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562B1 -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 Google Patents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562B1
KR100413562B1 KR10-2002-0003875A KR20020003875A KR100413562B1 KR 100413562 B1 KR100413562 B1 KR 100413562B1 KR 20020003875 A KR20020003875 A KR 20020003875A KR 100413562 B1 KR100413562 B1 KR 100413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ion
steel pipe
propulsion
head por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688A (ko
Inventor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삼보굴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굴착(주) filed Critical 삼보굴착(주)
Priority to KR10-2002-000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56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3Arrangement of measur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use during driving of tunnels, e.g. for guid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2Driving inclined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93Devices for supporting, advancing or orientating the machine or the tool-c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굴착추진시 커터가 장착된 헤드부 전방의 작업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헤드부의 추진방향을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장거리 굴착시공이 가능하고, 굴착에서 토사반출까지 전 공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노동력 절감, 위험요소 제거 등 굴착과 추진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선단에 커터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상의 헤드부와;
굴착추진시 다수의 중공의 원통 강관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수평 배설되고, 상기 헤드부가 소정 범위내에서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첫 번째 강관의 선단이 상기 헤드부의 후단의 양측에 각각 힌지로 결합된 강관부와;
상기 강관부의 내측을 통과하여 선단이 상기 헤드부의 커터에 결합되며 굴착추진시 다수의 스크류가 연속적으로 수평 연결된 오거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내장되고, 전후 이동되며, 굴착추진시 상기 오거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강관부내의 후방으로 운반된 굴착토사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사배출구가 형성된 구동본체부와;
굴착추진시 상기 헤드부 전방의 작업상태를 영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영상감지수단과;
상기 강관부의 수평레벨을 체크하는 수평레벨체크수단과;
상기 영상감지수단 및 수평레벨체크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헤드부의 전방 작업상황 및 상기 강관부의 수평레벨 변화에 따라 상기 헤드부가 힌지를 축으로 소정 범위내에서 상하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헤드부의 추진방향을 조정하는 헤드부조정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Excavator having front controller}
본 발명은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굴착추진시 커터가 장착된 헤드부 전방의 작업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헤드부의 추진방향을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장거리 굴착시공이 가능하고, 굴착에서 토사반출까지 전 공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노동력 절감, 위험요소 제거 등 굴착과 추진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지하 시설물들을 위해 파이프관을 지하에 매립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다양한 시공법에 따른 굴착장비가 사용된다.
종래의 추진공법에는 테라(TERRA) 항타 공법과 유압잭(JACK) 공법이 있는 바, 상기 테라(TERRA) 항타 공법은 압축공기로 항타하여 강관을 압입하는 공법으로서, 소구경 강관을 추진 공사시 적합한 선추진 후굴착 방식이고, 상기 유압잭(JACK) 공법은 소구경, 대구경 강관을 추진 공사시 상기 강관내에서 인력에 의한 토사굴착, 토사반출을 기본공정으로 하는 선추진 후굴착, 선굴착 후추진 병행방식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추진공법은 추진과정중 암반돌출 등과 같은 굴착지반 조건에 의하여 더 이상 추진이 어렵고, 60M 이상 굴착추진시 강관 추진 방향을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장거리 굴착추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굴착추진시 강관내에서 인력에 의한 토사 굴착, 토사 반출을 기본공정으로 하기 때문에 지반의 침하, 균열 등 위험요소가 상존하며, 인력에 의한 토사반출로 인해 노동력이 많이 요구되어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굴착추진시 커터가 장착된 헤드부 전방의 작업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헤드부의 추진방향을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장거리 굴착시공이 가능하고, 굴착에서 토사반출까지 전 공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노동력 절감, 위험요소 제거 등 굴착과 추진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가 개략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구성요소중에서 헤드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구성요소중에서 수평 및 경사 벨트콘베이어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작동이 개략 도시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시공 순서가 도시된 블럭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헤드부를 상향 조정시 작동이 도시된 참고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헤드부를 하향 조정시 작동이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부 11 : 커터
13 : 보강강재 20 : 강관부
21 : 윤활유공급파이프 30 : 구동본체부
31 : 오거스크류 40 : 영상감지장치
41 : 카메라 42 : 모니터부
50 : 수평레벨체크장치 51 : 물탱크
52 : 워터파이프 53 : 더치레벨
60 : 헤드부조정장치 61 : 너클
62 : 조정레버 63 : 조정파이프
70 : 토사반출장치 71 : 수평벨트콘베이어
72 : 경사벨트콘베이어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는 선단에 커터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상의 헤드부와;
굴착추진시 다수의 중공의 원통 강관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수평 배설되고, 상기 헤드부가 소정 범위내에서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첫 번째 강관의 선단이 상기 헤드부의 후단의 양측에 각각 힌지로 결합된 강관부와;
상기 강관부의 내측을 통과하여 선단이 상기 헤드부의 커터에 결합되며 굴착추진시 다수의 스크류가 연속적으로 수평 연결된 오거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내장되고, 전후 이동되며, 굴착추진시 상기 오거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강관부내의 후방으로 운반된 굴착토사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사배출구가 형성된 구동본체부와;
굴착추진시 상기 헤드부 전방의 작업상태를 영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영상감지수단과;
상기 강관부의 수평레벨을 체크하는 수평레벨체크수단과;
상기 영상감지수단 및 수평레벨체크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헤드부의 전방 작업상황 및 상기 강관부의 수평레벨 변화에 따라 상기 헤드부가 힌지를 축으로 소정 범위내에서 상하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헤드부의 추진방향을 조정하는 헤드부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1은 전체 구성이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3은 헤드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수평 및 경사 벨트콘베이어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는 커터(11)가 장착된 헤드부(10)와, 굴착추진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배설되는 강관부(20)와, 오거스크류(3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장된 구동본체부(30)와, 헤드부(10) 전방의 작업상태를 영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영상감지장치(40)와, 강관부(20)의 수평레벨을 체크하는 수평레벨체크장치(50)와, 헤드부(10)의 추진방향을 조정하는 헤드부조정장치(60)와, 구동본체부(30)의 토사배출구(32a)를 통해 배출된 토사를 작업구(미도시) 밖으로 자동 반출하는 토사반출장치(70)로 이루어진다.
헤드부(10)는 선단에 커터(1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중공의 원통형상이고, 전면에 다수의 토사유입구(10a, 10b)가 형성되어 커터(11)에 의해 굴착된 토사가 토사유입구(10a, 10b)를 통해 헤드부(10)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헤드부(10)에 장착되는 커터(11)는 토사, 암반 등 다양한 굴착지반의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커터(11)로 교환하여 장착이 가능하다.
강관부(20)는 굴착추진시 다수의 중공의 원통 강관(20a, 20b, 20c)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수평 배설되고, 헤드부(10)가 소정 범위내에서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첫 번째 강관(20a)의 선단이 헤드부(10)의 후단의 양측에 각각 힌지(10')로 결합된다.
또한, 강관부(20)는 하측에 독립되어 설치된 'U'자형상의 새들(미도시)에 의해 좌우 이동이 제한 또는 고정된다.
한편, 강관부(20)의 외측에는 다수의 윤활구(21a)가 형성된 윤활유공급파이프(21)가 설치되어 굴착추진시 강관부(20)의 외측면과 굴착지반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도록 윤활구(21a)를 통해 윤활제가 공급된다.
구동본체부(30)는 굴착추진시 하측에 전후로 설치된 레일(미도시)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데, 강관부(20)의 내측을 통과하여 선단이 헤드부(10)의 커터(11)에 결합되며 굴착추진시 다수의 스크류가 연속적으로 수평 연결된 오거스크류(3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구동본체(30)의 일측에 토사배출구(32a)가 형성되어 굴착추진시 헤드부(10)의 토사유입구(10a, 10b)를 통해 유입된 굴착토사가 오거스크류(31)의 회전에 의해 강관부(20)내의 후방으로 운반되어 토사배출구(3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영상감지장치(40)는 헤드부(10)의 외주 상측에 장착된 카메라(41)와, 구동본체부(30)에 장착되고 카메라(41)와 전선(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카메라(4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헤드부(10) 전방의 작업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부(42)로 이루어진다.
특히, 굴착추진시 카메라(4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부(10)의 선단에헤드부(10)의 직경보다 큰 보강강재(13)이 결합되는 바, 보강강재(13)은 굴착추진시 헤드부(10)의 선단이 굴착지반과의 마찰로 인해 마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수평레벨체크장치(50)는 외부의 물탱크(51)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워터파이프(52)가 강관부(20)의 선단까지 확장 연결되고, 워터파이브(52)의 중간 일측에 연통되어 구동본체부(30)에 장착된 더치레벨(53)가 강관부(20)의 수평레벨 변화에 따른 눈금 변화를 체크한다.
특히, 워터파이프(52)는 강관부(20)의 선단 내측에 전향 설치된 노즐(미도시)을 통해 헤드부(10)의 커터(11)에 물을 분사하여 암반 굴착추진시 헤브부(10)의 커터 온도상승을 방지하도록 한다.
헤드부조정장치(60)는 선단이 헤드부(10)의 상측에 힌지(61')로 연결된 너클(61)과, 강관부(20)의 후단 상측에 장착된 조정레버(62)와, 너클(61)의 후단과 조정레버(62)를 내설된 로드(미도시)로 연결하도록 강관부(20)의 상측에 배설된 조정파이프(63)로 이루어져, 영상감지장치(40) 및 수평레벨체크장치(50)에 의해 감지된 헤드부(10)의 전방 작업상황 및 강관부(20)의 수평레벨 변화에 따라 조정레버(62)를 작동시킴으로써 로드에 의해 너클(61)이 작동되어 강관부(20)에 힌지(10')로 연결된 헤드부(10)가 힌지(10')를 축으로 소정 범위내에서 상하 회동되어 헤드부(10)의 추진방향을 조정한다.
토사반출장치(70)는 수평 벨트콘베이어(71)와 경사 벨트콘베이어(72)로 이루어지는데, 수평 벨트콘베이어(71)는 굴착추진시 전후 이동되는 구동본체부(30)의토사배출구(32a) 아래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토사배출구(32a)를 통해 배출된 토사를 구동본체부(30)의 후방으로 이송하고, 경사 벨트콘베이어(72)는 수평 벨트콘베이어(71)의 후측 아래에서 작업구(1) 밖까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수평 벨트콘베이어(71)로부터 이송된 토사를 작업구(1) 밖으로 이송하여 반출한다.
그리고, 수평 및 경사 벨트콘베이어(71, 72)는 토사반출 작업공간에 놓이는 프레임(71a, 72a)과, 프레임(71a, 72a)의 상면에 다수 배설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71b, 72b)와, 회전체(71b, 72b)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회전체(71b, 72b)에 의해 회전되면서 토사를 이송시키는 벨트(71c, 72c)로 이루어진다.
프레임(71a, 72a)은 하측에 수직으로 다수 배설되어 지지하는 지지부(71a', 72a')와, 상면에 회전체(71b, 72b)가 회전가능하게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상판부(미도시)로 이루어지고, 회전체(71b, 72b)는 원통형상의 롤러로 이루어진다.
특히, 경사 벨트콘베이어(72)의 벨트(72c)는 외측에 수직으로 다수의 걸림턱부(72d)가 형성되어 굴착토사가 걸림턱부(72d)에 의해 걸려 경사면을 따라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작동이 개략 도시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시공 순서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헤드부를 상향 조정시 작동이 도시된 참고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의 헤드부를 하향 조정시 작동이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 5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구(1)내에 굴착장비를 투입하여 굴착시공에 따른 준비를 하게 되는데(S100), 먼저 헤드부(10)의 선단에 토사, 암반등 굴착지반의 상태에 가장 적합한 커터(11)를 장착하고 선단 보강을 위한 보강강재(13)을 결합한다(S101).
그리고, 구동본체부(30)의 전후 이동을 위한 레일(미도시)을 설치하고(S102), 레일의 전측에 강관부(20)의 좌우 이동을 제한 또는 고정하기 위해 새들(미도시)을 설치하며, 굴착추진 방향의 수평레벨을 체크한다(S103).
또한, 강관부(20)의 선단을 헤드부(10) 후단의 양측에 힌지(10')로 연결하여 강관부(20)를 레일 위에 지지 배설하고, 강관부(20) 내측을 통과하여 헤드부(10)의 커터(11)에 오거스크류(31)의 선단을 고정한다(S104).
한편, 수평 벨트콘베이어(71)를 구동본체부(30)의 토사배출구(32a) 아래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경사 벨트콘베이어(72)를 수평 벨트콘베이어(71)의 후측 아래에서 작업구(1) 밖의 덤프트럭(3)까지 상향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굴착준비가 완료되면 굴착추진작업이 진행되는데(S105), 헤드부(10)의 외주 상측에 장착된 카메라(41)를 통해 조정파이프(63)내 전선으로 연결된 모니터부(42)에서 헤드부(10)의 전방 작업상황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때 통신관로, 상하수도관, 가스관등과 같은 지하매설물 또는 암반돌출의 유무 등에 따라 추진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조정레버(62)를 돌려 로드에 의해 너클(61)이 작동되어 강관부(20) 선단의 양측에 힌지(10')로 연결된 헤드부(10)를 힌지(10')를 축으로 상하 회동시켜 추진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힌지(10')의 연결구조 및 추진과정을 고려하여 헤드부(10)는 상하 6cm까지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굴착추진시 강관부(20)의 상하 기울기가 변화하면 강관부(20)의 선단까지 연결된 워터파이프(52)에 의해 더치레벨(53)의 눈금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추진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정레버(62)를 돌려 헤드부(10)를 상하 회동시킴으로써 추진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굴착추진시 전진하는 구동본체부(30)에 내장된 구동모터에 의해 오거스크류(31)가 회전되고, 이에 연결된 헤드부(10)의 커터(11)가 회전하면서 굴착추진을 하게 되는데, 암반 굴착추진시 강관부(20) 내측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물이 커터(11)에 분사되어 커터(11)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굴착추진시 강관부(20)의 외측에 설치된 윤활유공급파이프(21)의 윤활구(21a)를 통해 윤활제가 공급되어 강관부(20)의 외측면과 굴착지반과의 접촉부위 마찰을 저감시킨다.
한편, 굴착에 따른 토사는 헤드부(10)의 토사유입구(10a, 10b)를 통해 강관부(20)내로 유입되고 오거스크류(31)의 회전에 의해 강관부(20)내의 후방으로 운반되어 토사배출구(3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굴착토사는 수평 벨트 콘베이어(71)에 의해 구동본체부(30)의 후방으로 이송되고, 경사 벨트 콘베이어(72)에 의해 다시 작업구(1) 밖의 덤프트럭(3)에까지 이송되어 굴착추진과 병행되어 토사가 반출된다(S106).
물론, 굴착추진 길이에 따라 다수의 강관이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연결되고, 이와 더불어 다수의 스크류가 연결되어 오거스크류(31)의 길이가 조절된다(S107).
이와 같이 굴착추진작업 및 강관 연결을 반복하여(S108) 헤드부(10)가 도달구(2)를 관통하면 헤드부(10)는 도달구(2) 밖으로 끌어 올리게 되고(S109), 굴착구내에는 다수의 강관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강관부(20)가 설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는 커터가 장착된 헤드부의 상측에 영상감지장치를 장착하여 헤드부 전방의 작업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굴착추진시 통신관로, 상하수도관, 가스관등과 같은 지하매설물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한 시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헤드부를 상하 회동시켜 추진방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장거리 굴착시공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아울러, 배출된 토사를 수평 및 경사 벨트콘베이어를 통해 작업구 밖으로 직접 이송하여 반출할 수 있기 때문에 굴착에서 토사반출까지 전 공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노동력 절감, 위험요소 제거등 굴착과 추진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선단에 커터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상의 헤드부와;
    굴착추진시 다수의 중공의 원통 강관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수평 배설되고, 상기 헤드부가 소정 범위내에서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첫 번째 강관의 선단이 상기 헤드부의 후단의 양측에 각각 힌지로 결합된 강관부와;
    상기 강관부의 내측을 통과하여 선단이 상기 헤드부의 커터에 결합되며 굴착추진시 다수의 스크류가 연속적으로 수평 연결된 오거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내장되고, 전후 이동되며, 굴착추진시 상기 오거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강관부내의 후방으로 운반된 굴착토사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사배출구가 형성된 구동본체부와;
    굴착추진시 상기 헤드부 전방의 작업상태를 영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영상감지수단과;
    상기 강관부의 수평레벨을 체크하는 수평레벨체크수단과;
    상기 영상감지수단 및 수평레벨체크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헤드부의 전방 작업상황 및 상기 강관부의 수평레벨 변화에 따라 상기 헤드부가 힌지를 축으로 소정 범위내에서 상하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헤드부의 추진방향을 조정하는 헤드부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영상감지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외주 상측에 장착된 영상센서와;
    상기 구동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영상센서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헤드부 전방의 작업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레벨체크수단은 외부의 물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워터파이프가 상기 강관부의 선단까지 확장 연결되고, 상기 워터파이프의 중간 일측에 연통되어 상기 구동본체부에 장착된 더치레벨이 상기 강관부의 수평레벨 변화에 따른 눈금변화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파이프는 상기 강관부의 선단 내측에 전향 설치된 노즐을 통해 상기 헤드부의 커터에 물을 분사하여 암반 굴착추진시 상기 헤브부의 커터 온도상승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의 외측에 다수의 윤활구가 형성된 윤활유공급파이프가 설치되어 굴착추진시 상기 강관부의 외측면과 굴착지반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윤활구를 통해 윤활제가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조정수단은 선단이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힌지로 연결된 너클과;
    상기 강관부의 후단 상측에 장착된 조정레버와;
    상기 너클의 후단과 상기 조정레버를 내설된 로드로 연결하도록 상기 강관부의 상측에 배설된 조정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정레버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로드에 의해 상기 너클이 작동되어 상기 강관부에 힌지로 연결된 상기 헤드부가 힌지를 축으로 소정 범위내에서 상하 회동되어 상기 헤드부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선단에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큰 보강강재가 결합되어 굴착추진시 상기 헤드부의 선단이 굴착지반과의 마찰로 인해 마멸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는 커터는 토사, 암반등 다양한 굴착지반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커터로 교환하여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9. 제3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부의 토사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토사를 작업구 밖으로 자동 반출하는 토사반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반출수단은 굴착추진시 전후 이동되는 상기 구동본체부의 토사배출구 아래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토사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토사를 상기 구동본체부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수평 벨트콘베이어와;
    상기 수평 벨트콘베이어의 후측 아래에서 작업구 밖까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수평 벨트콘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토사를 작업구 밖으로 이송하여 반출하는 경사 벨트콘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및 경사 벨트콘베이어는 토사반출 작업공간에 놓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다수 배설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에 의해 회전되면서 토사를 이송시키는 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KR10-2002-0003875A 2002-01-23 2002-01-23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KR100413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875A KR100413562B1 (ko) 2002-01-23 2002-01-23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875A KR100413562B1 (ko) 2002-01-23 2002-01-23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175U Division KR200274225Y1 (ko) 2002-01-23 2002-01-23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688A KR20020040688A (ko) 2002-05-30
KR100413562B1 true KR100413562B1 (ko) 2004-01-03

Family

ID=1971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875A KR100413562B1 (ko) 2002-01-23 2002-01-23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35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56B1 (ko) 2008-04-14 2010-03-23 이재유 암반천공장치의 암반절삭공구
KR101163743B1 (ko) 2009-12-22 2012-07-11 한미에치비씨(주) 에이취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강관을 이용한 비 개착식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232324B1 (ko) 2010-07-28 2013-02-13 우근우 강관 압입용 접이식 헤드 커터
KR101240334B1 (ko) * 2010-06-09 2013-03-06 우근우 호형가이드판이 형성된 강관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288324B1 (ko) * 2009-12-22 2013-07-23 우근우 지중에 압입된 강관들과 지중구조물이 서로 구조적으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비개착식 지중구조물과 강관의 일체화 방법
KR20160071274A (ko) 2014-12-11 2016-06-21 김종화 전후진 이동가능 굴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189B1 (ko) * 2008-06-22 2009-03-13 주식회사 추진건설 막장유지 및 수평조절 압입용 선도관 장치
KR101138506B1 (ko) * 2011-11-24 2012-04-25 주식회사 건화 토목, 도로, 철도, 단지, 수자원, 구조, 항만, 상하수도 및 환경분야에 적용되는 압입 추진관의 연속적인 조향을 통한 관추진 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56B1 (ko) 2008-04-14 2010-03-23 이재유 암반천공장치의 암반절삭공구
KR101163743B1 (ko) 2009-12-22 2012-07-11 한미에치비씨(주) 에이취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강관을 이용한 비 개착식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288324B1 (ko) * 2009-12-22 2013-07-23 우근우 지중에 압입된 강관들과 지중구조물이 서로 구조적으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비개착식 지중구조물과 강관의 일체화 방법
KR101240334B1 (ko) * 2010-06-09 2013-03-06 우근우 호형가이드판이 형성된 강관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232324B1 (ko) 2010-07-28 2013-02-13 우근우 강관 압입용 접이식 헤드 커터
KR20160071274A (ko) 2014-12-11 2016-06-21 김종화 전후진 이동가능 굴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688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724B1 (ko) 지하 옹벽 구축을 위한 개량된 굴착장치
EP0343878B1 (en) Hydrocleaning of the exterior surface of a pipeline to remove coatings
RU2564548C2 (ru) Система непрерывной открытой разработки
AU672163B1 (en) Highwall mining apparatus
CA2015719C (en) Continuously operating open-cast mining device with a cylindrical breaking tool
CA1228081A (en) Conveyor belt system for a continuous mining machine
AU661049B2 (en) Mining machine with cascading conveyer system
KR100413562B1 (ko)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RU213569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бивки трубопровода грунтом из отвала,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уплотнения грунта под трубопроводом и грунтоуплотняющий механизм
US4387798A (en) Cascading conveyor system
US39959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of bolting and transferring mined material
US2869291A (en) Shot blasting machines
KR200274225Y1 (ko) 선단 조정이 가능한 굴착기
US4116014A (en) Excavating and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US3982338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CN105016604B (zh) 一种排水管网污泥一体化处理方法
JPH09296477A (ja) 水中作業機および水中作業設備
US4462747A (en) Material conveyor for use with a backhoe
CN210105858U (zh) 采掘机
CN114920030A (zh) 无地坑平房仓颗粒物料的进出仓方法
JP4997793B2 (ja) 掘削装置及び掘削方法
EP0964979B1 (en) An advancing tailpiece
US4232982A (en) Excavating and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CN219281740U (zh) 一种联络通道用渣土运输系统
CN110725683A (zh) 一种竖井掘进机用泥浆环流出渣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