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893B1 -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 Google Patents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893B1
KR100414893B1 KR10-2000-0068092A KR20000068092A KR100414893B1 KR 100414893 B1 KR100414893 B1 KR 100414893B1 KR 20000068092 A KR20000068092 A KR 20000068092A KR 100414893 B1 KR100414893 B1 KR 10041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bowl
counting
sensing uni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043A (ko
Inventor
이석현
Original Assignee
한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숙 filed Critical 한미숙
Priority to KR10-2000-006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893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푼의 사용 횟수를 정확하게 그리고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계수가능을 갖는 스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푼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선단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보울과, 손잡이에 설치되고 스푼의 사용 횟수를 자동적으로 카운트하기 위한 계수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A SPOON HAVING COUNTING FUNCTION}
본 발명은 계수기능을 갖는 스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스푼의 사용 횟수를 정확하게 그리고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계수가능을 갖는 스푼에 관한 것이다.
영아 또는 유아들은 물과 혼합된 분유를 매일 여러 차례 적정한 양을 먹어야 하며, 이때 제공되는 분유의 양은 정확하게 적정한 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어머니들은 포유병(젖병)에 분유와 물을 적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영아들의 출생일수 또는 발육상태에 따라 적량의 분유를 먹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분유는 계량 스푼을 사용하여 분유통으로부터 덜어내어 포유병에 옮겨 담게 되는데. 1회에 계량 스푼으로 수번 이상 분유를 포유병(젖병)에 타게 된다. 이때 어머니들은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계량 스푼의 사용 횟수를 정확히 세어야(count) 하므로 항상 주의를 요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게 된다. 만일, 1회에 공급되는 분유의 양 또는 물과의 혼합 비율이 일정하지 않으면, 영아들에게 충분한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영아들이 분유 먹기를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푼의 사용 횟수를 자동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의 사시도;
도 2는 스푼으로 분유를 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푼의 계수 수단의 블록도;
도 4는 카운팅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푼의 사시도 및 계수 수단의 블록도 및 계수 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 손잡이 114 : 보울
120 : 계수 수단 122 : 센싱부
122a : 진동 센서 124 : 표시부
126 : 제어부 128 : 알림부
130 : 제 1 스위치 132 : 제 2 스위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스푼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선단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보울과;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고 스푼의 사용 횟수를 자동적으로 카운트하기 위한계수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수 수단은 내용물을 담고 스푼을 거꾸로 기울여서 보울에 든 내용물을 쏟아 붓는 스푼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손잡이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스푼의 사용 횟수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스푼의 사용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되었는지 비교하여 그에 따른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알람 신호에 의해 알람을 울리는 알림부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계수 수단은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제 1 스위치 및; 계수 기능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센싱부는 내용물을 떠내고 스푼을 거꾸로 기울여서 보울에 든 내용물을 쏟아 붓는 스푼의 동작 변화를 감지하는 진동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보울에 든 내용물을 다른 그릇에 쏟아 부을 때 스푼이 그릇에 부딪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보울의 서로 대응되는 상단면에 설치되고, 보울의 정량만큼만 내용물을 떠내기 위해 보울을 용기의 계량틀에 대고 보울에 정량이상 쌓인 내용물을 덜어낼 때 상기 계량틀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보울의 서로 대응되는 상단면에 설치되는 제 1 접지면과 제 2 접지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스푼으로 분유를 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푼의 계수 수단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푼(100)은 분유통(10)에서 젖병(20)으로 분유를 덜어내는데 사용되는 계량 스푼으로, 손잡이(112), 보울(114;bowl) 그리고 계수 수단(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112)의 선단에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보울(114)이 위치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장 구성적인 특징은 스푼의 사용 횟수를 자동적으로 카운팅하는 계수 수단(120)을 갖는데 있다. 도 3에는 상기 계수 수단(120)의 구성이 블록도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계수 수단(120)은 센싱부(122), 표시부(124), 제어부(126) 그리고 알림부(12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계수 수단(120)은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스위치(130)와 상기 표시부의 카운팅 값을 "0"로 리셋팅하기 위한 제 2 스위치(132)를 갖는다.
상기 센싱부(122)는 분유를 담고 스푼을 거꾸로 기울여서 보울에 든 분유를 젖병에 쏟아 붓는 일련의 스푼 동작(도 2에 도시되어 있음)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만보기에 사용되는 진동 센서(122a)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 센서(122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유통(10)에서 분유를 떠내고("가" 동작) 스푼(100)을 거꾸로 기울여서 보울(114)에 든 분유를 젖병(20)에 쏟아 붓는("다" 동작) 일련의 스푼 동작 변화를 감지한다.
예컨대, 상기 센싱부(122)는 진동 센서 이외에도 분유를 젖병에 쏟아 부을 때 스푼이 상기 젖병에 부딪치면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소리를 감지하는 충격 센서 또는 음향 센서 또는 접촉 센서로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4)는 상기 손잡이(112)의 상면으로 노출되어져 있으며, 표시부(124)에는 상기 진동 센서(122a)에서 감지된 스푼의 사용 횟수가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126)는 마이컴을 구비하며, 이 마이컴은 내부 메모리를 갖는다. 이 메모리에는 스푼의 사용 횟수를 카운팅 하는 프로그램 및 사용 횟수의 설정 값이 저장된다. 도 4에 표시된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진동 센서(122a)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표시부(124)에 스푼의 사용 횟수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 센서(122a)로부터 감지된 스푼의 사용 횟수(N)가 기 설정된 값(M)에 도달되었는지 비교하고, 그 사용 횟수(N)가 설정 값(M)에 도달되었을 경우 상기 알림부(128)로 알람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126)로부터 알람 신호를 전달받은 알림부(128)에서는 경고음이 울리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은 스푼의 사용 횟수를 자동적으로 카운팅할 수 있는 계수 수단을 갖는데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푼의 계수 방법을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 2 스위치(132)를 눌러 표시부의 카운팅 값을 "0"로 만드는 리셋팅 단계(s10), 상기 제 1 스위치(130)로 원하는 설정값(M)을 설정하는단계(s20), 진동 센서(122a)가 스푼으로 분유를 분유통에서 젖병으로 옮겨 담는 일련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30), 제어부(126)에서 진동 센서(122a)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체크(누적)하고, 그 체크된 값(사용 횟수)을 표시부(124)에 표시하는 단계(s40), 상기 제어부(126)에서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감지된 스푼의 사용횟수(N)를 기설정된 설정값(M)과 비교하는 단계(s50), 그리고 기설정된 스푼의 사용횟수에 도달하면 알람을 울리는 단계(s60)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르면, 스푼으로 젖병에 분유를 몇 수저 탔는지 자동적으로 카운팅된다. 그리고, 사용전 미리 설정해 놓은 횟수(M)에 도달하게 될 경우, 경고음이 울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어머니들은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편한 마음으로 젖병에 분유를 탈수 있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푼은 앞서 설명한 스푼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의 손잡이(112), 보울(114;bowl) 그리고 계수 수단(120) 등을 갖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변형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변형예에 따른 구조적인 특징은 일련의 스푼 동작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제 1 접지면(a)과 제 2 접지면(b)으로 이루어진 센싱부(122')를 갖는다. 상기 제 1 접지면(a)과 제 2 접지면(b)은 상기 보울(114)의 서로 대응되는 상단면(114a)에 설치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어머니들은 스푼(100)으로 정량만큼의 분유를 떠내기 위해 보울(114)을 분유통(10)의 계량틀(12;통상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에 대고 보울(114)에 정량이상 쌓인 분유를 덜어내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도체인 계량틀(12)을 통해 상기 제 1 접지면(a)에서 상기 제 2 접지면(b)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상기 제어부(126)에서는 그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이를 카운팅하게 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른 스푼(100)은 보다 명확하게 스푼의 사용 횟수를 카운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본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은 분유를 탈 때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계량 스푼의 사용 횟수를 정확히 세어야(count)하는 어머니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은 유아식을 위한 계량 스푼을 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반 스푼, 국물을 뜨기 위한 국자, 양념을 넣기 위한 계량 스푼 등으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다이어트를 원하는 여성이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을 사용할 경우, 자신이 얼마만큼 스푼을 사용하여 음식을 먹었는지 수시로 확인할 수 있어, 다이어트의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푼에 의하면, 분유를 탈 때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계량 스푼의 사용 횟수를 정확히 세어야(count)하는 어머니들에게 편리성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스푼에 있어서: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선단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보울과;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고 스푼의 사용 횟수를 자동적으로 카운트하기 위한 계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계수 수단은 내용물을 담고 스푼을 거꾸로 기울여서 보울에 든 내용물을 쏟아붓는 스푼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손잡이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스푼의 사용 횟수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수단은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스푼의 사용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되었는지 비교하여 그에 따른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알람 신호에 의해 알람을 울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수단은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제 1 스위치 및; 계수 기능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내용물을 떠내고 스푼을 거꾸로 기울여서 보울에 든 내용물을 쏟아 붓는 스푼의 동작 변화를 감지하는 진동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보울에 든 내용물을 다른 그릇에 쏟아 부을 때 스푼이 그릇에 부딪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보울의 서로 대응되는 상단면에 설치되고, 보울의 정량만큼만 내용물을 떠내기 위해 보울을 용기의 계량틀에 대고 보울에 정량이상 쌓인 내용물을 덜어낼 때 상기 계량틀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보울의 서로 대응되는 상단면에 설치되는 제 1 접지면과 제 2 접지면을 구비하여, 정량만큼만 내용물을 떠내기 위해 보울을 용기의 계량틀에 대고 보울에 정량이상 쌓인 내용물을 덜어낼 때 상기 계량틀에 의해 상기 제 1 접지면으로부터 제 2 접지면으로 흐르게 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KR10-2000-0068092A 2000-11-16 2000-11-16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KR10041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092A KR100414893B1 (ko) 2000-11-16 2000-11-16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092A KR100414893B1 (ko) 2000-11-16 2000-11-16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043A KR20020038043A (ko) 2002-05-23
KR100414893B1 true KR100414893B1 (ko) 2004-01-16

Family

ID=1969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092A KR100414893B1 (ko) 2000-11-16 2000-11-16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77Y1 (ko) * 2009-06-29 2010-06-28 라온상사 주식회사 기능성 젓가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06Y1 (ko) * 2012-04-24 2014-05-22 이수향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CN103622583B (zh) * 2013-11-27 2018-06-19 张静莉 一种计数定量勺
CN103720593B (zh) * 2013-12-06 2018-08-10 泉州台商投资区中栓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奶粉用量标示的奶瓶
CN108245427A (zh) * 2013-12-06 2018-07-06 张天奇 一种随时对奶瓶中液体进行加热的奶瓶
KR200481706Y1 (ko) * 2015-02-04 2016-11-0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식판
CN105125411B (zh) * 2015-09-14 2017-10-17 重庆邮电大学 一种配有智能奶勺的智能奶瓶
KR101999664B1 (ko) * 2018-01-30 2019-10-01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미료용 계량 국자
KR102494835B1 (ko) * 2018-08-03 2023-02-06 니스카 리테일 로보틱스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로봇식 아이스크림 전달 시스템
CN109480663A (zh) * 2018-12-03 2019-03-19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式计量设备
GB2596501A (en) * 2019-05-24 2022-01-05 Brandy Jennifer Electronic scoop counter
CN111728454A (zh) * 2020-07-09 2020-10-02 杜慧 一种能显示取奶粉勺数的电子计数奶粉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039A (ko) * 1989-03-18 1990-10-25 안시환 수은센서를 이용한 카운터장치
JPH0396822A (ja) * 1989-09-11 1991-04-22 Shinko Electric Co Ltd 粉体用等の携帯型計量装置
JPH0466975A (ja) * 1990-07-04 1992-03-03 Canon Inc 現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039A (ko) * 1989-03-18 1990-10-25 안시환 수은센서를 이용한 카운터장치
JPH0396822A (ja) * 1989-09-11 1991-04-22 Shinko Electric Co Ltd 粉体用等の携帯型計量装置
JPH0466975A (ja) * 1990-07-04 1992-03-03 Canon Inc 現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77Y1 (ko) * 2009-06-29 2010-06-28 라온상사 주식회사 기능성 젓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043A (ko)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893B1 (ko)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US6252494B1 (en) Timed dispenser for programmed fluid consumption
US20080276461A1 (en) Eating utensil capable of automatic bite counting
US9241877B2 (en) Pill counting tray with digital counter
TWI524055B (zh) 喝水量監測裝置及方法
US20100058856A1 (en) Measuring Cup Sensor and System
WO2014151129A2 (en) Smart scale -culinary ratio system
US2014026338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semi-automatic pill counting tray
US6404838B1 (en) Measuring spoon
US5884523A (en) Scoop with a counter
US5141065A (en) Weight activated platform scale
KR101863617B1 (ko) 내용물 계량장치
JP2016065859A (ja) 尿流量率計のカップ、及び尿流量率計の本体
CN211356858U (zh) 一种具有提示功能的智能奶瓶
US11008225B2 (en) Water filter pitcher with sensing capabilities
KR200194237Y1 (ko) 계량스푼을 보관할 수 있는 계량대와 스푼받침대
JP2013019737A (ja) 計量スプーン
KR20240043325A (ko) 청결 상태와 마신 음료의 양을 알려주는 텀블러
JPH0894423A (ja) 飲料用計量装置
JP2004198108A (ja) 電子計量カップ
KR100338420B1 (ko) 저울을 장착한 숟가락
CN114791311A (zh) 基于Arduino单片机的饮水数据检测方法及装置
JP3114310U (ja) 計量器付き調味料入れ容器
JP2007229415A (ja) 多機能液体調味料容器
JP2006056594A (ja) 計量調味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