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428B1 - 일회용 무공해 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무공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428B1
KR100411428B1 KR10-2001-0009151A KR20010009151A KR100411428B1 KR 100411428 B1 KR100411428 B1 KR 100411428B1 KR 20010009151 A KR20010009151 A KR 20010009151A KR 100411428 B1 KR100411428 B1 KR 10041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arch
powder
oi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8833A (ko
Inventor
유성권
Original Assignee
유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권 filed Critical 유성권
Priority to KR10-2001-000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4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68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회용 무공해 용기는 35중량% 내지 65중량%의 녹말가루와, 5중량% 내지 30중량%의 식용 셀룰로오스와, 10중량% 내지 24중량%의 전분과, 9.5량% 내지 15중량%의 물과, 0.5중량% 내지 3중량%의 방부제와, 0.5중량% 내지 3중량%의 발포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공해 용기는 사용 후 수집하여 분쇄하거나 또는 뜨거운 물에 끓여서 가축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연상태에 방치해도 환경공해를 유발하지 않고 부식되며, 또한 염분이 없으므로 부식시켜서 유기비료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외표면에 식용유로 코팅되어 있어 액상의 차거나 뜨거운 음식물을 담아도 물이 누수되지 않고, 녹말가루, 식용 셀룰로오스, 전분, 물 및 방부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특정압력과 온도로 프레스에 의해 성형가공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일회용 무공해 용기{A ENVIRONMENTAL POLLUTION LESS CONTAINER USE ONE TIME}
본 발명은 환경 오염을 발생하지 않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기에 방치하였을 경우 짧은 기간내에 자연 부식되고, 사용한 폐기물을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회용 용기는 발포수지로 제조된 일회용 음식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발포수지로 제조된 일회용 음식용기는 50∼100년 정도로 오랜 세월 동안 썩지 않고 자연에 방치되기 때문에 환경을 파괴시킨다는 문제점이 있고, 발포수지로 제조된 일회용 음식용기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발포수지가 지니고 있는 스티렌트리머라는 환경호르몬에 의해 불임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생식기능을 저하시키거나 기형· 성장장애 등의 무서운 결과를 초래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발포수지재의 일회용 용기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환경오염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1998년 10월 26일자로 공개번호 실1998-059488호로 공개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가 있다.
동 실용신안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일회용 음식용기는 용기내에 뜨거은 음식물이 담길 경우에 음식물의 열기가 용기의 외부면으로 전도되는 전도열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종이로 2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이재질의 일회용 용기는 2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담겨진 음식물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기는 하지만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코스트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일회용 용기에 뜨거운 액체가 담길 경우에, 방수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 액상의 뜨거운 음식물을 담아서 사용할 경우 국물이 새서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후 가축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연상태에 방치해도 환경공해를 유발하지 않고 부식되며, 또한 염분이 없으므로 부식시켜서 유기비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상의 차고 또는 뜨거운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회용 무공해 용기는 35중량% 내지65중량%의 녹말가루와, 5중량% 내지 30중량%의 식용 셀룰로오스와, 10중량% 내지 24중량%의 전분과, 9.5량% 내지 15중량%의 물과, 0.5중량% 내지 3중량%의 방부제와, 0.5중량% 내지 3중량%의 발포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무공해 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무공해 용기는 35중량% 내지 65중량%의 녹말가루와, 5중량% 내지 30중량%의 식용 셀룰로오스와, 10중량% 내지 24중량%의 전분과, 9.5량% 내지 15중량%의 물과, 0.5중량% 내지 3중량%의 방부제와, 0.5중량% 내지 3중량%의 발포제를 볼밀에 투입하고 5분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고, 볼밀에서 혼합된 혼합분말을 성형프레스에서 100℃ 내지 300℃ 온도의 증기를 가하면서 500㎏/㎠ 내지 2,000㎏/㎠의 성형압력으로 눌러서 컵형상의 성형물을 성형해서 제조하고, 방수를 위하여 상기 컵형상의 성형물에 식용유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가열건조해서 일회용 무공해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였다.
상기 녹말가루는 쌀가루, 찹쌀가루, 강냉이가루, 좁쌀가루, 보리가루, 밀가루, 귀리가루, 콩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식용 셀룰로오스는 채소분말(시금치, 배추, 무 등), 솔잎분말, 소나무분말, 초목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분은 고구마 가루, 감자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식용유는 올리브유, 팜유, 야자유, 참기름, 들깨기름, 옥수수기름, 콩기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는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에서, 컵형상의 성형물의 방수를 위하여 외표면에 식용유를 도포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녹말가루, 식용 셀룰로오스, 전분, 물 및 방부제의 성분 중 물 대신에 식용유를 첨가하여 볼밀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100℃ 내지 300℃ 온도의 증기를 가하면서 특정의 성형압력(예를 들면, 500㎏/㎠ 내지 2,000㎏/㎠의 성형압력)으로 눌러서 컵형상의 성형물을 성형해서 제조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50중량% 녹말가루와, 15중량%의 식용 셀룰로오스와, 20중량%의 전분과, 13.5중량%의 물과, 1중량%의 방부제와, 0.5중량%의 발포제를 볼밀에 투입하고 5분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고, 볼밀에서 혼합된 혼합분말을 성형프레스에서 100℃ 온도의 증기를 가하면서 500㎏/㎠의 성형압력으로 눌러서 컵형상의 성형물을 발포성형해서 제조하고, 방수를 위하여 상기 컵형상의 성형물에 식용유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60℃의 온도에서 가열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성형된 컵형상의 성형물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성형물의 타단부를 통상의 인장시험기의 클램프로 걸고 초당 10mm의 이동속도로 인장시험기를 잡아 당겼더니 1,3㎏의 힘이 가해졌을 때, 용기가 파손되었다.
다음에, 용기의 탄력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레오미터(RHEO METER)를 사용하여 초당 6.5mm 속도로 용기의 한쪽을 반대쪽으로 눌렀더니, 0.85㎏ㆍm/s2에서 파손되었다.
제2 실시예
65중량% 녹말가루와, 5중량%의 식용 셀룰로오스와, 15중량%의 전분과, 12중량%의 물과, 2중량%의 방부제와, 1중량%의 발포제를 볼밀에 투입하고 5분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고, 볼밀에서 혼합된 혼합분말을 성형프레스에서 150℃ 온도의 증기를 가하면서 800㎏/㎠의 성형압력으로 눌러서 컵형상의 성형물을 발포성형해서 제조하고, 방수를 위하여 상기 컵형상의 성형물에 식용유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80℃의 온도에서 가열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성형된 컵형상의 성형물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성형물의 타단부를 통상의 인장시험기의 클램프로 걸고 초당 10mm의 이동속도로 인장시험기를 잡아 당겼더니 2.2㎏의 힘이 가해졌을 때, 용기가 파손되었다.
다음에, 용기의 탄력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레오미터(RHEO METER)를 사용하여 초당 6.5mm 속도로 용기의 한쪽을 반대쪽으로 눌렀더니, 0.77㎏ㆍm/s2에서 파손되었다.
제3 실시예
47중량% 녹말가루와, 15중량%의 식용 셀룰로오스와, 17중량%의 전분과, 15중량%의 물과, 3중량%의 방부제와, 3중량%의 발포제를 볼밀에 투입하고 5분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고, 볼밀에서 혼합된 혼합분말을 성형프레스에서 200℃ 온도의 증기를 가하면서 1000㎏/㎠의 성형압력으로 눌러서 컵형상의 성형물을 발포성형해서 제조하고, 방수를 위하여 상기 컵형상의 성형물에 식용유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85℃의 온도에서 가열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성형된 컵형상의 성형물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성형물의 타단부를 통상의 인장시험기의 클램프로 걸고 초당 10mm의 이동속도로 인장시험기를 잡아 당겼더니 1,10㎏의 힘이 가해졌을 때, 용기가 파손되었다.
다음에, 용기의 탄력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레오미터(RHEO METER)를 사용하여 초당 6.5mm 속도로 용기의 한쪽을 반대쪽으로 눌렀더니, 0.75㎏ㆍm/s2에서 파손되었다.
제4 실시예
55중량% 녹말가루와, 20중량%의 식용 셀룰로오스와, 10중량%의 전분과, 13.5중량%의 물과, 1중량%의 방부제와, 0.5중량%의 발포제를 볼밀에 투입하고 5분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고, 볼밀에서 혼합된 혼합분말을 성형프레스에서 230℃ 온도의 증기를 가하면서 1300㎏/㎠의 성형압력으로 눌러서 컵형상의 성형물을 발포성형해서 제조하고, 방수를 위하여 상기 컵형상의 성형물에 식용유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95℃의 온도에서 가열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성형된 컵형상의 성형물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성형물의 타단부를 통상의 인장시험기의 클램프로 걸고 초당 10mm의 이동속도로 인장시험기를 잡아 당겼더니 1.85㎏의 힘이 가해졌을 때, 용기가 파손되었다.
다음에, 용기의 탄력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레오미터(RHEO METER)를 사용하여 초당 6.5mm 속도로 용기의 한쪽을 반대쪽으로 눌렀더니, 0.85㎏ㆍm/s2에서 파손되었다.
제5 실시예
45중량% 녹말가루와, 30중량%의 식용 셀룰로오스와, 13중량%의 전분과, 9.5중량%의 물과, 0.5중량%의 방부제와, 2중량%의 발포제를 볼밀에 투입하고 5분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고, 볼밀에서 혼합된 혼합분말을 성형프레스에서 280℃ 온도의 증기를 가하면서 1,500㎏/㎠의 성형압력으로 눌러서 컵형상의 성형물을 발포성형해서 제조하고, 방수를 위하여 상기 컵형상의 성형물에 식용유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300℃의 온도에서 가열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성형된 컵형상의 성형물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성형물의 타단부를 통상의 인장시험기의 클램프로 걸고 초당 10mm의 이동속도로 인장시험기를 잡아 당겼더니 0.75㎏의 힘이 가해졌을 때, 용기가 파손되었다.
다음에, 용기의 탄력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레오미터(RHEO METER)를 사용하여 초당 6.5mm 속도로 용기의 한쪽을 반대쪽으로 눌렀더니, 0.95㎏ㆍm/s2에서 파손되었다.
제6 실시예
35중량% 녹말가루와, 25중량%의 식용 셀룰로오스와, 24중량%의 전분과, 14.5중량%의 물과, 0.5중량%의 방부제와, 1중량%의 발포제를 볼밀에 투입하고 5분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고, 볼밀에서 혼합된 혼합분말을 성형프레스에서 300℃ 온도의 증기를 가하면서 500㎏/㎠의 성형압력으로 눌러서 컵형상의 성형물을 발포성형해서 제조하고, 방수를 위하여 상기 컵형상의 성형물에 식용유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100℃의 온도에서 가열건조하였다.
컵형상의 성형물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된 컵형상의 성형물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성형물의 타단부를 통상의 인장시험기의 클램프로 걸고 초당 10mm의 이동속도로 인장시험기를 잡아 당겼더니 컵형상의 성형물에 0.88㎏의 힘이 가해졌을 때, 용기가 파손되었다.
다음에, 용기의 탄력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레오미터(RHEO METER)를 사용하여 초당 6.5mm 속도로 용기의 한쪽을 반대쪽으로 눌렀더니, 0.90㎏ㆍm/s2에서 파손되었다.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서 제조한 용기의 인장력의 평균치가 1.345㎏이고, 탄성력의 평균치가 0.845㎏ㆍm/s2이어서 1회용 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인장력과 탄성력을 가지고 있었다.
내수성 테스트
내수성 테스트를 위하여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 의해 제조한 각각의 용기에 물을 전체 높이의 8부까지 충전한 후, 2시간, 3시간 및 5시간 경과한 후에 물이 누수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육안으로 검사하였으나, 제1 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의해 제조한 각각의 용기에서 물의 누수가 없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무공해 용기에 의하면, 녹말가루와, 식용 셀룰로오스와, 전분과, 물과, 방부제와, 발포제를 볼밀에 투입하고 혼합해서 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물 혼합물을 성형프레스에서 뜨거운 증기를 가하면서 특정 성형압력으로 눌러서 컵형상의 성형물을 성형하고, 컵형상으로 성형한 성형물에 식용유를 도포하여 방수처리하고, 외표면에 식용유가 도포된 성형물을 특정 온도로 가열건조시킴으로서, 사용 후 수집하여 분쇄하거나 또는 뜨거운 물에 끓여서 가축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연상태에 방치해도 환경공해를 유발하지 않고 부식되며, 염분이 없으므로 부식시켜서 유기비료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외표면에 식용유로 코팅되어 있으므로, 액상의 뜨거운 음식물을 담아도 물이 누수되지 않고, 녹말가루, 식용 셀룰로오스, 전분, 물 및 방부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특정압력과 온도로 프레스에 의해 성형가공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35중량% 내지 65중량%의 녹말가루와, 5중량% 내지 30중량%의 식용 셀룰로오스와, 10중량% 내지 24중량%의 전분과, 9.5량% 내지 15중량%의 물과, 0.5중량% 내지 3중량%의 방부제와, 0.5중량% 내지 3중량%의 발포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말가루는 쌀가루, 찹쌀가루, 강냉이가루, 좁쌀가루, 보리가루, 밀가루, 귀리가루, 콩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셀룰로오스는 채소분말, 솔잎분말, 소나무분말, 초목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고구마 가루, 감자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는 올리브유, 팜유, 야자유, 참기름, 들깨기름, 옥수수기름, 콩기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탄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무공해 용기.
KR10-2001-0009151A 2001-02-23 2001-02-23 일회용 무공해 용기 KR100411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151A KR100411428B1 (ko) 2001-02-23 2001-02-23 일회용 무공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151A KR100411428B1 (ko) 2001-02-23 2001-02-23 일회용 무공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833A KR20020068833A (ko) 2002-08-28
KR100411428B1 true KR100411428B1 (ko) 2003-12-18

Family

ID=2769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151A KR100411428B1 (ko) 2001-02-23 2001-02-23 일회용 무공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429B1 (ko) * 2001-02-23 2003-12-18 유성권 일회용 무공해 용기의 제조방법
KR20040040648A (ko) * 2002-11-07 2004-05-13 이용호 생분해성 물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하여제조된물품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4621A (en) * 1992-07-02 1994-10-11 Beltec International Biodegradable constructio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US5389322A (en) * 1992-12-31 1995-02-14 Kim; Doo-Hyun Method for manufacture of biodegradable disposable container
JPH07205120A (ja) * 1994-01-21 1995-08-08 Eikan Ryu 可分解性容器の製造方法
KR19980030457A (ko) * 1996-10-30 1998-07-25 최창 무공해 또는 저공해 발포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생성된 발포 성형체
WO1999050346A1 (de) * 1998-03-31 1999-10-07 Apack AG für Biologische Verpackungen Biologisch abbaubares material für verpackung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JP2000119431A (ja) * 1998-10-09 2000-04-25 Kyodo Kumiai Business Club 食物残渣または生ゴミを利用した生分解性の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3155Y1 (ko) * 2000-05-03 2000-11-15 이명철 무공해 종이컵 라면용기
KR20000067282A (ko) * 1999-04-26 2000-11-15 박현규 식물성 섬유를 원료로 하는 자연 분해성 1회용 식품용기의 제조방법
KR20010091782A (ko) * 2000-03-18 2001-10-23 장운용 무공해 일회용 용기 및 제조방법
KR20010111848A (ko) * 2000-06-13 2001-12-20 윤철진 무 공해 용기 제조 방법
KR20020053204A (ko) * 2000-12-27 2002-07-05 한진영, 김도영 일회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8834A (ko) * 2001-02-23 2002-08-28 유성권 일회용 무공해 용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4621A (en) * 1992-07-02 1994-10-11 Beltec International Biodegradable constructio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US5389322A (en) * 1992-12-31 1995-02-14 Kim; Doo-Hyun Method for manufacture of biodegradable disposable container
JPH07205120A (ja) * 1994-01-21 1995-08-08 Eikan Ryu 可分解性容器の製造方法
KR19980030457A (ko) * 1996-10-30 1998-07-25 최창 무공해 또는 저공해 발포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생성된 발포 성형체
WO1999050346A1 (de) * 1998-03-31 1999-10-07 Apack AG für Biologische Verpackungen Biologisch abbaubares material für verpackung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JP2000119431A (ja) * 1998-10-09 2000-04-25 Kyodo Kumiai Business Club 食物残渣または生ゴミを利用した生分解性の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67282A (ko) * 1999-04-26 2000-11-15 박현규 식물성 섬유를 원료로 하는 자연 분해성 1회용 식품용기의 제조방법
KR20010091782A (ko) * 2000-03-18 2001-10-23 장운용 무공해 일회용 용기 및 제조방법
KR200203155Y1 (ko) * 2000-05-03 2000-11-15 이명철 무공해 종이컵 라면용기
KR20010111848A (ko) * 2000-06-13 2001-12-20 윤철진 무 공해 용기 제조 방법
KR20020053204A (ko) * 2000-12-27 2002-07-05 한진영, 김도영 일회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8834A (ko) * 2001-02-23 2002-08-28 유성권 일회용 무공해 용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833A (ko)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0673A (en) Molded starch-bound containers and other articles having natural and/or synthetic polymer coatings
CN104213473B (zh) 一种防霉抗菌食品包装纸及其制备方法
JP2010532298A (ja) 改善された物理的特性および化学的特性を有する生分解性でありかつ堆肥にできる組成物
KR940013762A (ko) 일회용 용기의 제조방법
US20030068427A1 (en) Material for making biodegradable mouldings from bran and method thereof
KR840000879A (ko) 식품 제조 방법
CN107057395A (zh) 一种韧性强度高的可降解型餐具及其制备方法
CN109942900A (zh) 一种可降解大米吸管及其制备方法
KR100411429B1 (ko) 일회용 무공해 용기의 제조방법
KR100411428B1 (ko) 일회용 무공해 용기
US6461549B1 (en) Method of producing a biodegradable product
AU2020329603B2 (en) Compostable tool for eating or drinking made from plant starch and plant-based thickener or gelling ag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1993006013A2 (en) Biodegradable packaging film
KR20020025108A (ko) 일회용 생분해성 용기
KR200407084Y1 (ko) 생분해성(生分解性) 일회용 용기
KR100573748B1 (ko) 무공해 전분용기의 제조방법
JPH08157645A (ja) 生分解性成形品用原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46417A (ja) 生分解性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85882B1 (ko)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내수성, 내열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
CN103300288B (zh) 一种不易折断面条的制作方法
CN100475657C (zh) 可耐高温烘烤的植物纤维食品包装材料及其生产方法
KR100710636B1 (ko) 생분해성(生分解性) 일회용 용기
CN107524044A (zh) 一种防潮包装纸
JP3879855B2 (ja) 使い捨て容器の製造用混合物
WO1999042025A1 (fr) Vaisselle et materiau d'emballage jetables et rapidement degradables, ainsi que leur procede de fabr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