09308302A (ja) 整畦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