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805B1 -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 Google Patents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805B1
KR100412805B1 KR10-2000-0081569A KR20000081569A KR100412805B1 KR 100412805 B1 KR100412805 B1 KR 100412805B1 KR 20000081569 A KR20000081569 A KR 20000081569A KR 100412805 B1 KR100412805 B1 KR 10041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air
housing
sliding door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329A (ko
Inventor
성병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8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2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에 관한 것으로, 1개의 밸브를 통해 도어의 열림과 닫음 및 비상시 요구되는 에어 공급로를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밸브에 의한 점유공간을 줄여 작업공정을 개선하고 제작비용도 절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탱크와, 이 에어탱크의 압축공기의 공압이 각각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분기된 관로를 통해 유·출입되는 에어를 매개로 왕복 이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실린더 및 이들 에어탱크와 실린더의 관로 사이에 구비되어 공압을 선택적으로 유·출입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멀티마그네틱밸브로 이루어지되, 이 멀티마그네틱밸브(1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에어의 유·출입 경로를 형성한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의 유·출입 경로에 선택적으로 일치시키도록 배터리의 전원이 통전되는 코일(12)에 의해 작용됨과 더불어 긴급 상황 시 수동 조작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이동체(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The sliding door of bus having a multi-pathway converted device}
본 발명은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다른 유로의 경로 형성을 그 위치 변화를 통해 이룰 수 있도록 된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이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는 유압이나 공압으로 작동되는 개·폐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어의 개·폐장치는 통상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의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탱크(1)와, 이 에어탱크(1)의 압축공기의 공압이 각각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분기된 관로에 구비된 제1·2마그네틱밸브(3,3') 및 이 밸브(3,3')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공압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실린더(4)로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4)는 압력 차에 의해 전·후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4')에 의해 양분되어 제1마그네틱밸브(3)를 통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챔버(4a)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3')를 통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2챔버(4b)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에어탱크(1)와 제1·2마그네틱밸브(3,3')사이의 관로에는 비상 조작 시 에어탱크(1)의 압축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비상밸브(2)가 구비되어진다.
따라서, 운전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조작하게 되면 에어탱크(1)의 압축된 압력을 가진 공기가 관로를 따라 흐르게되고 이와 동시에 제2마그네틱밸브(3')에 전류가 흘러 배기 상태로 전환되는 반면 제1마그네틱밸브(3)는 흡기 상태로 전환되어 진다.
즉,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3)를 통해 실린더(4)의 제1챔버(4a)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피스톤(4')을 제2챔버(4b)쪽으로 밀어, 이 제2챔버(4b)내의 공기를 제2마그네틱밸브(3')로 배출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피스톤(4')을 매개로 도어가 열리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도어를 닫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의 반대로 밸브(3,3')에 전류가 끊기면서 제1마그네틱밸브(3)를 통해 실린더(4)의 제1챔버(4a)내 유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반면, 제2마그네틱밸브(3')를 통해 유입된 에어탱크(1)의 압축공기가 제2챔버(4b)를 확장시키면서 피스톤(4')을 이동시켜, 결국 도어를 닫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해 실린더(4)의 제1·2챔버(4a,4b)로 연결된 공급로에 각각 밸브(3,3')가 구비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에어탱크(1)의 공급로에도 비상시 사용되는 비상밸브(2)가 구비되어야 만 정상 또는 비상상황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져, 이러한 밸브의 다 사용에 따라 비용상승을 초래하고 밸브의 점유공간으로 인해 작업 공정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1개의 밸브를 통해 도어의 열림과 닫음 및 비상시 요구되는 에어 공급로를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밸브에 의한 점유공간을 줄여 작업공정을 개선하고 제작비용도 절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탱크와, 이 에어탱크의 압축공기의 공압이 각각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분기된관로를 통해 유·출입되는 에어를 매개로 왕복 이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실린더 및 이들 에어탱크와 실린더의 관로 사이에 구비되어 공압을 선택적으로 유·출입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멀티마그네틱밸브로 이루어지되, 이 멀티마그네틱밸브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에어의 유·출입 경로를 형성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유·출입 경로에 선택적으로 일치시키도록 배터리의 전원이 통전되는 코일에 의해 작용됨과 더불어 긴급 상황 시 수동 조작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이동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열림 작용 상태에 있는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닫힘 작용 상태에 있는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의 멀티 유로 전환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전환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작용 상태에 있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유로 전환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닫힘 작용 상태에 있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의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유로 전환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이머전시) 작용 상태에 있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의 구성도
도 10,11은 도 9에 따른 유로 전환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탱크 2 : 비상밸브
3,3' : 제1·2마그네틱밸브
4 : 실린더 4' : 피스톤
4a : 제1챔버 4b : 제2챔버
10 : 멀티마그네틱밸브 11 : 하우징
12 : 코일 13 : 스프링
14 : 이동체 15 : 로드
16 : 비상레버 16a : 키이
20 : 하단경로부 21,31,41 : 제1경로
21a,22a,31a,32a, : 입구
21b,22b,31b,32b, : 출구
22,32,42 : 제2경로 30 : 상단경로부
40 : 비상경로부
41a,41a',41b,41b' : 제1·2입구 42a,42b : 제1·2출구
50 : 제1유입포트
60 : 제2유입포트 70 : 제1배출포트
80 : 제2배출포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의 멀티 유로 전환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탱크(1)와, 이 에어탱크(1)의 압축공기의 공압이 각각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분기된 관로를 통해 유·출입되는 에어를 매개로 왕복 이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피스톤(4')을 구비한 실린더(4) 및 이들 에어탱크(1)와 실린더(4)의 관로 사이에 구비되어 공압을 선택적으로 유·출입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멀티마그네틱밸브(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멀티마그네틱밸브(1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에어의 유·출입 경로를 형성한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의 전원이 통전되는 코일(12), 이 코일(12)을 통해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됨과 더불어 긴급 상황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비상레버(16), 이 비상레버(16)의 수동조작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비상레버(16)의일단부에 키이(16a)를 매개로 결합된 로드(15)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코일(12)을 통해 통전된 전류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선택적으로 에어 공급로를 형성하는 이동체(14) 및 이 이동체(14)의 복귀 시 탄성력 발생하도록 로드(15)부위로 구비된 스프링(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에어의 경로는 중공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어져 실린더(4)의 제1·2챔버(4a,4b)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유입포트(50,60)와, 이 유입포트(50,60)의 동일 선상에 형성되어 긴급상황 시 수동 조작되기 위해 실린더(4)내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포트(70) 및 이 제1배출포트(70)에 이동간격(L)을 두고 형성되어 이동체(14)의 이동에 따라 경로를 형성하는 제2배출포트(8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체(14)에는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제1·2유입포트(50,60)에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2배출포트(70,80)의 이동간격(L)과 동일한 경로간격(L')을 두고 하·상단경로부(20,30)가 형성되되, 이 하·상단경로부(20,30)는 입구(21a,22a,31a,32a)와 출구(21b,22b,31b,32b)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대향되는 위치로 제1·2경로(21,22,31,32)가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하·상단경로부(20,30)의 제1·2경로(21,22,3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서로 90°로 엇갈리는 위치로 형성되어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제1·2배출경로(70,80)를 통해 수동 조작시 실린더(4)내의 에어를 배출하는 비상경로부(40)는 상기 하단경로부(20)의 제1·2경로(21,22)의 입구(21a,22a)와 출구(21b,22b)사이에 위치되면서 상단경로부(30)의 제1·2경로(31,32)사이로 이어져 이에 일치되는 지점으로 각각 제1·2입구(41a,41a',41b,41b')를 형성하도록 대략 디귿자 형상을 이루는 제1경로(41)와, 이 제1경로(41)의 중앙부위에 이어져 상기 상단경로부(30)의 제2경로(32)의 입구(32a)와 출구(32b)사이에 위치되면서 하단경로부(30)의 제1·2경로(21,22)사이로 이어져 이에 일치되는 지점으로 각각 제1·2출구(42a,42b)를 형성하는 제2경로(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제1·2배출경로(70,80)와 상기 제2경로(42)의 제1·2출구(42a,42b)는 수동 조작 시 비상레버(16)를 매개로 회전되어 서로 일치되면서 에어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약 45°정도의 배출각도(a)로 어긋나도록 형성되어짐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의 구성도를 참조로 열림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멀티마그네틱밸브(10)의 코일(12)에 배터리의 전원을 통전시키면 하우징(11)내의 이동체(14)가 스프링(13)을 압축하면서 이동 즉, 경로간격(L')만큼 이동되어 하단경로부(20)가 하우징(11)의 제1·2유입포트(50,60)에 일치되어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경로부(20)의 제1경로(21)가 에어탱크(1)의 에어를 실린더(4)의 제1챔버(4a)로 공급하도록 하우징(11)의제1유입포트(50)에 일치됨과 더불어 제2경로(22)가 실린더(4)의 제2챔버(4b)내의 에어를 배출하도록 하우징(11)의 제2유입포트(60)에 일치되어 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1)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하우징(11)의 제1유입포트(50)와 이동체(14)의 하단경로부(20)를 이루는 제1경로(21)의 입구(21a)와 출구(21b)를 통해 흐르게되고, 상기 실린더(4)의 제1챔버(4a)로 유입된 에어가 피스톤(4')을 제2챔버(4b)쪽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열게되는 반면, 상기 피스톤(4')에 의해 압축된 제2챔버(4b)내의 에어는 상기 하단경로부(20)의 제2경로(22)의 입구(22a)와 출구(22b)를 통해 배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상단경로부(30)와 비상경로부(40)는 하우징(11)의 제1·2유입포트(50,60)와 제1·2배출포트(70,80)와 어긋난 상태를 유지하여 에어의 유·출입이 없게됨은 물론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닫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멀티마그네틱밸브(10)의 코일(12)에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시키면 하우징(11)내의 이동체(14)가 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 즉, 경로간격(L')만큼 이동되어 상단경로부(30)가 하우징(11)의 제1·2유입포트(50,60)에 일치되어진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경로부(30)의 제2경로(32)가 에어탱크(1)의 에어를 실린더(4)의 제2챔버(4b)로 공급하도록 하우징(11)의 제2유입포트(60)에 일치됨과 더불어 제1경로(31)가 실린더(4)의 제1챔버(4a)내의 에어를 배출하도록 하우징(11)의 제1유입포트(50)에 일치되어 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1)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하우징(11)의 제2유입포트(60)와 이동체(14)의 상단경로부(30)를 이루는 제2경로(32)의 입구(32a)와 출구(32b)를 통해 흐르게되고, 상기 실린더(4)의 제2챔버(4b)로 유입된 에어가 피스톤(4')을 제1챔버(4a)쪽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닫게되는 반면, 상기 피스톤(4')에 의해 압축된 제1챔버(4a)내의 에어는 상기 상단경로부(30)의 제1경로(31)의 입구(31a)와 출구(31b)를 통해 배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하단경로부(20)와 비상경로부(40)는 하우징(11)의 제1·2유입포트(50,60)와 제1·2배출포트(70,80)와 어긋난 상태를 유지하여 에어의 유·출입이 없게됨은 물론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이머전시)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운전자가 비상레버(16)를 돌려 이동체(14)를 약 45°가량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체(14)의 상단경로부(30)나 또는 하단경로부(20)는 하우징(11)의 제1·2유입포트(50,60)와 제1·2배출포트(70,80)와 일치되어져 실린더(4)내의 에어를 모두 배출하게 된다.
즉, 이를 상기 이동체(14)의 상단경로부(30)를 통해 형성되는 배출경로로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비상레버(16)가 이동체(14)의 비상경로부(40)의 제1경로(41)를 하우징(11)의 제1·2유입포트(50,60)에 일치시키게 되면, 상기 하우징(11)의 제1유입포트(50)와 상기 제1경로(41)의 제2입구(41a')가 서로 일치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11)의 제2유입포트(60)와 상기 제1경로(41)의 제2입구(41b')가 서로 일치되어 진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4)의 제1·2챔버(4a,4b)내의 에어가 제1·2유입포트(50,60)를 통해 각각 비상경로부(40)의 제1경로(41)에 형성된 제2입구(41a',41b')로 유입되어지고, 이와 같이 유입된 에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경로(41)에 이어진 제2경로(42)의 제1·2출구(42a,4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개·폐하는 실린더로 유입되는 에어의 흐름 경로를 조작조건과 작동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에어흐름경로를 형성하는 멀티마그네틱밸브를 이용하여 흐름경로 형성에 따른 밸브의 이용 개수를 1개로 줄여 작업공정의 간소화와 무게의 축소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9)

  1. 압축공기의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탱크(1)와, 이 에어탱크(1)의 압축공기의 공압이 각각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분기된 관로를 통해 유·출입되는 에어를 매개로 왕복 이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피스톤(4')을 구비한 실린더(4) 및 이들 에어탱크(1)와 실린더(4)의 관로 사이에 구비되어 공압을 선택적으로 유·출입시켜 열림과 닫힘 및 수동조작에 요구되는 에어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멀티마그네틱밸브(10)로 구성되는데;
    상기 멀티마그네틱밸브(1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에어의 유·출입 경로를 형성한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의 전원이 통전되는 코일(12), 이 코일(12)을 통해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됨과 더불어 긴급 상황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비상레버(16), 이 비상레버(16)의 수동조작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비상레버(16)의 일단부에 키이(16a)를 매개로 결합된 로드(15)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코일(12)을 통해 통전된 전류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선택적으로 에어 공급로를 형성하는 이동체(14) 및 이 이동체(14)의 복귀 시 탄성력 발생하도록 로드(15)부위로 구비된 스프링(13)으로 구성되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2. 삭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에어의 경로는 중공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어져 실린더(4)의 제1·2챔버(4a,4b)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유입포트(50,60)와, 이 유입포트(50,60)의 동일 선상에 형성되어 긴급상황 시 수동 조작되기 위해 실린더(4)내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포트(70) 및 이 제1배출포트(70)에 이동간격(L)을 두고 형성되어 이동체(14)의 이동에 따라 경로를 형성하는 제2배출포트(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4)에는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제1·2유입포트(50,60)에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2배출포트(70,80)의 이동간격(L)과 동일한 경로간격(L')을 두고 하·상단경로부(20,30)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상단경로부(20,30)는 입구(21a,22a,31a,32a)와 출구(21b,22b,31b,32b)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대향되는 위치로 제1·2경로(21,22,31,32)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상단경로부(20,30)의 제1·2경로(21,22,31,32)는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서로 90°로 엇갈리는 위치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제1·2배출경로(70,80)를 통해 수동 조작 시 실린더(4)내의 에어를 배출하는 비상경로부(40)는 상기 하단경로부(20)의 제1·2경로(21,22)의 입구(21a,22a)와 출구(21b,22b)사이에 위치되면서 상단경로부(30)의 제1·2경로(31,32)사이로 이어져 이에 일치되는 지점으로 각각 제1·2입구(41a,41a',41b,41b')를 형성하도록 대략 디귿자 형상을 이루는 제1경로(41)와, 이 제1경로(41)의 중앙부위에 이어져 상기 상단경로부(30)의 제2경로(32)의 입구(32a)와 출구(32b)사이에 위치되면서 하단경로부(30)의 제1·2경로(21,22)사이로 이어져 이에 일치되는 지점으로 각각 제1·2출구(42a,42b)를 형성하는 제2경로(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로(42)의 제1·2출구(42a,42b)는 하우징(11)에 형성된 제1·2배출경로(70,80)에 대해 일정한 배출각도(a)로 어긋나도록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각도(a)는 약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KR10-2000-0081569A 2000-12-26 2000-12-26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KR100412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569A KR100412805B1 (ko) 2000-12-26 2000-12-26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569A KR100412805B1 (ko) 2000-12-26 2000-12-26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329A KR20020052329A (ko) 2002-07-04
KR100412805B1 true KR100412805B1 (ko) 2003-12-31

Family

ID=2768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569A KR100412805B1 (ko) 2000-12-26 2000-12-26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8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7106A1 (en) * 2019-10-30 2021-05-0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ulti-port valve with partial circumferential seal arrangement
US11255450B2 (en) 2018-12-19 2022-02-22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ulti-port multi-plane valve
US11773990B2 (en) 2020-06-05 2023-10-03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ulti-port multi-mode val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40A (ko) * 1995-07-31 1997-02-19 중소형 버스용 중비도어의 자동 또는 수동개폐 자동변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40A (ko) * 1995-07-31 1997-02-19 중소형 버스용 중비도어의 자동 또는 수동개폐 자동변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5450B2 (en) 2018-12-19 2022-02-22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ulti-port multi-plane valve
US11655906B2 (en) 2018-12-19 2023-05-23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ulti-port multi-plane valve
WO2021087106A1 (en) * 2019-10-30 2021-05-0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ulti-port valve with partial circumferential seal arrangement
US11156300B2 (en) 2019-10-30 2021-10-2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ulti-port valve with partial circumferential seal arrangement
US11773990B2 (en) 2020-06-05 2023-10-03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ulti-port multi-mode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329A (ko)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824B2 (ja) 容量可変型圧縮機
JPH0744560U (ja) フロントカットオフバルブ
KR100412805B1 (ko) 멀티 유로 전환장치를 갖춘 버스용 슬라이딩도어
EP0814289A3 (en) Switching valve, fluid compressor and heat pump type refrigeration system
CN103797288A (zh) 双稳态流体阀
US6065487A (en) Valve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for different uses
AU2003903803A0 (en) Poppet type flow control valve
JPS60172791A (ja) 空気弁
EP2844901B1 (en) Positive drive actuated valve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method
CN101397921B (zh) 气动发动机电气驱动全可变气门机构
JP2010053876A (ja) 三方切換弁
ITBO20030740A1 (it) Macchina fissatrice pneumatica
CN212616519U (zh) 一种组合开关
CN105402466A (zh) 新型气动风阀远程控制方法
CN113623457A (zh) 节流阀
CN115559830B (zh) 电磁先导控制阀
CN214197396U (zh) 一种新型电磁阀
CN218522726U (zh) 一种常闭式电磁先导控制阀
IT8224326A1 (it) Unita&#39; a valvola magnetica
CN104185722B (zh) 气体交换阀装置和阀
RU55915U1 (ru) Шиберная задвижка
JPH03260481A (ja) 切換弁
RU2241144C2 (ru) Пятилинейный двухпозиционный клапанный пневм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
CN105387260B (zh) 气动风阀远程控制装置
JP2004100948A (ja) オールポートクローズ形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