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545B1 - 히트팩용 트리거 - Google Patents

히트팩용 트리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545B1
KR100411545B1 KR10-2001-0016411A KR20010016411A KR100411545B1 KR 100411545 B1 KR100411545 B1 KR 100411545B1 KR 20010016411 A KR20010016411 A KR 20010016411A KR 100411545 B1 KR100411545 B1 KR 100411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windings
heat
heat pack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515A (ko
Inventor
백창평
Original Assignee
백창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창평 filed Critical 백창평
Priority to KR10-2001-001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545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61F7/086Closures; Filling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액의 발열작용을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개시시킬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히트팩용 트리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팩용 트리거는, 유연성있는 용기에 충진되어 충격에 의해 결정화되면서 열을 발생시키는 용액내에 배치되어, 상기 용액의 발열 작용을 유발시키는 히트 팩용 트리거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한쌍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각 코일스프링의 권선과 권선간을 서로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한 쌍의 코일 스프링의 권선과 권선간을 서로 삽입하여 스프링의 벤딩시 벤딩부 내측의 마찰접촉면적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벤딩부 외측에서도 권선간의 마찰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트리거링의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히트팩용 트리거{Triggering Device for Heat Pack}
본 발명은 히트팩용 트리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액의 발열작용을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개시시킬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히트팩용 트리거에 관한 것이다.
히트팩(Heat Pack)은 화학물질의 상태변화에 따른 흡열 및 발열현상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에너지를 잠열로 저장하여 두었다 필요시 화학물질에 미세한 충격을 가하는 것에 결정화를 유도하여 그 때의 발열현상을 이용 찜질이나 국부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이나 PVC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밀폐 용기(2)의 내부에 충격에 의해 결정화되는 성질을 가진 소듐-아세테이트 용액 등과 같은 용액(3)이 충진되어 있으며, 필요시 용액에 충격을 가해 발열작용을 개시시키는 트리거(trigger)(4)가 용기내부의 용액중에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트리거(4)는 금속재질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트리거(4)의 벤딩시 마찰등에 의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도록 그 표면에는 다수의 그루브(4a) 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히트팩(1)을 끓는 물이나 온수에 넣으면, 용기내의 용액은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액체상태가 되며, 이 때 흡수된 열에너지는 화학적 에너지로 용액 내에 저장된다. 한편, 히트 팩(1)을 사용하기 위해 트리거(4)를 양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잡고 중앙부를 눌렀다 다시 복원시키게 되면, 벤딩시의 진동 충격 및 그루브(4a) 면의 접촉에 따른 충격에 의해 용액(3)의 결정화 반응이 개시되며, 이 반응은 트리거(4)를 중심으로 하여 퍼지게 된다.
이와 같은 용액의 결정화 반응은 발열반응이므로, 히트팩은 결정화 과정이 완료될 때 까지 지속적으로 열을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히트팩에 사용되는 트리거(4)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크기가 매우 작기때문에 파지 자체가 매우 어렵고 불편하였으며, 히트 팩(1)을 사용하기 위해 트리거(4)를 양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잡고 중앙부를 눌렀다 다시 복원시키는 과정에 어느 정도의 힘을 요하여 노약자의 경우는 사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과도한 힘을 가하거나 오랜 기간 사용하는 경우 그루브(4a) 부분이 끊어지는 등 내구성이 좋지 못하였으며, 단부가 매우 날카로워 용기의 찢어짐을 유발시키게 되어 내부에 충진된 용액(3)이 누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코일 스프링형 트리거를 구비한 히트 팩을 안출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23087호로 출원한 바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 스프링형 트리거는, 코일스프링(10)의 외주를 고무재질의 튜브(20)로 감싸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양단을 잡고 구부리게 되면 각 권선간의 마찰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여 용액의 발열 반응을 개시시키게 되며,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가 용이하여 노약자라 할지라도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벤딩 후 코일 스프링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구되므로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더라도 파손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벤딩시 권선과 권선 사이의 접촉이 불안정해 트리거 작용이 잘 안되는 경우가 있었고, 장시간 사용시 탄성 복원력이 약화되어 그 형태가 변형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스프링의 권선간 간격을 조밀하게 형성하여 실험한 결과 접촉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트리거링(triggering)의 신뢰성은 어느정도 향상되었으나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으며, 그 제조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액의 발열작용을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개시시킬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히트팩용 트리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 스프링형 트리거의 외부를 열수축성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감쌈으로서, 용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의 피복처리에 소요되는 제조비용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히트팩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 팩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리거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코일스프링형 트리거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히트 팩 2 : 용기
3 : 용액 30 : 트리거
31, 32 : 트리거용 코일스프링 40 : 열수축성 합성수지 튜브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팩용 트리거는, 유연성있는 용기에 충진되어, 충격에 의해 결정화되면서 열을 발생시키는 용액내에 배치되어, 상기 용액의 발열 작용을 유발시키는 히트 팩용 트리거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한쌍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각 코일스프링의 권선과 권선간을 서로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한 쌍의 코일 스프링의 권선과 권선간을 서로 삽입하여 스프링의 벤딩시 벤딩부 내측의 마찰접촉면적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벤딩부 외측에서도 권선간의 마찰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트리거링의 신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스프링의 원주 방향 탄성력이 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스프링은 그 권선방향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상기 권선과 권선이 서로 삽입된 상태의 스프링의 측면을 압착하여 그 외관 부피를 최소화 시킨 결과, 트리거의 용액 내에서의 유동성이 향상됨은 물론 마찰접합부가 견고하게 맞물려있는 상태가 되어 트리거링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권선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한쌍의 스프링을 그 권선간을 삽입하여 압연로울사이에 통과시켜 압착시킨 결과, 압착시 권선과 권선이 상호 접촉되며 압착됨으로 인해, 각 코일 스프링의 소선이 한번은 외측에 다음번은 내측에 상호 교호로 안착되며 압착되어, 트리거가 최소 두께로 압착됨은 물론 마찰접촉면적이 최대로 되어 트리거링의 신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인 형성되는 코일 스프링형 트리거는 권선의 단부를 라운딩처리하거나, 그 외부를 합성수지로 감싸줌으로서 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바, 트리거의 단면 외주보다 약간 큰 크기 외주를 갖는 열수축성 합성수지의 내부에 트리거를 간단히 삽입한 후 열을 가하여 외주의 합성수지를 수축시키는 공정에 의해 제조 원가를 최소화하며 트리거의 외부를 피복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히트팩용 트리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그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30)은 외경이 동일하거나 약간 차이나는 한쌍의 코일스프링(31, 32)으로 이루어지는 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코일스프링의 권선과 권선간을 삽입시켜 그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겹침으로서 형성된다.
한쌍의 코일 스프링은 그 권선방향이 동일한 것을 서로 겹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권선 방향이 상호 다른 것을 사용하게 되면 권선 간의 접촉면적이 증대되고, 탄성 복원력이 원주 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분포되어 더욱 바람직한 트리거링 성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한쌍의 코일 스프링이 겹쳐져 형성된 트리거(30)를 그대로 히트 백 용기내에 배치하면, 스프링의 권선 단부에 용기가 걸려 찢어질 수 있으므로, 그 양단에 캡을 씌우거나 그 전체를 피복할 필요가 있는 데, 종래 제안된 고무 튜브를 이용한 피복 방법은 그 피복공정에 시간이 많이 걸려 제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열수축성 합성수지 튜브(40)에 트리거(30)를 삽입한 후 이를 온수 등에 담구었다 식히면, 외부의 열수축성 합성수지 튜브(40)가 열에 의해 수축된 후 경화되고, 그 수축력에 의해 상호 겹쳐져 있는 한쌍의 스프링을 강력하게 결합시켜주게 되며, 스프링의 길이보다 돌출되어 있는 양측단부(41, 42)는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의 직경보다도 훨씬 작게 수축되어 스프링을 안정적으로 감싸게 된다.
한편, 본 출원인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권선과 권선이 서로 삽입된 상태의스프링의 측면을 압착하면, 그 두께가 얇아져서 용액 내에서의 유동성이 향상됨은 물론 마찰부가 견고하게 접촉하여 있는 상태가 되어 트리거링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권선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한쌍의 스프링을 그 권선간을 삽입하여 압연로울사이에 통과시켜 압착시킨 결과, 압착시 양 스프링의 권선과 권선이 상호 접촉되며 압착됨으로 인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코일 스프링의 권선(31, 32)이 한번은 외측(31a, 32a)에 다음번은 내측(31b, 32b)에 상호 교호로 안착되며 압착되어, 트리거가 최소 두께로 압착됨은 물론 마찰접촉면적이 최대로 되어 트리거링의 신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b는 이와 같이 형성된 트리거를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피복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30)는, 충격에 의해 결정화되는 성질을 가진 소듐-아세테이트 용액 등과 같이 유연성 재질의 밀폐용기의 내부수용되어 결정화에 의한 발열작용을 유발시키게 되는 바, 트리거의 형상이 바형상으로 되어 그 양단부를 잡아 구부림으로서 트리거링을 하게 되므로 파지가 용이하여 노약자라 할지라도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한 쌍의 코일 스프링의 권선과 권선간을 서로 삽입하여 스피링의 벤딩시 벤딩부 내측의 마찰접촉면적이 최대화 되고, 한개의 스프링의 권선을 단순히 조밀하게 형성하는 경우 벤딩시 벤딩부외측이 벌어져 권선간의 마찰접촉이 발생하지 않는 데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벤딩부 외측에서도 권선간의 마찰이 발생하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확실하게 트리거링 되며, 권선과 권선이 맞닿게 코일 스프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 제조 원가의 상승이 불가피하나 본원은 일반적인 스프링을 소요 길이만큼 절단하여 ??쳐 사용하면되므로 보다 저렴한 가격의 트리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스프링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균일한 강성이 유지되므로 스프링이 잘못 벤딩되어 원하지 않는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코일스프링의 외주보다 약간 큰 크기의 직경을 갖는 열수축성 합성수지 튜브의 내부에 트리거를 간단히 삽입한 후 열을 가하여 외주의 합성수지를 수축시키는 공정에 의해 제조 원가를 최소화하며 트리거의 외부를 피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팩용 트리거에 의하면, 용액의 발열작용을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개시시킬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 및 내구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형 트리거의 외부를 열수축성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감쌈으로서, 용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의 피복처리에 소요되는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한쌍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히트팩용 트리거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스프링은 상호 권선 방향을 달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의 권선과 권선간을 서로 삽입하여, 상기 권선과 권선이 서로 삽입된 상태의 스프링의 측면을 압착하되, 서로 권선 방향을 달리하는 상기 한 쌍의 권선이 외부와 내부에 교호로 압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팩용 트리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외부에 열 수축형 합성수지 튜브가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팩용 트리거.
KR10-2001-0016411A 2001-03-29 2001-03-29 히트팩용 트리거 KR10041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411A KR100411545B1 (ko) 2001-03-29 2001-03-29 히트팩용 트리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411A KR100411545B1 (ko) 2001-03-29 2001-03-29 히트팩용 트리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713U Division KR200240805Y1 (ko) 2001-03-29 2001-03-29 히트팩용 트리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515A KR20020076515A (ko) 2002-10-11
KR100411545B1 true KR100411545B1 (ko) 2003-12-18

Family

ID=2769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411A KR100411545B1 (ko) 2001-03-29 2001-03-29 히트팩용 트리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5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051B1 (ko) * 2009-08-04 2010-02-24 실버레이 주식회사 신축 공간부를 구비한 신축성 선재
KR102487779B1 (ko) 2022-09-16 2023-01-12 주식회사 범도시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건축물의 내부 공기 순환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공기 순환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1275A1 (en) * 1985-08-28 1987-03-12 Crewsaver Marine Equipment Limited Improved trigger device for heat p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1275A1 (en) * 1985-08-28 1987-03-12 Crewsaver Marine Equipment Limited Improved trigger device for heat p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051B1 (ko) * 2009-08-04 2010-02-24 실버레이 주식회사 신축 공간부를 구비한 신축성 선재
KR102487779B1 (ko) 2022-09-16 2023-01-12 주식회사 범도시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건축물의 내부 공기 순환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공기 순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515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1545B1 (ko) 히트팩용 트리거
WO1994002082A2 (en) Reusable heat releasing pack
KR200178505Y1 (ko) 히트 팩
JPS63501480A (ja) ヒ−トパック用の改良型起動装置
KR200240805Y1 (ko) 히트팩용 트리거
KR20030051943A (ko) 히트팩용 트리거
JP5374340B2 (ja) 断熱容器
JP5227296B2 (ja) 断熱容器
US4907623A (en) Heat-shrinkable insulating tube
JP2003242970A (ja) 電 池
TW200840777A (en) Lamp package body
JPH01192399A (ja) 洗濯ばさみ
KR890012050A (ko) 플라스틱 단부부품을 갖는 금속정호스크린과 그 부착방법
US20100116285A1 (en) Cosmetic clip lot
KR200337766Y1 (ko) 히트팩용 트리거
JP4863208B2 (ja) プラスチッククリップ
JP4007758B2 (ja) 電池の包装体
KR102504434B1 (ko) 다용도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KR810001387Y1 (ko) 카메라용 망원렌즈 보관케이스
JP2000331656A (ja) 電気エネルギー蓄積デバイス
JPH0728134Y2 (ja) ロール状物の包装体
US5217279A (en) Method for a brush construction
JP2019155662A (ja) 被服止め具
FR2486622A1 (fr) Collier de serrage pour tuyau souple
JP2018117575A (ja) 釣竿固着解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