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926B1 - Frp 박스암거의 시공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Frp 박스암거의 시공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926B1
KR100408926B1 KR10-2001-0059466A KR20010059466A KR100408926B1 KR 100408926 B1 KR100408926 B1 KR 100408926B1 KR 20010059466 A KR20010059466 A KR 20010059466A KR 100408926 B1 KR100408926 B1 KR 100408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ulvert
box
culvert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173A (ko
Inventor
남궁락
Original Assignee
남궁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락 filed Critical 남궁락
Priority to KR10-2001-0059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9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6Pressure galleries or pressure conduits;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pressure conduit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use therewith, e.g. housings, valves,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우수, 오수, 정보통신구, 전력구 등의 박스암거를 시공하기 위한 박스암거 시공 공법과 박스암거를 구성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박스암거의 시공성과 완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박스암거의 시공 공법과 윤하중, 측압등에 대하여 균열 및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성이 있는 박스암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박스암거 시공 공법은 관로를 따라 바닥 기초대위에 박스암거 앞, 뒤 양쪽에 부착된 내부형 저판 플랜지를 접합하고 양측벽과 슬래브에 부착된 외부형 플랜지를 접합하고 온도에 의한 신축 및 긴밀한 연결을 위하여 팽창지수재를 삽입 시공한다.
윤하중, 측압등에 대하여 균열 및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도록 FRP 바닥판(3) 및 FRP 벽체판(4), FRP 상체판(5)에 물흐름 방향과 직각방향, 일정간격으로 홈형강을 부착하고 FRP 내부판 (3),(4),(5)과 일체가 되도록 덧씌우기를 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FRP 박스암거의 시공방법 및 구조 {The contructing method of FRP box culvert and structure }
본 발명은 도로에 우수, 오수, 정보통신, 전력구 등의 박스암거를 시공하기 위한 박스암거 시공 공법과, 박스암거를 구성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박스암거의 시공성과 완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박스암거의 시공 공법과 윤하중, 측압등에 대하여 균열 및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시공이 간단하며 시공성이 있는 박스암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시 도로에는 많은 종류의 박스암거가 땅속에 매설되어 있다. 우수, 오수, 정보 통신구, 전력구 등이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도시교통이 복잡하여 도시에서 박스암거 매설의 시간이 단축되어야 하고 한번 매설한 박스암거는 내구연한이 길어 자주 교체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오수나 가스등으로 박스암거가 부식되지 않아야 하며 연결부위에 piping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지하수가 유입 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손쉽게 연결부위에 구멍을 내어 연결이 가능하며 박스암거 구조물이 가벼워 취급하기가 용이하다. 한번 매설하면 누수나 습기가 없어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박스암거 매설이 FRP박스암거로 교체 되어야 할 실정이다.
지중에 시공하는 박스암거의 시공 형태는 콘크리트 구조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으며 도1,과 같이 박스암거의 크기에 따라 박스암거의 공간과 모양을 달리하여 왔다.
도1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으로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어온 방법이다.
현장 타설 박스암거는 박스기초(1)와 암거(2)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콘크리트 타설 공법은 설치에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수밀을 위하는 방수공사와 연결부의 piping 현상으로 지하수 유입이 불가피하여 문제가 뒤따르며 도시 도로의 경우 모든 공사는 교통소통과 관계되므로 공기 단축이 요구되는 시공조건에는 부적합한 공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암거의 사전 제작을 통한 시공 공법의 적용에 있어서 도로 여건에 보다 적합하면서도 합성구조물의 이용에 따른 구조적으로 보다 안전한 박스암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변형요인과 누수등에 대하여도 완벽하게 시공하면서도 짧은 시간 내에 시공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암거의 사전제작 모재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유리섬유와의 새로운 복합구조재료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소재의 이용 선택성을 확장 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박스암거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박스암거 내에 물의 흐름공간을 확보하는 지하공간 조성, 조성된 지하공간의 바닥면을 다지는 바닥면 조성, 지하실에 투입된 박스암거를 연결 시공하는 단계, 내부에서 바닥 접촉면의 세로로 동질의 소재로 덮고 덧씌우기 하는 단계, 박스암거의 연결시공후에 측면과 슬래브 부분에 대하여 동질의 소재로 덧씌우기 하는 단계, 박스암거의 상부측에 필요에 따라 유지관리를 위해 출입구의 철개를 설치하고, 그 주변부는 철개를 보호하기 위해 동질의 소재로 덧씌우기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박스암거 구조물 시공공법에 있어서 상기 박스암거 구조물 시공공법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섬유의 새로운 복합구조 재료로서 사전 성형 제작된 박스암거 구조물을 기준으로 박스암거 구조물이 안착될 지하 관로를 중심으로 굴착하거나, 박스암거 구조물이 안착될 기초대를 형성하는 단계와, 박스암거 구조물과 구조물이 기초대 위에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바닥이 막혀있고 윗면은 일정간격으로 열리고 닫히며 내부는 공간으로 비워져 있어 물이 흐르거나 공동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섬유의 새로운 복합구조 재료를 모재로 사전 제작되어 설치되는 박스암거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박스암거 구조물은 수직벽면 중간,중간에 수평 토압에 대한 저항응력을 증가 시키는 그 수직 벽면의 보강을 위해 벽면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수평 보강대를 붙이는 일체형상의 통체로 된 박스암거 구조물의 본체와 상기 박스암거 구조물의 본체를 받쳐주고, 윤하중과 연직토압에 견디도록 여러개의 가로, 세로 보강대를 구비하여 저항응력에 대응토록 하는 윗판과 상기 윗판을 박스암거 구조 본체 벽면과 결합하기 위한 라멘 구조로 이루어지며 박스암거 구조물과 박스암거 구조물이 도로를 따라 플랜지로 손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제작된 내부식성이 우수한 구조물이 된다.
도1 은 종래의 박스암거 시공 공법 설명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암거 구조물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암거 평면조립도, 도3b는 단면도
도3c는 저판 부위 조립 상세도, 도3d는 슬래브 및 벽판 부위 조립 평면상세도
도3e는 슬래브 및 벽판 부위 조립 단면상세도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암거 구조물을 나타낸 입체도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암거 구조물을 나타낸 조립 입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존 박스암거의 기초대 2: 기존 콘크리트 박스암거
3: FRP 바닥판 4: FRP 벽체판
5: FRP 상체판 6: 바닥 볼트, 넛트
7: 벽체 볼트, 넛트 8: 상,하 FRP 헌치
9: 벽체 수직 홈형강 10: 벽체 수평 홈형강
11: 바닥 전진 홈형강 12: 바닥 수평 홈형강
13: 상판 전진 홈형강 14: 상판 수평 홈형강
15: FRP 바닥 플랜지 판 16: FRP 벽체 및 상판 플랜지판
17: FRP 바닥 덮게 18: 팽창지수재
19: 박스암거 구조물 기초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이용될 수 있는 박스암거 구조물의 형태는 도3과 같이 박스암거 구조물을 한번에 넣음에 따라 박스암거 구조물과 구조물 연결작업도 한번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암거 구조물은 박스암거 구조물 본체(3,4,5)와 플랜지 연결부(16)등이 주요 부분으로서 사출, 압축, 중공성형등 다양한 성형방법으로 제작 가능하다. 박스암거 구조물 본체(3,4,5)는 수직벽면 중간, 중간에 수평 토압에 대한 대응 응력을 증가시키는 수직벽면(4)의 보강을 위해 벽면수직 및 수평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수평 보강대(10,11,16)를 일정 간격으로 본체에 붙혀놓은 일체형상의 통체로 된 형태이고 주로 사각이며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강화플라스틱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섬유와의 새로운 복합구조 재료이다. 수직,수평벽면(4)의 보강을 위해 벽면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9)과 수평(10) 보강대를 붙여서 일체형상의 통체로 된 형태이고, 주로 사각 등으로 제작되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섬유와의 새로운 복합구조 재료로 제작한다.
바닥판(3,11,12)은 박스암거 구조물 본체를 받쳐주고 윤하중과 연직토압을받아줄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가로, 세로 보강대(11,12)를 붙인 일체형상의 통체로된 형태이고 주로 사각으로 제작된다.
윗판(5,13,14)은 박스암거 구조물 본체(3,4,5)와 강결되고 다수의 보강대(13,14)가 얹혀지며 가로, 세로로 배열되어 윤하중과 연직하중, 윗판 자중등에 대한 대응응력을 증가 시키도록 제작된다.
박스암거 구조물 본체(3,4,5)는 윗판(5)과 벽판(4), 바닥판(3)으로 서로 모퉁이에서 강결되어 있고, 박스암거 구조물 본체(3,4,5)와 본체(3,4,5) 연결을 위하여는 플랜지(6,7)와 플랜지(6,7)로 손쉽게 연결토록 되어있다.
바닥판(15)과 바닥판(15) 연결을 위하여 바닥판 플랜지(15) 사이는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을 위하여 팽창지수재(18)를 삽입하고 볼트,넛트(6) 연결 부위에 뚜껑(17)을 만들어 덮고 강화플라스틱으로 덧씌워 마감한다.
벽판(4) 및 윗판(5) 연결을 위해 외부 벽판 플랜지(16), 윗판 플랜지(16) 사이는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을 위하여 팽창지수재(18)를 삽입하고 볼트, 넛트(6)로 연결한 후 외부 벽판 및 윗판 플랜지 부위는 강화플라스틱으로 덧씌워 마감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박스암거 구조물의 사전 제작을 통한 시공공법의 적용에 있어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도시교통에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불가피한 실정이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섬유와의 새로운 복합구조 재료를 사용하여 내부식성이여서 반영구적이며 보강재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보다 안전한 박스암거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 약품성 이여서 특히 오수나 가스등에 적합하며 이온용출이 되지않아 누수가 되지않고 유지관리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우수, 오수의 흐름과 정보통신구, 전력구 등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지하공간 조성, 조성된 지하공간의 바닥면을 받치는 기초대 조성, 사전 제작된 박스암거 구조물을 지하공간으로 내리는 단계,
    지하에 투입된 박스암거 구조물을 연결 시공하는 단계, 박스암거 구조물의 상부측에 출입구 철개를 설치하고 그 주변부는 철개보호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박스암거 구조물 시공공법에 있어서
    상기 박스암거 구조물 시공공법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섬유와의 새로운 복합 구조 재료와 홈형강으로 구성, 사전 성형 제작된 박스암거 구조물을 안착될 지하공간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의 바닥에 박스암거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와 박스암거 구조물과 박스암거 구조물을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암거 구조물을 사용하는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암거 구조물 본체와 주위의 박스암거 구조물 또는 관과의 연결을 위하여 접합부재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섬유와의 새로운 복합구조 재료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암거 구조물 시공공법
  3. 바닥은 막혀있고 윗면은 열리고 닫히며 그 내부는 통으로 비워져 있어 물이흐르거나 공동구로서 케이블, 전선 등이 설치되는 박스암거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박스암거 구조물은 수직벽면 중간, 중간에 수평 토압에 대한 저항 응력에 적응하도록 수직,수평 보강대를 붙이는 일체형상의 통체로 된 박스암거 구조물 본체와 상기 박스암거 구조물 본체를 지지하고 바닥으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처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가로, 세로 보강대를 붙이는 바닥판과 상기 박스물 본체의 윗면에 위치하여 윤하중과 연직토압에 견디도록 보강대가 평면에 가로 세로로 배열되어 저항응력에 적응하는 윗판과 상기 박스암거 구조물과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 구조를 구비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암거 구조물
KR10-2001-0059466A 2001-09-25 2001-09-25 Frp 박스암거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100408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466A KR100408926B1 (ko) 2001-09-25 2001-09-25 Frp 박스암거의 시공방법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466A KR100408926B1 (ko) 2001-09-25 2001-09-25 Frp 박스암거의 시공방법 및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173A KR20030026173A (ko) 2003-03-31
KR100408926B1 true KR100408926B1 (ko) 2003-12-11

Family

ID=2772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466A KR100408926B1 (ko) 2001-09-25 2001-09-25 Frp 박스암거의 시공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11B1 (ko) * 2005-05-10 2007-01-09 허영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장치
KR20160121924A (ko) 2015-04-13 2016-10-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강재 결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공법
CN105625202B (zh) * 2016-03-18 2017-09-08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大断面多孔超长现浇箱涵的施工方法
CN105971011A (zh) * 2016-07-05 2016-09-28 宏大国源(芜湖)资源环境治理有限公司 一种玻璃钢综合管廊
CN107119725A (zh) * 2017-06-07 2017-09-01 安徽省建筑科学研究设计院 一种含玻璃纤维筋装配式预制箱涵结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567Y1 (ko) * 1991-11-27 1994-05-27 삼성전기 주식회사 3단자 emi 필터의 리이드선 결합구조
KR940026912U (ko) * 1993-05-25 1994-12-09 황성건 하수관
KR950032932A (ko) * 1994-05-26 1995-12-22 권준섭 분리형 조립식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JPH08303640A (ja) * 1995-05-12 1996-11-22 Sekishin Sangyo Kk 地下埋設管の更生方法
KR200181920Y1 (ko) * 1999-12-21 2000-05-15 조항웅 링이 형성된 플라스틱 대형 상, 하수도관
KR20010000938U (ko) * 1999-06-22 2001-01-15 안승한 조립식 암거
KR20010002139U (ko) * 1999-06-30 2001-01-26 김종환 합성수지재 배수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567Y1 (ko) * 1991-11-27 1994-05-27 삼성전기 주식회사 3단자 emi 필터의 리이드선 결합구조
KR940026912U (ko) * 1993-05-25 1994-12-09 황성건 하수관
KR950032932A (ko) * 1994-05-26 1995-12-22 권준섭 분리형 조립식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JPH08303640A (ja) * 1995-05-12 1996-11-22 Sekishin Sangyo Kk 地下埋設管の更生方法
KR20010000938U (ko) * 1999-06-22 2001-01-15 안승한 조립식 암거
KR20010002139U (ko) * 1999-06-30 2001-01-26 김종환 합성수지재 배수관
KR200181920Y1 (ko) * 1999-12-21 2000-05-15 조항웅 링이 형성된 플라스틱 대형 상, 하수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173A (ko) 200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77242U (zh) 一种组装式电缆沟
CN202369968U (zh) 拼装式排水箱涵
US4836714A (en) Enclosed structures of very large cross-section, such as conduits, silos or shelters
KR100924701B1 (ko) 공동구 시공방법
KR100926173B1 (ko)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08926B1 (ko) Frp 박스암거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414927Y1 (ko) 우수 저류조 제작 구조
KR100840086B1 (ko)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시공공법
KR20070044839A (ko) 하수관거 합성구조 기초 구조물 시공공법 및 그 구조물
KR100413001B1 (ko) 복합구조재료을 이용한 밸브실 시공공법 및 그 밸브실 구조
KR10047210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정화조탱크 구조물 및 상기 정화조탱크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조립세트와 그 시공방법
KR20190002743U (ko) 콘크리트 복합맨홀
CN107023061B (zh) 装配式塑料市政排水检查井及施工方法
KR20060115938A (ko) 우수 저류조 시공 공법 및 그 우수 저류조 구조
KR100929687B1 (ko) 암거용 어셈블리
KR100302684B1 (ko) 관로 밸브실 시공공법 및 밸브실의 벽 구조물
KR100389054B1 (ko) 상수도 맨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것을이용한 상수도 맨홀의 시공방법
KR200167817Y1 (ko) 맨홀 뚜껑 위치 조절장치
CN113309137A (zh) 扶壁装配式挡土墙的施工方法
KR100377690B1 (ko) 밸브실 시공 공법 및 그 밸브실 구조
KR102352769B1 (ko) 맨홀
KR200214391Y1 (ko) 상수도 맨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KR20070047925A (ko) 합성구조 우수토실 시공공법 및 그 구조물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KR0170077B1 (ko) 하수처리장.정수장 구내 하수암거, 하수.오수.폐수 암거, 도로.철도.교량 하부의 배수암거, 택지지구.공업단지내 단지 하수암거, 도심지 빌딩지하 배수암거, 하천복개암거 등의 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거푸집없이 시공하는 frp와 콘크리트의 합성체 암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