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672B1 - 인장강도 780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장강도 780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672B1
KR100415672B1 KR10-1999-0063057A KR19990063057A KR100415672B1 KR 100415672 B1 KR100415672 B1 KR 100415672B1 KR 19990063057 A KR19990063057 A KR 19990063057A KR 100415672 B1 KR100415672 B1 KR 10041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rolled steel
hot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0651A (ko
Inventor
조열래
박기종
설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6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67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정량의 망간, 티타늄, 니오븀 및 몰리브덴을 첨가하고 열간압연 및 권취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높은 인장강도, 18% 이상의 연신율 및 우수한 굽힘성을 동시에 갖는 인장강도 780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량%로 탄소 : 0.06∼0.10%, 실리콘 : 0.2% 이하, 망간 : 1.4∼2.0%, 인 : 0.02% 이하, 황 : 0.005% 이하, 알루미늄: 0.010∼0.050%, 티타늄: 0.050∼0.15%, 니오븀 : 0.020∼0.040%, 몰리브덴 : 0.1~0.3%, 질소 : 50ppm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고 페라이트 단상조직을 갖는 인장강도 780 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인장강도 780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A TENSILE STRENGTH OF 780MPa GRADE HOT ROLLED STEEL SHEET FOR STRUCTURAL US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상용차의 프레임 및 데크, 특장차 크레인 붐(boom) 등의 구조용 강도부재로 적용되는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성분을 조정하고 열간압연 및 권취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굽힘성과 용접특성을 갖는 인장강도 780 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연강판의 가공성은 굽힘성, 장출성 및 연신플랜지성 등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구조용 열연강판에서 주로 요구되는 성질은 굽힘성이며, 이는 주로 비금속 개재물 및 밴드상의 퍼얼라이트 조직에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구조체 접합의 측면에 있어서 용접과 리벳팅을 고려할 수 있는데, 구조체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접부의 연화량이 가능한 작아야 한다.
최근에 개발되는 인장강도 780 MPa급 이상의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들은 상기한 연성과 연신 플랜지성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기 보다는, 각각의 변형특성에 적합한 조직을 이용하는데, 그 예로서 다음의 기술들이 있다.
즉, 일본특허 공개공보(소)61-15128호에 개시된 이상강(dual phase steel)은 석출강화형 열연강판에 비해, 강도-연신율 밸란스 특성이 우수하나 신장플랜지성은 베이나이트 단상강에 비하여 열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 공개공보91-358007호에서는 종래의 이상강과는 달리 TiC 탄화물로 석출강화된 페라이트와 제 2상을 마르텐사이트로 조직제어함으로써, 연신율 및 피로특성이 우수한 저항복비형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제안하고 있다.
일본특허 공개공보(평) 3-10049호에는 상기 이상강에 비해 더욱 고연성을 갖는 인장강도 780∼980MPa의 잔류 오스테나이트강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 잔류오스테나이트강은 인장강도-연신율 밸란스가 극히 우수하나 인장특성이 잔류오스테나이트량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열연강판의 폭방향,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재질을 얻기가 어려운 제조상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이상강 또는 잔류오스테나이트강은 강도×연신율 발란스 측면에서는 대단히 우수하나, 열간압연후 페라이트의 조기석출을 위해 0.5∼2.5wt% 범위의 Si이 첨가되므로, 표면 산화스케일결함 발생가능성이 높으며, 성형단계에서 잔류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유기변태되는 과정에서 구성 상간의 경도차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의 페라이트-퍼얼라이트 조직강 혹은 페라이트 단상강에비해 신장플랜지성이 나쁘고 전단가공이 최종 가공면일 경우 굽힘성 역시 열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강도×신장플랜지성 발란스 측면에서는 일본강관(NKK) 등에서 제안된 페라이트-베이나이트 복합조직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 강은 열간압연후 런 아웃 테이블(run out table) 상에서 3단 제어냉각패턴을 적용하고 450∼500℃의 온도 범위에서 권취를 행하여 제조함으로써, 페라이트 기지와 제 2상간의 경도차가 작고, 입계 세멘타이트의 생성이 억제되어 강도×연신플랜지성 발란스가 우수하다. 그러나, 가공용 용도에서 비교적 낮은 값인 18% 전후의 연신율을 가지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적정량의 망간, 티타늄, 니오븀 및 몰리브덴을 첨가하고 열간압연 및 권취온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높은 인장강도, 18% 이상의 연신율 및 우수한 굽힘성을 동시에 갖는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량%로 탄소 : 0.06∼0.10%, 실리콘 : 0.2% 이하, 망간 : 1.4∼2.0%, 인 : 0.02% 이하, 황 : 0.005% 이하, 알루미늄: 0.010∼0.050%, 티타늄: 0.051∼0.15%, 니오븀 : 0.020∼0.040%, 몰리브덴 : 0.11~0.3%, 질소 : 60ppm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고, 페라이트 단상조직을 갖는 인장강도 780 MPa급 구조용 열연강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로 탄소 : 0.06∼0.10%, 실리콘 : 0.2% 이하, 망간 : 1.4∼2.0%, 인 : 0.02% 이하, 황 : 0.005% 이하, 알루미늄: 0.010∼0.050%, 티타늄: 0.051∼0.15%, 니오븀 : 0.020∼0.040%, 몰리브덴 : 0.11~0.3%, 질소 : 60ppm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강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오스테나이트온도역에서 마무리열간압연한 다음, 550~640℃의 온도범위까지 냉각하고 이 온도에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강도 780 MPa급 구조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탄소(C)는 열연강판의 강도를 얻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원소인데, 본 발명강에서는 굽힘성을 열화시키는 퍼얼라이트조직의 생성억제, 즉 페라이트 단상조직화 및 입계 세멘타이트의 저감을 위하여 티타늄 및 니오븀 탄화물의 석출에 필요한 최소량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그 함량은 0.06∼0.1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간(Mn)은 고용강화에 유효한 원소로, 그 함량이 1.4% 미만인 경우에는 기대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2.0%를 초과하면 강도는 780MPa 이상이나 연신율이 급격히 감소된다. 즉, 망간 함유량이 증가하면 강의 소입성이 증가되어 베이나이트 단상화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티타늄 탄화물의 석출이 억제되어 강도가 오히려 저하되기 때문에, 그 함량은 1.4∼2.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소(Si)는 연성의 열화없이 강도를 상승시키는 고용강화원소이나, 열연강판 표면에 산화스케일 결함을 유발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유화물의 형상제어를 위하여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그 함량을 0.2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이 상기 범위로 첨가되면, 양호한 표면성상을 얻을 수 있다.상기 알루미늄은 탈산제로 첨가되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0.010%미만인 경우에는 탈산효과가 미흡하고, 그 함량이 0.0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탈산효과가 포화되어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알루미늄의 첨가량은 0.010-0.0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인이 너무 많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입계취화현상을 야기시키므로, 그 함량은 0.02%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오븀(Nb)은 열간압연동안 석출되거나 고용상태로 존재하면서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 미세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페라이트상의 석출강화에도 유효한 원소로서, 그 첨가량이 0.020%미만인 경우에는 첨가효과가 미흡하고, 그 첨가량이 0.04%를 초과하면 연속주조 슬라브의 제조과정에서 주편크랙을 생성시킬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 첨가량은 0.02-0.04%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Ti)은 본 발명강에 있어 중요한 원소로, 열간압연후 냉각과정에서 페라이트 조직내 티타늄-니오비움 탄화물 또는 티타늄-니오븀-몰리브덴 복합탄화물로 석출하여 페라이트 기지의 강화에 기여하게 된다. 그 함량이 0.051%미만인 경우에는 석출강화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고, 그 함량이 0.15%를 초과하여도 무방하나 석출강화효과가 포화되기 때문에, 상기 티타늄의 첨가량은 0.051∼0.1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리브덴(Mo)은 Mn과 더불어 강의 소입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본 발명의 압연후 권취온도범위에서는 티타늄 및 니오븀과 더불어 석출강화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장강도 780MPa급 열연강판의 강도수준과 용접성을 고려하여 몰리브덴은 0.11%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함량이 0.3%를 초과하면 몰리브덴에 의한 소입성증가의 역기능인, 용접부 균열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기 때문에, 몰리브덴(Mo)의 첨가량은 0.11-0.3%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성된 강 슬라브를 재가열한 후 열간압연하는데, 바람직하게는 Ar3이상인 840℃ 이상에서 마무리열간압연하고, 550~64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종래 HSLA강의 제조에서는, 석출강화원소가 미세한 탄화물로 석출되면서 강도상승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 열간압연후 600℃전후에서 권취하였는데, 본 발명도 기본적으로는 페라이트상에서의 탄화물을 석출시키는 것은 동일 개념이기 때문에, 상기 권취온도를 550~640℃범위로 설정하였다. 상기 온도가 이보다 낮으면 석출이 억제되고, 반대로 높으면 석출물크기는 조대화되어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열연강판은, 최종조직에서 티타늄-니오븀-몰리브덴 복합탄화물로 석출강화된 페라이트 단상조직을 갖고, 기계적성질에 있어서는 인장강도 780 MPa 이상, 항복강도 690 MPa 이상, 인장강도×연신율 발란스가 15000 MPa·% 이상의 우수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
하기 표1의 화학성분을 갖는 강 슬라브를 하기 표2의 조건으로 열간압연하여 냉각한 후 권취온도를 달리하여, 최종 판 두께가 3.2∼6.0mm인 열연강판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조된 열연강판의 기계적성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이 때, 인장강도는 압연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JIS 5호 인장시편을 제작한 후 상온에서 10mm/min의 속도로 인장하여 평가하였다.
굽힘시험은 압연 직각방향의 35W×240L×t(mm) 크기의 시편의 버(burr) 발생부위를 굽힘부의 외측에 오도록하여 굽힘부 크랙이 발생되는 최소 반경을 측정하였다.
강종 화학성분(중량%)
C Mn Si P S Al Ti Nb Mo N(ppm)
종래강1 0.075 1.45 0.16 0.009 0.006 0.043 0.035 14
종래강2 0.078 1.68 0.08 0.013 0.001 0.031 0.105 0.033 40
발명강 0.073 1.69 0.05 0.017 0.002 0.034 0.088 0.030 0.20 38
비교강1 0.074 1.65 0.10 0.010 0.005 0.037 0.082 0.031 0.10 36
비교강2 0.075 1.70 0.01 0.010 0.003 0.032 0.050 0.030 0.22 40
구분 권취온도(℃) 두께(mm) 기계적성질 인장강도×연신율발란스(MPa×%) 굽힘최소반경
항복강도(MPa) 인장강도(MPa) 연신율(%)
종래재1 종래강1 580 3.6 510 617 27 16659 1T
종래재2 종래강2 594 1.0 657 745 21 15649
종래재3 585 5.0 666 735 21 15435
비교재1 발명강 650 5.0 627 774 23 17802
발명재1 620 3.2 764 833 21 17493
발명재2 580 4.5 735 794 20 15880
비교재2 550 4.0 666 764 18 13752
비교재3 비교강1 600 696 754 18 13752
비교재4 비교강2 725 774 21 16254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강으로 제조된 발명재(1),(2)는 모두 인장강도 780MPa이상, 연신율 18%이상, 인장강도×연신율 밸런스가 15000(MPa×%) 이상이고, 1t 굽힘에서도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강의 성분범위를 모두 만족시키지 않는 종래강 및 비교강으로 제조된 종래재(1),(2) 및 비교재(3),(4)는 기계적 성질이 본 발명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발명강을 이용하지만 권취온도가 본 발명범위보다 높은 비교재(1)의 경우에는, 석출물들이 조대화되면서 석출강화효과가 저하되어 인장강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발명강을 이용하지만 권취온도가 본 발명범위보다 낮은 비교재(2)의 경우에는, (Ti,Nb,Mo)C계 석출물의 석출이 억제되고 베이나이트 등의 저온변태조직이 생성되어 기계적 성질이 본 발명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한편, 상기 표2의 모든 시편들은 0.1%C 이하의 저탄소를 함유한 페라이트 단상조직강이기 때문에, 굽힘성이 대단히 우수하였다. 즉, 180°완전밀착 굽힘시험에서 균열은 발생되지 않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성분을 조정하고 열간압연 및 권취온도를 제어함으로써, 티타늄-니오븀-몰리브덴 복합탄화물로 석출강화된 페라이트 단상조직강을 갖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인장강도 780MPa급 열연강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중량%로, 탄소 : 0.06∼0.10%, 실리콘 : 0.2% 이하, 망간 : 1.4∼2.0%, 인 : 0.02% 이하, 황 : 0.005% 이하, 알루미늄: 0.010∼0.050%, 티타늄: 0.051∼0.15%, 니오븀 : 0.020∼0.040%, 몰리브덴 : 0.11~0.3%, 질소 : 60ppm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고, 티타늄-니오븀-몰리브덴 복합탄화물로 석출강화된 페라이트 단상조직을 갖는 인장강도 780 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2. 중량%로, 탄소 : 0.06∼0.10%, 실리콘 : 0.2% 이하, 망간 : 1.4∼2.0%, 인 : 0.02% 이하, 황 : 0.005% 이하, 알루미늄: 0.010∼0.050%, 티타늄: 0.051∼0.15%, 니오븀 : 0.020∼0.040%, 몰리브덴 : 0.11~0.3%, 질소 : 60ppm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강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오스테나이트온도역에서 마무리열간압연한 다음, 550~640℃의 온도범위까지 냉각하고 이 온도에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강도 780 MPa급 구조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9-0063057A 1999-12-27 1999-12-27 인장강도 780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057A KR100415672B1 (ko) 1999-12-27 1999-12-27 인장강도 780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057A KR100415672B1 (ko) 1999-12-27 1999-12-27 인장강도 780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651A KR20010060651A (ko) 2001-07-07
KR100415672B1 true KR100415672B1 (ko) 2004-01-31

Family

ID=1963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057A KR100415672B1 (ko) 1999-12-27 1999-12-27 인장강도 780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91B1 (ko) 2002-12-24 2011-03-04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용접 열영향부의 내연화성과 버링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KR100957937B1 (ko) * 2002-12-27 2010-05-13 주식회사 포스코 인장강도 780 MPa급 후물재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355744B1 (ko) * 2012-09-27 2014-01-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 및 그 제조 방법
CN103849811B (zh) * 2014-03-31 2015-12-30 武汉钢铁(集团)公司 低脆性750MPa级汽车大梁用钢及其制造方法
CN114107807A (zh) * 2021-11-03 2022-03-01 邯郸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低成本轻型随车吊吊臂用钢650db及其生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9617A (ja) * 1995-03-30 1996-10-15 Kawasaki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る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49050A (ja) * 1995-05-30 1997-02-18 Kobe Steel Ltd 成形後の降伏強度低下の少ない高強度熱延鋼板、それを用いて成形されたパイプ及びその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H10298645A (ja) * 1997-04-24 1998-11-10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9617A (ja) * 1995-03-30 1996-10-15 Kawasaki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る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49050A (ja) * 1995-05-30 1997-02-18 Kobe Steel Ltd 成形後の降伏強度低下の少ない高強度熱延鋼板、それを用いて成形されたパイプ及びその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H10298645A (ja) * 1997-04-24 1998-11-10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651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972B1 (ko)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트
CN113166897B (zh) 具有优异的可冷加工性和ssc抗力的超高强度钢及其制造方法
KR101482342B1 (ko) 용접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672B1 (ko) 인장강도 780MPa급 구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836B1 (ko) 내충격 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49137B1 (ko) 용접성 및 하이드로포밍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340580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780㎫급 자동차용 열연강판 및그 제조방법
KR101246272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3205B1 (ko) 자동차용 구조용 초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671B1 (ko) 피로특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80㎏/㎟급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1619A (ko)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368831B1 (ko) 연신플랜지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70킬로그램/제곱미리미터급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2498134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172920A (ja) 高強度熱間圧延鋼板及びその製造法
KR102098478B1 (ko) 고강도, 고성형성, 우수한 소부경화성을 갖는 열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RU2773722C1 (ru) Горячекатаный стальной лис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009839B1 (ko) 고강도 고성형 강판의 제조방법
KR100530057B1 (ko) 가공성 및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제조방법
JPH04110423A (ja) 溶接性の優れた低降伏比80Kgf/mm↑2級鋼板の製造方法
KR101091368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412376B1 (ko) 열간압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라인파이프용 강판
KR20220125755A (ko) 높은 연성과 국부 성형성을 가지는 초고장력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368222B1 (ko) 고온강도 특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58kgf/㎟급 건축용 강재의 제조방법
KR19990042047A (ko) 강도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500㎫급 고장력 후판의 제조방법
KR100530059B1 (ko) 드로잉성, 소부경화성 및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냉연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