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801B1 -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 - Google Patents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801B1
KR100414801B1 KR10-2001-0020048A KR20010020048A KR100414801B1 KR 100414801 B1 KR100414801 B1 KR 100414801B1 KR 20010020048 A KR20010020048 A KR 20010020048A KR 100414801 B1 KR100414801 B1 KR 10041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isting
groove
mortar
morta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260A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01-002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8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18Coating or impregnating "in situ", e.g. impregnating of artificial stone by subsequent melting of a compound added to the artificial stone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출원 제99-30668호인 홈파기공법에 의한 온돌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온돌바닥구조에서 발전하여 보다 진보된 신규한 홈파기공법에 의한 홈파기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돌파이프나 수도관, 배수관등을 고장으로 교체하여야 하거나 이들 배관이 노후되어서 전면적으로 교체하여야 할때 기존의 미장몰탈층에 새로운 배관파이프를 배관할 부분만을 콘크리트절단기로 배관파이프의 시공에 알맞도록 폭은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mm 크고 깊이는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cm 깊게 절단하고 파내어서 요홈을 형성한 후, 여기에 새로운 배관파이프를 삽입하여 배관하고 급결 시멘트를 이용하여 기존의 미장몰탈층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배관된 요홈을 메워서 단시간 내에 마감몰탈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배관파이프를 교체하도록 한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a piping to change method by groove digging method of construction and the hypocaust floor structure got fromit}
본 발명은 본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출원 제99-30668호인 홈파기 공법에 의한 온돌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온돌바닥구조에서 발전하여 보다 진보된 신규한 홈파기 공법에 의한 홈파기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돌파이프나 수도관, 배수관등을 고장으로 교체하여야 하거나 이들 배관이 노후되어서 전면적으로 교체하여야 할 때 기존의 미장몰탈층에 새로운 배관파이프를 배관할 부분만을 콘크리트절단기로 배관파이프의 시공에 알맞도록 폭은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mm 크고 깊이는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cm 깊게 절단하고 파내어서 요홈을 형성한 후, 여기에 새로운 배관파이프를 삽입하여 배관하고 급결 시멘트를 이용하여 기존의 미장몰탈층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배관된 요홈을 메워서 단시간 내에 마감몰탈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배관파이프를 교체하도록 한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를 비롯한 중국의 일부는 온돌문화권으로서 예로부터 바닥면을 데워서 주거하는 습관을 가지고 생활하고 있는바, 최초에는 토굴이나 주거지의 바닥면에 모닥불을 피워서 바닥면을 데우고 습기를 제거하여 이용하다가 여기서 발전한 것이 주거지의 바닥에 온돌판(구둘)을 깔고 아궁이로 불을 지펴서 온돌을 가열하는 방법으로 그 연료가 목재에서 석탄 →기름 →가스 순의 고급 연료로 변화되면서 온돌 가열방법 또한 연료가 많이 사용되고 지속적인 난방이 어려운 직접가열 방식에서 벗어나 온돌 바닥면에 온돌 배관을 하고 그 배관 내부에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켜서 온돌을 가열하는 순환수를 이용한 간접가열 방식으로 발전되어 실생활에 많은 편리함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거용 건축물의 바닥면의 일측으로 수도관과 배수관을 배관한 다음, 1차로 열손실을 방지하는 단열재로 단열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 한 후 그 위에 난방수를 데워주는 보일러와 연결된 온돌파이프를 난방에 알맞은 간격으로 배관하고 상기한 배관을 미장몰탈층으로 덮어서 마감하는 방법으로 온돌바닥을 시공하였는바, 이와 같은 건물 배관을 시공 후 사용하던 중 이상이 발생하거나, 오랜 기간이 경과하여 배관된 파이프가 노후가 되면 가족의 건강과 직결되는 관계로 즉시 새로운 온돌파이프로 교체하여야만 한다.
이에 기존의 온돌파이프교체방법을 살펴보면 첫째로는 낡고 이상이 있는 기존온돌파이프(30)가 설치된 기존바닥몰탈층(10)을 깨어 기존의온돌파이프(30)와 기존바닥몰탈층(10)을 전부 들어낸 후 새로운 온돌파이프를 적당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그 상면에 미장몰탈층을 형성하여서 새로운 온돌파이프로 교체하거나, 둘째로는 내부에 낡은 온돌파이프가 설치된 기존바닥몰탈층(10)을 원형그대로 둔 상태에서 기존바닥몰탈층(10) 상면에 온돌파이프를 올려놓고 새롭게 마감몰탈층을 형성하는 새로운 온돌파이프로 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전자의 경우에는 미장몰탈층의 특성상 표면이 매우 튼튼하여 이를 깨어서 들어내기가 매우 힘들고 번거로웠음은 물론 이때의 충격으로 인한 건축물의 균열 등 안전에도 문제가 있었으며, 소음과 먼지를 심하게 유발하며, 건축물쓰레기가 다량으로 방출되어 이를 치워야 하므로 온돌파이프의 교체작업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용 또한 많이 소요되며, 건축물 쓰레기가 다량으로 발생하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미장몰탈층을 깬 다음 전부를 들어내는 번거로움은 전혀 없으나 이는 낡은 온돌파이프가 설치된 기존의 미장몰탈층상면에 새로운 온돌파이프가 배열된 마감몰탈층을 형성하는 관계로 전체 바닥면의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져 그만큼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건축물자체에 무리한 하중이 작용하여 건축물 전체의 수명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를 수밖에 없었으며, 배관 후 건물의 천장이 낮아져서 건물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뒤따르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본인의 선출원 발명인 특허등록출원 제99-30668호의 기술내용을 개량하여 더욱 완벽하게 진보시킴으로서, 기존의 낡은 배관파이프를 새로운 파이프로 교체하는 작업을 더욱 신속하게 하는 것은 물론, 기존 배관 관로를 미연에 탐지하여 기존 배관라인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하고 새로운 배관설계를 함으로써 배관 후 난방효과를 극대화하며, 홈파기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습식포를 이용하여 홈파기작업시 발생하는 물이나 분진을 흡수하여 작업환경과 실내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토록 하며, 시공이 완료된 후 기존의 바닥과 새로이 시공한 바닥면이 서로 완벽하게 접착되어 갈라지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공정의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직선홈파기공정을 실시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곡선홈파기공정을 실시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을 완성한 온돌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존바닥몰탈층. 30: 기존배관.
100: 배관홈. 200: 새로운몰탈. 300: 배관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에 배관된 기존배관(30)에 뜨거운 물을 넣어 열감지로 관로를 탐지하거나 기존배관(30)이 동파이프 등 금속일 때는 금속탐지기를 이용하여 기존배관(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내는 기존배관관로 탐사공정과, 기존배관(30)에 잔여하는 물을 콤프레샤를 이용한 고압의 에어로 불어서 제거하거나,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흡입하는 방법으로 제거하는 기존배관배수공정과, 시공하고자 하는 기존바닥몰탈층(10)에 배관위치를 정확하게 선정하여 먹줄 등으로 표시함으로서 배관의 간격이 일정하게 시공하도록 표시하는 배관위치표시공정과, 스펀지나 부직포에 물을 먹여서 눅눅할 정도의 수분을 갖도록 을 먹여서 만든 습식포를 시공하고자 하는 기존바닥몰탈층(10)의 커팅날이 지나가는 부위에 깔아주는 습식포설치공정과, 배관을 하기에 알맞게 폭은 배관파이프(300)의 외경에 1~3mm 크게 플러스공차로 형성되고 깊이는 배관파이프(300)가 매몰되고 그 위에 1~3cm의 몰탈 두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관파이프 외경보다 1~3cm 직선으로 홈을 파는 직선배관홈파기공정과, 직선 홈파기를 끝마친 양단을 배관을 하기에 알맞게 폭은 배관파이프(300)의 외경에 보다 약 2배로 크게 플러스공차로 형성되고 깊이는 배관파이프(300)가 매몰되고 그 위에 1~3cm 몰탈 두께를 형성할 수있도록 곡선으로 홈을 파서 연결하는 양단연결배관홈파기공정과, 상기한 공정에서 형성된 배관홈(100)에 설비하고자하는 배관파이프(300)를 깊숙이 끼워 넣어서 설치하는 배관파이프설치공정과, 기존의 기존바닥몰탈층(10)에 형성된 배관홈(100) 내면에 붓으로 물을 뿌리거나 발라서 꼼꼼하게 젖도록 수분을 머금게 함으로서 배관파이프(300) 주변에 새로운 몰탈을 채워서 충전할 때 새로운 몰탈에 함유된 수분을 기존바닥몰탈층(10)이 흡수하지 못하도록 하는 배관홈수분공급공정과, 충분히 물을 먹은 기존의 몰탈의 배관홈(100) 내면에 수용액을 발라주어 기존바닥몰탈층(10)의 모세공을 막아주어 새로운 몰탈을 배관홈(100)에 충진시 새로운 몰탈의 수분이 기존의 몰탈층으로 흡수되지 않게 하는 수분이탈방지용 수용액도포공정과, 상기 배관파이프(300)가 배관된 배관홈(100)에 급결시멘트를 개어서 시멘트가 경화작용을 시작하기 전에 충진하는 몰탈충진공정과, 상기한 방법으로 배관홈(100)에 충진된 급결시멘트의 표면을 기존바닥몰탈층(10)과 일치하도록 매끄럽게 마감하는 마감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존의 건축물 바닥층에 배관된 기존배관파이프(30)의 내부가 비어있고 곡선배관홈이 직선배관홈 보다 크게 형성하여서 그 내부에 배관파이프(300)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배관파이프(300)가 설치된 매몰홈(100)에 급결시멘트를 채워서 배관파이프(300)가 묻히도록 배관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를 각 공정별로 실시되는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배관관로 탐사공정"
기존에 배관된 관로에 뜨거운 물을 넣어 열감지로 관로를 탐지하거나 배관이 동 파이프 등 금속일 때는 금속탐지기를 이용하여 기존배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낸다.
이렇게 하는데에는 첫째; 기존의 배관과 작업하는 위치가 일치함으로서 발생하는 작업공구의 마모와 작업방해 등의 요인으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배관을 피해서 공사하기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둘째; 기존의 배관이 고르게 되었을 때는 기존의 배관위치를 정확하게 파내어 기존의 배관을 제거하고 새로운 배관을 함으로서 건물의 바닥면을 보호하고 배관 후 기존의 배관을 따라 열량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셋째; 기존의 배관이 동파이프 등 고가의 재생 가능한 소재일 경우 회수 할 수 있으며, 넷째; 바닥면에 함께 시공된 수도관 등 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한 것이다.
"기존배관배수공정"
기존의 배관에 잔여하는 많은 양의 물을 콤프레샤를 이용한 고압의 에어로 불어서 제거하거나,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흡입하는 방법으로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는 데에는 첫째; 시공중 기존의 배관에 들어있는 많은 물이 누수 되어 작업환경이나 실내환경을 더럽히는 것은 물론, 바닥면 전체로 스며들어 아래층으로 누수 됨으로서 아래층의 천장을 더럽히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둘째; 시공후 기존의 파이프에 남아있는 많은 물이 바닥면 전체에 스며들었다가 서서히 증발하면서 방바닥에 습기가 차는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배관위치표시공정"
시공하고자 하는 배관위치를 정확하게 선정하여 먹줄 등으로 표시함으로서 배관의 간격이 일정하게 시공하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습식포설치공정"
스펀지나 부직포에 물을 먹여서 눅눅할 정도의 수분을 갖도록 만든 습식포를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커팅날이 지나가는 부위에 깔아준다.
이때 습식포의 두께는 홈파기 작업시 사용하는 물의 량에 따라 다르게 하여서 작업시 톱날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습식포를 깔아주는 것은, 첫째; 홈파기 작업의 하나인 커팅작업시 톱날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작업용수가 바닥면(방열층, 단열층)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둘째; 커팅작업시 발생하는 분진 등의 미세한 먼지를 흡수하여 작업환경을 청결하게 함은 물론, 작업먼지가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화하고, 작업에 사용하는 기계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기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직선배관홈파기공정"
본 공정은 직선작업을 위하여 장비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설치하는 레일설치공정과, 상기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난방 바닥면을 배관에 용이한 크기인 폭은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mm크고 깊이는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cm 깊게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절단된 부위를 해머드릴이나 정으로 떼어 내거나 스크레이퍼로 파서 폭은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mm크고 깊이는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cm 깊게 배관파이프 외경보다 1~3cm 깊게 홈을 파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장비의 종류는 크게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을 절단하고 파낼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그러므로 전문적인 장비가 아닌 핸드그라인드나, 핸드드릴을 사용할 수 도있다. 그리고 장비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역시 기존에 많이 쓰이는 H빔이나 기타 장비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장비이면 무관하다.
"양단연결배관홈파기공정"
본 공정은 상기 직선 홈파기를 끝마친 양단을 곡선으로 홈을 파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곡선작업을 위하여 장비의 곡선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설치하거나 외측을 서로 연결되도록 직선으로 절단하는 레일을 설치하는 레일설치공정과, 상기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난방 바닥면을 배관에 용이한 크기(폭은 배관파이프의 크기보다 약2배정도의 크기)로 곡선으로 절단하거나 외측은 직선으로 절단하고 내측은 삿갓 또는 타원형으로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절단된 부위를 해머드릴이나 정으로 떼어 내거나 스크레이퍼로 파서 배관파이프 외경보다 1~3cm 깊은 깊이(배관파이프가 매몰되고 그 위에 1~3cm의 몰탈 두께를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배관홈을파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장비의 종류는 크게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을 절단하고 파낼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그러므로 전문적인 장비가 아닌 핸드그라인드나, 핸드드릴을 사용할 수 도있다. 그리고 장비의 곡선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역시 기존에 많이 쓰이는 H빔이나 기타 장비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장비이면 무관하다.
그리고 핸드머신을 이용하여 홈파기 작업을 할 때는 배관이 구부러지는 모서리의 안쪽부분에는 관이 충분히 구부러지도록 많이 떼어내면 작업이 용이하다.
"배관파이프설치공정"
상기한 공정에서 폭은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mm 크고 깊이는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cm 깊게 형성된 배관홈에 설비하고자하는 배관파이프를 깊숙이 끼워 넣어서 설치한다.
이때 배관파이프의 외경과 배관홈의 폭이 거의 일치하도록 하면 배관파이프가 홈에 끼어서 고정되므로 별도의 배관파이프 고정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 배관홈수분공급공정"
기존의 바닥몰탈층에 형성한 배관홈 내부 주변에 물을 붓으로 뿌리거나 발라서 절단홈 주변이 꼼꼼하게 젖도록 수분을 머금게 함으로서 배관파이프 주변에 새로운 몰탈을 채워서 충전할 때 새로운 몰탈에 함유된 수분을 기존의 몰탈층이 흡수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물을 너무 많이 뿌리거나 바르게되면 기존의 몰탈층이 흡수하고 남은 물이 단열층으로 스며들어 부작용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조심하여야 하며, 만약 물을 너무 작게 뿌리거나 발라주면 새로운 몰탈이 충진하기도 전에 수분이 증발하여 마르므로 새로운몰탈층을 충진시 수용액이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새로운 몰탈에 함유된 수분이 기존의 몰탈로 흡수되면서 새로운몰탈이 급격히 수축되어 기존의몰탈과 새로운몰탈의 사이에 크랙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수분이탈방지용 수용액도포공정"
상기한 배관홈 수분공급공정에 의하여 수분을 머금고 있는 기존의 몰탈의 배관홈 내면에 수용액을 발라주어 기존의 몰탈층의 모세공을 막아주어 새로운 몰탈을 배관홈에 충진시 새로운 몰탈의 수분이 기존의 몰탈층으로 흡수되지 않게 한다.
이때 사용되는 수용액은 기존의 몰탈층에 형성되어있는 미세한 모세공을 막아줄 수 있는 수용성 수용액이나 기타 기존의 몰탈층과 화합할 수 있는 수용성 화합물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접착제를 섞어서 처리하면 기존의 몰탈층과 새로운 몰탈층이 보다 완벽하게 접착된다.
이와 같이 기존몰탈층의 배관홈 내면에 수용액을 바르는 것은 기존의 몰탈층에 미세한 모세공이 막히어서 새로운 몰탈을 충진시 모세관 현상으로 새로운 몰탈의 수분이 기존의 몰탈층에 형성된 모세공을 통하여 흡수되어 새로운 몰탈의 미세량이 이탈되면서 급격히 수축되어서 기존의 몰탈층과 새로운 몰탈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기존의 몰탈층과 새로운 몰탈층이 서로 일체가 되어 하나가 되게 되는 것이다.
"몰탈충진공정"
상기한 공정이 완료되면 배관파이프가 배관된 배관홈에 급결시멘트를 개어서 시멘트가 경화작용을 시작하기 전에 충진한다.
이때 주의하여야 할 것은 급결시멘트가 경화작용을 일으키기 전에 배관홈에 채우는 것이 중요하다.
"마감처리공정"
상기한 방법으로 배관홈에 충진된 급결시멘트가 완전히 경화가 되기 전에 금속미장칼이나 헤라 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하고, 그래도 표면의 거친 부분이 있으면, 완전히 경화된 이후에 연마석이나 기타 연마제로 표면을 갈아내어서 마감처리를 한다.
상기한 공정으로 완성된 본 발명은 기존의 건축물 바닥층에 배관된 기존 배관파이프의 내부가 비어있고 곡선배관파이프매몰홈이 직선배관매몰홈 보다 크게 형성하여서 그 내부에 배관파이프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배관파이프가 설치된 매몰홈에 급결시멘트를 채워서 배관파이프가 묻히도록 배관구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배관파이프가 고장나거나 낡아서 교체하고자 할 때 기존의 미장몰탈층을 전부 들어내지 않고 배관파이프가 배관되는 부위만을 배관파이프의 시공에 알맞도록 폭은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mm 크고 깊이는 배관파이프의 외경보다 1~3cm 깊게 요홈으로 파내고, 새로운 배관을 하고서 새로운 몰탈과 기존의 몰탈 사이가 갈라지지 않도록 처리한 후, 급속히 경화되는 급결시멘트로 배관파이프가 배관된 배관홈을 충진하여 시공을 마감함으로서 신속한 배관작업이 이루어져 공사기간이 기존의 공법으로 7일정도 걸려야 하는 것이 단 하루만에 끝나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시 먼지나 소음발생을 최소화하여 기타 작업이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온돌파이프의 교체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건축물자체에도 과중한 하중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온돌파이프의 교체작업시 미장몰탈층을 깨내는 것이 아니라 요홈부분만 절단함으로 해서 건축물의 바닥에 심한 충격을 주지 않아도 되므로 충격으로 인한 건물의 균열 등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음은 물론 충격소음을 줄여 주는 등 안심하고 공사를 할 수 있는 등 온돌파이프를 교체하는 공사에서는 없어서는 아니 될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2)

  1. 기존에 배관된 관로에 뜨거운 물을 넣어 열감지로 관로를 탐지하거나 배관이 동 파이프등 금속일 때는 금속탐지기를 이용하여 기존배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내는 기존배관관로 탐사공정과,
    기존의 배관에 잔여하는 물을 콤프레샤를 이용한 고압의 에어로 불어서 제거하거나,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흡입하는 방법으로 제거하는 기존배관배수공정과,
    시공하고자 하는 배관위치를 정확하게 선정하여 먹줄 등으로 표시함으로서 배관의 간격이 일정하게 시공하도록 표시하는 배관위치표시공정과,
    스펀지나 부직포에 물을 먹여서 눅눅한 정도의 수분을 갖도록 만든 습식포를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커팅날이 지나가는 부위에 깔아주는 습식포설치공정과,
    배관을 하기에 알맞게 폭은 배관파이프의 외경에 1~3mm 플러스공차로 형성되고 깊이는 배관파이프가 매몰되고 그 위에 1~3cm 몰탈 두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파이프 외경보다 1~3cm 깊게 직선으로 홈을 파는 직선배관홈파기공정과,
    직선 홈파기를 끝마친 양단을 배관을 하기에 알맞게 폭은 배관파이프의 외경의 두배 크기로 형성하고 깊이는 배관파이프가 매몰되고 그 위에 1~3cm 몰탈 두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파이프 외경보다 1~3cm 깊게 곡선으로 홈을 파서 연결하거나 외측은 직선으로 절단하여 연결하고 내측은 삿갓형으로 절단하여 파내므로 서 양단을 연결하는 배관홈을 형성하는 양단연결배관홈파기공정과,
    상기한 공정에서 형성된 배관홈에 설비하고자하는 배관파이프를 깊숙이 끼워 넣어서 설치하는 배관파이프설치공정과,
    기존의 바닥몰탈층에 형성한 배관홈에 물을 붓으로 뿌리거나 발라서 배관홈 주변이 꼼꼼히 젖게 하여 수분을 머금게 함으로서 배관파이프 주변에 새로운 몰탈을 채워서 충전할 때 새로운 몰탈에 함유된 수분을 기존의 몰탈층이 흡수하지 못하도록 하는 배관홈수분공급공정과,
    충분히 물을 먹은 기존의 몰탈의 배관홈 내면에 수용액을 발라주어 기존의 몰탈층의 모세공을 막아주어 새로운 몰탈을 배관홈에 충진시 새로운 몰탈의 수분이 기존의 몰탈층으로 흡수되지 않게 하는 수분이탈방지용 수용액도포공정과,
    상기 배관파이프가 배관된 배관홈에 급결시멘트를 개어서 시멘트가 경화작용을 시작하기 전에 충진하는 몰탈충진공정과,
    상기한 방법으로 배관홈에 충진된 급결시멘트의 표면을 기존의몰탈층과 일치하도록 매끄럽게 마감하는 마감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2. 건축물의 바닥층에 새로이 배관을 함에 있어서,
    기존의 건축물 바닥층에 배관된 기존 배관파이프의 내부가 비어있고 곡선배관파이프매몰홈의 폭이 직선배관매몰홈의 폭보다 배관파이프 외경을 하나 더한 크기로 크게 형성하여서 그 내부에 배관파이프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배관파이프가 설치된 매몰홈에 급결시멘트를 채워서 배관파이프가 묻히도록 배관구조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
KR10-2001-0020048A 2001-04-14 2001-04-14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 KR100414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048A KR100414801B1 (ko) 2001-04-14 2001-04-14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048A KR100414801B1 (ko) 2001-04-14 2001-04-14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870U Division KR200261668Y1 (ko) 2001-07-19 2001-07-19 홈파기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260A KR20020079260A (ko) 2002-10-19
KR100414801B1 true KR100414801B1 (ko) 2004-01-16

Family

ID=2770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048A KR100414801B1 (ko) 2001-04-14 2001-04-14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861B1 (ko) * 2020-06-01 2022-06-15 김근수 건축물 배관 교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260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55983B (zh) 一种防水工艺
CN207073232U (zh) 一种屋面排水结构
CN113323440A (zh) 一种混凝土缝隙修复及防渗漏处理方法
CN105442861A (zh) 卫生间排水管道渗漏水背水面修复方法
KR100414801B1 (ko)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
Hetreed The damp House: A Guide to the causes and Treatment of Dampness
CN109653526A (zh) 卫生间地面漏水堵漏施工方法
KR100414802B1 (ko) 홈파기 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관된 온돌바닥구조
CN101586367B (zh) 一种防止厕浴间瓷砖饰面渗漏水的方法
CN103556825B (zh) 一种高层建筑结构层砼内预留管道套管的施工方法
KR200261668Y1 (ko) 홈파기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으로 시공된 배관구조
KR102391541B1 (ko) 건축물 배관 교체 시공방법
JP4144010B2 (ja) 排水の改修方法及び排水の改修システム及び排水修用部品。
KR102408861B1 (ko) 건축물 배관 교체 시공방법
KR20000039774A (ko) 보수 방수시공방법
KR20020079258A (ko) 홈파기공법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온돌바닥구조
CN106223497A (zh) 一种钢结构别墅集成系统的操作方法
JP3885422B2 (ja) 和風便器の改修における埋設構造および埋設工法
CN219033600U (zh) 外墙保温层输液粘固结构
KR102197844B1 (ko) 컷팅공법을 이용한 온돌바닥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CN214740167U (zh) 一种基于空间置换的微创堵漏结构
CN215518920U (zh) 一种地下底板渗漏维修结构
RU2725347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отсечной гидроизоляции при реконструкции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для реконструкции и перепрофилирования промышленных предприятий
CN109457925B (zh) 一种潮湿区域的饰面铺贴方法及铺贴结构
CN107882350A (zh) 屋面补漏工艺及对应的屋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