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951B1 - 보온냄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온냄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951B1
KR100411951B1 KR10-2001-0040960A KR20010040960A KR100411951B1 KR 100411951 B1 KR100411951 B1 KR 100411951B1 KR 20010040960 A KR20010040960 A KR 20010040960A KR 100411951 B1 KR100411951 B1 KR 10041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inner pot
heat
outer pot
w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5597A (ko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김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수 filed Critical 김재수
Priority to KR10-2001-004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9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Abstract

내측냄비와 외측냄비로 이루어진 보온냄비에 있어서, 내측냄비와 외측냄비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내측냄비와, 내측냄비를 둘러싸면서 외측주위에 벽부를 갖는 외측냄비와, 상기 내측냄비의 상단부와 외측냄비의 상단부사이에는 밀폐성을 갖는 내열부재를 끼워서 상호 접합하여서 된 보온냄비에 있어서, 상기 내측냄비의 상단부는 상기 내열부재를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온냄비 및 그 제조방법{Warm-keeping pan and a method of making the pan}
본 발명은 냄비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냄비속의 음식물, 그 밖의 피가열물을 가열한 후, 더 가열하지 않고, 그 피가열물을 보온시키는 보온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온냄비를 구성하는 내측냄비와 외측냄비의 상단부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냄비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냄비속에 들어가는 음식물을 가열한 후, 가열을 계속하지 않고, 냄비속의 음식물이 보온이 되도록 보온냄비로는 여러종류가 현재까지 제안된 바가 있다. 그 하나로써 실공평 5-3162호 공보에 기재된 보온냄비를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보온냄비는 원통모양의 바닥면을 갖는 내측냄비(10)와 내측냄비(10) 보다도 큰 직경의 원통모양의 외측냄비(11)로 이루어지고, 내측냄비(10)와의 사이에는 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냄비(11)는 바닥면이 없고, 상.하로 개구되어 있다. 외측냄비(11)의 상단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테두리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냄비(10)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는 한쌍의 손잡이(13)가 고착되어 있다. 각 손잡이(13)는 한쌍의 평행한 플레이트(14a)와, 이 한쌍의 플레이트(14a)에 협지된 원통부재(14b)로 이루어져 있다. 플레이트(14a)의 하부에는 외측냄비(11)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11a)를 유동되게 끼워지도록 홈부(14c)가 형성되어있고, 이 홈부(14c)의 외측 하방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14a)사이에 결합봉(15)이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14a)의 홈부(14c)에 외측냄비(11)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손잡이(13)를 아래로 누르면 테두리부(11a)는 탄성변형되면서, 결합봉(15)은 테두리부(11a)를 타고 넘게되고, 테두리부(11a)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내측냄비(10)와 외측냄비(11)는 일체로 결합된다. 이와는 반대로 외측냄비(11)를 손잡이(13)에 대해서 아래방향으로 밀면, 테두리부(11a)와 결합봉(15)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내측냄비(10)와 외측냄비(11)를 분리시킬 수 있다.
내측냄비(10)에는 내측냄비(10)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내열성의 뚜껑(16)이 덮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 5에 나타낸 종래의 보온냄비는 상술한 실공평 5-3162호 공보의 기재된 것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보온 기능을 나타낸다.
이 보온냄비의 예를 들면, 가스곤로 위에 놓고 가열하면 가스곤로의 불꽃이 강할 경우에라도 외측냄비(11)는 내측냄비(10)보다도 깊은 깊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가스곤로의 불꽃은 외측냄비(11)의 하단부분이 차단되어 외측냄비(11)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스곤로의 불꽃 및 가스의 연소에 의한 고온기체는 내측냄비(10)와 외측냄비(1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2)내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흐른다.
이와 같이 해서 가스곤로의 불꽃 및 고온공기에 의해 내측냄비(10), 더 상세하게는 내측냄비(10)속의 음식물이 가열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가열된 내측냄비(10)의 속의 음식물을 보온할 경우에는 각 보온냄비를 가스곤로로부터 내려서 테이블 등의 적당하면서 평탄한 면상에 각 보온냄비를 놓는다.
이처럼 외측냄비(11)의 하단개구가 닫혀지게 되면, 내측냄비(10)의 외주면 및 저면의 주연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이 억제되어 보온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공평 5-3162호 공보에 따르면, 보온냄비를 테이블들의 평탄한 면상에 올려 놓으면 외측냄비(11)의 하단개구가 닫혀져 내측냄비(10)의 주연의 공기의 흐름이 억제되어 보온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실제에는 내측냄비(10)와 외측냄비(1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2)은 대기와 연통하고 있으므로 화살표 A에 도시된 것처럼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지 못한다.
이러한 예처럼 보온냄비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공간(12)에 고온의 공기가 체류하고 있다고 하여도 화살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공간(12)내의 공기는 대기중의 저온의 공기와 교환되면서 공간(12)내의 공기의 온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보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큰 보온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특히, 외측냄비(11)의 상하는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온냄비의 불꽃을 끄고 가스곤로상에 올려둔채로 놓아두면 공간(12)의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고, 가스곤로의 가열에 의해 생긴 공간(12)내의 고온의 공기는 극히 단시간내에 저온의 외기와 교환된다.
이처럼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실공평 5-3162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냄비는 큰 보온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도 5에 도시된 보온냄비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 3033353호 공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온냄비(30)가 제안되어 있다.
보온냄비(30)는 내측냄비(21)와 외측냄비(22)로 이루어진다. 내측냄비(21)와 외측냄비(22)에는 상호 열전도성이 큰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내측냄비(21)는 원통형상의 저면을 갖는 냄비이고, 내경(D1)을 갖고 있다.
외측냄비(22)도 내측냄비(21)와 동일모양으로 원통형상의 저면을 갖는 냄비이고, 내측냄비(21)의 내경(D1)보다도 큰 내경(D2)을 갖고 있다.
내측냄비(21)의 상단부에는 플렌지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렌지부(21a)는 외측냄비(22)의 내경(D2)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이로 인해 내측냄비(21)를 외측냄비(22)내에 동심상으로 수납하는 경우, 플렌지부(21a)의 외주연은 외측냄비(22)의 내주면에 접한다.
이 플렌지부(21a)의 반경방향의 길이는 내측냄비(21)의 내경과 외측냄비(22)의 내경과의 차이의 반으로 나누어지는 것과 같다. 즉, 플렌지부(21a)의 반경방향의 길이 L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내진다.
L = ( D2 - D1 ) / 2
내측냄비(21)의 플렌지부(21a)에 연속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21b)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21b)는 외측냄비(22)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22a)를 말아 넣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냄비(21)와 외측냄비(22)의 각각의 상단부가 동시에 절곡되고, 절곡부(21b,22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호 접합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외측냄비(22)의 내경(D2)은 내측냄비(21)의 내경(D1)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내측냄비(21)를 외측냄비(22)속에 동심으로 수납하면, 내측냄비(21)의 외주면과 외측냄비(22)의 외주면 사이에 링크(Rinku,고리)상의 공간부(23)가 형성된다.
또한, 내측냄비(21)의 깊이(T1)는 외측냄비(22)의 깊이(T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고, 이 때문에 내측냄비(21)를 외측냄비(22)의 속에 동심으로 수납하면, 높이(T2-T1)는 대략 원기둥형태의 공간부(31)가 내측냄비(21)의 저면과 외측냄비(22)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외측냄비(22)의 외주면에는 외측냄비(22)의 임의의 직경방향 양단에 한쌍의 손잡이(24)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온냄비(30)는 이하와 같은 기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가스곤로 등에 의해 보온냄비(30)를 가열하면 먼저, 외측냄비(22)는 가스곤로의 불꽃에 의해 처음으로 가열된다. 다음으로, 공간부(23)의 내부의 공기가 가열된 후, 내측냄비(21)가 가열된다. 내측냄비(21)가 가열되는 것에 의해 내측냄비(2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냄비(21)의 속에 있는 음식물(도시되지 않음)에 열이 전달되어 음식물이 가열된다.
가스곤로로부터 얻어지는 열량은 외측냄비(22)를 통해 내측냄비(21)에 전달함과 동시에 열량의 일부는 외측냄비(22)를 통해 공간부(23)의 속에 존재하는 공기에도 전달된다. 이는 공간부(23)의 속에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후 가스곤로에 의하면 보온냄비(30)의 가열이 종료하기까지 공간부(23)속의 공기의 온도는 상승이 계속된다.
가스곤로에 의한 보온냄비(30)의 가열이 종료하면, 공간부(23)의 속의 공기의 온도상승도 정지한다. 공간부(23)는 기체와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가스곤로에 의한 가열에 의해 축적된 열량의 대부분은 공간부(23)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속에 저장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간부(23)내의 공기에 저장된 열량은 내측냄비(21)를 통해 내측냄비(21)속의 음식물에 전달되어 음식물의 보온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보온냄비(30)에 의하면 충분한 보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보온냄비(30)에 있어서 내측냄비(21)와 외측냄비(22)는 그것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21a,21b)를 끼워서 접합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보온냄비(30)는 내측냄비(21)와 외측냄비(22)는 열팽창과 냉각에 의한 수축이 반복중에 그것의 절곡부(21a,21b)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고, 외부로부터 이 간격을 통해 습기 등이 유입될 우려를 갖고 있다.
유입된 수분은 공간부(23)의 내부 및 그 접합부에 체류하여 내측냄비(21)와 외측냄비(22)를 부식시킬 우려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내측냄비와 외측냄비로 이루어진 보온냄비에 있어서, 내측냄비와 외측냄비의 접합위치에서 습기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보온냄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냄비와, 상기 내측냄비를 둘러싸서 외측주위에 벽부를 갖는 외측냄비와, 상기 내측냄비의 상단부와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는 밀폐성을 갖는 내열부재를 사이에 끼워서 상호 접합하여서 된 보온냄비에 있어서, 상기 내측냄비의 상단부는 상기 내열부재를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와 접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측냄비의 상단부는 상기 내열부재를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와 접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냄비와, 상기 내측냄비를 둘러싸서 상기 내측냄비의 외측주위에 벽부를 갖는 외측냄비로 이루어진 보온냄비에 있어서, 상기 외측냄비는 그 상단부에 있어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렌지부를 가지며, 상기 내측냄비는 그 상단부에 상기 플렌지부상의 공동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플렌지부와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공동부에는 밀폐성을 갖는 내열부재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냄비를 제공한다.
상기 내열부재는 예를 들면, 내열실리콘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냄비와, 상기 내측냄비를 둘러싸서 상기 내측냄비의 외측주위에 벽부를 갖는 외측냄비로 이루어진 보온냄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냄비의 상단부와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 사이에 밀폐성을 갖는 내열부재를 끼우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끼워져 있는 내열부재를 중심으로 내측냄비의 상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와 접합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냄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따른 보온냄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다른 보온냄비의 부분적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보온냄비의 단면도,
도 5의 (a)는 종래의 보온냄비의 단면도 및 정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보온냄비 41 : 내측냄비
41a : 플렌지부 41b : 굴곡부
41c : 수평부 42 : 외측냄비
42a : 플렌지부 43,45 : 공간
44 : 손잡이 46 : 공동부
47 : 밀폐부재 50 : 보온냄비
51 : 내측냄비 52 : 외측냄비
53 : 내열실리콘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관한 보온냄비(4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보온냄비(4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보온냄비(40)는 내측냄비(41)와 외측냄비(42)로 이루어진다. 내측냄비(41)와 외측냄비(42)는 서로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내측냄비(41)는 원통형상으로 저면을 갖는 냄비이고, 내경(D1)을 가지고 있다. 외측냄비(42)도 내측냄비(41)와 동일모양으로 원통형상의 저면을 갖는 냄비로서, 내측냄비(41)의 내경(D1) 보다도 큰 내경(D2)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내측냄비(41)를 외측냄비(42)의 속에 동심으로 수납하면, 내측냄비(41)의 외주면과 외측냄비(42)의 내주면 사이에 링형의 공간부(43)가 형성된다.
또한, 내측냄비(41)의 깊이(T1)는 외측냄비(42)의 깊이(T2)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이로 인해 내측냄비(41)를 외측냄비(42)속에 동심으로 수납하면, 높이(T2-T1)는 대략 원기둥형태의 공간부(45)가 내측냄비(41)의 저면과 외측냄비(42)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외측냄비(42)의 외주면에는 외측냄비(42)의 임의의 직경방향 양단에한쌍의 손잡이(44)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냄비(42)는 그 상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렌지부(42a)를 갖는다.
내측냄비(41)의 상단부에는 플렌지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렌지부(41a)는 외측냄비(42)의 내경(D2)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있고, 이 때문에 내측냄비(41)를 외측냄비(42)속에 동심으로 수납하는 경우, 플렌지부(41a)의 외주연은 외측냄비(42)의 내주면에 접한다.
이 플렌지부(41a)의 반경방향의 길이는 내측냄비(41)의 내경과 외측냄비(22)의 내경과의 차이의 반으로 나누어지는 것과 같다. 즉, 플렌지부(21a)의 반경방향의 길이 L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내진다.
L = ( D2 - D1 ) / 2
내측냄비(41)는 또한 플렌지부(41a)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부(41b)와 굴곡부(41b)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부(41c)를 가지고 있다.
굴곡부(41b)는 U자형상의 역으로 되어 있고, 외측냄비(42)의 플렌지부(42a) 사이에 공동부(46)를 형성하고 있다. 수평부(41c)는 외측냄비(42)의 플렌지부(42a)와 밀착상태로 중첩되어 있다.
굴곡부(41b)와 외측냄비(42)의 플렌지부(42a)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부(46)에는 내열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밀폐부재(47)가 끼워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온냄비(40)는 보온에 관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온냄비(30)와 동일모양의 효과를 나태내고 있다. 추가적으로 보온냄비(4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온냄비(30)에 있어서, 내측냄비(21)와 외측냄비(22)는 열팽창과 냉각에 의해 수축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그것의 절곡부(21a,21b)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고, 외부로부터 이 간격을 통해 습기 등이 유입될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온냄비(40)에 의하면, 내측냄비(41)의 상단과 외측냄비(42)의 상단에 밀폐부재(47)를 개재하여 상호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내측냄비(41)와 외측냄비(42)가 열팽창과 냉각에 의한 수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외측냄비(42)의 플렌지부(42a)와 내측냄비(41)의 수평부(41c)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더라도, 밀폐부재(47)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분에 의한 내측냄비(41) 및 외측냄비(42)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밀폐부재(47)는 내열성을 갖는 내열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열 및 냉각을 반복하더라도 내구력을 갖고 있고, 장기간 사용할 시에도 그 차폐성능이 열하되지 않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관한 보온냄비(50)의 일부을 나타낸 부분단면도로서, 도 3의 (A)는 보온냄비(50)의 제조도중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보온냄비(50)의 완성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실시형태에 관한 보온냄비(50)에 있어서, 내측냄비(51)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부분(51a)과, 제 1부분(51a)에서 외측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 2부분(51b)과, 제 2부분(51b)으로부터 상방향으로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 3부분(51c)과, 제 3부분(51c)의 선단과 이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굴곡된 선단부분(51d)으로 되어 있다.
한편, 외측냄비(52)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부분(52a)과, 제 1부분(52a)에서 외측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 2부분(52b)과, 제 2부분(52b)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 3부분(52c)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온냄비(50)에 관해서는 내측냄비(51)와 외측냄비(52)는 상호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온냄비(50)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된다.
먼저, 도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냄비(51)의 선단부분(51d)과 외측냄비(52)의 제 3부분(52c)의 선단과의 사이에 밀폐성을 갖는 내열부재로 내열 실리콘(53)이 삽입된다.
다음으로, 내측냄비(51)의 선단부분(51d)을 외측으로 절곡한다. 이 결과, 내측냄비(51)의 선단부분(51d)은 외측냄비(52)의 제 3부분(52c)의 선단과의 사이에 내열 실리콘(53)을 삽입한 상태에서 내측냄비(51)와 외측냄비(52)을 상호 결합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냄비(50)에 의해 제 1실시형태에 관한 보온냄비(40)와 동일한 형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보온냄비에 의하면 종래의 보온냄비와 동등한보온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종래의 보온냄비가 갖고 있지 않은 수분차폐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온냄비를 보면, 내측냄비의 상단과 외측냄비의 상단에 밀폐성을 갖는 내열부재를 끼워서 상호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냄비와 외측냄비가 열팽창과 냉각에 의한 수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외측냄비와 내측냄비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더라도 내열부재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분에 의해 내측냄비 및 외측냄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열부재로서, 내열성을 갖는 내열실리콘을 사용하면, 내열실리콘은 가열 및 냉각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내구력을 갖고 있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그 차폐성능이 열하되지 않는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내측냄비와; 상기 내측냄비를 둘러싸면서 상기 내측냄비의 외측주위에 벽부를 갖는 외측냄비와; 상기 내측냄비의 상단부와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는 밀폐성을 갖는 내열부재를 사이에 끼워 상호 접합하여서된 보온냄비에 있어서, 상기 내측냄비의 상단부는 상기 내열부재를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냄비.
  3. 삭제
  4. 삭제
  5. 내측냄비와, 상기 내측냄비를 둘러싸서 상기 내측냄비의 외측주위에 벽부를 갖는 외측냄비로 이루어진 보온냄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냄비의 상단부와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 사이에 밀폐성을 갖는 내열부재를 끼우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끼워져 있는 내열부재를 중심으로 내측냄비의 상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외측냄비의 상단부와 접합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냄비의 제조방법.
KR10-2001-0040960A 2001-07-09 2001-07-09 보온냄비 및 그 제조방법 KR10041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960A KR100411951B1 (ko) 2001-07-09 2001-07-09 보온냄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960A KR100411951B1 (ko) 2001-07-09 2001-07-09 보온냄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597A KR20030005597A (ko) 2003-01-23
KR100411951B1 true KR100411951B1 (ko) 2003-12-31

Family

ID=2771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960A KR100411951B1 (ko) 2001-07-09 2001-07-09 보온냄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842B1 (ko) 2022-08-26 2024-02-07 (주)현대공업 자동차 헤드레스트 및 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용 기재 그리고 그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기재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2710U (ko) * 1980-12-26 1982-07-12
JPS6030728U (ja) * 1983-08-09 1985-03-01 佐藤 久夫 空密の料理用鍋
KR880009346U (ko) * 1986-11-15 1988-07-22 안부홍 이중 조리용기
JPH01166717A (ja) * 1987-12-23 1989-06-30 Ejiri Horo Kk ほうろう引き二重鍋
KR20020088049A (ko) * 2001-05-14 2002-11-25 주식회사 요꼬야마 냄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2710U (ko) * 1980-12-26 1982-07-12
JPS6030728U (ja) * 1983-08-09 1985-03-01 佐藤 久夫 空密の料理用鍋
KR880009346U (ko) * 1986-11-15 1988-07-22 안부홍 이중 조리용기
JPH01166717A (ja) * 1987-12-23 1989-06-30 Ejiri Horo Kk ほうろう引き二重鍋
KR20020088049A (ko) * 2001-05-14 2002-11-25 주식회사 요꼬야마 냄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842B1 (ko) 2022-08-26 2024-02-07 (주)현대공업 자동차 헤드레스트 및 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용 기재 그리고 그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기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597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61020A1 (en) Partially Insulated Cooking Vessel
AU692285B2 (en) Method and utensil for cooking food with heat
JPH0476692B2 (ko)
KR100411951B1 (ko) 보온냄비 및 그 제조방법
KR100762060B1 (ko) 조리용기
CN208301470U (zh) 内锅组件及电饭煲
JP2003275097A (ja) 断熱調理鍋
JP3033353U (ja) 保温鍋
JP2002345628A (ja) 保温鍋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21650A1 (en)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To Vessel For Heating
CN205018859U (zh) 用于煮饭器的内锅及煮饭器
KR100436281B1 (ko) 음식 조리용 팬 및 이의 제조방법
JP3916937B2 (ja) 容器体の製造方法
CN103574746B (zh) 无油汀的制造方法
CN109640420A (zh) 干烧加热管及其加工工艺
KR200494997Y1 (ko) 열효율이 높은 제빵 기구
KR101668028B1 (ko) 인덕션 렌지용 용기
CN220728306U (zh) 燃气灶锅架
CN2210598Y (zh) 焖烧锅
JP3723112B2 (ja) 容器体の製造方法
CN203586360U (zh) 无油汀
CN218105545U (zh) 烹饪锅
KR200322516Y1 (ko) 취사용기
JP3084759U (ja) 調理用鍋
CN213248408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