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707B1 -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707B1
KR100416707B1 KR10-2001-0064067A KR20010064067A KR100416707B1 KR 100416707 B1 KR100416707 B1 KR 100416707B1 KR 20010064067 A KR20010064067 A KR 20010064067A KR 100416707 B1 KR100416707 B1 KR 100416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resistor
terminal
unit
i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338A (ko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7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8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컴이나 사용자의 설정없이 외부의 밝기에 따라 감지부에 흐르는 전류량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걸리는 전압을 반전시켜 조절함으로써 외부가 밝을 경우 디스플레이를 어둡게 조절하고 외부가 어두울 경우 디스플레이를 밝게 조절하여 자동으로 외부의 밝기에 따라 조도가 조절되어 시인성(示認成)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DISPLAY LIGHT MODUL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밝기에 따라 감지부에 흐르는 전류량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걸리는 전압을 반전시켜 조절함으로써 외부가 밝을 경우 디스플레이를 어둡게 조절하고 외부가 어두울 경우 디스플레이를 밝게 조절하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각종 전자장치의 작동상태나 설정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써 LED나 LCD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밝기는 일정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디스플레이를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조명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내용을 보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절하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내용을 인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전원단(VCC)과 연결된 디스플레이(10)와, 디스플레이(10)의 타측과 접지단(GND) 사이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10)에 걸리는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부(20)와, 스위칭부(20)의 온오프량을 조절하는 마이컴(3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이컴(3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밝기에 따라 조절하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밝기를 조절하는 등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된 상황에 따라 듀티비제어를 하여 스위칭부(20)의 트랜지스터(TR)의 온오프량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10)에 걸리는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어 디스플레이(10)를 구성하는 램프(LP1, LP2, LP3)들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즉, 스위칭부(20)의 온시간이 길 경우 디스플레이(10)가 밝아지게 되고 오프시간이 길 경우 디스플레이(10)가 어두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0)의 밝기를 조절할 경우 스위칭부(20)를 조절하기 위한 마이컴(30)을 설치해야만 되고 사용자가 특정키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10)의 밝기 조절을 위한 설정을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컴의 듀티제어가 아닌 외부의 밝기에 따라 감지부에 흐르는 전류량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걸리는 전압을 반전시켜 조절함으로써 외부가 밝을 경우 디스플레이를 어둡게 조절하고 외부가 어두울 경우 디스플레이를 밝게 조절하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디스플레이 20 : 스위칭부
30 : 마이컴 40 : 광감지부
50 : 증폭부 60 : 반전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는, 외부의 밝기에 따라 전류량이 변하는 포토다이오드를 구비한 광감지부와; 상기 광감지부의 포토다이오드와 반전입력단에 제 1저항을 매개로 연결되고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제 2저항과 제 3저항에 의해 전원단을 분배하여 설정한 제 1기준전압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반전입력단과 제 4저항으로 피드백되도록 연결된 제 1오피앰프를 구비하여 광감지부의 출력을 제 1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제 1오피앰프의 출력단이 비반전입력단에 제 5저항을 매개로 연결되고 반전입력단에는 제 6저항과 제 7저항에 의해 전원단을 분배하여 설정한 제 2기준전압이 연결되는 제 2오피앰프를 구비하여 증폭부의 출력값을 제 2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반전제어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의 제 2오피앰프의 출력단과 베이스단에 제 9저항을 매개로 연결되고, 콜렉터와 제 8저항으로 상기 제 2오피앰프의 반전입력단과 피드백되도록 연결되고, 콜렉터에는 접지단과 디스플레이가 매개되며 이미터에는 전원단이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반전부의 출력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칭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외부의 밝기에 따라 변하는 광감지부의 전류량을 제 1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증폭하고 이 증폭된 값을 제 2기준전압과 비교하여반전함으로써 외부의 밝기가 밝을 경우 스위칭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로 공급되는 전압을 낮추어 디스플레이를 어둡게 하고 외부가 어두울 경우 스위칭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로 공급되는 전압을 높여 디스플레이를 밝게 조절하도록 작동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는 외부의 밝기에 따라 전류량이 변하는 광감지부(40)와, 광감지부(40)의 출력을 제 1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증폭하는 증폭부(50)와, 증폭부(50)의 출력값을 제 2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반전제어하는 반전부(60)와, 반전부(60)의 출력값에 따라 디스플레이(10)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칭부(20)로 이루어진다.
광감지부(50)는 디스플레이로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장치로써, 외부의 밝기에 따라 전류량이 변하는 포토다이오드(PD)를 이용한다.증폭부(50)는 광감지부(50)의 포토다이오드(PD)와 반전입력단(-)에 제 1저항(R1)을 매개로 연결되고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제 2저항(R2)과 제 3저항(R3)에 의해 전원단(VCC)을 분배하여 설정한 제 1기준전압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반전입력단(-)과 제 4저항(R4)으로 피드백되도록 연결된 제 1오피앰프(OP1)로 구성된다.
반전부(60)는 증폭부(50)의 제 1오피앰프(OP1)의 출력단이 비반전입력단(+)에 제 5저항(R5)을 매개로 연결되고 반전입력단(-)에는 제 6저항(R6)과 제 7저항(R7)에 의해 전원단(VCC)을 분배하여 설정한 제 2기준전압이 연결되는 제 2오피앰프(OP2)로 구성된다.스위칭부(20)는 반전부(60)의 제 2오피앰프(OP2)의 출력단과 베이스단에 제 9저항(R9)을 매개로 연결되고, 콜렉터와 제 8저항(R8)으로 상기 제 2오피앰프(OP2)의 반전입력단(-)과 피드백되도록 연결되고, 콜렉터에는 접지단(GND)과 디스플레이(10)가 매개되며 이미터에는 전원단(VCC)이 연결된 트랜지스터(TR)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플레이(10)에 밝은 빛이 입사되면 광감지부(50)의 포토다이오드(PD)는 빛을 수광하고, 포토다이오드(PD)에 흐르는 전류량은 증가한다. 그러면, 그 전류량은 제 1저항(R1)을 통해 전압값으로 변환되어 제 1오피앰프(OP1)에 입력되고 제 2저항(R2)과 제 3저항(R3)에 의해 분배된 제 1기준전압보다 낮을 때까지 증가하는 전류량에 따라 출력값이 증가되어 증폭된다.
이렇게 증가된 제 1오피앰프(OP1)의 출력값은 다시 제 2기준전압과 비교되어 제 2기준전압보다 높을 경우 감소된 제 2오피앰프(OP2)의 출력값이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입력되어 디스플레이(10)에 공급되는 전압을 낮춤으로써 램프(LP1, LP2, LP3)들이 어둡게 된다.
즉, 외부의 밝기가 밝아질 경우 디스플레이(10)에 공급되는 전압을 낮추어 어둡도록 한다.
반면에 외부가 어둡게 될 경우 포토다이오드(PD)에 흐르는 전류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제 1저항(R1)을 통해 전압값으로 변환되어 제 1오피앰프(OP1)에입력되어 전류량에 따라 출력값이 감소된다. 즉, 외부가 어두워짐에 따라 출력값이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감소되는 제 1오피앰프(OP1)의 출력값은 다시 제 2기준전압과 비교되어 제 2기준전압보다 낮을 경우 증폭되어 증가되는 제 2오피앰프(OP2)의 출력값이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입력되어 디스플레이(10)에 공급되는 전압을 높여줌으로써 램프(LP1, LP2, LP3)들이 밝아지게 된다.
즉, 외부의 밝기가 어두워질 경우 디스플레이(10)에 공급되는 전압을 높아져 밝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컴이나 사용자의 설정없이 외부의 밝기에 따라 감지부에 흐르는 전류량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걸리는 전압을 반전시켜 조절함으로써 외부가 밝을 경우 디스플레이를 어둡게 조절하고 외부가 어두울 경우 디스플레이를 밝게 조절하여 자동으로 외부의 밝기에 따라 조도가 조절되어 시인성(示認成)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외부의 밝기에 따라 전류량이 변하는 포토다이오드를 구비한 광감지부와;
    상기 광감지부의 포토다이오드와 반전입력단에 제 1저항을 매개로 연결되고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제 2저항과 제 3저항에 의해 전원단을 분배하여 설정한 제 1기준전압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반전입력단과 제 4저항으로 피드백되도록 연결된 제 1오피앰프를 구비하여 광감지부의 출력을 제 1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제 1오피앰프의 출력단이 비반전입력단에 제 5저항을 매개로 연결되고 반전입력단에는 제 6저항과 제 7저항에 의해 전원단을 분배하여 설정한 제 2기준전압이 연결되는 제 2오피앰프를 구비하여 증폭부의 출력값을 제 2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반전제어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의 제 2오피앰프의 출력단과 베이스단에 제 9저항을 매개로 연결되고, 콜렉터와 제 8저항으로 상기 제 2오피앰프의 반전입력단과 피드백되도록 연결되고, 콜렉터에는 접지단과 디스플레이가 매개되며 이미터에는 전원단이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반전부의 출력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칭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1-0064067A 2001-10-17 2001-10-17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 KR100416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067A KR100416707B1 (ko) 2001-10-17 2001-10-17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067A KR100416707B1 (ko) 2001-10-17 2001-10-17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338A KR20030032338A (ko) 2003-04-26
KR100416707B1 true KR100416707B1 (ko) 2004-02-05

Family

ID=2956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067A KR100416707B1 (ko) 2001-10-17 2001-10-17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7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000U (ko) * 1986-12-04 1988-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램프 자동 제어회로
JPS63247144A (ja) * 1987-03-31 1988-10-1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ライトコントロ−ルシステムの受光回路
KR900001939Y1 (ko) * 1987-09-25 1990-03-12 김정권 자동차용 잭(Jack)
US4945301A (en) * 1987-06-12 1990-07-31 Onkyo Kabushiki Kaisha Constant-voltage power supply circuit and amplifier circuit and DA converter using the constant-voltage power supply circuit
KR930020284U (ko) * 1992-02-29 1993-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자동점멸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000U (ko) * 1986-12-04 1988-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램프 자동 제어회로
JPS63247144A (ja) * 1987-03-31 1988-10-1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ライトコントロ−ルシステムの受光回路
US4945301A (en) * 1987-06-12 1990-07-31 Onkyo Kabushiki Kaisha Constant-voltage power supply circuit and amplifier circuit and DA converter using the constant-voltage power supply circuit
KR900001939Y1 (ko) * 1987-09-25 1990-03-12 김정권 자동차용 잭(Jack)
KR930020284U (ko) * 1992-02-29 1993-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자동점멸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338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621B1 (ko) 온도보상기능을 갖는 led 구동 장치
EP0572207A3 (en) Constant brightness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control system
JP2008077862A (ja) 調光回路
KR100502772B1 (ko) 비선형 응답을 제공하는 장치
KR20070080399A (ko) 주변조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및장치
KR100416707B1 (ko)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
KR100416708B1 (ko)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장치
US5402040A (en) Dimmable ballast control circuit
KR100350696B1 (ko) 무선단말장치의 표시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229559B1 (ko) 형광램프 제어기 및 광 감지회로
JP2004281922A (ja) 発光素子の電流制御装置
JPH08114801A (ja) 液晶表示装置
KR100316694B1 (ko) 이동통신기기의역광조명(backlight)자동온/오프제어장치
JPH03288885A (ja) バックライト明るさ制御回路
JPH0627440A (ja) 液晶表示装置
KR920008048Y1 (ko) 평판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자동 보정 회로
KR960001826A (ko) 백라이트 밝기 자동 조절 장치
KR20000013243A (ko) 정보표시장치의 백라이트 밝기 자동 조정장치
KR20010002431A (ko) 차량의 조명기구 조도 자동조절장치
KR0132530Y1 (ko) 인버터스탠드용 용도별 조도조절장치
KR19990049069A (ko) 단말기의발광소자밝기조절장치
KR100251408B1 (ko) 통신단말기의광도에따른링발생장치
KR19980049539A (ko) 표시등용 광도 조절기
KR20000045300A (ko) 자동 딤조절 회로
KR960000842Y1 (ko) 칼라이득 자동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