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284B1 - 기저귀, 생리대용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저귀, 생리대용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284B1
KR100412284B1 KR10-2001-0021878A KR20010021878A KR100412284B1 KR 100412284 B1 KR100412284 B1 KR 100412284B1 KR 20010021878 A KR20010021878 A KR 20010021878A KR 100412284 B1 KR100412284 B1 KR 100412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bers
layer
denier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373A (ko
Inventor
김종엽
김찬수
이응곤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01-002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284B1/ko
Publication of KR20020082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7-15데니어의 폴리올레핀 단섬유를 핫 에어스루 부직포로 만들어 30~50% 연신시켜 표면층으로 하고, 1.5~3데니어 폴리올레핀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70:30의 비율로 분산흡수 층으로 하며, 1.5~2데니어 폴리올레핀 섬유를 열접합방식으로 섬유배열을 불규칙한 흡수층으로 구비한 것을 접합하여 3층(3-Layer)구성케 하므로 즉각 혈, 뇨 등을 반복적으로 분산 흡수케하여 계속 유출된 혈, 뇨가 집중에 의한 누수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저귀, 생리대 용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방법.{a burst fiber manufactring prosess of molding brassiere}
본 발명은 뇨, 혈의 흡수속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분산의 범위가 3배에서 5배까지 신속하고 특히 고 흡수성 폴리머(SAP양을 20~30%)까지 줄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 기저귀, 생리대를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일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부직포 제조방법은 폴리올레핀계 섬유2개를 사용하여 섬유의 배열이 기계방향 및 폭 방향이 아닌 구조로 개발되어 액체 집합, 분산기능을 갖는데 작용되어 여성의 생리대나 아기기저귀의 짖무름 방지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착용시 혈 및 뇨의 분산흡수 기능이 미흡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키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표면 부직포를 통과한 액체가 흡수심지내의 흡수 폴리마층에 의해 빠르게 흡수되긴 하였으나 액체가 표면 전체 면적으로 분산되지 못하고 일부분에 집중흡수 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흡수능력이 분산능력보다 월등이 뛰어난 결과라 할수 있었으나 이러한 현상에 의해 처음 유출된 혈이나 뇨가 이미 흡수폴리마층에 흡수되어 있으므로 이에 이 부분은 포화상태가 된것이며 계속 유출된 혈이나 뇨가 이부분에 집중되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액체, 펄프, 흡수고분자등이 혼합되어 겔(Gel)화를 이루고 있어 누수위험을 배재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키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을 부여하였다
첫째 : 즉각액체를 반복적으로 흡수하는 기능과,
둘째 : 섬유의 배열이 길이 방향으로 구성하며 착용방향으로 액체를 신속히 분산시키는 기능과,
셋째 : 액체를 효과적으로 흡수심지에 전달시키는 기능과,
넷째: 전달후 마른상태를 유지하여 안락함과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기저귀, 생리대 단면도.
도2는 종래의 기저귀, 생리대 평면도.
도3은 종래의 구조 단면도.
도4는 종래의 구조 평면도.
도5는 본발명의 구조 단면도.
도6의 (A)(B)(C)는 본발명의 각종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표면 부직포 2. 12,분산흡수층 3. 샘방지 부직포
4.흡수폴리마층 5. 빽시트 11. 표면층 13. 흡수층
첨부도면중 도1-도4는 종래의 기저귀나 생리대에 관한 것이며,
도5-도6은 본발명의 기저귀나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즉 종래의 기저귀나 생리대의 구성을 보면 표면 부직포(1), 분산 흡수층(2), 샘 방지용 부직포(3), 흡수폴리마층(4), 빽시트(Back-sheet)(5)로 구성하였으며,
본 발명은 7-15데니어(drnier)의 폴리올레핀 단섬유를 사용하여 핫에어스루(Hot air through)부직포를 만들어 이를 연속공정에서 30~50%연신하여 표면층(11)을 구성하고, 1.5-3데니어의 폴리올레핀계 단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70:30의 비율로 표면층(11)과 동일구조 및 공정으로 하여 분산흡수층(12)을 구성하며, 1.5-2데니어 폴리올레핀 섬유는 열접합방식의 부직포로 기계방향과 폭방향의 섬유배열을 불규칙(Randem)하게 흡수층(13)을 구비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특성을 부분적으로 살펴보면, 산업용 섬유의 분류 중 위생용 중 생리위생용품이나 유아용 기저귀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섬유로는 PP와PE를 들수 있는데 PE에 비하여 PP섬유의 비중이 훨씬 크다. PP섬유는 내 알카리성과 가격이 저렴하고 소수성이나 표면계질에 의해 계면결합력이 향상되면 친화성을 높일수 있어 여과포, 로프, 양생네트 등의 분야에 사용되며 부직포로 널리 활용된다
이 부분에 속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으로는 크게 재생 셀룰로오스계, 아세테이트와 트리아세테이트, 리오셀(Lyocel,Tencel)이 있다.
천연 셀룰로오스 재료에서 유도체화와 섬유화를 거쳐 원래의 화학구조로 되돌아 온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인 비스코스 레이온은 단면이 스킨코어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의류용으로 적합한 물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비스코스 레이온 제조과정에서 원료, 응고욕, 또는 장치를 변화시켜 단면 전체가 스킨구조로 된 강도가 크게 향상된 섬유를 얻는다. 이러한 고강도와 고습윤 탄성률을 지니는 다양한 종류의 비스코스 레이온들은 운반용 벨트, 소방호스, 카펫의 이면, 타이어코드, 종이 강화제, 구두 안감직물, 구두끈, 벨트 제조등의분야에사용된다. 폴리노직(polynosic)과 구리암모늄(cuprammonium) 레이온은 주로 의류용으로 쓰인다. 특히 구리암모늄 레이온 중공사는 혈액 투석 막용 소재로써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중·고분자량 범위에 해당하는 대상 물질을 제거하는 곳에 사용되고 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는 반합성 섬유에 속하는데 담배제조용 필터 토우에 주로 이용되며 또한 여성용 의류와 플라스틱 및 필름제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는 주로 여성용 의류에 이용되나 인공투석막으로의 용도 개발이 이루어졌다. 특히 열액투석에서 대상 물질인 마이크로글로블린의 제거도 가능한 투석막이 개발되었으며 역침투막으로서도 뛰어난 염제거율을 가지는 중공사 막이 해수담수화에 이용되고 있다.
직접용매계에서 제조되는 리오셀은 NMMO(N-methyl morpholine N-oxide)와 소량의 물을 용매로 하여 습식방사하여 얻어지며 최근 산업화 되었다. 이 섬유는 용도 개발이 진행 중이며 현재 파일 작품의 경사, 여성용 의류, 부직포의 제조 등에이용되고 있다.
또한 단섬유 부직포의 특성을 살펴보면
원료를 용융, 방사하는 것과 동시에 시트화하는 스펀본드법처럼 장섬유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단섬유 부직포는 어떤 한정된 길이로 절단된 단섬유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단섬유 부직포를 생산하는 기술과 그에 따른 용도가 다양한 특징이 있다. 단섬유를 이용해서 부직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단섬유 덩어리를 풀어서 일정한 중량이 되도록 섬유를 배치하는 웹 형성기술과 목적하는 용도에 적합한 강도를 부여하는 접착기술이 필요하다.
원료의 선정과 함께 웹 형성기술과 접착시술의 조합을 고려하여 종이와 같이 얇은 것으로부터 방한복 내에 넣는 면(중면)처럼 두꺼운 것까지 또는 의류용 심지와 같이 드레이프성이 풍부한 것으로부터 합성 피혁처럼 탄력성이 높은 것까지 여러 종류의 부직포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웹 형성기술은 공기 중에서 하는 건식법과 단섬유를 물속에 분산시켜서 하는 습식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사용하는 섬유의 길이나 크림프 유무 또는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어떤 형성기술을 이용하는가가 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발명에 의한 제품은 주로 마스크, 파프재 기포, 플라스터 기포에는 건식법으로 제조된 웹의 니들펀칭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수술용 시트, 모자, 가운, 드레이프 등은 건식법의 웹을 워터젯 펀칭으로 접합하거나 습식법의 웹을 접착제로 함침한 것이며, 타월, 언더 패드, 기저귀 등은 펄프를 이용한 에어 레이어 제품이다.
또한 티백 필터로는 습식법의 웹을 이용한 열 캘린더 접착 부직포, 젖은 티슈(tissue)나 내프킨, 기저귀 등에는 펄프의 에어 레이어 웹과 얇은 열 접착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7-15데니어의 폴리올레핀 단섬유를 부직포로 만들어 30~50 % 연신시켜 표면층으로 하고 1.5-3데니어 폴리 올레핀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섬유를 70:30의 비율로 분산흡수층으로 하되 1.5-2데니어 플리올레핀 섬유를 열접합방식으로 섬유배열을 불규칙한 흡수층으로 구성하므로 즉각 혈, 뇨 등을 반복적으로 분산 흡수케하여 계속 유출된 혈이나 뇨가 집중에 의한 누수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저귀, 생리대용의 흡수, 집합 및 분산기능의 강화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7-15데니어의 폴리올레핀 단섬유를 사용하여 핫에어스루 부직포를 만들어 이를 연속공정에서 30-50%연신하며 구성한 표면층(11)과, 1.5-3데니어 폴리올리핀계 단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70:30의 비율로 표면층(11)과 동일구조 및 공정으로 구성한 분산흡수층(12)과, 1.5-2데니어 폴리올레핀 섬유를 열접합방식의 부직포로 기계방향과 폭방향의 섬유배열을 불규칙하게 한 흡수층(13)을 접합하여 3층(3-Layer)으로 구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기저귀, 생리대용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방법.
KR10-2001-0021878A 2001-04-23 2001-04-23 기저귀, 생리대용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방법 KR10041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878A KR100412284B1 (ko) 2001-04-23 2001-04-23 기저귀, 생리대용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878A KR100412284B1 (ko) 2001-04-23 2001-04-23 기저귀, 생리대용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373A KR20020082373A (ko) 2002-10-31
KR100412284B1 true KR100412284B1 (ko) 2003-12-31

Family

ID=2770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878A KR100412284B1 (ko) 2001-04-23 2001-04-23 기저귀, 생리대용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88B1 (ko) * 2015-01-26 2016-02-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체온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911A (ja) * 1996-06-05 1997-12-16 Kao Corp 吸収性物品
JPH10713A (ja) * 1996-04-16 1998-01-06 Idemitsu Petrochem Co Ltd 積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おむつ,生理用品
KR19990083390A (ko) * 1998-04-22 1999-11-25 마쉬 윌리엄 에프 흡수성물품용커버시이트및저온적층법
KR20010012555A (ko) * 1997-05-14 2001-02-15 로날드 디. 맥크레이 점탄성 유체의 배치가 조절되는 개인 위생용품용 안정화된흡수성 재료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3A (ja) * 1996-04-16 1998-01-06 Idemitsu Petrochem Co Ltd 積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おむつ,生理用品
JPH09322911A (ja) * 1996-06-05 1997-12-16 Kao Corp 吸収性物品
KR20010012555A (ko) * 1997-05-14 2001-02-15 로날드 디. 맥크레이 점탄성 유체의 배치가 조절되는 개인 위생용품용 안정화된흡수성 재료 및 시스템
KR19990083390A (ko) * 1998-04-22 1999-11-25 마쉬 윌리엄 에프 흡수성물품용커버시이트및저온적층법
KR20020022083A (ko) * 1998-04-22 2002-03-23 마쉬 윌리엄 에프 흡수 물품에 있어서 이동층 또는 흡착성 코어에 커버시이트를 적층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의 생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373A (ko)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5659C1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обращенного к телу листа во впитывающем изделии
KR100831634B1 (ko) 흡수성 물품
US6258196B1 (en) Porous composite sheet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765219B1 (ko) 흡수성 물품
US7005558B1 (en) Apertured covering sheet for an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covering sheet
KR970007091B1 (ko) 유체 은폐 특성들을 가진 부직 패드 커버
JP4308822B2 (ja) タフト化した繊維ウェブ
EP1968785A1 (en) Wicking fabric and garment made therefrom
RU2725670C1 (ru) Впитывающая систем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отводящую структуру
JPH05247814A (ja) 複合布
CN102481215A (zh) 吸收性物品
JP3550882B2 (ja) 極細繊維不織布
TWI762608B (zh) 非織纖維素纖維織物、用於製造彼之方法及裝置、使用彼之方法、及包含彼之產品或複合物
RU2611944C2 (ru) Единая поглощающая текучую среду система для впитывающих продуктов и способы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4103269B2 (ja) 延伸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4442932B2 (ja) 吸収性物品用液体非透過性シート
KR100412284B1 (ko) 기저귀, 생리대용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방법
US20210315747A1 (en) Absorbent article
JP7224157B2 (ja) 吸収性物品
JP7325179B2 (ja) 吸収性物品
MXPA02002666A (es) Tels plegadas fibrosas.
JP2843123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1423A (ko) 흡수성 물품
WO2007137609A1 (en) Asymmetric multilayered non woven fabric
US20020028324A1 (en) Hydrophilic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