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310B1 -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310B1
KR100415310B1 KR10-2001-0025692A KR20010025692A KR100415310B1 KR 100415310 B1 KR100415310 B1 KR 100415310B1 KR 20010025692 A KR20010025692 A KR 20010025692A KR 100415310 B1 KR100415310 B1 KR 10041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fermentation tank
mixture
reduction mo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045A (ko
Inventor
이근배
Original Assignee
이근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배 filed Critical 이근배
Priority to KR10-2001-0025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3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86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년 중 24시간 연속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과 기능이 우수하고 짧은 시간 안에 처리능력이 탁월한 특징 등이 있다. 이는 분뇨 저장조 내부의 분뇨 위치를 계속하여 수직 이동시키면서 대기중에 노출시켜 원활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발효조 내부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증발된 수증기를 원활히 배출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가능토록 하였다.

Description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DEVICE OF NIGHT SOIL FERMENTION EVAPORATE FOR STOCK}
본 발명은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용 및 생필품 제조를 위한 목적으로서의 다양한 가축은 인류의 존속을 위해 필수적인 것인데,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필요한 가축의 숫자도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축들이 배출하는 분뇨를 환경오염의 문제없이 과학적으로 처리한 후 자연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한 종래의 장치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넓은 면적을 가지는 풀(Pool)과 같은 장소에 적당한 수분을 가지는 톱밥을 1미터 내지 2미터 정도의 높이로 채워 넣은 후 약 7일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가 이루어지면 문형(門型) 크레인과 유사한 교반장치가 상기 발효된 톱밥을 뒤집어 엎으면서 동시에 가축의 분뇨를 상기 톱밥에 호스로 살포시킨다. 따라서 발효된 톱밥과 가축의 분뇨는 혼합이 되는데 이 상태에서 다시 약 7일간 방치시키고 다시 위와 같이 톱밥을 뒤집어 주면서 분뇨를 호스로 뿌려주는 작업을 반복하고 7일간 방치시키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서 분뇨는 발효가 되면서 증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거의 효용성이 없는 것으로 전락되었다. 그 이유로서, 분뇨의 투입량이 많으면 수렁과 같은 상태가 되어 발효에 따른 자체발열 작용 및 이로 인한 발효 발생작용에 큰 장애가 되어 목적을 이룰 수 없고, 그 반대의 경우에도 역시 발효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톱밥의 소비만 많아지며 작업성과가 불량하여 분뇨 처리에 큰 문제를 일으킨다. 그리고 이 방식은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서 효율은 저조하여 사실상 전시효과 이외에는 성과가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 이외에 호퍼 컨베어 방식이나 스크류 컨베어 방식, 로타리 방식 등을 이용하여 가축의 분뇨를 발효 및 증발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안출된 바는 있으나 작업시간이 과다히 투입되는 반면 효율적이지 못하고 발효 및 증발 기능이 불량하여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인바, 이들 종래의 장치 및 발명들은 가축의 분뇨가 발효 및 증발될 때 적당한 발효온도 유지를 위한 가열수단 및 발효조 내부의 온도 조절 및 증발되는 수증기의 원활한 배출과 함께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한 산소 공급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톱밥과 분뇨가 양호히 발효되기 위해서는 최소 25℃의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는데 발효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열에만 의존하므로 하절기에만 사용이 가능하고 1회 개복 및 교반 작업 후 최소 7일이 경과되어야만 발효 온도가 75℃로 유지되게 되어 처리량 대비 많은 시간이 할애되어야 하는 폐단을 안고 있다. 그리고 단 시간 안에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로 인하여 톱밥이 빨리 분해(부식)되어서 짧은 주기로 1루베 당 1만원 내지 2만원이 지불되어야 하는 고가의 톱밥을 교체하여야 하는 큰 문제도 안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장치 및 고안들이 해결하지 못하였던 경제성, 기능성, 신속한 처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를 제공코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20)이 위쪽으로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결된 채 제1 스크류컨베어(100)와 제2 스크류컨베어(110)가 장치되어 분뇨 발효조(30)의 하방으로부터 나선축(50)에 의해 배출되는 분뇨와 톱밥 혼합물을 벨트 컨베어(260)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대칭형의 제 1통로(11)와 제 2통로(12)가 형성된 콘크리트 지지부(10)와; 상기 제 1통로(11) 및 제 2통(12)로 안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분뇨 발효조(30)의 하방으로부터 배출된 분뇨와 톱밥 혼합물을 벨트 컨베어(260)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스크류컨베어(100) 및 제 2스크류컨베어(110)와; 상기 제1 스크류컨베어(100)를 체인을 통해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모타(240) 및 상기 제2 스크류컨베어(110)를 체인을 통해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모타(250)와; 상측에 고정된 분뇨 발효조(30)를 지지하며 2대의 왕복장치(40)가 분뇨 발효조(30)의 좌우로 전 ·후진할 수 있는 레일이 되고, 상기 왕복장치(40)의 전 ·후진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전후에 리미트 스위치(21, 22)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20)과; 지지대(41)의 상면에는 분뇨 및 톱밥 혼합물 배출용 나선축(50)을 체인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모타(43)가 고정되고 저면에는 상기 프레임(20) 상에서 이동을 하기 위한 4개의 바퀴(42)가 조립되며 상기 나선축(50)을 지지하기 위한 지브 베어링(46)이 저면에 고정된 2대의 왕복장치(40)와; 측면에는 내부의 분뇨 및 톱밥 혼합물의 발효 온도를 체크하기 위한 온도센서(300)가 설치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벨트 컨베어(260)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위쪽과 아래쪽이 개방된 채 상기 프레임(20) 상에 고정되는 사각형태의 분뇨 발효조(30)와; 상기 왕복장치(40)의 감속모타(43)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하고 중앙을 기점으로 오른나사 날개와 왼나사 날개가 형성되어 분뇨 발효조(30) 하방을 전 ·후진하면서 분뇨 발효조(30) 하방에 노출되어 있는 분뇨 및 톱밥 혼합물을 위 제1 통로(11)로 배출시키기 위한 나선축(50)과; 상기 나선축(50)의 양단부에 삽입된 지지관(61)을 통해 지지된 채 나선축(50)이 회전하면서 분뇨 및 톱밥 혼합물을 위 제1 통로(11)로 배출시킬 때 분뇨 및 톱밥 혼합물이 잘 밀려 나가도록 가이드 하는 반원형의 카바(60)와; 분뇨 발효조(3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감속모타(270)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제1, 2 스크류컨베어(100, 11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 분뇨와 톱밥 혼합물을 다시 분뇨 발효조(30)로 공급시켜 추락시키기 위한 벨트 컨베어(260)와; 상기 프레임(20)에 조립된 와이어 풀러(220) 및 상기 왕복장치(40)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감속모타(200)의 축에 조립된 와이어 풀리(210)에 감긴 채, 끝 부분 2개의 단부(230a, 230b)가 상기 카바(60)의 지지관(61)에 고정되어 감속모타(200)의 정 ·역회전 동력을 받아 상기 왕복장치(40)를 상기 프레임(20) 상에서 전 ·후진시키기 위한 2개 1조의 와이어 로프(230)와; 상기 분뇨 발효조(30)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80)에 고정된 채 분뇨 발효조(30) 내부에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며,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연결관(91)을 통해 공급되고 온수 배출관(92)을 통해 다시 보일러로 순환되도록 한 분뇨 및 톱밥 혼합물 가열용 가열관(90)들과; 상기 가열관(90)들 사이에서 분뇨 발효조(30) 내부에 수직으로 위치한 채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 배출관(72)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74)들을 통해 분뇨 및 톱밥 혼합물 내부로 분출시켜 수증기 및 개스를 원활히 증발 및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 공급관(70)들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품을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 5, 6, 7,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품을 나타낸 참고도.
도 9, 10은 본 발명의 카바의 방향전환 요령을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20: 프레임
30: 분뇨 발효조 40: 왕복장치
50: 나선축 60: 카바
70: 공기 공급관 90: 가열관
100: 제 1스크류컨베어 110: 제 2스크류컨베어
43, 200, 240, 250: 감속모타 230:와이어 로프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조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톱밥 8톤과 돼지의 분뇨 300리터를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분뇨 발효조(30) 안으로 충진시켜야 하는데, 상기 벨트 컨베어(260)를 이용하거나 포크레인 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동시에 미 도시된 보일러를 가동시켜 80℃의 온수를 온수 공급관(93)을 통해 가열관(90) 안으로 주입시킴에 따라 온수는 연결관(91)들을 통하여 각 가열관(90) 내부로 충진되면서 분뇨 및 톱밥 혼합물(이하 혼합물이라 함)을 가열시킨다. 그리고 온도가 낮아진 상기 온수는 온수 배출관(92)을 통해 다시 보일러로 진입하여 재가열 되고 이는 순환된다. 이때 가열관(90)의 숫자는 분뇨 발효조(30)의 크기에 따라 비례적으로 가감시킬 수 있다.다음, 상기 발효조(30)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300)에 의해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75℃ 정도의 온도까지 상승됨이 확인되면 왕복장치(40)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감속모타(200)와 제1, 2스크류컨베어(100, 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모타(240, 250) 그리고 컨베어 벨트(260)를 가동시키기 위한 감속모타(270) 및 왕복장치(40)의 감속모타(43)를 동시에 가동시킨다. 따라서 감속모타(200)의 와이어 풀리(210)가 정회전함에 따라 위 와이어 풀리(210) 및 프레임(20)에 조립되어 있는 와이어 풀리(220) 사이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 로프(230) 역시 정회전 하게 된다.이때 왕복장치(40)의 감속모타(43)의 동력이 체인에 의해 나선축(50)에 전달되어 나선축(50)도 정회전을 하게 되고 제 1, 2스크류컨베어(100, 110)도 회전을 하게 되며 벨트 컨베어(260)도 도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로써 콘크리트 지지부(10)의 제 1통로(11)에 상기 혼합물이 추락하기만 하면 제1 스크류컨베어(100)를 통해 전방의 제 2통로(12)로 이송되고 제2 통로(12)를 거쳐 벨트 컨베어(260)의 끝 부분으로 추락하게 되며 이는 컨베어 벨트(260)를 타고 올라가서 다시 분뇨 발효조(30) 안으로 재투입 된다.
한편, 감속모타(200)의 정회전에 의하여 와이어 로프(230) 역시 정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와이어 로프의 단부(230a)는 도 4, 도 9, 도 10과 같이 지지관(61)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쇠(63)에 끝이 고정된 채 지지관(61)의 좌측 절반만 감겨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반대쪽의 단부(230b)는 고정쇠(64)에 끝이 고정된 채 지지관을 한 바퀴 감은 채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230)의 당김력에 의해 왕복장치(40)는 도 1에서 우측으로 서서히 이동을 하게 되며 나선축 (50)과 카바(60)는 혼합물을 헤치고 우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혼합물에 의해 진행을 방해 받음과 동시에 와이어 로프(230)의 좌우측 당김력이 균형을 이룬 상태이기 때문에 카바(60)는 나선축(50)의 진행방향의 뒤쪽에 머물게 되는 것이다.따라서 분뇨 발효조(30) 하방으로 노출되어 있고 콘크리트 지지부(10)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혼합물은 진행하면서 회전하고 있는 나선축(50)의 회전력에 의해 카바(60)의 내측면에 부딪히면서 결국 제1 통로(11) 쪽으로 배출되어서(도 3 참조) 제1 스크류컨베어(100) 의 나사산 안으로 추락하게 된다. 이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제1 스크류컨베어(100)에 의해 도1을 기준하여 좌측으로 이송되는 혼합물은 제2 통로(12)의 제2 스크류컨베어(110)에 의해 계속 좌측으로 이송되고, 결국 벨트컨베어(260)의 좌단부 위로 추락하게 되며 이들은 벨트 컨베어(260)를 타고 상승하여 분뇨 발효조(30)의 구멍(31)을 지나서 분뇨 발효조(30) 안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아래로 추락하게 되고 분뇨 발효조(30) 안에 충진되어 있던 혼합물의 위로 쌓이게 된다.
다음, 상술한 작용을 위해 도1 기준, 우측으로 계속 이동하던 왕복장치(40)는 리미트 스위치(22)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컨트롤 박스 내부의 제어회로에 의해 감속모타(200)는 즉시 역회전을 하게 된다. 감속모타(200)가 역회전을 하게 되면 와이어 로프(230)의 회전도 반대가 되고 도 10과 같이 와이어 로프의 단부(230a)는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하방에 위치하게 되며 나머지 단부(230b)도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어 위로 위치 이동이 된다. 따라서 카바(60)도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나선축(50)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나선축(50)은 다시 좌측 방향으로 전진(도 1 기준 설명)하게 된다.상술한 바와 같이 나선축(50)이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분뇨 발효조(30) 하방에 있던 혼합물은 제1, 2 통로(11, 12)로 배출됨과 아울러 제1, 2스크류컨베어(100, 110)에 의해 벨트 컨베어(260)로 이송되고 다시 분뇨 발효조(30) 안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추락하여 발효조(30) 안에 남아 있는 혼합물 위로 쌓이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공기와 접촉하여 산소를 원활히 공급받고 동시에 수증기 등은 신속히 증발이 된다.다시 좌측으로 이동하는 나선축(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요령으로 분뇨 발효조(30)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혼합물을 제1, 2통로(11, 12)로 배출시키고 이에 따라 위와 같이 혼합물은 벨트 컨베어(260)를 통해 다시 발효조(30) 안으로 진입하여 추락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작업이 계속 반복이 되는 것이다.이때 프레임(20)의 좌측 끝까지 이동된 왕복장치(40)는 리미트 스위치(21)에 접촉됨에 따라 정지하게 되고 감속모타(200)는 다시 정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카바(60)의 위치는 도1과 같이 나선축(50)의 좌측으로 이동되고 그 상태에서 나선축(50)과 함께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혼합물을 배출시키고 분뇨 발효조(30) 안으로 쌓이게 하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작업을 함에 있어서 분뇨 발효조(30)의 하방은 나선축(50)과 카바(60)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을 띄운 채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음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은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혼합물을 분뇨 발효조(30)의 하방으로부터 계속 배출시켜 내고 다시 분뇨 발효조(30) 안으로 이송시켜서 쌓이게 하는데, 분뇨 발효조(30) 안의 혼합물의 온도가 75℃ 이하로 낮아지면 즉시 보일러가 재가동 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관(90)은 다시 혼합물을 데워서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며 이러한 작용 역시 계속되어 혼합물이 최대한 항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공기 공급관(70) 및 공기 배출관(72)의 구멍(74)들을 통하여 공기가 혼합물 안으로 주입되도록 하는데, 혼합물의 온도가 규정치 이상으로 높아졌을 경우 그리고 혼합물 내부에 산소를 공급시켜야 할 경우, 혼합물 내부의 수증기 및 개스를 강제적으로 배출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실시한다. 물론 이는 작업자가 상황에 따라 실시할 수 있지만 자동 프로그램에 의해 실시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그리고 나선축(50)의 날개는 도3과 같이 중앙을 기준하여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혼합물을 나선축(50)의 중앙을 기준하여 항상 발효조(30)의 외부 즉, 제1 통로(11) 쪽으로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나선축(50) 나사의 가장자리에는 도 5와 같이 톱니(52)가 형성되어 있어서 혼합물을 용이하게 파헤치면서 나선축(5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카바(60)의 가장자리에는 초경합금(62)을 띠 형태로 부착시키면 나선축(50)이 회전하면서 혼합물을 카바(60) 안쪽으로 밀어 부치면서 제1 통로(11)를 향해 강제 배출시킬 때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나뭇가지 혹은 종이, 기타 파쇄가 가능한 것들을 파쇄시켜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혼합물의 발효 및 증발의 작용이 더욱 양호하여 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때 나선축(50)과 카바(60)의 초경합금과의 간극은 1∼2mm가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종래의 장치 대비 단위 시간당 혼합물의 처리 능력과 소요 시간, 퇴비의 질 등에 있어서 최소 500% 이상의 상승 작용을 얻을 수 있다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
이상에서 상기 여러 대의 감속모타들로부터 발생된 동력은 체인과 체인기어에 의해 상술한 장치에 전달되는데, 이는 공지의 기술 수단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부호의 기재는 생략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분뇨 발효조 내부의 혼합물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혼합물의 위치는 분뇨 발효조 내부에 머물도록 한 상태에서 좌우측 외부로 혼합물을 이동시키는 스크류 축을 이용하여 밑바닥부터 두부를 자르듯이 분리시켜 혼합물의 위치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밑바닥부터 두부를 자르듯이 분리시켜 외부로 유출시키고 이것은 다시 혼합물의 최상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반복 작업을 하여 줌으로서 단시간 안에 발효가 이루어짐은 물론 수증기와 개스를 이상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으며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충분한 산소 및 공기를 공급하여 발효 작용을 최대한 보조하고, 년 중 계절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 면적이 좁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없어 운전 경비가 최소화되므로 경제성이 우수한 등의 다수 유용한 장점이 있어 국가적으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4)

  1. 프레임(20)이 위쪽으로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결된 채 제1 스크류컨베어(100)와 제2 스크류컨베어(110)가 장치되어 분뇨 발효조(30)의 하방으로부터 나선축(50)에 의해 배출되는 분뇨와 톱밥 혼합물을 벨트 컨베어(260)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대칭형의 제 1통로(11)와 제 2통로(12)가 형성된 콘크리트 지지부(10)와;
    상기 제 1통로(11) 및 제 2통(12)로 안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분뇨 발효조(30)의 하방으로부터 배출된 분뇨와 톱밥 혼합물을 벨트 컨베어(260)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스크류컨베어(100) 및 제 2스크류컨베어(110)와;
    상기 제1 스크류컨베어(100)를 체인을 통해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모타(240) 및 상기 제2 스크류컨베어(110)를 체인을 통해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모타(250)와;
    상측에 고정된 분뇨 발효조(30)를 지지하며 2대의 왕복장치(40)가 분뇨 발효조(30)의 좌우로 전 ·후진할 수 있는 레일이 되고, 상기 왕복장치(40)의 전 ·후진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전후에 리미트 스위치(21, 22)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20)과;
    지지대(41)의 상면에는 분뇨 및 톱밥 혼합물 배출용 나선축(50)을 체인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모타(43)가 고정되고 저면에는 상기 프레임(20) 상에서 이동을 하기 위한 4개의 바퀴(42)가 조립되며 상기 나선축(50)을 지지하기 위한 지브 베어링(46)이 저면에 고정된 2대의 왕복장치(40)와;
    측면에는 내부의 분뇨 및 톱밥 혼합물의 발효 온도를 체크하기 위한 온도센서(300)가 설치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벨트 컨베어(260)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위쪽과 아래쪽이 개방된 채 상기 프레임(20) 상에 고정되는 사각형태의 분뇨 발효조(30)와;
    상기 왕복장치(40)의 감속모타(43)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하고 중앙을 기점으로 오른나사 날개와 왼나사 날개가 형성되어 분뇨 발효조(30) 하방을 전 ·후진하면서 분뇨 발효조(30) 하방에 노출되어 있는 분뇨 및 톱밥 혼합물을 위 제1 통로(11)로 배출시키기 위한 나선축(50)과;
    상기 나선축(50)의 양단부에 삽입된 지지관(61)을 통해 지지된 채 나선축(50)이 회전하면서 분뇨 및 톱밥 혼합물을 위 제1 통로(11)로 배출시킬 때 분뇨 및 톱밥 혼합물이 잘 밀려 나가도록 가이드 하는 반원형의 카바(60)와;
    분뇨 발효조(3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감속모타(270)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제1, 2 스크류컨베어(100, 11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 분뇨와 톱밥 혼합물을 다시 분뇨 발효조(30)로 공급시켜 추락시키기 위한 벨트 컨베어(260)와;
    상기 프레임(20)에 조립된 와이어 풀리(220) 및 상기 왕복장치(40)를 전 ·후진시키기 위한 감속모타(200)의 축에 조립된 와이어 풀리(210)에 감긴 채, 끝 부분 2개의 단부(230a, 230b)가 상기 카바(60)의 지지관(61)에 고정되어 감속모타(200)의 정 ·역회전 동력을 받아 상기 왕복장치(40)를 상기 프레임(20) 상에서 전 ·후진시키기 위한 2개 1조의 와이어 로프(230)와;
    상기 분뇨 발효조(30)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80)에 고정된 채 분뇨 발효조(30) 내부에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며,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연결관(91)을 통해 공급되고 온수 배출관(92)을 통해 다시 보일러로 순환되도록 한 분뇨 및 톱밥 혼합물 가열용 가열관(90)들과;
    상기 가열관(90)들 사이에서 분뇨 발효조(30) 내부에 수직으로 위치한 채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 배출관(72)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74)들을 통해 분뇨 및 톱밥 혼합물 내부로 분출시켜 수증기 및 개스를 원활히 증발 및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 공급관(70)들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1-0025692A 2001-05-11 2001-05-11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 KR10041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692A KR100415310B1 (ko) 2001-05-11 2001-05-11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692A KR100415310B1 (ko) 2001-05-11 2001-05-11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743U Division KR200241579Y1 (ko) 2001-05-11 2001-05-11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045A KR20020086045A (ko) 2002-11-18
KR100415310B1 true KR100415310B1 (ko) 2004-01-24

Family

ID=2770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692A KR100415310B1 (ko) 2001-05-11 2001-05-11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753B1 (ko) * 2016-04-15 2017-03-24 신광섭 유기성 폐기물 발효장치
CN106904797B (zh) * 2017-05-03 2023-02-07 湖南金拇指环保设备有限公司 污水蒸发发酵处理系统
CN106938875B (zh) * 2017-05-03 2023-02-10 湖南金拇指环保设备有限公司 污水种养净化处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745U (ko) * 1979-09-29 1981-05-12
KR0184018B1 (ko) * 1994-02-03 1999-04-01 김백기 분뇨 호기발효촉진장치 및 발효시스템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퇴비
JPH11310488A (ja) * 1998-04-30 1999-11-09 Gold Kosan Kk 堆肥製造装置
KR200182812Y1 (ko) * 1999-12-11 2000-05-15 주식회사성인 퇴비 발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745U (ko) * 1979-09-29 1981-05-12
KR0184018B1 (ko) * 1994-02-03 1999-04-01 김백기 분뇨 호기발효촉진장치 및 발효시스템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퇴비
JPH11310488A (ja) * 1998-04-30 1999-11-09 Gold Kosan Kk 堆肥製造装置
KR200182812Y1 (ko) * 1999-12-11 2000-05-15 주식회사성인 퇴비 발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045A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392A (zh) 有机废弃物的处理方法及处理装置
US5942022A (en) Composting plant for organic waste and method for composting such waste
KR100415310B1 (ko)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
KR0137056Y1 (ko) 발효사료제조장치
CN211329689U (zh) 树木修剪回收再利用系统
CN218202578U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
JPH06345575A (ja) 有機性廃棄物の高速堆肥化施設と有機性廃棄物の再生方法
CA2046409C (en) Compost processing tool
US5759850A (en) Air diffuser for rotary composters
CN217850128U (zh) 一种农业种植施肥装置
JP2001121118A (ja) 生ゴミ処理機
KR200241579Y1 (ko) 가축의 분뇨 발효증발장치
CN215440259U (zh) 一种厨余垃圾三段式发酵处理系统
CN109744562A (zh) 一种青贮饲料用加工设备
KR200180725Y1 (ko) 가축분뇨 퇴비용 발효 교반기
CN212833364U (zh) 一种污泥好氧发酵设备
KR0185256B1 (ko) 열 절약형 회전식 퇴비 건조발효장치
CN221036537U (zh) 一种便于收集的生物有机肥烘干设备
CN211190463U (zh) 一种有机肥生产加工用破碎装置
CN207911432U (zh) 一种园林用树枝破碎装置
CN111456218A (zh) 一种粪污接收缓存装置
CN115650775B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及方法
KR10074563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건조 장치
CN215886757U (zh) 一种粪水处理用发酵设备
KR200142044Y1 (ko) 회전식 분뇨 발효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