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243B1 - 샴푸용 의자 - Google Patents

샴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243B1
KR100416243B1 KR10-2001-0002339A KR20010002339A KR100416243B1 KR 100416243 B1 KR100416243 B1 KR 100416243B1 KR 20010002339 A KR20010002339 A KR 20010002339A KR 100416243 B1 KR100416243 B1 KR 10041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upport
chair
neck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331A (ko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01-000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243B1/ko
Priority to PCT/KR2002/000070 priority patent/WO2002056734A1/en
Publication of KR2002006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0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with head-rests; with pap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ts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가정 등에서 어린 아이나 노약자 등을 상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샴푸용 의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시트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상에 결합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목받침대;로 이루어진 경부지지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일반 가정 등에서 어린 아이나 노약자 등을 상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관하기에도 편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샴푸용 의자{Shampoo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 등에서 머리를 감고자 하는 사람의 두발을 다른 사람이 감겨주는 데에 사용되는 샴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발소나 미용실에서 이발을 하거나 두발 손질을 하고 난 뒤에는 머리를 감게 되는데, 이때 본인이 직접 머리를 감지 않고 샴푸 서비스(shampoo service)를 받는 경우에는 세면대 앞에 놓여진 의자에 앉아서 머리를 감게 된다.
이와 같이, 머리를 감겨주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이/미용실용 샴푸 의자와 세면대의 예를 첨부도면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예시된 샴푸용 의자(100)는 가장 간단한 형태와 구조를 가진 극히 일반적인 예를 보인 것으로서, 의자(100)에 앉을 때 상체를 세면대(200)에 보다 쉽게 접근시키면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받이(110)부분이 뒷쪽으로 경사지거나 경사지도록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다.
그리고, 의자(100)의 등받이(110)부분과 마주하는 세면대(200)의 앞부분은 의자(100)에 앉아 머리를 감게 되는 사람의 목 뒷부분을 안착시키기 위한목받침부(210)가 오목하게 굴곡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위에 예로 든 샴푸용 의자 이외에, 종래의 샴푸용 의자들의 대부분은 복잡한 내부장치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미용실과 같은 업소이외에 가정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는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별도의 샴푸용 의자를 갖추어 놓고 사용하기보다는 통상의 의자를 사용하거나, 어린아이 등을 부둥켜 앉고서 머리를 감겨주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머리를 감겨주는 사람이나 머리를 감는 사람 모두가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 가정 등에서 어린 아이나 노약자 등을 상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샴푸용 의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샴푸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샴푸용 의자의 등받이 후측부에 대한 부분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지지다리의 회동부위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샴푸용 의자의 목받침대 부위에 대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샴푸용 의자의 경부지지수단에 의한 경사각도를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목받침대 부위에 대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의 또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목받침대 부위에 대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와 회동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의 또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목받침대 부위에 대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동지지부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회동지지부와 회동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샴푸용 의자의 부분단면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샴푸용 의자를 전방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종래의 샴푸용 의자와 세면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20 : 등받이
21 : 등받이 커버 23 : 피니언부재
24 : 보조시트 안착홈 30 : 경부지지수단
31 : 목받침대 31a,31'a : 쿠션부
31b,31'b : 머리안착부 31c : 제1회동지지부
32,32',32'',32''' : 회동부재 32a,32'a : 제1볼
32b,32''a : 제2볼 32c : 돌출부
32'''a : 제1회동체 32'''b : 제2회동체
32'''c : 회동홈체 33,33' : 회동지지부재
33a,33'a : 제2회동지지부 33b : 래크부
33c : 멈춤턱 33'b : 회동저지수단
40, 40' : 팔걸이 50 :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
60 : 지지다리 70 : 보조시트
80 : 다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샴푸용 의자는, 시트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상에 결합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목받침대;로 이루어진 경부지지수단(頸部支持手段)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목받침대에 결합되는 제1회동체; 상기 등받이상에 결합되는 제2회동체; 상기 제1회동체 및 제2회동체를 수용 및 지지하는 회동홈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회동체 및 제2회동체는 각각 제1볼 및 제2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상기 회동홈체는, 상기 제1볼 또는 제2볼을 수용하는 수용체; 이 수용체내에서 상기 제1볼 또는 제2볼의 탈락을 방지하는 방탈링; 상기 제1볼 또는 제2볼의 표면과 마찰 접촉하는 마찰재; 상기 방탈링 및 마찰재를 상기 수용체내에서 상기 제1볼 또는 제2볼과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목받침대에 배수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목받침대가, 상기 회동부재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1회동지지부; 상기 제1회동지지부를 에워싸는 탄성재질의 쿠션부; 상기 쿠션부상에 놓이는 머리안착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구형상의 제1볼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회동부재의 제1볼 하측에 구형상의 제2볼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볼을 수용 및 지지하는 제2회동지지부가 형성된 회동지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1회동지지부 또는 제2회동지지부는, 상기 제1볼 또는 제2볼을 수용하는 수용체; 이 수용체내에서 상기 제1볼 또는 제2볼의 탈락을 방지하는 방탈링; 상기 제1볼 또는 제2볼의 표면과 마찰 접촉하는 마찰재; 상기 방탈링 및 마찰재를 상기 수용체내에서 상기 제1볼 또는 제2볼과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제1볼과 제2볼 사이에 제1볼 및 제2볼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볼의 외주면에 회동방향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에는 상기 요철부에 끼워져 상기 제2볼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는 회동저지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동지지부재에는 상기 등받이 내외로 출입하는 래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회동지지부재과 회동부재 및 목받침대의 하중을 지탱하되, 외력에 의해 상기 래크부가 등받이 내로 진입할 때 래크부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회동지지부재를 지지하는 피니언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의 후방부에, 등받이의 경사각도에 따라 회동가능하게 되면서 등받이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다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시트의 높이보다 상향 위치에 보조시트가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시트는 상기 등받이에 힌지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보조시트가 안착되는 보조시트 안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시트에, 시트의 저면부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다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샴푸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시트(10)와 등받이(20)를 구비한 구조를 갖는데, 특히 상기 등받이(20)에는 경부지지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경부지지수단(30)은 등받이(20)를 세면대(90)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세면대(90)의 전면부 상측에 놓이게 됨으로써, 머리를 감고자 하는 사람이 의자에 앉았을 때, 목 뒷부분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부지지수단(3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듯이, 목받침대(31)와 회동부재(32) 및 회동지지부재(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목받침대(31)는 전면부가 머리 감을 사람의 목부위를 감싸면서 상면부는 후방을 향해 약간 경사진 형태를 갖게 되는데, 도 4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우레탄폼이나 합성고무 또는 스폰지와 같은 탄성재질로 된 쿠션부(31a)와, 플라스틱과 같이 물에 젖거나 녹슬지 않는 견고한 재질로 되어 상기 쿠션부(31a)상에 놓여지는 머리안착부(31b), 그리고 상기 쿠션부(31a)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쿠션부(31a)에 의해 에워싸여지는 제1회동지지부(31c)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받침대(31), 특히 머리안착부(31b)의 상면부 뒷쪽으로부터 후면부에 걸쳐서 다수의 배수홈(31ba)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배수홈(31b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머리를 감을 때 두발을 적신 물이 신체의 다른 부위로 흘러내리지 않고 세면대(9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32)는 상기 목받침대(31)의 제1회동지지부(31c)에 회동 가능하게 조인트되는 구형상의 제1볼(32a)과, 상기 회동지지부재(33)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인트되는 구형상의 제2볼(32b)로 이루어짐으로써, 통상적으로 일컫는 볼조인트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지지부재(33)는 상기 회동부재(32)의 제2볼(32b)을 수용하는 제2회동지지부(33a)와,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치가 형성된 래크부(33b)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래크부(33b)는 등받이(20)의 등받이커버(21)를 열어 보았을 때, 등받이(20)의 후면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삽입홈(20a)에 수용되어, 등받이(20)의 후면부에 고정부재(22)를 매개로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피니언부재(23)와 치합된다.
특히, 상기 피니언부재(23)는, 상기 경부지지수단(30), 즉 목받침대(31)와 회동부재(32) 및 회동지지부재(33)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래크부(33b)와 맞물린 채로 경부지지수단(30)의 무게를 지탱하되, 밀거나 당기는 외력에 의해서만 상기 래크부(33b)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는 중량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상기 래크부(33b)의 하측 말단부에는 피니언부재(23)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멈춤턱(33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샴푸용 의자의 경부지지수단은, 상기 회동지지부재(33)를 배제하는 대신, 하나의 볼, 즉 제1볼(32'a)만을 가진 회동부재(32')가 직접 등받이(20)에 결합됨으로써, 목받침대(31)와 이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부재(32')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32)와 이를 매개로 한 목받침대(31)의 경사각도는 사용자가 불편없이 사용하는 데에 최적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하여 도 5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자.
도면상에서 오른쪽이 목받침대(31)의 앞쪽으로서 머리를 감을 사람의 목부분이 안착되는 방향인데, 처음에 머리 감을 사람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목을 뒤로 젖힐 때, 도면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형태로 목받침대(31')가 위치하여 있게 된다.
이때, 목받침대(31')의 전후방향을 잇는 선은 회동부재(32)의 제1볼(32a)을 기점으로 하는 수평선상(OH)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상태에 있게 된다.
반면에, 목받침대(31')상에 머리부분을 올려 놓고서 뒤로 젖히게 되면, 도면에 실선을 표시된 것처럼 목받침대(31)가 위치하게 되고, 이때 목받침대(31)의 전후방향을 잇는 선은 수평선상(OH)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32)의 제1볼(32a)상에서 이루어지는 목받침대(31',31)의 회동각도는 도면에 "α"로 표기된 각도가 되는데, 이 각도는 상기 제1볼(32a)의 구면(球面)과 목받침대(31)의 회동홈(31a) 깊이를 제조시에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적의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적정한 범위로 설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2회동지지부(33a)상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회동부재(32,32')의 경사각도는 도면상에 "β"로 표기된 각도만큼의 범위로 나타나는데, 이는 상기 목받침대(31)를 전후로 이동시킬 때 연동하여 세면대(미도시)와 목받침대(31)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볼(32a)과 제2볼(32b)는 각각 상기 제1회동지지부(31c)와 제2회동지지부(33a)에 강한 마찰을 유지하며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 사용자의 머리무게만으로는 회동이 일어나지 않으며, 강한 외력에 의해서만 회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32)의 제1볼(32a)과 제2볼(32b) 사이에 돌출부(32c)를 형성함으로써, 제1볼(32a) 및 제2볼(32b)의 회동각도 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
또는, 도 8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동지지부재(33')의 제2회동지지부(33'a)에 수장되는 회동부재(32'')의 제2볼(32''a) 외주면에 회동방향을 따라 톱니와 같은 요철부를 형성하고, 이 요철부에 작용하여 제2볼(32''a)의 회동을 저지시키는 회동저지수단(33'b)을 회동지지부재(33')내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볼(32''a)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회동저지수단(33'b)의 구체적인 예로는, 상기 요철부의 홈에 끼워져 상기 제2볼(32''a)의 회동을 저지시킬 수 있는 고정단(33'ba)과, 이 고정단(33'ba)을 상기 요철부에 대해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조작을 위한 조정단(33'bb), 그리고 상기 고정단(33'ba)과 조정단(33'bb)을 연결하는 축(33'bc)으로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회동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의 회동부재(32''')는, 목받침대(31')에 결합되는 제1회동체(32'''a)와, 등받이(20)상에 결합되는 제2회동체(32'''b), 그리고 상기 제1회동체(32'''a) 및 제2회동체(32'''b)를 수용 및 지지하는 회동홈체(32'''c)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회동체(32'''a)와 제2회동체(32'''b)는 각각 상기 회동홈체(32'''c)의 상측 홈과 하측 홈에 끼워지는 제1볼과 제2볼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그 밖에 회동가능한 구조를 가진 어떠한 회동체라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홈체(32'''c)는 물론이고, 전술한 제1회동지지부(31c)와 제2회동지지부(33a,33'a)가 제1볼(32a,32'a,32'''a) 또는 제2볼(32b,32''a,32'''b)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는 첨부도면 도 10과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이 적용될 수가 있다.
즉, 회동홈체(32'''c) 및 제1,2회동지지부(31c,33a,33'a)와 같은 회동지지부(133)는, 회동부재(132)의 볼(132a)을 수용하는 수용체(133a)와, 이 수용체(133a)내에서 상기 볼(132a)의 탈락을 방지하는 방탈링(133b), 상기 볼(132a)의 표면과 마찰 접촉하는 마찰재(133c), 상기 방탈링(133b) 및 마찰재(133c)를 상기 수용체(133a)내에서 상기 볼(132a)과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캡(133d), 그리고 이들이 상기 수용체(133a)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용체(133a)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수용체캡(133e)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방탈링(133b)은 탄발적으로 상기 볼(132a)에 끼워질 수 있도록 "C"자형으로 일부가 끊어진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재(133c)는 상기 볼(132a)이 회동할 때 강한 마찰을 제공함으로써 볼(132a)이 쉽게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고무재질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캡(33d)은, 상기 볼(132a)에 방탈링(133b)이 끼워지고 마찰재(133c)가 올려진 상태에서 수용체(133a)에 스크류 결함됨으로써, 볼(132a)이수용체(133a)밖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는 머리감는 사람의 편의를 위해 시트(10)의 양측면에 팔걸이(40,40')가 구비될 수 있는데, 한쪽 팔걸이(40)의 측면부에는 등받이(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50)이 장착된다.
즉, 상기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50)은, 등받이(20)의 하측 내부를 가로질러 관통하여 양쪽 팔걸이(40,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축봉의 일단부에 위치하는데,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축봉(51)의 일단부에는 한쪽 팔걸이(40)측에서 래칫휠(52)이 장착되며, 이 래칫휠(52)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는 래칫(53)이 구비된 레버(54)가 함께 장착된다.
이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50)에 의해 등받이(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등받이(20)를 시트(10)의 상측면을 향해 접을 수도 있는 바, 이러한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50)은 통상의 래칫수단을 원용한 것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일반 가정에서 세면대를 사용하지 않고 유아의 머리를 감겨주는 경우에, 아이가 편안한 자세로 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20)를 후방을 향해 큰 각도로 기울인 상태로 의자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다리(60)를 등받이(20)의 후측면에 부설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다리(6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2에 보다 상세히 나타나 있듯이, 등받이(20)의 내측면에 고정부재(61)를 수단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로울러 형상의 회동부(62)와, 이 회동부(62)의 외주면으로부터 뻗어나온 원통형의 상부지지다리(63), 그리고 이 상부지지다리(63)내에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64)를 수단으로 하여 집어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하부지지다리(65)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동부(62)의 한쪽 측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홈(62)을 형성하고, 이와 대면하는 고정부재(61)에는 상기 회동부(62)의 회동시에 회동부(62)의 홈(62)과 서로 연통될 수 있는 호울(61a)과 이 호울(61a)을 관통하면서 상기 회동부(62)의 홈(62a)에 삽입되어 회동부(62)의 회동을 저지시킬 수 있는 핀(61b)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다리(60)가 욕실 바닥과 같은 미끄러운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하부지지다리(65)의 저면부에는 바닥과의 마찰력을 크게 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홈(65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등받이(20) 또는 등받이커버(21)에는 상기 지지다리(60)를 끼워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장입홈(21a)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어린 아이들중 특히 키가 작은 1세-4세 정도의 영·유아들을 위하여,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등받이(20)의 앞쪽에 보조시트(70)를 장착할 수도 있는데, 이 보조시트(70)는 등받이(20)와 접하는 한쪽 변에 힌지부재(71)와 함께 부설됨으로써 등받이(20)쪽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상기 힌지부재(71)는 보조시트(70)를 폈을 때에 등받이(20)와 직각을 이룬채로 고정되도록 회동각도가 제한된 것이 사용된다.
이와 아울러, 등받이(20)의 전면부에는 상기 보조시트(70)를 안착시킬 수 있는 보조시트 안착홈(24)을 형성함으로써, 보조시트(70)의 미사용시에 보조시트(70)의 돌출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안착홈(24)의 가장자리에는 보조시트(7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잠금돌기(20b)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보조시트(70)의 한쪽에는 안착홈(24)에 안착된 상태에서 쉽게 빼낼 수 있도록 손잡이홈(70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트(10)의 저면에는 통상의 의자와 마찬가지로 의자에 가해지는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다리(8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 다리(80)는 시트(10)의 저면부쪽으로 접었다가 펼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첨부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의 저면부(10a)는 외곽 테두리(10b)에 비하여 안쪽으로 함몰되어 있는데, 이 외곽 테두리(10b)와 접하는 다리(80)의 양단부가 힌지봉(8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다리(80)를 시트(10)의 저면부(10a)상에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시트(10)의 저면부(10a)에는 상기 다리(80)가 탄발적으로 삽입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는 탄지구(10d)를 부설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다리(80)를 펼친 상태에서 다리(80)가 임의로 접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시트(10)의 저면부(10a)에는 다리(80)의 회동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편(11)이 부설되며, 아울러 이 고정편(11)을 억지끼움식으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10c)이 시트(10)의 저면부(10a)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등받이 각도 조절수단(50)과 지지다리(60), 보조시트(70),그리고 다리(80)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수단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되도록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로 구현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샴푸용 의자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10)의 저면부(10a)로부터 다리(80)를 펼쳐서 고정편(11)으로 고정시킨 후, 세면대(90)를 향해 등지도록 의자를 근접시킨 상태에서, 머리 감을 사람을 시트(10)에 앉혀 등받이(20)에 기대어 눕힌다.
이때, 머리를 감겨줄 사람이 경부지지수단(30)의 회동지지부재(33)를 등받이(20)로부터 인출하여 목받침대(31)에 머리 감을 사람의 목과 머리부위를 안착시킨다.
아울러, 팔걸이(40)쪽에 장착된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50)의 레버(54)로 등받이(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세면대(90)와의 거리가 가장 적절한 상태가 되도록 하며, 세면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등받이(20) 후면부의 지지다리(60)를 펴서 의자의 균형을 잡아주도록 한다.
만일, 머리 감을 사람의 머리부분과 세면대(90)와의 간격이 부적절하면, 상기 경부지지수단(30)의 회동부재(32) 하단부에 구비된 제2볼(32b)을 회동지지부재(33)의 제2회동지지부(33a)상에서 회동시켜 적절한 간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머리를 감을 때에 머리 감는 사람에게 가장 편안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척수가 세면대(90)측으로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기 목받침대(31)를 상기 회동부재(32)의 제1볼(32a)상에서 회동시켜 가장 적절한 경사각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등받이(20)와 경부지지수단(30)의 경사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머리 감는 사람이나 머리를 감겨주는 사람 모두가 편리한 자세에서 샴푸를 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머리를 적신 세척수가 신체의 다른 부위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목받침대(31)에 형성된 배수홈(31ba)을 통해 세면대(90)쪽으로 잘 배수되므로 여타의 신체부위가 물에 젖을 염려는 없게 된다.
만약에, 1-4세 정도의 키가 매우 작은 영·유아들의 머리를 감겨줄 경우에는, 상기 등받이(20)에 구비된 보조시트(70)를 보조시트 안착홈(24)으로부터 펼쳐서 그 위에 앉힘으로써 신체조건에 따른 사용상의 문제가 없도록 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샴푸용 의자에 대한 사용을 마친 후 보관할 때는, 먼저, 상기 회동부재(32)를 회동지지부재(33)상에 직립상태가 되도록 회동시켜 회동지지부재(33)와 함께 등받이의 삽입홈(20a)으로 적절한 외력을 가하여 밀어넣는다(이때, 회동지지부재(33)의 래크부(33b)가 등받이(20) 내부의 피니언부재(23)와 맞물려 돌아감으로써 절도감있게 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64)를 해제시켜서 지지다리(60)의 하부지지다리(65)를 상부지지다리(63)안으로 집어 넣는다.
또, 보조시트(70)를 보조시트 안착홈(24)으로 회동시켜 접은 뒤,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50)의 레버(54)를 이용, 래칫(53)으로부터 래칫휠(52)이 자유회전하도록 하여 등받이(20)를 시트(10)의 윗면쪽으로 접는다.
끝으로, 시트 저면부(10a)의 고정편(11)을 수납홈(10c)에 집어넣어서 양측의 다리(80)가 자유회동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어서 다리(80)를 시트 저면부(10a)에 밀착되도록 접음으로써, 최소의 부피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샴푸용 의자는 일반 가정이나 의료기관 등에서 영·유아나 노약자, 환자, 지체 부자유자 들을 주요한 사용 대상자로 하고 있지만, 이/미용실과 같은 업소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용 의자는, 일반 가정 등에서 어린 아이나 노약자 등을 상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관하기에도 편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7)

  1. 시트, 등받이, 목 받침대, 그리고 상기 목 받침대가 상기 등받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목받침대와 등받이를 연결하는 회동부재를 구비한 삼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가
    그 일단 또는 양단이 구형 단부인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구형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지지홈을 구비한 회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가 등받이 또는 목 받침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푸용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가 등받이 및 목 받침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푸용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일단이 상기 목 받침대와 결합되며 타단이 구형단부인 제1회동체와 일단이 상기 등받이와 결합되며 타단이 구형단부인 제2회동체로 이루어 지며,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제1회동체의 구형 단부가 수용되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홈과 상기 제1지지홈에 대향되게 상기 제2회동체의 구형 단부가 수용되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푸용 의자.
  5. 제1항,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목받침대의 회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도록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푸용 의자.
  6.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는 방탈링과 상기 방탈링보다 상태적으로 큰 마찰계수를 가진 마찰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푸용 의자.
  7.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의 구형 단부에는 회동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지지부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일단이 상기 요홈부에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돌출되며 타단이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연장된 조작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푸용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푸용 의자가
    상기 등받이와 시트가 서로 접혀지거나 또는 상기 등받이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팔걸이에 구비된 등받이 각도 조절수단;
    사기 등받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보조 다리;
    상기 등받이의 전면에 접철될 수 있도록 창작된 보조시트;
    상기 시트와 상기 등받이가 지면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저면에 장착되는 지지 다리; 및
    상기 지지 다리가 상기 시트 저면부에 접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 다리 접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푸용 의자.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1-0002339A 2001-01-16 2001-01-16 샴푸용 의자 KR10041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339A KR100416243B1 (ko) 2001-01-16 2001-01-16 샴푸용 의자
PCT/KR2002/000070 WO2002056734A1 (en) 2001-01-16 2002-01-16 Shampoo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339A KR100416243B1 (ko) 2001-01-16 2001-01-16 샴푸용 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148U Division KR200233921Y1 (ko) 2001-01-16 2001-01-16 샴푸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331A KR20020061331A (ko) 2002-07-24
KR100416243B1 true KR100416243B1 (ko) 2004-01-31

Family

ID=2769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339A KR100416243B1 (ko) 2001-01-16 2001-01-16 샴푸용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16243B1 (ko)
WO (1) WO20020567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12B1 (ko) * 2002-11-23 2005-12-02 주식회사 컴마트 절첩 시트
KR101018729B1 (ko) * 2008-09-11 2011-03-04 김종석 다기능성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0092B (zh) * 2021-08-02 2023-11-24 浙江奥士智能家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集成的智能办公椅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687Y1 (ko) * 1987-01-19 1990-11-30 이선홍 의자의 머리받침구
KR900002434Y1 (ko) * 1987-11-05 199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자기의 푸라튼 위치 변환 장치
JPH11192264A (ja) * 1998-01-05 1999-07-21 Ichiro Otani 介護用折り畳み椅子
KR19990064481A (ko) * 1999-03-15 1999-08-05 박상규 온열 치료기겸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12B1 (ko) * 2002-11-23 2005-12-02 주식회사 컴마트 절첩 시트
KR101018729B1 (ko) * 2008-09-11 2011-03-04 김종석 다기능성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56734A1 (en) 2002-07-25
KR20020061331A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110B2 (en) Resilient leaning position-restoring device for height-adjustable chair back of office chair
JPH0568965B2 (ko)
KR101908213B1 (ko)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JPH05507433A (ja) 一体構造の便器付き椅子
US7562402B1 (en) Bathtub hair wash recliner for toddler
KR100416243B1 (ko) 샴푸용 의자
KR200233921Y1 (ko) 샴푸용 의자
US6318804B1 (en) Child&#39;s hair shampooing chair
KR200245184Y1 (ko) 샴푸용 의자
US20060272085A1 (en) Recreational bath chair
JP6817665B1 (ja) トイレ用肘掛け装置
KR102521635B1 (ko) 각도와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20060020530A (ko) 샴푸 의자
KR101062216B1 (ko) 의자
KR200342262Y1 (ko) 변기 겸용 접이식 세발의자
KR101062371B1 (ko) 침대 겸용 의자
KR200291081Y1 (ko) 변기 겸용 유아용 샴푸 의자
KR920004946Y1 (ko) 목욕 의자
KR20190050548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용 등받이
KR200249360Y1 (ko) 침대를 겸한 소파의 프레임
KR100459082B1 (ko) 의자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200320382Y1 (ko) 다용도 유아용 배변기
KR200196479Y1 (ko) 유아겸용 좌변기의 좌판
KR200347189Y1 (ko) 샴푸의자의 등받이 회전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