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813B1 -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813B1
KR100408813B1 KR10-2001-0064042A KR20010064042A KR100408813B1 KR 100408813 B1 KR100408813 B1 KR 100408813B1 KR 20010064042 A KR20010064042 A KR 20010064042A KR 100408813 B1 KR100408813 B1 KR 10040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short message
phone
message ser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3830A (ko
Inventor
유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to KR10-2001-006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813B1/ko
Publication of KR2001010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키보드에 유선 또는 유/무선 전화기를 구성하고, 유선망(PSTN)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의 키보드에 유선 또는 유/무선 전화기를 구성하여 컴퓨터와 연동하도록 키보드-폰 시스템을 구성한 후, 유선망에서 지원하는 단문 메시지(이하, "SM"이라 칭함), 팩스 데이터(FAX DATA) 및 전자-메일(E-MAIL) 등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데이터를 키보드-폰 및 키보드-폰 시스템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 시스템{KEYBOARD-PHONE AND SYSTEM FOR OFFERING SHORT MESSAGE SERVICE OF PSTN}
본 발명은 컴퓨터의 키보드에 유선 또는 유/무선 전화기를 구성하고, 유선망(PSTN)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의 키보드에 유선 또는 유/무선 전화기를 구성하여 컴퓨터와 연동하도록 키보드-폰 시스템을 구성한 후, 유선망에서 지원하는 단문 메시지(이하, "SM"이라 칭함), 팩스 데이터(FAX DATA) 및 전자-메일(E-MAIL) 등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데이터를 키보드-폰 및 키보드-폰 시스템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제 제품의 개발 추세를 보면 보다 단순하고, 보다 편리하고,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제품을 개발하는 추세이다. 이는 다기능의 전자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우리 일상에서 산재해 있는 각종 전자 제품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효율성 그리고, 경제성을 만족시키기 위함이다.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이제는 컴퓨터가 일상화되어 있으며, 컴퓨터 보급률은 해마다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1999년에는 국내 개인용 컴퓨터(PC) 판매량이 급증하면서 국민 5.5명당 1대 꼴로 PC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자산업진흥회가 컴퓨터 제조 및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조사, 발표한 '99년 컴퓨터 보급현황'에 따르면 1999년 보급된 PC는 지난 98년보다 55.6% 증가한 288만1천대로 사상 최대에 달했다. 지난해 연말 현재 PC 실 가동대수는 851만9천대(98년 783만9천대)로 5.5명당 1대 꼴에 달해 97년 6.6명당 1대, 98년 6.3명당 1대보다 크게 늘었다. 개인 및 가정용 보급대수도 293만1천대에 달해 5.2명당 1대로 97년 6.3명당 1 대, 98년 5.5명당 1대보다 크게 증가했다. 현재는 이보다도 증가한 PC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이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습은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생활의 일부가 된 것이다.
한편, '모든'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개인에게는 휴대용 전화기(일명 '휴대폰')가 보급되어 사용된다. 유선으로 연결되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전화기는 요금의 저렴화 및 내부 네트워크의 편리화로 건물 내부에서는 휴대용 전화기보다 많은 장점이 있다. 건물 내부에서 전화를 받는 경우, 특히 사무실의 경우에 PC로 업무를 수행하다가 전화를 받는 경우 종전에는 2가지의 방법이 있었다. PC 업무를 중단하고 수화기를 들고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이어-마이크폰을 사용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이 중 후자의 방법이 업무를 계속 수행하면서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전자의 방법보다 업무 효율면에서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어차피 PC를 사용하는 환경이라면 PC와 연동하는 형태로 전화가 지원이 된다면 희소식일 것이다. 물론, 기존에 PC에서 인터넷을 통해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시중에 유포되기는 하였다. 또한, 기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2001-0017924호(명칭: 전화기 겸용 키보드, 출원일: 1999년 08월 16일)에 키보드를 전화기와 겸용으로 사용하는 형태가 개시되었다. 모두 별도의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PC 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2001년 11월부터 유선망(PSTN)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가 개시될 예정이다. 현재까지 유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개시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전화 단말기의 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다. 더욱이 PC와 연동하는 옵션 형태로 전화가 지원되면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까지 제공된다면 이를 사용하게 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성, 유용성 및 경제성에서 각각의 전자 제품을 구비하는 경우보다 많은 이점이 발생될 것이 예상되며, 개발업자의 입장에서도 다양한 기능의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경쟁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성, 유용성 및 경제성에서 각각의 전자 제품을 구비하는 경우보다 많은 이점을 발생시키고, 개발업자의 입장에서도 다양한 기능의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제품 경쟁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도록 컴퓨터의 키보드에 유선 또는 유/무선 전화기를 구성하고, 유선망(PSTN)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키보드에 유선 또는 유/무선 전화기를 구성하여 컴퓨터와 연동하도록 키보드-폰 시스템을 구성한 후 유선망에서 지원하는 단문 메시지(이하, "SM"이라 칭함), 팩스 데이터(FAX DATA) 및 전자-메일(E-MAIL) 등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키보드-폰 및 키보드-폰 시스템에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유선망(PSTN)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PC와 연동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폰의 외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키보드-폰을 이용하여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키보드-폰을 이용하여 송신하기 위한 서비스 개요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c: 웹 유저 2: 인터넷망
10: PC 100: 휴대장치
200: 키보드-폰 3: PSTN
300: 교환국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른 컴퓨터에 연동되는 키보드-폰은:
다수의 키로 구성되는 키보드 자판 및 다이얼 키를 구비하여 각종 기능 설정, 문자 및 숫자 입력 동작이나 전화기의 다이얼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
상기 키보드에서 입력된 키 신호들을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키보드 콘트롤러;
링을 검출하는 링 검출부를 포함하며, 유선망에 접속되는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후크 온 상태에서 상기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여 착신상태를 통보하고,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상기 유선망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본체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수신부;
상기 전화기의 현재 상태 및 제반 상황들이 표시되며, 상기 단문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전화기의 기능 및 키보드 기능에 따른 제반 구성부의 동작 및 통화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의 메시지 내용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컴퓨터 본체로 업-로드하여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 및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키보드 자판을 통해 입력받거나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와 전화라인을 통해 유선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보드에서 입력된 키 신호들을 상기 키보드 콘트롤러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적어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른 상기 키보드-폰은:
전화기의 제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른 상기 키보드-폰은:
후크 스위치를 포함하며, 전화라인과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전화라인 스위치;
회로 스위칭을 담당하는 아날로그 스위치;
음성 송수신회로로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와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통화회로부;
이어-마이크 폰이나 핸드셋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송화부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를 통해 상기 통화회로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화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수화부에서 출력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송수화부;
상기 키보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스피커;
상기 통화회로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증폭부;
상기 전화라인과 스피커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연결되어 링 음을 출력하는 링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른 상기 키보드-폰은:
상기 키보드의 적소에 설치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로 출력하는 마이크 증폭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견지에 따른 상기 키보드-폰은:
상기 키보드의 외관 적소에 설치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휴대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해당 채널 대역의 수신 주파수만 필터링 하여 증폭한 후, 제1 및 제2중간 주파수를 거친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장치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당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 복사하는 무선부;를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견지에 따른 상기 키보드-폰은 유선 전화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견지에 따른 키보드-폰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되는 발신자 식별 정보(CID)를 검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견지에 따른 키보드-폰 시스템은:
모니터;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국과 국선 유선망으로 연결되며, 키보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화기를 내장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교환국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키보드-폰;
상기 키보드-폰을 입력장치로 운영하며, 상기 키보드-폰으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모니터의 윈도우 화면에 수신된 단문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작성 프로그램에 의거 상기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단문 메시지 내용을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며, 수신처가 지정되면 상기 단문 메시지 내용을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키보드-폰을 통해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컴퓨터 본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9견지에 따른 상기 키보드-폰은;
다수의 키로 구성되는 키보드 자판 및 다이얼 키를 구비하여 각종 기능 설정, 문자 및 숫자 입력 동작이나 전화기의 다이얼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의 기능과 상기 키보드에서 입력된 키 신호들을 제어하는 키보드 콘트롤러와,
링을 검출하는 링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국선 유선망에 접속되는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후크 온 상태에서 상기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여 착신상태를 통보하고,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데이터를 수신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상기 국선 유선망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본체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제어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수신부와,
상기 전화기의 현재 상태 및 제반 상황들이 표시되며, 상기 단문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전화기의 기능 및 키보드 기능에 따른 제반 구성부의 동작 및 통화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의 메시지 내용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컴퓨터 본체로 업-로드하여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 및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키보드 자판을 통해 입력받거나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와 전화라인을 통해 유선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보드에서 입력된 키 신호들을 상기 키보드 콘트롤러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화기의 제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후크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화라인과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전화라인 스위치와,
회로 스위칭을 담당하는 아날로그 스위치와,
음성 송수신회로로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와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통화회로부와,
이어-마이크 폰이나 핸드셋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송화부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를 통해 상기 통화회로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화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수화부에서 출력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송수화부와,
상기 키보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통화회로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증폭부와,
상기 전화라인과 스피커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연결되어 링 음을 출력하는 링거와,
상기 키보드의 적소에 설치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로 출력하는 마이크 증폭부와,
상기 키보드의 외관 적소에 설치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휴대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해당 채널 대역의 수신 주파수만 필터링 하여 증폭한 후, 제1 및 제2중간 주파수를 거친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장치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당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 복사하는 무선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견지에 따른 상기 키보드-폰 시스템의 상기 컴퓨터 본체는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전자 메일이나 메신저 파일로 웹 수신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견지에 따른 상기 키보드-폰 시스템의 상기 컴퓨터 본체는 팩스와 연동하여 새로운 수신처로 수신 및 저장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발송하거나 프린터에 연결되어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프린트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선망(PSTN)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 시스템은 국선 유선망(PSTN)(3)에 연결되는 키보드-폰(200)과, 상기 키보드-폰(200)을 입력장치로 운영하는 PC(10)를 구비한다. 상기 PC(10)는 인터넷과 접속할 수 있는 웹서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인터넷망(2)과 연동하여 원격지의 다른 PC(1a~1c)와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일 예로, 웹 브라우저 환경)을 가진다. 상기 국선 유선망은 교환국(300)에 연결되는데, 상기 교환국(300)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내부 또는 외부에 링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200)은 키보드로의 사용과 함께 유선 또는 유/무선 전화기를 자체 내장하여 전화기로의 역할도 수행한다. 유/무선 전화기로 사용하는 경우 고정장치로 동작하여 별도의 휴대장치(1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키보드-폰(200)의 실시 예를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PC(10)와 연동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전화기인 키보드-폰(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키보드-폰(200)은 고정장치로 동작하여 무선부(211), 아날로그 스위치(213), 마이크 증폭부(214), 마이크(215), 스피커 증폭부(216), 스피커(217), 통화회로부(218), 전화라인 스위치(219), 링거(220), 데이터 송/수신부(221), 멜로디 회로부(222), 제어부(223), 메모리(224), 표시부(225), 다이얼 키(231)와 키보드 자판(233)으로 구성된 키패드부(230), 이어-마이크폰(241)과 핸드셋(243)으로 구성되는 송수화부(240), 송신부(245), 수신부(246), 키보드 콘트롤러(247)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부(211)는 유/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 예로서, 상기 무선부(211)는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휴대장치(100)로부터 수신된 RF 무선신호를 해당 채널 대역의 수신 주파수(예를 들어, 914MHz)만 필터링 하여 증폭한 후, 제1 및 제2중간 주파수(IF)를 거친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장치(100)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당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일 예로 959MHz 대)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 복사한다.
송수화부(240)는 이어-마이크폰(241)이나 핸드셋(243) 중에서 어느 하나를 최소한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이어-마이크폰(241) 및 핸드셋(243)에서 송화부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를 통해 통화회로부(218)에 전달하며, 상기 통화회로부(218)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상기 수화부에서 출력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는 상기 무선부(211), 핸드셋(212), 마이크 증폭부(214), 스피커 증폭부(217), 통화회로부(218), 멜로디 회로부(222)와 연결되어 각 구성부의 동작에 따른 회로 스위칭을 담당한다.
상기 마이크 증폭부(214)는 상기 마이크(MIC: 215)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 증폭부(216)는 상기 통화회로부(218)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217)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 증폭부(216)를 통해 음성 변환된 발신자 번호가 증폭되어 상기 스피커(217)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통화회로부(218)는 음성 송수신 회로(Speech Network)로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와 전화라인 스위치(219) 사이에 연결되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219)는 후크 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상기 전화라인(TEL LINE)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링거(220)는 상기 전화라인과 스피커(217) 및 데이터 송/수신부(221)에 연결되며, 톤 링거(Tone Ringer)이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21)는 수신부에 링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후크 온(Hook-On) 상태에서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223)에 착신 상태임을 통보하고,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SMS)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23)에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223)로부터의 단문 메시지(SMS) 데이터를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21)에서는 CID(Caller Identification: 발신자 식별)를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223)에 인가한다.
상기 멜로디 회로부(222)는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다양한 멜로디를선택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23)는 전화기의 기능 및 키보드 기능에 따른 제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국선 통화 및 휴대장치(100)와의 통화를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21)로부터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내용을 상기 송신부(245)를 통해 상기 PC 본체로 송신하여 PC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보드 자판(233)을 통해 입력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 및 수신측 전화번호를 입력받거나, 수신부(246)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21)와 전화라인을 통해 유선망(PSTN)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23)는 또한 상기 키보드(230)에서 입력된 키 신호들을 상기 키보드 콘트롤러(247)를 통해 상기 PC(10) 본체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224)는 전화기의 제반 기능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메모리(224)는 일 예로,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5)는 다수의 LED(발광다이오드) 및/또는 작은 LCD(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키보드-폰의 적소에 설치된다. 일 설치 예로 도 3에서의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225)는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전화기의 현재 상태 및 제반 상황들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표시부(225) 상에 걸려온 발신자 번호 및 기타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키보드(230)는 다수의 키로 구성되는 키보드 자판(233) 및 다이얼 키(231)를 구비하여 각종 기능 설정, 문자 및 숫자 입력 동작이나 전화기의 다이얼입력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223)에 인가한다.
키보드 콘트롤러(247)는 상기 키보드(230)에서 입력된 키 신호들을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상기 PC(10) 본체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은 자동응답 기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자동응답기능부는 자동 응답을 위한 안내 메시지인 아웃 고잉 메시지(Out Going Message)와 녹음된 메시지인 인커밍 메시지(Incoming Message)를 출력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를 통해 상기 통화회로부(218)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상기 통화회로부(218)에서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녹음한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상기 통화회로부(218)에 출력한다. 상기 자동응답기능부는 코덱과 음성메모리, 음성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코덱은 녹음모드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재생모드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화회로부(218)에 출력하며, 상기 음성메모리는 녹음모드시 상기 음성제어부의 제어 하에 음성 메시지를 지정된 영역에 녹음하고, 재생모드시 상기 음성제어부의 제어 하에 지정된 영역에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음성제어부는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녹음모드시 상기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재생모드시 출력할 음성 데이터를 억세스 한 후 신장 복호화 하여 상기 코덱에 출력한다. 상기 음성제어부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녹음된 메시지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녹음 테이블을 구비한다.
이러한, 자동응답기능부는 상기 키보드-폰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PC(10) 본체에 구비되는 사운드 카드와 연동하여 그 기능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폰의 외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폰(200)은 키보드(230)와 상기 키보드 상의 전화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폰(200)은 전화라인(TEL LINE)과, 키 신호 전송을 위한 키보드 인터페이스(251) 및 전원 케이블(253)의 케이블을 구성한다. 상기 전화라인은 상기 유선망(3)에 연결되며,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251)는 상기 PC(10) 본체 시스템 보드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단부에 구성하여 상기 PC 본체의 시스템 보드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253)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키보드-폰의 전화기의 독립된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PC(10)가 파워-오프된 상태에서도 전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전화기의 다이얼 키를 통상적인 키보드 구조에서 키보드 우측에 구성되는 키 매트릭스로 사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키 매트릭스 하단에는 마이크(MIC), 상단에는 스피커(SPK)를 설치하여 스피커폰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키보드 우측 부재에 안테나(ANT) 및 이어-마이크 폰(243)이 연결되는 구조를 일 예로 들었다. 물론, 헤드셋 형태의 수화기 구조나 핸드셋이 형성되는 실시 예들도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의 데이터 포맷의 일 예는 도 4와 같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데이터 포맷 중에서 다중 메시지 형태(MDMF)를 그 예로 든 것이다. 메시지는 크게 '헤더(HEADER)'와 파라미터(Parameter)들로 이루어진 '메시지 내용'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메시지 프레임은 전달 계층(Transfer Layer)에서 완성된 상기 메시지에 메시지 프레임 수신을 준비시키는 마크 신호와 에러 검출을 위한 체크섬 워드를 추가함으로써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에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의 헤더는 연결 메시지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메시지 유형 워드와 메시지 길이 워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지시 내용에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이 구성되는데, 시간 파라미터와 수신자 파라미터와 비밀번호 파라미터와 회신번호 파라미터와 단문 메시지 파라미터 등으로 구성된다. 각 파라미터는 다시 파라미터 유형, 파라미터 길이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 워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 프레임이 연결되면 장문의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 프레임들은 E-Mail이나 팩스(FAX) 및 메시지 데이터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키보드-폰을 이용하여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개요도이다. 이를 도 1 및 도 2의 키보드-폰의 블록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교환국(또는, SMS 서버)(300)에서 발신측 사용자 요구에 의해 SMS 데이터를 A01단계에서 착신측인 키보드-폰(2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키보드-폰(200)에서는 A02단계 및 A04단계에서 상기 SMS를 상기 전화라인과 데이터 수신부(221)를 통해 수신하여 송신부(245)를 통해 PC 본체로 업-로드(Up-load)하여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250)인 모니터에 SMS 수신 내용을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하거나, 상기 표시부(225)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250)는 모니터 이외에도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PC의 입출력 장치의 포괄적 의미이다. 이 경우 상기 PC(10)가 파워-온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의 방법인 PC에 업-로드하여 모니터상의 별도의 윈도우 화면에 SMS 수신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만약 PC(10)가 파워-오프 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키보드-폰 자체에 구비되는 표시부(225)에 상기 SMS 수신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SMS 수신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23)에서는 A03단계에서 SMS 수신 내용을 상기 메모리(224)에 저장하고, 상기 PC(10)가 파워-온 되어 있는 경우에는 A05단계에서 상기 PC(10)의 본체 메모리에 상기 SMS 수신 내용을 저장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거 수신된 SMS 메시지를 저장하지 않고 삭제할 수도 있다. 저장된 SMS 메시지는 다시 사용자에 의해 재이용 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저장된 SMS 메시지를 A06단계에서 상기 PC(10)에 연동되는 팩스(FAX)를 통해 새로운 수신처로 발송하거나, A07단계에서 웹(Web)을 통해 웹 SMS 메시지를 E-Mail이나 메신저 형태로서 웹 수신처로 전송하거나, A08단계에서 프린터를 통해 프린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키보드-폰을 이용하여 송신하기 위한 서비스 개요도이다. 이를 상기 도 1 및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B01단계에서 UI(250)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를 작성하는데, 이는상기 PC(10)에 설치된 SMS 작성 프로그램에 의거 이를 실행함으로써 작성 화면이 나타나고, 사용자는 이를 보고 키보드 자판(233) 및 마우스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를 작성하게 된다. 작성되는 메시지는 PC 모니터 상에 보이도록 표시되며, 사용자는 다이얼 키(231)를 이용하여 수신처(착신측 전화번호)를 지정하여 확인을 한다. 그러면, B02단계에서 상기 PC(10)는 B03단계에서 작성된 SMS 메시지 내용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고 송신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키보드-폰(200)의 제어부(223)는 B04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221)를 통해 상기 SMS 메시지를 지정된 수신처로 전화라인을 통해 유선망(PSTN)(3)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이를 받은 교환국(또는, SMS 서버)(300)에서는 이를 지정된 절차에 따라 처리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 및 그 시스템은 유선망(PSTN)에서 지원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PC와 연동할 수 있도록 키보드-폰을 구성하고, 유선망(PSTN)으로부터 상기 키보드-폰으로 수신되는 SMS 데이터를 PC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거나, 별도의 키보드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수신된 내용을 편집하거나 그대로 하여 팩스나 웹, 그리고 프린터 등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SMS 데이터 송신시에는 PC에서 SMS 메시지를 작업하여 이를 키보드-폰을 이용하여 유선망을 통해 수신측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필요시에는 상기 PC에 수신된 SMS 데이터를 저장하여 두거나, 송신한 SMS 데이터를 저장하여 두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은 키보드에 장착되는 키보드-폰이므로 전화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는 핸드셋이나 이어-마이크폰, 스피커 폰 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와 연동하는 키보드-폰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SMS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수신된 SMS 메시지를 컴퓨터를 통해 재활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성, 유용성 및 경제성에서 각각의 전자 제품을 구비하는 경우보다 많은 이점을 발생시키고, 개발업자의 입장에서도 다양한 기능의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제품 경쟁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의 키보드에 유선 또는 유/무선 전화기를 구성하여 컴퓨터와 연동하도록 키보드-폰 시스템을 구성한 후 유선망에서 지원하는 단문 메시지, 팩스 데이터(FAX DATA) 및 전자-메일(E-MAIL) 등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키보드-폰 및 키보드-폰 시스템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컴퓨터에 연동되는 키보드-폰에 있어서:
    다수의 키로 구성되는 키보드 자판 및 다이얼 키를 구비하여 각종 기능 설정, 문자 및 숫자 입력 동작이나 전화기의 다이얼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
    상기 키보드에서 입력된 키 신호들을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키보드 콘트롤러;
    링을 검출하는 링검출부를 포함하며, 유선망에 접속되는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후크 온 상태에서 상기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여 착신상태를 통보하고,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상기 유선망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본체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수신부;
    상기 전화기의 현재 상태 및 제반 상황들이 표시되며, 상기 단문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전화기의 기능 및 키보드 기능에 따른 제반 구성부의 동작 및 통화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의 메시지 내용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컴퓨터 본체로 업-로드하여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 및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키보드 자판을 통해 입력받거나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와 전화라인을 통해 유선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보드에서 입력된 키 신호들을 상기 키보드 콘트롤러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키보드-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폰은:
    전화기의 제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폰은:
    후크 스위치를 포함하며, 전화라인과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전화라인 스위치;
    회로 스위칭을 담당하는 아날로그 스위치;
    음성 송수신회로로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와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통화회로부;
    이어-마이크 폰이나 핸드셋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송화부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를 통해 상기 통화회로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화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수화부에서 출력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송수화부;
    상기 키보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스피커;
    상기 통화회로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증폭부;
    상기 전화라인과 스피커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연결되어 링 음을 출력하는 링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폰은:
    상기 키보드의 적소에 설치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로 출력하는 마이크 증폭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폰은:
    상기 키보드의 외관 적소에 설치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휴대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해당 채널대역의 수신 주파수만 필터링 하여 증폭한 후, 제1 및 제2중간 주파수를 거친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장치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당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 복사하는 무선부;를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폰은 유선 전화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되는 발신자 식별 정보(CID)를 검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
  8. 키보드-폰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국과 국선 유선망으로 연결되며, 키보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화기를 내장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교환국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키보드-폰;
    상기 키보드-폰을 입력장치로 운영하며, 상기 키보드-폰으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모니터의 윈도우 화면에 수신된 단문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작성 프로그램에 의거 상기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단문 메시지 내용을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며, 수신처가 지정되면 상기 단문 메시지 내용을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키보드-폰을 통해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며,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나 송신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는 컴퓨터 본체;로 이루어진 키보드-폰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폰은;
    다수의 키로 구성되는 키보드 자판 및 다이얼 키를 구비하여 각종 기능 설정, 문자 및 숫자 입력 동작이나 전화기의 다이얼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의 기능과 상기 키보드에서 입력된 키 신호들을 제어하는 키보드 콘트롤러와,
    링을 검출하는 링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국선 유선망에 접속되는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후크 온 상태에서 상기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여 착신상태를 통보하고,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데이터를 수신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상기 국선유선망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본체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제어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수신부와,
    상기 전화기의 현재 상태 및 제반 상황들이 표시되며, 상기 단문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전화기의 기능 및 키보드 기능에 따른 제반 구성부의 동작 및 통화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의 메시지 내용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컴퓨터 본체로 업-로드하여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 및 수신측 전화번호를 상기 키보드 자판을 통해 입력받거나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와 전화라인을 통해 유선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보드에서 입력된 키 신호들을 상기 키보드 콘트롤러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화기의 제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후크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화라인과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전화라인 스위치와,
    회로 스위칭을 담당하는 아날로그 스위치와,
    음성 송수신회로로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와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통화회로부와,
    이어-마이크 폰이나 핸드셋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송화부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를 통해 상기 통화회로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화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수화부에서 출력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송수화부와,
    상기 키보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통화회로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증폭부와,
    상기 전화라인과 스피커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연결되어 링 음을 출력하는 링거와,
    상기 키보드의 적소에 설치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로 출력하는 마이크 증폭부와,
    상기 키보드의 외관 적소에 설치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휴대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해당 채널 대역의 수신 주파수만 필터링 하여 증폭한 후, 제1 및 제2중간 주파수를 거친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장치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당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 복사하는 무선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폰 시스템의 상기 컴퓨터 본체는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전자 메일이나 메신저 파일로 웹 수신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폰 시스템의 상기 컴퓨터 본체는 팩스와 연동하여 새로운 수신처로 수신 및 저장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발송하거나 프린터에 연결되어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프린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 시스템.
KR10-2001-0064042A 2001-10-17 2001-10-17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시스템 KR100408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042A KR100408813B1 (ko) 2001-10-17 2001-10-17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042A KR100408813B1 (ko) 2001-10-17 2001-10-17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871U Division KR200259987Y1 (ko) 2001-10-18 2001-10-18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830A KR20010103830A (ko) 2001-11-24
KR100408813B1 true KR100408813B1 (ko) 2003-12-12

Family

ID=4581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042A KR100408813B1 (ko) 2001-10-17 2001-10-17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807B1 (ko) * 2001-09-29 2007-02-07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전화망에서의 문자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40021934A (ko) * 2002-09-06 2004-03-11 단지넷 주식회사 전화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KR20040026725A (ko) * 2002-09-25 2004-04-01 김응석 유선 통신 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5165A (en) * 1990-08-14 1994-12-20 Haber; Alan P. Computer keyboard having both a standard keyboard mode and a telephone control mode
KR20010003820A (ko) * 1999-06-25 2001-01-15 이연미 전화기의 다중통화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08706A (ko) * 1999-07-02 2001-02-05 유공현 키보드-폰
KR20010044429A (ko) * 2001-02-20 2001-06-05 정병희 유선전화기
KR20010081522A (ko) * 2000-02-15 2001-08-29 정용덕 씨티아이 시스템용 전화기
KR200249523Y1 (ko) * 2001-07-06 2001-11-16 오토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전화기와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 발신정보 표시 및 기능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5165A (en) * 1990-08-14 1994-12-20 Haber; Alan P. Computer keyboard having both a standard keyboard mode and a telephone control mode
KR20010003820A (ko) * 1999-06-25 2001-01-15 이연미 전화기의 다중통화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08706A (ko) * 1999-07-02 2001-02-05 유공현 키보드-폰
KR20010081522A (ko) * 2000-02-15 2001-08-29 정용덕 씨티아이 시스템용 전화기
KR20010044429A (ko) * 2001-02-20 2001-06-05 정병희 유선전화기
KR200249523Y1 (ko) * 2001-07-06 2001-11-16 오토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전화기와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 발신정보 표시 및 기능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830A (ko) 200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9796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coming call for use with the same
JP5494327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3283693A (ja) 携帯通信端末のリモート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50020910A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수신알림 제어 방법
KR100408813B1 (ko)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및시스템
KR200259987Y1 (ko) 유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보드-폰
JPH10341302A (ja) 電子撮像装置、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システム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20010068001A (ko) 휴대형 통신단말기의 시간경보/배경화면 제어장치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US20050009568A1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electable voice message transmission
KR200700475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설정에 의한 자동응답 방법
JP3757083B2 (ja) 電話機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JPH118823A (ja) 携帯端末、電子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KR100660119B1 (ko) 발신자 정보의 음성출력 선택 기능이 구비된 전화기 및시스템
KR200243646Y1 (ko) 휴대형 통신단말기의 시간경보/배경화면 제어장치
KR100223639B1 (ko) 무선휴대장치를 가지는 팩시밀리에서 알람발생방법
KR20030070030A (ko) 원격 무선 장치로부터 무선 전화 시스템으로 정보를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300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이메일 전송 방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23003A (ko) 컴퓨터를 이용한 유무선전화기의 통화정보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254223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KR20030095610A (ko) 입력조건에 따라 출력신호의 변환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
JP2003008696A (ja) 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