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373B1 -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373B1
KR100408373B1 KR10-2000-0051145A KR20000051145A KR100408373B1 KR 100408373 B1 KR100408373 B1 KR 100408373B1 KR 20000051145 A KR20000051145 A KR 20000051145A KR 100408373 B1 KR100408373 B1 KR 10040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page
opening
company
ope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662A (ko
Inventor
신규식
Original Assignee
(주)오픈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포유 filed Critical (주)오픈포유
Priority to KR10-2000-005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37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페이지 제작단계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다운로드받아 이 프로그램에 의해 자체 홈페이지상에 개점여부를 사용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개점확인/표시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프로그램이 오프라인 업체의 로그인 상태를 파악하여 중개서버에 개점/폐점 여부를 판단토록 하고, 사용자들이 해당 업체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개점/폐점 여부를 확인한 후 예약 등의 행동을 안심하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Open/close identification/indication method of off-line enterprise on internet homepage}
본 발명은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 특정서비스에 가입된 업체의 개점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각종 다양한 홈페이지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홈페이지를 보유한 업체는 자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보다 많은 홍보 활동에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상기와 같은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각 업체에 대한 자료 등을 인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홈페이지, 예를 들면 식당 등에서 제공하는 홈페이지에서는 사용자들이 그 홈페이지만을 보고서는 그 업체의 개점 혹은 폐점 상태를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직접 방문 또는 전화를 통하여 예약 등의 행위를 해야 하는데, 이때 그 업체가 폐점 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시간 및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일부 홈페이지에서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이러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예약 등의 기능을 부가시켰지만, 이 역시 그 업체의 개점 및 폐점 상태를 사용자가 사전에 인지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별 다른 효과가 없어 폐점 또는 휴점 상태의 업체에 예약 등을 유발함으로써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각종 업체에서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보고 그 업체의 개점 및 폐점 상태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원가입업체가 자체 홈페이지상에서 사용자들이 개점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특정 프로그램을 이용 개점확인/표시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가입업체가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로 로그인하여 개점상황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프로그램이 일정시간 마다 또는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서비스제공업체 서버에 로그인 상태를 파악하여 개점/폐점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 개점여부의 확인/표시상태를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서버 2 ; 회원 가입업체 홈페이지
3 ; 개점확인/표시 아이콘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상에서 업체의 개점여부 확인/표시 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상에서 개점여부의 확인/표시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서비스 제공업체에 회원 가입하는 제1단계와,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특정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제2단계와, 자체 홈페이지상에 개점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표시 할 수 있도록 제공받은 특정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개점확인 아이콘을 생성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서비스 제공업체에 회원 가입시 우편이나 기타 경로로 전송받을 수도 있으며, 또한 이미 회원 가입된 업체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운로드받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업체에 회원 가입된 업체가 서버로부터 특정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후, 그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면 자체 홈페이지상에 on/off 또는 open/close 등의 개점여부를 알 수 있는 개점확인/표시 아이콘이 생성되어 개점확인/표시 아이콘 형태로 활성화된다(S1).
그후, 상기 회원가입업체는 특정 로그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버로의 접속을 진행하면 서버는 그 신호를 전달받은 뒤 그 업체의 개점/폐점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2).
이와 같이 개점 확인된 상태에서 사용자들이 상기 회원가입업체의 홈페이지를 방문하게 되면, 홈페이지의 일단에 형성된 on/off 또는 open/close 등의 개점확인/표시 아이콘을 보고 그 업체의 개점 혹은 폐점상황을 인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콘화된 프로그램은 일정시간 마다 또는 사용자들이 홈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로그인(log in) 상태인지를 파악하게 되며, 이때 로그인 확인된 홈페이지에는 on 또는 open 등의 개점 아이콘이 형성되고, 로그인 확인이 되지 않은 홈페이지에는 off 또는 close 등의 폐점 아이콘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상에서 업체의 개점여부 확인/표시 상태를 보인 개략도로서, 서버(1)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회원 가입된 다수의 업체의 홈페이지(2)에 각각 on/off 또는 open/close 등의 개점확인/표시 아이콘(3)이 형성되어 사용자들이 각 업체들의 개점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각 회원 가입업체의 개점 여부를 미리 인지함으로써 안심하고 그 업체에 예약 등의 행위를 할 수 있으며, 또한 폐점된 업체의 직접 방문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의 소모 및 에너지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회원 가입업체와 서비스 제공업체 간에 상호 신호를 교환하여 그 회원 가입업체의 개점 및 폐점 상태를 알 수 있는 아이콘을 홈페이지상에 활성화시켜 놓음으로써 사용자들이 그 회원 가입업체의 홈페이지만을 보고 개점 상태를 인지하여 그 업체에 예약 등의 행위를 안심하고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폐점된 업체의 직접 방문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의 소모 및 에너지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회원가입업체가 자체 홈페이지상에서 사용자들이 개점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특정 프로그램을 이용 개점확인/표시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가입업체가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로 로그인하여 개점상황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프로그램이 일정시간 마다 또는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서비스제공업체 서버에 로그인 상태를 파악하여 개점/폐점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업체의 개점여부 확인/표시 방법.
KR10-2000-0051145A 2000-08-31 2000-08-31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 KR10040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45A KR100408373B1 (ko) 2000-08-31 2000-08-31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45A KR100408373B1 (ko) 2000-08-31 2000-08-31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62A KR20020017662A (ko) 2002-03-07
KR100408373B1 true KR100408373B1 (ko) 2003-12-06

Family

ID=1968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145A KR100408373B1 (ko) 2000-08-31 2000-08-31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3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1873A (ja) * 1996-01-11 1997-12-02 Sony Corp 情報提供データ構造体、情報提供方法、情報受信端末
JPH1063725A (ja) * 1996-08-19 199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買物支援装置
JPH10244067A (ja) * 1997-03-05 1998-09-14 Data Syst:Kk 遊技場の情報システム
KR20000030504A (ko) * 2000-03-03 2000-06-05 전국도 인터넷 지역정보 검색사이트
KR20010092599A (ko) * 2000-03-22 2001-10-26 장성원 인터넷을 이용한 공간검색 등록방법
JP2002007611A (ja) * 2000-06-26 2002-01-11 At Net Japan:Kk ショッピング情報の提供サービス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1873A (ja) * 1996-01-11 1997-12-02 Sony Corp 情報提供データ構造体、情報提供方法、情報受信端末
JPH1063725A (ja) * 1996-08-19 199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買物支援装置
JPH10244067A (ja) * 1997-03-05 1998-09-14 Data Syst:Kk 遊技場の情報システム
KR20000030504A (ko) * 2000-03-03 2000-06-05 전국도 인터넷 지역정보 검색사이트
KR20010092599A (ko) * 2000-03-22 2001-10-26 장성원 인터넷을 이용한 공간검색 등록방법
JP2002007611A (ja) * 2000-06-26 2002-01-11 At Net Japan:Kk ショッピング情報の提供サービ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62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4973B2 (en) Methods for obtaining a navigation track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location at a client de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erver device and relate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00586075C (zh) 一种家庭网络设备的控制方法及设备管理装置
US8265703B2 (en) Method of running appl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80183534A1 (en)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web browser
US20100069035A1 (en) Systema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xchanges of data facilitating distributed location applications
EP1462975A1 (en) Mobile telephone with additional JAVA mailer
TW201027416A (en) Systems and methods for iconi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mbedded device manager
CN103443791A (zh) 信息处理装置和方法以及程序
US20030037105A1 (en) Terminal and repeater
CN101911660A (zh) 移动电讯系统中的呼入指示
CN107426266A (zh) 数据处理方法和服务器
KR100813398B1 (ko)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 및 통합 메시징 시스템을 이용한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100408373B1 (ko)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업체 개점/폐점 확인/표시 방법
KR100699919B1 (ko) 플래시 폰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KR100596393B1 (ko) 개방형 api를 이용한 사용자 선호정보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US7359960B1 (en) Telecommunications control system using data interchange
KR200193550Y1 (ko) 인터넷폰 무료전화 연결시스템
US200400805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via a mobile appliance
Crocker To Be" On" the Internet
KR100296711B1 (ko) 개인용 컴퓨터에서 프락시를 이용한 유해 정보 차단 방법
MOHAMMED INVESTIG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ZINC OXIDE-COPPER OXIDE COMPOSITE THIN FILMS DEPOSITED BY SOL-GEL DIP-COATING TECHNIQUE
US7356814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mmunicating with an LDAP server
KR100688116B1 (ko) 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N106796479A (zh) 访问图标信息管理系统及其方法
CN109151181A (zh) 智能手机功能键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