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342B1 -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342B1
KR100412342B1 KR10-2001-0052313A KR20010052313A KR100412342B1 KR 100412342 B1 KR100412342 B1 KR 100412342B1 KR 20010052313 A KR20010052313 A KR 20010052313A KR 100412342 B1 KR100412342 B1 KR 10041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video data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974A (ko
Inventor
장덕호
최정주
박경렬
이충환
김만수
오황석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주)디지탈아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탈아리아 filed Critical (주)디지탈아리아
Priority to KR10-2001-005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3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8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 장치를 통하여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를 감소 또는 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변환 정보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 또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또는 동영상의 재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 라인 변환 과정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를 변환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단말 장치를 통하여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를 감소 또는 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90년 초반까지, 일부의 사람들만이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알고 있었고,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아는 사람들 중에서도, 일부만이 통신 수단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었으나, 현재에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컴퓨터를 통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와 같이, 인터넷 사용이 대중화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의 실용화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웹을 이용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전자 상거래(E-commerce), 사이버 주식 거래, 전자 메일(Electronic mail: e-mail),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제공 사업 등의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들이 예전에 물리적으로 하던 작업을 현재에는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는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이라 함은,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address)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단위 네트워크와 각 단위 네트워크에 구비된 개별적인 IP 어드레스를 갖는 복수의 호스트(Host)들 간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며, LAN(Local Area Network)이나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이다. 여기서 호스트들은 통신 모뎀을 구비한 컴퓨터 내지 컴퓨터와 전화가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각 호스트에 부여된 고유의 IP 어드레스만으로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위 '정보의 바다'라 일컬어지는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자신만의 정보로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포토샵(PhotoShop) 또는 패인트 샵(Paint shop)과 같이 사진 등의 정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뿐만 아니라 GIF 애니메이터(Animator) 또는 매크로미디어(Macromedia) 플래시(Flash)와 같은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하면서, 캐릭터의 동작을 표현하는 동영상 데이터는 많은 네티즌(Netizen)들 사이에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증가하면서, 영화나 애니메이션 같은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도 1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 접속을 위한 종래의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 장치(10)와 웹 서버(18) 또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20) 상호간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이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인터넷(16)이 구비된다. 인터넷 단말 장치(10)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어를 제공받는다. 유선 네트워크(12)는 인터넷 단말 장치(10)로부터 명령어와 사용자의 IP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다른 단말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Gateway: 14)는 유선 네트워크(12)로부터 명령어와 IP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인터넷(16)은 게이트웨이(14)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주선한다. 웹 서버(18)는 인터넷(16)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웹(Web) 정보를 제공하며, ISP(20)는 인터넷(16)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한다. 인트라넷(Intranet: 22)은 ISP(20)를 통하여 인터넷(16)과 연결되고,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24)를 보유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터넷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에서는 단말 장치의 이동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정보 통신 및 전자 산업의 급격한 발달에 힘입어 휴대용 컴퓨터와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다양한 이동 호스트가 기존의 IP 주소를 이용하면서도, 자신의 고정된 네트워크 위치를 벗어나서 이동 중에도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인터넷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또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과 같은 휴대용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해짐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동 중에도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도 2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종래의 이동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의 키 패드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통하여 명령어를 입력받아 데이터 서비스에 적합한 형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기지국 장치(32)는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명령어를 입력받아 복조(Demodulation)한다. 무선 네트워크(34)는 명령어를 전송한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의 ID(IDentity) 번호와 함께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게이트웨이(36)는 무선 네트워크(34)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넷 접속에 적합한 TCP/IP 등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인터넷(38)은 게이트웨이(36)로부터 명령어에 해당되는 동작을 위해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웹 서버(40)는 인터넷(38)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웹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42)는 인터넷(38)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이동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키 패드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명령어는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에서 무선 네트워크(34)와 게이트웨이(36) 사이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명령어로 변환된다. 변환된 명령어는 대역 확산이나 변조 등을 통하여 무선 채널에 전송할 수 있는 RF 신호로 변환되어 기지국 장치(32)로 전송된다. 기지국 장치(32)에서는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무선 네트워크(34)로 전송한다. 이어서, 무선 네트워크(34)에서는 RF 신호를 무선망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언어, 예컨대 HDML(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이나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또는 mHTML(mobility 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변환하여 게이트웨이(36)로 출력한다. 이를 입력받은 게이트웨이(36)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IP 형태로 변환하고,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의 ID 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발생시켜서 인터넷(38)에 접속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에는 인터넷(38)에서 웹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 언어인 HTML을 이용하여 웹 서버(40)에 접속한다. 사용자가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정보를 희망하여 이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인터넷(38)에서 TCP/IP를 이용하여 이동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42)에 접속하여 이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획득한다.
반대로, 인터넷(38)에서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로 이루어지는 정보 전송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인터넷(38)에서 웹 서버(40)나 이동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42)로부터 정보를 획득한 다음, 게이트웨이(36)로 정보를 전송한다. 인터넷(38)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은 게이트웨이(36)는 HDML, mHTML 또는 WML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34)로 해당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무선 네트워크(34)에서는 기지국 장치(32)를 통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에 해당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30)로 정보를 전송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음향 데이터, 색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PDA 또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는 PC에 비하여 그 성능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동영상 전송 및 처리 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연속된 비트맵(Bitmap) 이미지를 이용한 제한된 동영상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도 3은 비트맵 이미지를 이용한 종래의 무선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 장치(70)와 웹 서버(50) 사이에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프록시(Proxy)라고 불리는 WAP 게이트웨이(Gateway: 60)를 두고 있다. WAP 게이트웨이(60)는 WAP을 이용하는 신호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는 신호를 중간에서 변환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무선 단말 장치(70)로부터 전송된 인터넷 서비스 요청 신호는 WAP 게이트웨이(60)를 거치도록 되어 있고, WAP 게이트웨이(60)는 WAP을 이용하여 제공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인터넷을 통하여 웹 서버(50)로 전달한다. 이어서, WAP 게이트웨이(60)는 웹 서버(50)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WAP에 의한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무선 단말 장치(7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무선 단말 장치(70)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 WML 스크립트(Script) 또는 XML(extended Markup Language)과 같은 언어로 이루어진 WAP 브라우저(74)를 이용하여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단말 장치(70)로부터 WAP 게이트웨이(60)로 서비스 요청 신호 또는 응답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서는 WSP(Wireless Session Protocol)/WTP(Wireless Transaction Protocol)가 사용될 것이다. 그에 따라, WAP 게이트웨이(60)는 무선 단말 장치(70)로부터 전송된 WTP 신호를 HTTP 신호로 변환하고, 웹 서버(50)로부터 전송된 HTTP 신호를 WTP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HTTP/WTP 변환 장치(62)를 포함한다. 또한, TCP/IP 와 WAP 사이의 호환을 위한 프로토콜 어댑터(66)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WAP 게이트웨이(60)는 웹 서버(50)로부터 HTTP에 의하여 제공되는 연속된 비트맵 이미지를 무선 인터넷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비트맵 이미지 변환 장치(64)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맵 이미지 변환 장치(64)를 통하여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는 WAP 게이트웨이(60)로부터 WTP를 통하여 무선 단말 장치(70)로 전송된다. 무선 단말 장치(70)는 WAP 게이트웨이(60)로부터 전송된 비트맵 이미지를 WAP 브라우저(74)에 연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무선 단말 장치(70)에 구비된 표시부(76)를 통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웹 서버(50)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버(54)와 HTTP를 이용하여 연속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를 WAP 게이트웨이(60)로 전송하기 위한 HTTP 통신 장치(52)를 포함한다.
그러나, 비트맵 이미지로 이루어진 동영상은 그 용량이 방대하며, 용량에 비하여 화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무선 단말 장치에 의한 무선 전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데이터 전송 속도에 비하여 전송하여야 할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비트맵 이미지의 동영상은 무선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벡터 그래픽 기반의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도록 변환 및 최적화하고, 이를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우수한 화질의 동영상을 서비스 할 수 있는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종래의 이동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비트맵 이미지를 이용한 종래의 무선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의 정의 태그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의 제어 태그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한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선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맞도록 변환하는 온 라인 변환 과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웹 서버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WAP 게이트웨이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30: 무선 단말 장치 32: 기지국 장치
34: 무선 네트워크 36: 게이트웨이
38: 인터넷 40: 웹 서버
42: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110: 웹 서버 112: 유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
114: 플래시 동영상 오프 라인 변환부
116: 컨텐츠 서버 120: WAP 게이트웨이
122: 유무선 프로토콜 변환 장치
124: 플래시 동영상 온/오프 라인 변환부
126: 프로토콜 어댑터 130: 무선 단말 장치
132: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
134: 플래시 동영상 온 라인 변환부
136: WAP 브라우저 138: 표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으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 D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거리 D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은 매크로미디어 플래시로 제작된 동영상일 수 있다.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분할된 베지어 곡선을대체하는 두 직선을 변으로 하고, 상기 두 직선이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접점을 잇는 선분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밑변에 속하는 두 내각의 크기가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두 직선을 밑변을 포함하는 직선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각도는 0 이상 π라디안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이벤트 처리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마우스의 위치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중에서,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선정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제어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어 버튼이 상호 연결된 버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버튼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제어 버튼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플래시 버튼 상태는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졌다고 놓여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UP 상태,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DOWN 상태, 마우스의 포인터가 플래시 버튼 위에 놓였을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OVER 상태 및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UP 상태, DOWN 상태 및 OVER 상태의 동작을 하기 위한 플래시 버튼의 행동 반경을 정의하는 HIT AREA 상태 중에서 UP 상태 또는 HIT AREA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와,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를 구성 성분으로 하여 행렬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행렬의 행렬식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는 회전 정보, 스케일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배경 음악을 정의하는 배경 음악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와,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는 삭제할 구성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삭제 리스트에 등록된 구성 성분 및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ShowFrame 태그 내에 PlaceObject 태그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ShowFrame 태그를 삭제하는 단계와,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모양 태그에 있어서, 모양 태그 내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버튼 태그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양 태그는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및 DefineMorphShape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태그는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및 DefineButtonSoun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 성분 내에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표현 가능한 컬러 색상 및 출력되는 사운드 형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 내에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폰트 태그는 DefineFont, DefineFont2 및 DefineFontInfo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트맵 태그는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및 JPEGTables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태그는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및SoundStreamHead2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 정보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 또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 정보는 동영상 데이터의 오프 라인 변환 또는 온 라인 변환 결과를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 정보에 따라,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 또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와,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유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곡선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 데이터 변환부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을 구성하는 베지어 곡선 데이터를 추출하는 곡선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과,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근사 직선 생성부와,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곡선 분할부와,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곡선 분할 제어부와, 상기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직선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 중에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을 선정하는 버튼 선택부와,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받아서 액션을 취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버튼의 복수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동영상 버튼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상태 정보 제어부와,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버튼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버튼 네트워크 구성부와,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또는 입력 버튼의 동작에 따라, 동영상 버튼이 연결된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버튼을 선택 또는 실행하는 동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프레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제어부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와, 각 프레임의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고,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산술 처리부와,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프레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삭제할 구성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 리스트에 등록하고, 삭제 리스트에 등록된 구성 성분 및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삭제 리스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헤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와,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와, 상기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장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환 정보를 추출하여 변환 결과를 판단하는 변환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와,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와,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 또는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장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무선 단말 장치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환 정보를 추출하여 변환 결과를 판단하는 변환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와, 상기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동영상 제어부와, 상기 동영상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제어부는 온 라인 변환된 동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의 구문을 분석하는 파싱 처리부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렌더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무선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구성 요소를 선별하여 이를 변환 또는 삭제한다. 그리고,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는 곡선 데이터 부분을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고, 유선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함으로써, 무선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동영상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변환 과정을 오프 라인 변환으로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기종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온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동영상 데이터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비트맵 이미지와,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이미지를그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미지, 즉 디지털 카메라 또는 스캐너를 통하여 입력된 이미지들은 하나같이 모두 픽셀로 구성된 이미지이다. 이러한 픽셀은 어떤 위치 정보, 예컨대 x축과 y축으로부터의 거리, 픽셀의 존재 여부, 또는 컬러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픽셀이라 불리는 매우 작은 정사각형의 격자를 이용하는 경우를 비트맵 이미지 또는 래스터(Raster)그래픽 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격자(grid)는 가로 또는 세로로 일정하게 배열된 선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컴퓨터 그래픽에서 화면의 좌표를 표시하거나 표시된 이미지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반면에,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또는 어도브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와 같이 컴퓨터 상에서 그림을 그리는 드로잉 프로그램들에서는 벡터 그래픽을 만들 수 있다. 소위 벡터(Vector)라고 불려지는 수학적인 계산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상체로 정의되는 선분과 곡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이미지가 벡터 그래픽이다. 즉 어떤 픽셀에 의해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어떤 위치와 위치사이를 직선과 곡선으로 연결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벡터 그래픽 이미지는 각 위치와 위치사이(출발점과 도착점)의 연결 선분을 컴퓨터의 수학적인 계산 정보로 가진 이미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픽셀과 같은 실체를 가진 이미지가 아니기 때문에, 이를 선택영역으로 바꾸어 준 다음, 그 영역이나 선택 영역의 경계선에 어떤 색상을 채워서 비트맵 이미지로 만들어 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벡터 그래픽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동영상 제작에 이용되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SWF 파일은 크게 헤더(header)와 태그(tag)로 나눌 수 있다. 헤더는 SWF 파일에 대한 파일 헤더(file header)와 지정된 데이터 블록에 대한 레코드 헤더(record header)로 구분할 수 있다. 태그는 SWF 파일 내의 데이터 블록으로서 태그 형태(tag type)와 길이(length)를 가진다. 이 밖에, 캐릭터(character), 캐릭터 ID, 오브젝트(Object), 뎁스 번호(Depth number), 캐릭터 목록(Dictionary) 및 디스플레이 리스트(Display list)가 포함될 수 있다. 태그와 태그의 데이터들로 정의된 개체(Object)를 캐릭터(Character)라 하고, 디스플레이 리스트에 실현되는 캐릭터의 단위를 오브젝트(Object)라고 한다. 각 캐릭터는 SWF 파일 내에서 정의되는 캐릭터를 구분하기 위하여 16 비트의 숫자로 구성된 캐릭터 ID를 가진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리스트 상의 구성 요소에 대한 누적 차수를 나타내기 위하여 16 비트 정수로 이루어진 뎁스 번호(Depth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릭터 목록(Dictionary)은 SWF 파일 내에서 정의 또는 플래시 동영상에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의 현재 리스트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리스트는 정해진 시간 내에서 일정 위치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헤더(header)는 변환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Version field)와, 파일의 크기를 나타내는 필드(Size field) 및 플래시 동영상의 컨텐츠 저작권 보호 관련 필드(Protection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버전 필드(Version field)는 헤더의 변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NONE, OFF_CNVT, ON-CNVT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있다.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은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플래시 동영상의 변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헤더의 버전 필드(Version field)를 이용한다. 이 때,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이 이루어지면 데이터의 크기가 변하기 때문에 사이즈 필드(Size field)의 내용이 변경될 것이다.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는 정의 태그(Definition tag)와 제어 태그(Control tag)로 구분할 수 있다. 정의 태그(Definition tag)는 애니메이션(animation)의 특정 위치에 사용될 수 있는 모양(shape), 텍스트(text), 비트맵(bitmap) 및 버튼(button)과 같은 리소스(resource)의 목록(dictionary)을 관리한다. 제어 태그(Control tag)는 디스플레이 리스트를 제어하고, 애니메이션의 시작과 종료와 같은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의 정의 태그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의 태그는 다수의 태그, 즉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DefineMorphShape,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Bits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JPEGTables,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DefineButtonSound, DefineFont, DefineFont2, DefineFontInfo, DefineText, DefineText2,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SoundStreamHead2 및 DefineSprite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및 DefineMorphShape 태그는 플래시 동영상의 모양을 나타내는 태그이고,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및 JPEGTables 태그는 비트맵 이미지를 나타내는 태그이다. 또한,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및 DefineButtonSound 태그는 마우스의 움직임이나 동작을 나타내는 버튼 태그에 해당한다. DefineFont, DefineFont2, DefineFontInfo, DefineText 및 DefineText2 태그는 플래시 동영상에 포함된 텍스트 및 폰트 정보를 표시한다.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및 SoundStreamHead2 태그는 플래시 동영상의 음향을 나타내며, DefineSprite 태그는 SWF 동영상 내에 포함된 SWF 동영상을 나타낸다.
이들 정의 태그 중에서 효율적인 무선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 모양 태그, 비트맵 태그, 폰트 태그 및 사운드 태그에 대한 삭제 또는 변환이 필요하다.
비트맵 태그에 해당하는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BitsJPEG3, DefineBitsLossless 및 DefineBitsLossless2 태그, 폰트 태그에 해당하는 DefineFont, DefineFont2 및 DefineFontInfo 태그 및 사운드 태그에 해당하는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및 SoundStreamHead2 태그 데이터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지원 가능한 형태로 변경하여야 한다. 이러한, 변환 과정을 통하여 전송되는 무선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플래시 동영상은 벡터 그래픽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트맵 태그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지원하는 컬러 수에 따라 변환하고, 폰트 태그와 사운드 태그 또한무선 단말 장치에서 지원되는 폰트와 사운드에 맞게 변환될 것이다.
그리고, 현재의 무선 단말 장치는 사운드의 믹싱(mixing)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배경 음악(background music)을 정의하는 태그는 삭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및 DefineMorphShape 태그를 포함하는 모양 태그는 플래시 동영상으로 포함되는 캐릭터의 모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플래시 동영상과 같이 벡터 그래픽 이미지는 곡선 형태를 2차 베지어(Bezier) 곡선으로 표현한다. 베지어(Bezier) 곡선은 생성하고자 하는 곡선을 정의하는 다각형의 꼭지점(제어 포인트: control point)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것으로서, 곡선의 형상을 결정짓는 블렌딩 함수(Blending function)는 Bernstein 다항식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모양 태그에 포함된 베지어(Bezier) 곡선 데이터를 연속된 복수의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선 데이터를 병합함으로써, 플래시 동영상의 데이터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2차 베지어(Bezier) 곡선 C1은 곡선 외부의 한 점(P2)과 곡선의 두 끝점(P1, P3)을 잇는 두 선분 P1P2 및 P2P3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베지어(Bezier) 곡선은 세 점(P1, P2, P3)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선분 P1P2의 중점(P12)과 선분 P2P3의 중점(P23)을 연결하면 항상 베지어(Bezier) 곡선 C1에 접하게 된다. 접점을 M이라고 하면, 원래의 베지어(Bezier) 곡선 C1은 점 P1과 점 M 사이의 곡선과 점 M과 점 P3 사이의 곡선으로 분할된다. 그에 따라, 곡선 C1을 선분 P1P12, 선분 P12P23 및 선분 P23P3의 3 선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곡선 데이터를 3개의 직선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곡선을 3 개의 직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상황에서 곡선 C1 외부의 점 P2와 접점 M 사이의 거리 D를 측정한다. 이러한, 곡선 변환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면 곡선 외부의 점과 접점 사이의 거리 D는 계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여기에서 거리 D는 화면이 구성되는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 값으로 픽셀 또는 수학적인 길이가 될 수 있다.
이 때, 거리 D의 값을 일정한 값으로 지정하면, 곡선 C1을 분할하는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거리 D의 기준 값을 크게 하면 곡선 C1의 분할 횟수가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곡선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는 직선 데이터의 크기를 간략하게 할 수 있지만 정확성이 감소하게 된다. 반면에, 거리 D의 기준 값을 작게 하면, 곡선 C1을 많은 수의 작은 직선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거리 D의 값을 단위 길이 1 이하의 값으로 지정하고, 작은 값을 선택할 수록 플래시 동영상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큰 값을 선택할 수록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거리 D의 기준 값을 크게 지정하든지 작게 지정하든지, 베지어(Bezier)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전송되는 곡선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무선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동영상에 포함된 곡선을 직선으로 변환한 후에, 인접한 두 직선을 서로 연결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즉, 인접한 직선 P6P7과 직선 P7P8을 교차시키면, 교차점 P7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P6P7P8을 그릴 수 있다. 이 때, 삼각형 P6P7P8의 밑변을 구성하는 <P7P6P8(A1)과 <P7P8P6(A2)을 측정하여, 두 각(A1, A2)의 크기가 기준 각도 이하이면, 직선 P6P7 및 직선 P7P8을 평행한 직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각도는 0과 π라디안(radian) 사이에서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0.2 라디안 이하의 값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인접한 두 직선(직선 P6P7 및 직선 P7P8)이 일정한 기준 각도 이하로 만나면 두 직선을 평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하나의 직선 P6P8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각도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미리 지정된 크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정된 범위 내에서 곡선을 몇 개의 직선으로 표현하고, 인접한 두 직선을 하나의 직선으로 병합함으로써 처리할 곡선 데이터의 크기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곡선을 직선으로 표현하고, 직선을 병합하는 과정을 더 이상 단순화할 수 없을 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플래시 동영상의 외곽선을 표현할 때, 곡선으로부터 변환 및 병합된 직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곡선 내부에 대한 채색은 직선 내부의 범위로 한정함으로 원래의 동영상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곡선 외부의 접과 접점 사이의 거리 D 및 인접한 두 직선에 의한 밑각의 기준 값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곡선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며 보다 정밀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양 태그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표현하고, 복수의 직선 데이터를 병합함으로써,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및 DefineButtonSound 태그를 포함하는 버튼 태그는 마우스의 움직임이나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므로,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마우스의 동작은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과 일정한 위치에서 마우스 버튼의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플래시 동영상에 등장하는 버튼은 마우스 이벤트(event) 정보, 예컨대 마우스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받아서 액션을 취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플래시 이벤트는 버튼을 정의하는 태그에서 처리한다. 플래시 버튼은 UP, DOWN, OVER, HIT AREA의 4가지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UP은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졌다가 놓여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한다. DOWN은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한다. OVER은 마우스의 포인터가 플래시 버튼 위에 놓였을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고, HIT AREA는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UP/DOWN/OVER의 동작을 하기 위한 플래시 버튼의 행동 영역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의 포인터가 플래시 버튼 위로 옮겨지면, 마우스 포인터의 x, y 좌표값에 의하여 플래시 버튼의 HIT AREA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마우스 포인터의 x, y 좌표가 HIT AREA 영역에 포함되면, 해당하는 플래시 버튼의 현재 상태를 OVER 상태로 전이시킨다. 또한, 마우스 포인터가 특정 플래시 버튼 위에 놓인 상태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이 눌려지면, 플래시 버튼의 현재 상태는 OVER 상태에서 DOWN 상태로 전이된다. 마찬가지로, 플래시 버튼 위에서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졌다가 떨어지면 플래시 버튼의 상태가 UP 상태로 전이된다.
따라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에 해당하는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것은 마우스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무선 단말기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과 마우스 버튼의 상태를 플래시 버튼이 인식하도록 플래시 버튼의 상태를 전이시키는 방법에 해당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우스 포인터는 움직일 때마다 연속된 x, y 좌표 값이 계속 입력되는데, 무선 단말 장치에서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있을 수 없다.따라서,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중에서 상하좌우의 이동 및 명령어 입력을 나타내는 임의의 5개 버튼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는 4개의 방향 버튼과 중앙의 센터(center) 버튼을 사용할 것이다. 무선 단말 장치에서 5개의 버튼이 선택되면, 각 버튼에 대하여 좌(left), 우(right), 상(up), 하(down) 및 입력(enter)의 명칭을 부여한다. 유선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마우스의 포인터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면 현재의 위치 좌표 (x, y)를 각각 (x, y+1), (x, y-1), (x-1, y), (x+1, y) 좌표로 변경하지만, 무선 단말 장치에서는 (x, y) 좌표를 (x1, y1), (x2, y2), (x3, y3), (x4, y4) 좌표로 변경한다. 이 때, x1, x2, x3, x4는 화면의 좌우 최대 값 이하의 값으로 0 또는 양의 정수에 해당하고, y1, y2, y3, y4는 화면의 상하 최대 값 이하의 값으로 0 또는 양의 정수에 해당한다. 이러한 값들은 OVER 상태에 있는 플래시 버튼과 상, 하, 좌, 우로 인접한 플래시 버튼 사이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의 거리와 관련이 있다.
현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정방 형태의 플래시 버튼이 존재하고, 가운데 플래시 버튼이 OVER 상태인 경우를 가정하자.
현재 OVER 상태의 플래시 버튼의 중심점 위치가 (x, y)일 때, 무선 단말 장치의 좌(left) 버튼이 눌려지면 현재 플래시 버튼의 왼쪽(-x 방향)으로 최단 거리에 있는 플래시 버튼을 찾게된다. 해당하는 방향에 플래시 버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도 취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6a와 같이 왼쪽 방향에 다른 플래시 버튼이 발견되면 새로 발견된 플래시 버튼의 중심점 (x1, y1)을 계산한다.
그리고, 현재 OVER 상태인 플래시 버튼을 UP 상태로 만들고, 새로 발견된 플래시 버튼을 OVER 상태로 전이시킨다. 그런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를 새로 계산된 위치인 (x1, y1)으로 변경한다. 이 때, 인접한 플래시 버튼의 두 좌표 값(x, y), (x1, y1)의 차이(x1-x, y1-y)를 구해서, 이를 해당하는 플래시 버튼에 연결해 둔다. 이와 같이, 인접한 플래시 버튼의 상, 하, 좌, 우에 대하여 버튼 사이의 네트워크를 형성해 두면, 무선 단말 장치를 통하여 좌(left), 우(right), 상(up), 하(down)의 명령이 입력될 때, 마우스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의하여 다른 버튼으로 찾아가는 이벤트를 하나의 키패드 이벤트로 변경할 수 있다. 마우스 왼쪽 버튼이 눌려지는 상태는 입력(enter) 버튼을 누른 것으로 대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래시 동영상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DOWN과 OVER 상태만을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밖의 마우스 이벤트 즉, UP과 HIT AREA 상태는 삭제할 수 있다. 결국,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플래시 동영상의 마우스 이벤트 상태 중에서 DOWN 및 OVER 상태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고, 나머지 UP과 HIT AREA 상태는 삭제함으로써, 처리되는 데이터 용량을 감소시키고 무선 단말 장치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의 제어 태그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의 제어 태그는 End, FrameLabel, PlaceObject, PlaceObject2, Protect, RemoveObject, RemoveObject2, SetBackgroundColor, ShowFrame, StartSound 및 DoAction 태그를 포함한다. 제어 태그 중에서 ShowFrame 태그는 디스플레이 리스트(Display list) 내에 있는 모든캐릭터(Character)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프레임을 화면에 표시하는 작업이 끝나면 End 태그에 의하여 플래시 동영상의 화면 디스플레이가 종료된다. ShowFrame 태그는 대개 PlaceObject 태그로 구성된다. PlaceObject 태그는 정의 태그(Definition tag)에 의한 캐릭터(character)를 공간에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ShowFrame 태그 내에 PlaceObject 태그 외에 다른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른 정의를 포함하기 때문에 ShowFrame 태그의 생략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PlaceObject 태그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ShowFrame 태그를 생략하더라도 플래시 동영상의 미적인 동일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다.
한편,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인접한 프레임 사이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ShowFrame 태그에 포함된 데이터는 동영상의 회전(rotation), 스케일(scale) 또는 이동(transla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각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행렬로 구성하고, 각 프레임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행렬식(determinant)을 구할 수 있다. 인접한 프레임에 대하여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행렬식의 차이를 구하여, 그 차이가 기준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인접한 프레임 사이의 변화가 거의 없는 연속 프레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거의 변화가 없는 연속 프레임에 대해서는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한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은 WAP 서버 또는 WAP 게이트웨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매크로미디어 플래시와 같이 벡터 그래픽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작된 동영상의 변환은 태그 및 해당 태그의 데이터별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먼저 플래시 동영상에 존재하는 태그를 입력받는다(s10). 입력된 태그가 태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 태그(tagEnd)인지를 검사한다(s12). 종료 태그(tagEnd)인 경우에는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감소된 동영상 파일의 크기, 이벤트의 변환 여부 및 모양의 최적화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헤더에 기록하고, 헤더 내의 버전 정보(Version)를 OFF_CNVT로 변경하여 오프라인 변환이 완료되었음을 기록한 후 오프 라인 변환 작업을 종료한다(s14). 버전 정보는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내에 존재하는 필드로써, 오프 라인 변환 여부를 나타낸다.
종료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입력된 태그가 무선 데이터로의 변환에 이용되는 ShowFrame 태그인지 확인한다(s16). ShowFrame 태그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프레임이 PlaceObject 태그들로만 구성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0). 해당하는 프레임이 PlaceObject 태그로만 구성되어 있다면, 플래시 동영상을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시각화하는 렌더링(Rendering) 과정에서 삭제해도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between 프레임 리스트에 등록한다(s22). Between 프레임 리스트는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에서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통하여 삭제될 가능성이 있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따라서,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기 전에 between 프레임 리스트에 등록된 프레임을 모두 삭제하거나, 일정 간격으로 선별하여 삭제할 수 있다. 또는, between 프레임 리스트에 등록되었지만 모두 삭제하지 않고, 무선 데이터 처리에 이용할 수도 있다.
만약, 해당하는 프레임이 PlaceObject 태그 외에 다른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PlaceObject 태그 외의 다른 태그는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객체들을 정의하는 태그이거나, 화면에서 객체를 지우는 태그 등 시각화하는 렌더링 과정에서 무시할 수 없는 태그일 수 있기 때문에, 삭제해서는 안 되는 프레임이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삭제할 수 없는 프레임이라고 판단되면, 연속된 프레임 사이의 동작 특성에 대한 변화량을 계산하여 프레임 삭제 규칙을 적용한다(s36). 프레임 삭제 규칙은 연속된 두 개의 전후 프레임 사이의 동작 특성에 대한 변화량을 특정하여,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이면 두 프레임 사이에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 프레임 또는 후 프레임을 삭제한다(s38).
각 프레임의 동작 특성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동영상의 회전, 스케일 또는 변형 정보를 행렬로 구성하고, 각 행렬의 행렬식(Determinant)을 계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하는 두 프레임의 행렬식의 차이에 대한 절대값을 산출하여, 이를 기준 변화량과 비교한다. 기준 변화량은 0에서 1 사이의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기준 변화량이 클수록 삭제되는 프레임의 수가 증가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가 간략화되고, 기준 변화량이 0에 가까울수록 삭제되는 프레임의 수가 감소할 것이다.
한편, 연속된 프레임 사이의 동작 특성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의 비교에 따라 삭제되지 않은 프레임에 대해서는 between 프레임으로 등록하여, 일정 간격에 따라프레임을 선별하여 삭제할 수 있다(s40). 플래시 동영상의 무선 데이터 변환 과정에서, 초기에는 between 프레임을 삭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 간격, 예컨대 between 프레임 리스트 중에서 매 n 번째 프레임을 삭제함으로써 플래시 동영상의 크기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Between 프레임 리스트 중에서 삭제되지 않고 남은 태그 및 태그 데이터는 이를 저장하여, 무선 데이터로 사용될 것이다(s42). 한편, 입력된 태그가 ShowFrame 태그가 아닌 경우에, 모양, 비트맵, 스프라이트, 사운드, 버튼, 폰트 등의 정의한 Definition 태그인지 검사한다(s18). 입력 태그가 Definition 태그도 아닌 경우에는 더 이상 변환 또는 삭제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입력된 태그를 저장한다(s42). 입력된 태그가 Definition 태그인 경우에, 배경 음악 태그와 같이 무선 데이터 전송에 불필요한 태그인지를 판별하여, 이에 해당하는 태그는 삭제한다(s26). 만약, 삭제할 수 없는 태그인 경우에는 모양 태그인지를 판별한다(s28). 모양을 정의하는 태그인 경우에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복수의 직선 데이터를 병합하여 모양 데이터를 최적화한 후에(s32), 해당하는 태그 및 태그 데이터를 저장한다(s42).
만약, 모양 태그가 아니고, 버튼 태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이벤트 처리 방식을 무선 단말 장치의 입력 버튼을 이용할 수 있는 이벤트로 변환한다(s34). 무선 단말 장치용 이벤트의 변환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다.
한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무선 단말장치에 적합한 무선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는, 온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맞도록 이를 변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선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맞도록 변환하는 온 라인 변환 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플래시 동영상을 재생할 무선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60).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은 대체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표현 가능한 픽셀 정보와 사운드 정보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무선 단말 장치의 제조 회사로서는 대표적으로 Nokia, Motorola, SK telecom, 삼성, LG, 현대, NTT Docomo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조 회사로부터 생산되는 무선 단말 장치는 그 종류가 많으며,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성능에도 큰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LG 전자에서 생산하는 iBook 이라는 무선 단말 장치 모델의 화면 크기는 128 * 128 픽셀이고, 픽셀 하나에 4가지 컬러(흑색, 어두운 회색, 밝은 회색 및 백색)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사운드는 신호음(buzz)과 QCELP라는 코덱(Codec)을 사용하는 스피커 출력이다.
이러한 경우에, 플래시 동영상에 트루 컬러(True color)의 비트맵 정보가 있다면, 이러한 부분은 4가지 색으로만 구성된 비트맵으로 변환해야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즉, 모양 태그에 포함된 컬러의 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컬러 수에 맞추어 축약 변환한다. 일반적으로는 24 비트 트루 컬러에서 4 그레이(gray), 256 컬러 또는 4,096 컬러로 변환한다. 또한, 변환된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변환된 무선 데이터 이미지의 크기가 128 * 128 보다 큰 경우에는 하나의 화면에 이미지를 모두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미지의 크기도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변형되어야 한다. 또한, 플래시 동영상에 MP3로 정의된 사운드가 있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들을 수 없기 때문에, MP3 데이터를 QCELP 트랜스코덱(transcodec)을 사용하여 사운드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한다. 이러한, 사운드 정보는 무선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플래시 동영상에 정의된 폰트, 예컨대 Time new Roman 폰트가 무선 단말 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폰트 정보를 모두 분해하여 모양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플래시 동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단말 장치의 정보에 대한 수집이 완료되면,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무선 데이터로 변환된 태그 및 태그 내부의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62). 입력된 태그가 종료 태그(tagEnd)인지를 검사하여(s64), 종료 태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플래시 동영상의 온 라인 변환에 따라 헤더 정보를 수정하고, 헤더 정보 내의 버전 필드에 온 라인 변환 결과(ON_CNVT)를 기록한다(s66). 종료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Definition 태그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한다(s68). Definition 태그가 아니면, 온 라인 변환할 태그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태그 정보를 입력받는다(s62). Definition 태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모양을 정의하는 모양 태그인지(s70), 폰트를 정의하는 폰트 태그인지(s74), 비트맵을 정의하는 비트맵 태그인지(s78) 또는 사운드를 정의하는 사운트 태그인지(s82)를 검사한다. Definition 태그가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사운드 태그가 아닌 경우에는 온 라인 변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태그 정보를 입력받는다(s62).
만약, 모양 태그인 경우에는 모양의 정의 중에서 컬러 정보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한다(s72). 폰트 태그인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인지를 판별한다.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인 경우에는 폰트 정보를 그대로 두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폰트 정보를 분해하여 모양 정보로 변환한다(s76). 입력된 태그가 비트맵 태그인 경우에는 비트맵 태그에 존재하는 모든 픽셀 정보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표현할 수 있는 픽셀 정보로 변환한다(s80). 사운드 태그가 입력된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표현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한다(s84). 이러한 변환 과정은 입력 태그가 종료 태그일 때까지 반복해서 수행될 것이다.
상기에서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매크로미디어 플래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벡터 그래픽 방식으로 동영상을 처리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베지어(Bezier) 곡선으로 이미지를 구성하는 벡터 그래픽 동영상에 대해서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이벤트를 사용하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방법은 모든 동영상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무선 데이터 전송 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는 구성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삭제하고, 무선 데이터 전송과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하도록 해당하는 구성 요소를 변환함으로써 무선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플래시 동영상의 변환 방법에 있어서, 플래시 동영상의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방법은 웹 서버 또는 WAP 게이트웨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방법은 WAP 게이트웨이 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플래시 동영상과 같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을 생성 및 처리하는 웹 서버(110)와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 장치(130) 및 웹 서버(110)와 무선 단말 장치(130) 사이에서 데이터 변환을 담당하는 WAP 게이트웨이(120)로 구성된다. 웹 서버(110)는 각각 벡터 그래픽 기반의 플래시 동영상을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플래시 동영상 오프 라인 변환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130)는 플래시 동영상 오프 라인 변환부(114)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130)의 사양에 따라 지정된 구성 요소를 변환하는 플래시 동영상 온 라인 변환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WAP 게이트웨이(120)는 플래시 동영상을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오프 라인 변환 또는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거친 플래시 동영상을 무선 단말 장치(130)의 사양에 맞게 변환하는 온 라인 변환을 모두 포함하는 온/오프 라인 변환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110)는 플래시 동영상 생성기를 통하여 생성된 플래시 동영상을 컨텐츠 서버(116)에 포함한다. 플래시 동영상 오프 라인 변환부(114)는 컨텐츠 서버(116)에 저장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방법을 통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무선 데이터 전송에 불필요한 태그 데이터를 삭제하고, 지정된 태그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변환된 플래시 동영상은 헤더 정보에 변환 여부가 표시되고, 컨텐츠 서버(116)에 저장될 것이다. 웹 서버(110)는 HTTP 통신 장치와 같은 유선 통신 프로토콜 장치(112)를 이용하여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WAP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WAP 게이트웨이(120)는 웹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내에 있는 버전 정보로부터 오프 라인 변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WAP 게이트웨이(120) 내부의 플래시 동영상 온/오프 라인 변환부(124)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후에는 전송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온 라인 변환 과정도 함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WAP 게이트웨이(120)에서 오프 라인 변환 또는 온 라인 변환 과정이 이루어지면,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 변환 장치(122)를 통하여 오프 라인 변환 또는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130)로 전송한다.
무선 단말 장치(130)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 장치(132)를 통하여 WAP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전송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수신된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내에 있는 버전 정보를 추출하여 오프 라인 변환 또는 온 라인 변환 여부를 확인한다. 전송된 플래시 동영상이 오프 라인 변환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플래시 동영상 온 라인 변환부(134)를 통하여 무선 단말 장치(130)의 사양에 적합하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한다. 플래시 동영상 온 라인 변환부(134)를 통하여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거나,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이 전송된 경우에는 WAP 브라우저(136)를 통하여 플래시 동영상이 표시부(138)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한편, 무선 단말 장치(130)의 사용자는 무선 단말 장치(130)에 구비된 입출력 장치(화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사용하여 플래시 동영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 단말 장치(130)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무선 통신 프로토콜 장치(132)를 통하여 WAP 게이트웨이(120)로 전송되고, WAP 게이트웨이(120)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 변환 장치(122)를 통하여 웹 서버(110)에 전송된다. 웹 서버(110)는 사용자의 명령에 해당하는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컨텐츠 서버(116)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는 웹 서버(110), WAP 게이트웨이(120) 및 무선 단말 장치(130)를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오프 라인 변환 및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무선 단말 장치(130)의 사용자는 원하는 플래시 동영상을 웹 서버(110)에 요청하여 이를 무선 단말 장치(13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웹 서버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웹 서버에 구비된 컨텐츠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플래시 동영상을 추출하여(s100), 무선 단말 장치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할 것인가를 결정한다(s102). 이미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별도의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를 추출하고(s104), 도 8에 도시된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통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한다(s106).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에 대해서는 헤더 정보에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기록한다(s108). 이 때, 버전 정보와 함께 변경된 플래시 동영상의 데이터 크기 또는 프레임 수 등을 수정하고, 변환된 플래시 동영상을 컨텐츠 서버에 저장한다(s110). 추가적으로 변환할 플래시 동영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플래시 동영상에 대하여 도 11의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사용자로부터 특정 플래시 동영상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웹 서버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을 추출하여 이를 WAP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이 때, 웹 서버에서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WAP 게이트웨이에서 플래시 동영상의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WAP 게이트웨이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WAP 게이트웨이는 HTTP와 같은 유선 프로토콜을 통하여 플래시 동영상을 수신한다(s130). 플래시 동영상이 수신되면,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s132), 버전 정보를 통하여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s134). 웹 서버에서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도 8의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한다(s136). 반면에, 이미 웹 서버에서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적합한 온 라인 변환을 위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을 선택한다(s138). 이 때,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은 출력 화면의 크기, 출력 장치의 컬러 표현 한계, 사운드 지원 장치의 한계 등 하드웨어 제한 사항이 될 것이다. 이러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을 바탕으로, 현재 접속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이 오프 라인 변환을 거친 플래시 동영상을 지원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한다(s140). 만약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이 오프 라인 변환된 플래시 동영상을 지원하기에 충분한 경우에는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 중에서 버전 정보를 온 라인 변환 완료 상태(ON_CNVT)로 변경한다(s144). 그런 다음, 해당하는 플래시 동영상을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136).
반면에,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가 오프 라인 변환을 거친 플래시 동영상을지원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 9의 온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하고(s142), 변경된 플래시 동영상의 크기 등을 반영하여 헤더 정보를 수정한다(s144). 이 때, 온 라인 변환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함께 수정한다. WAP 게이트웨이는 이와 같이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146). 이 때, 플래시 동영상의 전송에 따른 비용을 사용자에게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는 WAP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플래시 동영상을 수신한다(s160). 수신된 플래시 동영상이 WAP 게이트웨이에서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를 추출한다(s162). 버전 정보가 ON_CNVT가 아닌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없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여, 플래시 동영상에 대하여 도 9의 온 라인 변환 과정을 수행한다(s166). 반면에, 버전 정보가 온 라인 변환을 나타내면,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플래시 동영상에 포함된 내용의 구문을 해석하는 파싱(Parsing) 작업을 수행한다(s168). 플래시 동영상에 대한 파싱 작업이 완료되면, 무선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맞는 렌더링 작업을 수행한다(s170). 그런 다음, 플래시 동영상이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s172), 입력 처리 과정을 진행한다(s174). 이 때, 입력 처리 과정에서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래시 동영상에 존재하는 마우스 및 키보드 입력은 무선 단말 장치의 입력 버튼을 통한 입력으로 변환되어 처리된다.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었거나, 입력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플래시 동영상의 현재 프레임에 대한 렌더링 과정을 종료한다(s176). 이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종료 버튼이 입력되면 무선 단말 장치의 플래시 동영상 출력 과정을 종료하고, 사용자로부터 종료 버튼이 입력되기 전에는 플래시 동영상의 다음 프레임에 대한 렌더링 작업을 반복할 것이다.
상술한 같이,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처리에 불필요한 구성 요소를 삭제하고, 무선 데이터의 처리에 적합하도록 각 구성 요소를 변환함으로써, 무선 통신을 위한 동영상 데이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병합하여 처리함으로써, 무선 통신 과정에서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이를 변환함으로써, 무선 단말 장치를 통하여 용이하게 동영상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동영상에 대한 마우스 및 키보드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입력 버튼에 대한 이벤트로 변환함으로써, 무선 단말 장치에서 효율적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였지만, 그 내용은 하기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분야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Claims (64)

  1.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에 해당하는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곡선 분할 과정을 통하여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적어도 3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곡선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은
    매크로미디어 플래시로 제작된 동영상인 벡터 그래픽 기반의 곡선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분할된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두 직선을 변으로 하고, 상기 두 직선이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접점을 잇는 선분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밑변에 속하는 두 내각의 크기가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두 직선을 밑변을 포함하는 직선으로 대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곡선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각도는
    0 이상 π라디안 사이의 크기를 가지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곡선 데이터 처리 방법.
  5.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마우스의 위치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중에서,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선정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제어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어 버튼이 상호 연결된 버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버튼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제어 버튼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이벤트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플래시 버튼 상태는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졌다고 놓여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UP 상태,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눌려질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DOWN 상태, 마우스의 포인터가 플래시 버튼 위에 놓였을 때의 플래시 버튼의 동작을 정의하는 OVER 상태 및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UP 상태, DOWN 상태 및 OVER 상태의 동작을 하기 위한 플래시 버튼의 행동 반경을 정의하는 HIT AREA 상태 중에서
    UP 상태 또는 HIT AREA 상태인 벡터 그래픽 기반의 이벤트 처리 방법.
  7.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를 구성 성분으로 하여 행렬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행렬의 행렬식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는
    회전 정보, 스케일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 방법.
  10.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포함된 세부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의 세부 구성 성분이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배경 음악을 정의하는 배경 음악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동영상을 구성하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에 해당하는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곡선 분할 과정을 통하여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적어도 3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마우스의 위치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중에서,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선정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제어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어 버튼이 상호 연결된 버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버튼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제어 버튼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8. 제10항, 제11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는
    삭제할 구성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삭제 리스트에 등록된 구성 성분 및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0.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ShowFrame 태그 내에 PlaceObject 태그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ShowFrame 태그를 삭제하는 단계;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모양 태그에 있어서, 모양 태그 내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버튼 태그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 태그는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및 DefineMorphShape 태그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태그는
    DefineButton, DefineButton2, DefineButtonCxform 및 DefineButtonSound 태그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3.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구성 성분 내에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표현 가능한 컬러 색상 및 출력되는 사운드 형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6.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 내에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 태그는
    DefineShape, DefineShape2, DefineShape3 및 DefineMorphShape 태그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태그는
    DefineFont, DefineFont2 및 DefineFontInfo 태그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태그는
    DefineBits, DefineBitsJPEG2, DefineJPEG3, DefineBitsLossless, DefineBitsLossless2 및 JPEGTables 태그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태그는
    DefineSound, SoundStreamBlock, SoundStreamHead 및 SoundStreamHead2 태그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1.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단계;
    상기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및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이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오프 라인 변환 및 온 라인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정보는
    동영상 데이터의 오프 라인 변환 및 온 라인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 결과를 표시하는 정보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포함된 세부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의 세부 구성 성분이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에 해당하는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곡선 분할 과정을 통하여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적어도 3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마우스의 위치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중에서,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선정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제어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어 버튼이 상호 연결된 버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버튼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제어 버튼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온 라인 변환 과정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구성 성분 내에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8.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플래시 동영상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및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이 플래시 동영상에 대하여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플래시 동영상에 대한 오프 라인 변환 및 온 라인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라인 변환 과정은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ShowFrame 태그 내에 PlaceObject 태그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ShowFrame 태그를 삭제하는 단계;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모양 태그에 있어서, 모양 태그 내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버튼 태그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온 라인 변환 과정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 내에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41.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 및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유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 및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곡선 데이터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데이터 변환부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곡선 데이터 추출부;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과,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근사 직선 생성부;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곡선 분할부;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에 해당하는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곡선 분할 제어부; 및
    상기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직선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 중에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을 선정하는 버튼 선택부;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받아서 액션을 취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버튼의 복수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동영상 버튼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상태 정보 제어부;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버튼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버튼 네트워크 구성부; 및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또는 입력 버튼의 동작에 따라, 동영상 버튼이 연결된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버튼을 선택 또는 실행하는 동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46. 제41항에 있어서,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유사한 인접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프레임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부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
    각 프레임의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고,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산술 처리부; 및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프레임 제어부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48. 제41항에 있어서,
    삭제할 구성 성분 또는 프레임을 삭제 리스트에 등록하고, 삭제 리스트에 등록된 구성 성분 및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삭제 리스트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49. 제41항에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헤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50.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 및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 및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51.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 및
    상기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 및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결과를 동영상의 헤더 정보에 기록하는 헤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53.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되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환 정보를 추출하여 변환 결과를 판단하는 변환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오프 라인 변환부;
    오프 라인 변환이 이루어진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 및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 또는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프로토콜 통신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 라인 변환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 및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구성 성분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 및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54.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변환 정보를 추출하여 변환 결과를 판단하는 변환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온 라인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온 라인 변환을 수행하는 온 라인 변환부;
    상기 온 라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동영상 제어부; 및
    상기 동영상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온 라인 변환부는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 성분 추출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컬러 정보를 나타내는 컬러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컬러 정보로 변환하는 컬러 변환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폰트 정보를 나타내는 폰트 성분이 무선 단말 장치에 내재된 폰트가 아닌 경우에, 폰트 성분을 분해하여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 모양 정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부;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픽셀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 및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사운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 성분을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사운드 정보로 변환하는 사운드 변환부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무선 단말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제어부는
    온 라인 변환된 동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의 구문을 분석하는 파싱 처리부; 및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동영상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렌더링 처리부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처리용 무선 단말 장치.
  56.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 방법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베지어 곡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베지어 곡선을 정의하는 적어도 3 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여 베지어 곡선에 접하는 제 3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베지어 곡선과 제 3 직선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베지어 곡선을 2 개의 베지어 곡선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의 교점, 그리고 제 3 직선에 의한 베지어 곡선 상의 접점과의 거리에 해당하는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분할된 베지어 곡선에 대하여 곡선 분할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곡선 분할 과정을 통하여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근사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분할된 각 베지어 곡선에 대한 적어도 3개의 제어 포인트를 연결하는 두 직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베지어 곡선을 대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
  57.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변환 방법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에 포함된 마우스의 위치 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마우스의 위치와 마우스 버튼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제어 버튼에 대한 복수의 상태 중에서, 무선 단말 장치에서의 동영상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선정된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에 대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제어 버튼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어 버튼이 상호 연결된 버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방향 버튼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동작에 따라, 상기 버튼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동영상 제어 버튼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
  58.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 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 감소 방법이,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각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을 계산하는 단계;
    연속된 두 프레임에 대한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동작 특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 프레임에 대하여, 두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
  59.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 감소 방법이,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중에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표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 내에 캐릭터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 배치 성분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표시 성분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
  60.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감소 방법이,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ShowFrame 태그 내에 PlaceObject 태그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ShowFrame 태그를 삭제하는 단계;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모양 태그에 있어서, 모양 태그 내에 포함된 곡선 데이터를 직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버튼 태그에 있어서, 마우스 이벤트를 무선 단말 장치의 버튼 이벤트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
  61.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방법이,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동영상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구성 성분 내에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
  62.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이,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무선 단말 장치에 전송할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플래시 동영상을 구성하는 태그 내에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무선 단말 장치에서 상기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모양 태그, 폰트 태그, 비트맵 태그 및 사운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해당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
  63.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이,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단계; 및
    상기 변환 정보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 및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
  64. 무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이,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래시 동영상의 헤더 정보로부터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정보에 따라, 플래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오프 라인 변환 과정 및 무선 단말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온 라인 변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
KR10-2001-0052313A 2000-08-29 2001-08-29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412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313A KR100412342B1 (ko) 2000-08-29 2001-08-29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처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315 2000-08-29
KR20000050315 2000-08-29
KR10-2001-0052313A KR100412342B1 (ko) 2000-08-29 2001-08-29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974A KR20010088974A (ko) 2001-09-29
KR100412342B1 true KR100412342B1 (ko) 2003-12-31

Family

ID=2663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313A KR100412342B1 (ko) 2000-08-29 2001-08-29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394B1 (ko) * 2007-09-18 2009-06-18 (주)디지탈아리아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경감시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캐릭터 애니메이션하기 위한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266B1 (ko) * 2005-05-18 2007-10-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벡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를 갖는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0692101B1 (ko) * 2006-06-30 2007-03-12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원격지의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서비스 방법
KR101043772B1 (ko) * 2008-07-25 2011-06-22 주식회사 코아로직 오픈 벡터그래픽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856A (ja) * 1995-11-06 1997-05-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データ送受信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WO1999037095A2 (en) * 1998-01-17 1999-07-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raphic image generation and coding
JPH11296686A (ja) * 1998-04-09 1999-10-2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提供媒体、並びにデータ提供媒体
KR20000008956A (ko) * 1998-07-20 2000-02-15 이흥수 화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00009806A (ko) * 1998-07-28 2000-02-15 이흥수 벡터데이터로 표현된 화상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856A (ja) * 1995-11-06 1997-05-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データ送受信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WO1999037095A2 (en) * 1998-01-17 1999-07-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raphic image generation and coding
JPH11296686A (ja) * 1998-04-09 1999-10-2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提供媒体、並びにデータ提供媒体
KR20000008956A (ko) * 1998-07-20 2000-02-15 이흥수 화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00009806A (ko) * 1998-07-28 2000-02-15 이흥수 벡터데이터로 표현된 화상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394B1 (ko) * 2007-09-18 2009-06-18 (주)디지탈아리아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경감시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캐릭터 애니메이션하기 위한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974A (ko) 200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5890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verting frame-based animations into interpolator-based animations
US6178426B1 (en) Apparatus with extended markup language data capture capability
US87495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based automatic zooming for document viewing on small displays
CN102378958B (zh) 信息输入装置及信息输入方法
US20040217980A1 (en) Image streaming
CA2518654C (en) Method for requesting and viewing a zoomed area of detail from an image attachment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50116945A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EP1574039A1 (en) Mobile graphics device and server
CN112102437A (zh) 一种基于Canvas的雷达图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JP2024504053A (ja) 二次元コード表示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媒体
CN111596848A (zh) 一种界面取色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213458A (zh) 一种图像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412342B1 (ko)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8848404A (zh) 移动终端的二维码信息共享系统
JP2011192008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2084948A (ja) 携帯端末装置、その情報選択支援プログラム及び情報選択支援方法
CN100512277C (zh) 向媒体设备提供内容的方法和装置
Rischpater Wireless web development
JP2002202935A (ja) サーバ装置
EP1170675A1 (en) Presentation of customised data content
KR20010082779A (ko)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아바타 제작 방법 및 아바타를이용한 에이전트 시스템
WO20020218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data based upon vector graphic on wireless network
CN113888673A (zh) 地图编辑方法、系统、装置、计算设备和存储介质
CN113112395B (zh) 图片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098163B (zh) 一种基于组态可视化产品的多端适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