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355B1 -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시간정렬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시간정렬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355B1
KR100407355B1 KR1019980004499A KR19980004499A KR100407355B1 KR 100407355 B1 KR100407355 B1 KR 100407355B1 KR 1019980004499 A KR1019980004499 A KR 1019980004499A KR 19980004499 A KR19980004499 A KR 19980004499A KR 100407355 B1 KR100407355 B1 KR 10040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hannel
base station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929A (ko
Inventor
김영기
안재민
윤순영
강희원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0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355B1/ko
Priority to US09/250,704 priority patent/US6470001B1/en
Publication of KR1999006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5Synchronisation aspects using a code tracking loop, e.g. a delay-lock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6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using measurement of signal travel time
    • H04W56/009Closed loop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장치가, 동기채널의 기준도착시간 값을 구비하며, 통신상태에서 동기채널신호의 도착시간과 기준도착시간을 비교하여 지연시간 값을 추정하며, 추정된 값이 기준 지연 값을 초과할 시 시간정렬 제어신호를 순방향 제어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기지국과, 순방향제어채널을 통해 시간정렬 제어신호 수신시, 수신된 시간정렬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통신채널의 송신 시간을 정렬하는 단말기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방향 링크의 송신시간을 정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중 사용자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자 구분이 가능한 서로 다른 코드 시퀀스(code sequence)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코드시퀀스 들은 그 특성에 따라 직교코드(Orthogonal Code)와 비직교 코드(Non-Orthogonal code)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직교 코드의 대표적인 예는 월시 코드(Walsh Code)이며, 월시 코드의 특성은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서로 다른 월시 코드의 경우라도 시간 정렬(time align)이 되어 있다면 서로 간에 간섭은 없다. 따라서 서로 다른 사용자 신호의 완전한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직교 코드의 대표적인 예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시드 번호(seed number)를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일한 PN 시퀀스 발생기(Pseudo Random Noise sequence generator)에서 코드 시퀀스를 발생시킨 후, 이를 각 사용자별 특성 코드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각 사용자 별로 사용하는 코드 시퀀스가 서로 직교성(orthogonality)를 갖지 않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의 코드 시퀀스로 해당 사용자의 신호를 분리할 때 다른 사용자의 신호로 부터의 간섭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상기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순방향 링크(forward link)와 역방향 링크(reverse link)에서 서로 다른 코드 시퀀스를 사용하고 있었다. 상기 순방향 링크의 경우, 기지국에서 여러 사용자의 단말기로 보내어지는 신호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직교 코드를 사용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CDMA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에서는 직교 코드 시퀀스(orthogonal code sequence)의 대표적인 예인 월시 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역방향 링크의 경우는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신호가 전송되는데,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는 여러 단말기 들로 부터 각각 시간정렬이 되지 않은 신호들을 수신하게 되므로 직교 코드를 사용하여 사용자들을 구분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으로는 역방향 링크의 경우 비직교 코드 시퀀스(non-orthogonal code sequence)를 사용하여 여러 사용자를 구분했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시간 정렬(time alignment)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직교코드 시퀀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구분한다 하더라도 코드 시퀀스 사이의 간섭이 존재한다. 따라서 시간이 정렬되지 않은 상황에서 직교코드 시퀀스 사용은 전혀 이득이 없다. 그러나 상기 시간 정렬이 제대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직교 코드의 사용이 비직교 코드의 사용에 비하여 성능면에서 큰 개선요인이 있다.
상기와 같이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기 위한 시간 정렬에 관한 방법은 Bruckert 등에 의해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5,446,727호(1995.8.29)에 개시되어있다. 상기 특허 5,446,727호에 개시된 시간 정렬에 관한 방법은 통화 채널에서 단말기로부터 다중 경로(mutipath)로 수신한 신호들 중에 가장 강한 전력을 갖는 경로의 시간 위치(time position)를 그 신호의 시간 위치로 하거나, 다중 경로로 수신되는 각각의 신호들의 도착 평균 시간을 그 신호의 시간 위치로 정하여 시간 정렬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해서 각 단말기들 마다의 시간을 정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통신 중인 채널의 세기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시간 정렬이 부정확할 수 있으며, 또한 시간 정렬을 위한 제어를 통신 중인 채널을 통해 시간 정렬 신호를 송신하여야 한다.
또한 종래의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 들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시간 정렬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런 경우 단말기들 중에서 이동성이 거의 없어 채널의 상태가 거의 변하지 않는 단말에게도 불필요하게 시간 정렬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은 단말기에서 갑작스런 채널 상태의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시간 정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서 역방향 링크의 동기 채널 지연 값을 측정한 후 통신 중인 채널을 상기 측정된 지연 값을 단말기측에 전송하여 역방향 링크의 시간을 정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서 역방향 링크의 동기 채널 지연 값을 측정한 후 통신 중인 채널을 상기 측정된 지연 값을 순방향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시간정렬신호로 출력하며, 단말기가 순방향 전용제어채널의 시간정렬신호에 따라 통신 중인 채널의 시간을 정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여러채널을 사용하고 있을 시 전력 소모가 많이 할당된 특정 채널들을 선택하여 시간을 정렬하여 제한된 직교부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장치가, 동기채널의 기준도착시간 값을 구비하며, 통신상태에서 상기 동기채널신호의 도착시간과 상기 기준도착시간의 비교하여 지연시간 값을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값이 기준 지연 값을 초과할 시 시간정렬 제어신호를 순방향 제어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기지국과, 상기 순방향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시간정렬 제어신호 수신시, 수신된 시간정렬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통신채널의 송신 시간을 정렬하는 단말기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데이터 송신시간을 정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채널을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의 트래픽 채널 데이터의 송신시간을 정렬하는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데이터 송신시간을 정렬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지연 추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 RTD 추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a-도 6c는 도 5의 위치결정기가 동기채널신호의 기지국 도착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단말기에서 기지국의 제어에 따라 역방향 링크 채널의 송신 시간을 정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역방향 링크의 성능 개선을 위한 직교 코드 시퀀스를 사용자 구분에 이용하기 위하여 역방향 링크의 송신 시간을 정렬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가 여러채널을 사용하고 있을 때 특정 채널들의 시간을 정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들의 송신시간 정렬을 제어할 시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전용제어채널을 통한 제어메세지를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의 시간을 정렬하므로써 오버헤드(overhead)를 최소화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서 단말기들의 모든 채널들에 대하여 시간을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기의 모든 송신 채널의 시간을 정렬할 수 있다. 하지만 한 단말기가 여러 채널을 사용하고 한기지국 내에서 사용중인 단말기가 많다면 직교 코드의 숫자가 부족하게 된다. 이때는 단말기 채널 중 전력이 가장 크게 할당(allocation)된 채널에만 시간을 정렬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들이 전송한 신호가 시간 정렬되지 않은 것을 통신 중인 채널을 통해서 검출해내는 것이 아니라 동기채널을 통해서 알아낸다. 또한 전용제어채널(DCCH : Dedicated Conrol Channel)을 별도로 구비하며, 상기 전용 제어채널을 이용해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시간정렬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모든 단말기들의 시간을 정렬시킨다. 이때 하나의 단말기가 여러 채널을 사용할 경우, 사용중인 모든 채널(음성 트래픽 채널(fundemental channel or voice traffic channel), 데이타 트래픽 채널(packet traffic channel or supplemental channel)) 들에 대하여 시간을 정렬시키는 경우, 성능면에서 바람직하지만 한정되어 있는 직교 코드의 개수가 부족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용제어채널을 통해서 필요한 통신 형태를 단말기와 기지국이 상대방에 통보한 후에 여러 채널 중 채널용량을 가장 많이 필요로하는 채널들만 시간 정렬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사용중인 모든 채널들을 본 발명의 아이디어를 사용하여 동시에 시간 정렬할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기채널은 역방향 파일럿 채널(reverse pilot channel)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특정 채널은 부가채널(packet traffic channel or supplemental channel)이고, 상기 제어채널은 전용제어채널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를 주고 받는 상태(active status)동안에도 항상 동기채널을 통해서 각 단말기들의 통화 채널들의 시간 위치를 추정하며, 상기 추정 시간 위치가 오차한계 이상을 벗어 난 단말기에 시간정렬신호를 즉각 전송하고, 상기 시간위치가 변하지 않은 단말에게는 시간정렬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 시간 정렬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은 시간정렬 방식은 물론 단말기의 상태와는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시간정렬신호를 전송하는 방식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시간 정렬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정렬 제어 동작의 순서 및 개념을 살펴보고, 다음에 기지국과 단말기의 구성을 참조하여 역방향 링크의 시간정렬 동작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기채널이 역방향 파일럿 채널이고, 시간 정렬이 이루어지는 채널은 역방향 링크의 부가채널이라고 가정한다.
도 1은 단말기에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트래픽 채널을 통해 통신 기능을 수행하면서 역방향 링크의 송신 시간이 정렬 되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은 단말기가 데이타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트래픽 채널의 사용을 요구한 후, 상기 설정된 역방향 링크의 트래픽 채널을 통해 데이타 통신 기능을 수행하면서 기지국이 역방향 링크의 동기채널의 시간 위치를 분석하여 역방향 링크의 트래픽 채널의 송신 시간을 정렬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동기채널은 파일럿 채널이 되며, 트래픽 채널은 부가채널이 된다.
먼저 단말기는 111단계에서 역방향 전용제어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에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한 부가채널의 사용을 요구한다. 그러면 상기 역방향 링크의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부가 채널 요구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사용할 수 있는 역방향 링크의 부가채널을 할당하는 제어메세지를 순방향 링크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단말기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순방향 링크의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메세지에 따라 역방향 링크의 부가채널을 할당하여 데이타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데이타 통신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기지국은 112단계에서 역방향 링크의 파일럿 채널을 통해서 부가채널의 도착시간을 추정한 다은 상기 추정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113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의 부가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타의 송신 시간을 정렬하기 위한 시간정렬 파라미터와 액션 시간 파라미터를 계산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14단계에서 계산된 시간 정렬 신호와 액션 시간(action time)에 대한 제어메세지를 생성하여 순방향 링크의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상기 단말기는 115단계에서 상기 순방향 링크의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시간정렬 파라미터 및 액션 시간 파라미터를 수신하며, 116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에 따라 역방향 링크의 부가채널을 통해 전송할 데이타의 시간을 정렬한 후, 역방향 링크의 부가채널을 통해 데이타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은 통신 중인 여러 단말기들에서 역방향 링크의 부가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타들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일럿 채널의 시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부가채널의 시간 위치를 정렬하는 동작은 117단계 - 122단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데이타 통신이 수행되는 동안 계속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은 역방향 링크의 부가채널로 수신되는 데이타를 시간 정렬과 액션 시간을 이용하여 수신하면서, 수신된 데이타의 시간 정렬과 액션 시간의 파라미터를 추정한다. 이때 기준 수치와 추정된 수치와의 오차가 어느 기준 값 이상이되면 기지국은 다시 시간 정렬 파라미터와 액션 시간을 계산하여 순방향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단말기에 전송하고, 단말기는 상기 순방향 전용제어채널로 수신되는 기지국의 제어메세지를 근거로 다시 파라미터들을 변화시켜 역방향 링크의 부가 채널을 통해 데이타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 기지국은 모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타들을 일정 기준 오차 한계내에서 동시에 수신하게 된다.
도 2는 역방향 링크의 전용부가채널의 송신 시간을 정렬할 때 단말기가 기지국의 시간 정렬 명령을 받고 나서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시간의 변화에 따라 나타낸 예이다.
도 2의 211은 시스템에서 정한 기준이 되는 동기채널 RTD(Round Trip Delay)와 전용부가채널 기준 RTD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동기채널의 RTD를 RTDP라고 하고 부가채널의 RTD를 RTDS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채널 신호는 절대기준시간T1서 일정 이격된 시간 위치를 갖는 기준시간T2에 수신되는 신호이며, 상기 절대기준시간T1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으로 출력되는 신호이며, 동기채널의 기지국 도착시간RTD는 상기 GPS신호로 부터 일정 시간 지연된 값 RTDP를 갖고 수신되여야 하는 신호이다. 또한 상기 부가채널의 기지국 도착시간RTD는 상기 GPS신호에로 부터 일정시간 지연된 값을 갖고 동기채널 신호와 일정 시간 차이를 가지는 값 RTDS를 갖는 시간에서 수신될수 있고 상기 동기채널의 RTDp와 동일할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동기채널의 신호와 부가채널의 신호는 일정시간 값 RTD Δ(RTDS-RTDP)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역방향 링크의 시간을 정렬하기 위하여 상기 동기채널의 신호가 상기 GPS신호와 RTDP를 갖는가 검사하며, 상기 동기채널신호의 시간 오차 값을 추정하여 상기 부가채널 신호의 오차를 알수 있으므로 시간 정렬가능하다.
상기 도 2의 212와 214는 시간 정렬을 하지 않았을 때 시스템 접속하고 얼마후에 채널 상태에 따라 동기채널 RTD가 변화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212의 경우는 동기채널 RTD가 기준값보다 지연된 것을 나타내고, 따라서 부가채널의 RTD도 기준값보다 지연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214의 경우는 동기채널 RTD가 기준값보다 앞으로 당겨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부가채널의 RTD도 기준값 보다 앞으로 당겨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오차가 설정 기준값보다 크면 시간정렬이 필요하다.
이런 경우 상기 부가채널 대한 시간 정렬을 하지 않으면 부가채널을 통한 역방향 링크로 연결된 다른 사용자와 기지국에 신호가 도달하는 시간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시간 정렬을 하지 않고 역방향 링크에서 각 비트를 직교코드로 확산해서 전송하면, 상기 직교코드로 확산한 각 비트들이 기지국 수신측에서는 직교성을 잃게 되어 상호간의 간섭으로 작용하여 직교코드를 사용한 목적을 상실하게 된다.
상기 도 2의 213과 215는 각각 대응되는 도 2의 212 및 214와 같이 시간 정렬이 되지 않은 역방향 링크의 부가채널을 시간 정렬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동기채널의 RTD변화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변화되므로 동기채널의 RTD를 변화 시키기 보다는 부가채널의 발생속도를 지연시키거나 당겨 부가채널의 RTD를 변화시켜서 시간 정렬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동기채널의 RTD에 따른 부가채널의 시간정렬 값을 계산한 후 부가채널의 시간 정렬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순방향 링크의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하며, 단말기는 상기 순방향 링크의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파라미터 값에 의해 214와 같이 역방향 링크의 부가채널 시간을 정렬하여 출력한다.
도 3은 제어채널, 동기채널, 기본채널, 부가채널을 가지는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과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제어채널 송수신기313은 단말기의 제어기 311에서 출력되는 제어메세지를 역방향 링크의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순방향 링크의 제어채널 상의 제어메세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311에 출력한다.
동기채널 발생기315는 기지국의 동기채널 복조기316에게 동기를 맞추어주기 위한 신호를 역방향 동기채널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이 동기를 이루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며, 이때의 동기채널 신호는 시간 정렬 오류를 측정할수 있는 정보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기채널은 파일럿 채널로 구현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본채널 송수신기317은 단말기의 제어기311의 송수신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역방향 기본채널을 통해 데이타를 전송하고, 순방향 기본채널을 통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기본채널 송수신기317은 데이터처리부321와 인터페이싱되어 기본채널을 통해 송수신된 데이타를 처리한다. 상기 기본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타는 음성 데이타가 될 수 있다.
단말기의 부가채널 송수신기319는 단말기의 제어기311의 송수신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역방향 부가채널을 통해 데이타를 전송하고, 순방향 부가채널을 통하는 데이타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채널 송수신기319는 데이터처리부323과 인터페이싱되어 부가채널을 통해 송수신된 데이타를 처리한다. 상기 부가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타는 패킷 데이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가채널은 시간 정렬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부가채널 송수신기319는 상기 단말기의 제어기311로 부터 시간 정렬 파라미터와 액션 시간 파라미터를 수신하며, 상기 기지국의 부가채널 송수신기320과 데이타 통신시 상기 시간 정렬 파라미터 및 액션 시간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하여 데이타를 송신 및 수신한다.
상기 단말기의 제어기311은 상위 시스템으로 부터의 ORDER라는 신호를 받는다. 상기 제어기는 제어채널 송수신기313을 통해 기지국에 부가채널을 이용한 역방향 링크를 요구하는 RS_REQ신호, 기본 채널을 이용한 역방향 링크를 요구하는 RV_REQ, 부가채널과 기본채널을 동시에 요구하는 RSV_REQ를 전송한다. 또한 역방향 링크의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제어메세지를 수신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부가채널을 이용한 순방향 링크를 요구하는 FS_REQ, 기본채널을 이용한 순방향 링크를 요구하는 FV_REQ, 부가채널과 기본채널을 동시에 이용한 순방향 링크를 요구하는 FSV_REQ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제어기311은 시간 정렬을 하지 않는 기본채널 송수신기317에 데이터 송신 명령신호 T_DATA, 데이터 수신 명령신호 R_DATA 및 동작 중지 명령신호 DISABLE 만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제어기311은 상기 부가채널 송수신기319에는 데이타 송신 명령신호 T_DATA, 데이터 수신 명령신호 R_DATA, 동작 중지 명령신호 DISABLE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시간 정렬 파라미터 ASS_TIME, 액션 시간 파라미터 ASS_ACTIME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가채널 만을 시간 정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직교 코드의 개수가 충분하면 모든 채널에 시간 정렬을 하면 더 큰 성능 개선을 얻을 수 있다.
기지국의 제어채널 송수신기314, 기준채널 송수신기318 및 부가채널 송수신기320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단말기의 제어채널 송수신기313, 기준채널 송수신기317 및 부가채널 송수신기319와 각각 대비된다.
기지국의 동기채널 복조기316은 상기 단말기의 동기채널 발생기315에서 출력되는 역방향 링크의 동기채널 데이타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기지국의 지연추정기325는 상기 동기채널 복조기316에서 출력되는 동기채널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준 지연 값RTD와 차이를 구해 기지국 제어기 312에게 출력한다.
기지국의 위상 추정기326은 디지틀 통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상 추정기이다. 상기 위상 추정기326은 상기 동기채널 복조기316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채널의 위상을 추정한 후, 기본채널 송수신기318 및 부가채널 송수신기320에 위상지연 파라미터 P_VALUE를 송신한다.
상기 기지국의 제어기312는 상기 단말기의 제어기 311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312는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ORDER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채널 송수신기314를 통해서 단말기와 채널 사용 요구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312는 상기 단말기의 채널을 시간 정렬하기 위해 상기 지연추정기325에서 출력되는 추정된 지연 파라미터 D_VALUE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D_VALUE가 기준값과 일정 오차 한계를 초과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312는 그 값을 시간 정렬 파라미터 ASS_TIME으로 생성하며, 상기 단말기가 시간 정렬 명령을 수신하여 그것을 적용하는 시점을 GPS시간을 기준으로 정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312는 상기 시간 정렬 파라미터 ASS_TIME과 액션 시간 파라미터 ASS_ACTIME을 순방향 링크의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312는 기본채널 송수신기318과 부가채널 송수신기320에 데이터 송신 명령신호 T_DATA, 데이터 수신 명령신호 R_DATA 및 동작 중지 명령신호 DISABLE을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시간 정렬을 하는 부가채널 송수신기320에는 시간 정렬 파라미터 ASS_TIME와 액션 시간 파라미터 ASS_ACTIME을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부가채널을 이용한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전에 사용되는 용어는 하기 <표 1>과 같이 정의한다.
상기 도 3 및 <표 1>을 참조하면,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역방향 부가 채널을 통해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려면, 상기 단말기는 제어채널 송수신기313을 제어하여 역방향 제어채널을 통해 RS_REQ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역방향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RS_REQ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동기채널 복조기316에서 나온 신호를 지연 추정기325와 위상 추정기326을 이용해서 도착 지연시간 D_VALUE와 위상지연 파라미터 P_VALUE를 구해서 D_VALUE는 제어기312에 출력하고, P_VALUE는 부가채널 송수신기32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역방향 링크를 위하여 상기 부가채널 송수신기320에 R_DATA를 전송하며, 부가 채널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본채널 송수신기318에 DISABLE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의 제어기312는 제어채널 송수신기314를 통해서 단말기의 제어기311에 시간 정렬 파라미터 ASS_TIME과 액션 시간 파라미터 ASS_ACTIME을 전달한다. 단말기의 제어기311은 부가채널 송수신기319에 ASS_TIME, ASS_ACTIME 및 역방향 링크를 위해 송신 명령신호 T_DATA를 전송하고, 부가 채널만 사용하므로 기본채널 송수신기317에는 DISABLE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부가채널 송수신기319는 상기 파라미터들을 바탕으로 시간 정렬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라도 상기 기지국은 계속해서 동기채널 복조기316을 통해 수신되는 동기신호를 바탕으로 도착 지연시간과 위상 천이를 계산해서 이전에 할당한 파라미터들과 비교를 한다. 이때 오차가 어느 기준값 이상이 되거나 일정한 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기312는 현재 계산된 시간 정렬 파라미터 ASS_TIME와 액션 시간 파라미터 ASS_ACTIME을 제어채널 송수신기314를 통해 단말기의 제어기311에 전송한다. 그리고 기지국의 부가채널 송수신기320에도 ASS_TIME, ASS_ACTIME을 다시 전송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단말기에서 전송한 신호가 기지국에 도달하는 시간을 원하는 기준값에 맞출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부가채널을 이용한 순방향 링크는 역방향 링크와 방향의 차이일 뿐 거의 동일하지만, 순방향 링크일때는 기지국에서 각 단말기로 보내는 신호들을 시간 정렬해서 보내기 때문에 별도로 시간 정렬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상기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기본 채널을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경우, 단말기는 제어채널 송수신기313을 통해서 기지국의 제어기312에 RV_REQ를 보낸다. 그리고 기본채널 송수신기317에 역방향 링크를 위한 T_DATA를 전송하며, 부가채널 송수신기319에는 DISABLE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RV_REQ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제어기312는 상기 기본채널 송수신기318에 R_DATA를 전송하고, 부가채널 송수신기320에는 DISABLE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기본채널을 이용한 순방향 링크의 경우도 기본채널을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경우와 방향의 차이일 뿐 나머지는 동일하다.
상기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기본채널과 부가채널을 동시에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채널을 이용한 역방향 링크와 부가채널을 이용한 역방향 링크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경우 부가채널만 시간 정렬을 하고 기본채널에는 시간 정렬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기본채널과 부가채널을 동시에 이용한 순방향 링크의 경우에는 역방향 링크와 방향에 차이만 있을 뿐 거의 동일하다. 하지만 순방향 링크의 부가채널의 경우에는 역방향 링크에서는 시간 정렬을 하지만 순방향 링크에서는 시간 정렬을 하지 않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지연 추정기325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동기채널 복조기316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동기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복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TD 추정기412는 상기 동기채널 복조기316에서 수신된 동기신호를 바탕으로 기지국 도달 시간(Round Trip Delay: RTD)를 추정한다. 여기서 RTD 추정기412는 1/m 칩(chip)단위로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기준RTD 발생기413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원하는 각 단말기들의 RTD 값을 저장하고 있다. 감산기414는 상기 RTD 추정기412의 출력과 기준RTD 발생기413의 출력을 입력하며, 두 입력 값을 감산하여 계산되는 차 값을 상기 지연 파라미터 D_VALUE로 출력한다.
제어기312는 상기 지연 추정기325에서 출력되는 지연 파라미터 D_VALUE의 크기가 어느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상기 D_VALUE를 시간 정렬 파라미터 ASS_TIME으로 바꾸고, 시간 정렬 적용 시점인 액션 시간 파라미터 ASS_ACTIME을 출력으로 내보낸다.
상기 도 4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연 추정기325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연 측정기325는 먼저 동기채널 복조기31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신호의 RTD를 추정한다. 동기신호의 RTD는 RTD추정기412에 의해서 추정되는데, 이때 추정되는 기본 단위는 1/4 칩이다. 상기 기준RTD 발생기413은 시스템의 시간 정렬을 일치시키기위한 기준 RTD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지연 측정기325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저장하고 있는 기준 RTD와 추정된 RTD와의 차이를 계산해서 상기 제어기312에 D_VALUE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의 제어기312는 D_VALUE의 절대값이 어느 기준값 이상이 되거나 일정한 시간이 되면, 이때 계산된 D_VALUE를 ASS_TIME로 바꾸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GPS시간을 기준으로 어느 시점에 지금 계산된 시간 정렬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지를 나타내는 액션 시간 파라미터 ASS_ACTIME과 함께 순방향 제어채널을 통해서 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리고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시간 정렬을 다시 수행하여 상기 GPS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 정렬 명령을 수행 하는 시간인 액션 시간에 적용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지연 추정기 중의 구성 중 RTD 추정기412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곱셈기501-50M은 상기 동기채널 복조기31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확산 시퀀스(Psudo Random Noise sequence)를 이용하여 역확산(despreading)시킨다. 상관기511-51M은 각각 대응되는 곱셈기501-50M에서 출력으로 부터 상관 값을 검출한다. 여기서 각 브렌치(branch)들은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코드만 차이가 있다. 상관기511-50M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각각 대응되는 코드 0-M과의 상관 관계를 검출한다. 제곱기521-52M은 각각 대응되는 상관기511-51M에서 출력되는 상관 값을 제곱한다. 비교기531-53M은 각각 대응되는 기준(threshold)값과 제곱기521-52M의 출력을 입력하며, 두 입력을 비교하여 해당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제곱기521의 출력을 그대로 출력하고 작으면 0(zero)을 출력한다. 위치 결정기(Position Decision block)540은 상기 비교기531-53M에서 출력되는 비교 결과신호를 입력하여 현재 동기채널의 RTD를 추정한다.
도 6a - 도 6c는 상기 도 5의 위치결정기540에서 동기 채널의 RTD를 추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3개의 RTD 추정 방법에 대한 각각을 살펴보기 전에 기지국은 각 브렌치(branch)마다 비교기531-53M에서 출력이 있을 때 동기채널 복조기316에 수신되는 동기신호가 얼마나 지연된 것인지하는 지연값에 대한 테이블(table delay_value(i))를 구비한다.
첫 번째로 상기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도 6a에 도시된 RTD 추정 방법은 각 브렌치에 위치되는 비교기531-53M의 출력 크기에 상관 없이 출력이 0이 아니라면 그때의 지연값의 평균을 구해서 동기채널의 RTD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먼저 611단계에서 버퍼(buffer)의 초기값을 0으로 초기화하고, 카운터(cnt)는 M개의 브렌치에 대응되는 비교기531-53M의 출력 개수를 세기 위한 카운터로써, 0으로 초기화한다. 이후 612단계에서는 i번째 브렌치의 출력이 0인가 판단한다. 이때 상기 i번째 브렌치의 출력이 0이 아니면 613단계에서 기지국이 가지고 있는 i번째 브렌치에 맞는 지연 값(delay_value(i))를 버퍼에 더한 후, 614단계에서 출력이 있는 브렌치의 개수를 알기 위해 카운터cnt의 값을 하나 증가 시킨다. 그러나 상기 612단계에서 i번째 branch의 출력이 0이면, 그냥 (i+1)번째 브렌치를 검색한다. 이후 616단계에서 모든 브렌치를 검색했는지 확인하며, 모든 브렌치를 검색했으면 617단계에서 카운터cnt가 0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카운터cnt의 값이 0이면, 6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611단계로 되돌아가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고, 상기 카운터cnt가 0이 아니면 618단계에서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카운터cnt의 값으로 나누어 이를 추정 RTD 값으로 출력한다.
두 번째로 상기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도 6b는 비교기531-53M의 출력에 따라 가중치를 주어 적당한 동기채널 RTD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먼저 621단계에서 버퍼buffer의 초기값을 0으로 초기화하고, 합 버퍼 sum은 M개의 브렌치에 대응되는 비교기531-53M의 출력을 더하기 위한 버퍼로써, 0으로 초기화한다. 이후 622단계에서 i번째 브렌치의 비교기 출력 Ei와 i번째 브렌치에 맞는 지연 값 delay_value(i)를 곱해서 버퍼에 더하며, i번째 비교기 출력을 sum에 더한 후, 623단계에서 i를 증가(i=i+1)시킨다. 그리고 624단계에서 모든 브렌치를 검색하였는지 확인(i<M)하고, 625단계에서 M개 비교기의 출력 합이 0인가 확인한다. 이때 합sum이 0이면 상기 621단계로 되돌아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러나 모든 브렌치를 검색하였고 합sum이 0이 아니면 626단계에서 그 동안 상기 버퍼buffer에 저장된 값을 합버퍼sum에 저장된 값으로 나누어 RTD 값을 결정한다.
세 번째로 도 6c를 참고하면, 상기 도 6c는 각 브렌치의 비교기 들의 출력 중에서 가장 큰 브렌치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먼저 631단계에서 버퍼(buffer)의 초기값을 0으로 초기화하고, 변수 i를 0으로 초기화한다. 이후 632단계-635단계를 수행하면서 0번째부터 M-1번째까지의 브랜치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632단계에서 i번째 비교기의 출력인 Ei가 버퍼 buffer에 저장되어 있는 값보다 큰지를 판단하며, 이때 상기 Ei가 상기 버퍼 buffer에 저장된 값 보다 크면 Ei값과 I를 buffer에 저장하고, 크지 않다면 (i+1)번째 branch를 검색한다. 그리고 629단계에서 모든 브렌치를 검색했는지 판단하고, 모두 검색했으면 630단계에서 상기 버퍼 buffer가 한번도 갱신(update)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며, 한번도 갱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갱신된 경우에는 637단계에서 상기 버퍼 buffer에 저장된 I에 따른 상기 지연값에 대한 테이블에 해당하는 값을 동기채널의 RTD 값으로 결정한다.
도 7은 단말기가 상기와 같이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시간 정렬 파라미터 및 액션 시간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RTD를 변화 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은 부가채널을 시간 정렬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모든 채널을 동시에 시간 정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는 모든 채널들에 버퍼를 설치하고 시간 정렬 하고자하는 채널의 출력단에 설치된 버퍼는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시간 정렬 값에 따라 송신되는 데이타의 버퍼링(buffering)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타이밍 제어기711은 각 채널 발생기 들에 적당한 클럭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버퍼712는 제어채널, 동기채널, 기본채널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버퍼로써 버퍼링하는 크기는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버퍼713은 일단 단말기가 시스템에 처음 접속해서 부가채널을 요구하여 부가채널을 할당 받은 후, 처음 데이터를 전송할때는 다른 채널의 버퍼와 같은 시간으로 버퍼링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기지국에서 시간 정렬 명령을 수신하면 그 값만큼 버퍼링하는 시간을 조절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계속 송신하던 중에 채널의 상태가 변해서 부가 채널의 RTD를 줄여야 할 경우에는 버퍼링 시간을 수신된 시간 정렬 값 만큼 덜하면 부가 채널의 RTD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채널의 RTD를 늘려야 할 경우에는 수신한 시간 정렬 값 만큼 버퍼링하는 시간을 크게 하면 부가 채널의 RTD를 늘릴 수 있다.
도 7b는 시간 정렬하고자하는 채널에 따로 타이밍제어기를 두어 나머지 채널들과 독립적으로 시간 제어를 하는 방법이다. 제1타이밍제어기714는 일반적인 타이밍 제어기로 써 계속 일정한 시점에서 각 채널들에게 클럭을 분배한다. 제2타이밍제어기715는 부가채널의 시간제어를 위해 별도로 구비한 타이밍제어기이다. 상기 제2타이밍제어기715는 처음 시스템에 접속해서 송신 할 때는 제1타이밍제어기714와 동일한 시점에서 부가채널을 동작시키지만,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시간 정렬 명령신호를 수신한 후에는 그 값만큼 액션 시간을 변화 시킨다. 예를들어 상기 부가채널의 RTD를 줄여야 하는 경우 상기 제2타이밍제어기715는 부가채널을 동작시키는 시간을 시간 정렬 명령신호의 값 만큼 빠르게하고, 상기 부가채널의 RTD 늘려야 하는 경우 상기 제2타이밍제어기715는 부가채널의 액션 시간을 시간 정렬 값 만큼 느리게 하면된다.
따라서 상기 도 2의 212와 같이 상기 동기채널신호의 RTD가 기지국에서 기준 도착시간 값으로 갖고 있는 RTD보다 큰 경우, 상기 기지국의 지연 추정기325는 내부의 기준 RTD 값과 동기채널 복조기316에서 출력되는 추정된 동기채널의 RTD와의 차이를 구해서 D_VALUE를 결정한 후 이를 기지국 제어기312에 전달한다. 이때 전달된 파라미터가 어느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순방향 제어채널을 통해 해당하는 차이값을 토대로 생성한 시간 정렬 파라미터 ASS_TIME와 액션 시간 파라미터 ASS_ACTIME를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순방향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와 같은 명령신호들을 수신하는 단말기 제어기311은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한 액션 시간에 부가 채널의 RTD를 변화 시킨다. 상기 도 2의 212와 같은 경우 부가채널의 RTD를 213과 같이 시간 정렬 파라미터 크기 만큼 앞으로 당기면 동기채널의 RTD는 변화되지 않고 부가 채널의 RTD만 시간 정렬 파라미터 크기만큼 앞으로 당겨지게 되어 시간 정렬이 된다. 결국 채널의 상태에 따른 동기채널 RTD의 변화는 그대로 유지하고 부가채널 RTD와 동기채널 RTD와의 차이를 조정해서 부가채널에 대한 시간 정렬을 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상기 도 2의 214와 같이 추정된 동기채널의 RTD가 기지국에서 기준값으로 가지고 있는 기준 RTD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의 지연추정기325는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기준 RTD와 수신된 동기채널 RTD와의 차이를 구해서 D_VALUE를 결정한 후 기지국 제어기312에 전달한다. 이런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312는 상기 지연 추정기325에서 전달된 파라미터가 어느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채널 송수신기314를 제어하여 단말기에 시간 정렬 파라미터와 액션 시간 파라미터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순방향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한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액션 시간에 부가 채널의 RTD를 변화 시킨다. 상기 도 2의 214의 경우 부가채널의 RTD를 시간 정렬 파라미터만큼 뒤로 밀면 동기채널의 RTD는 변화되지 않고 부가 채널의 RTD만 시간 정렬 파라미터 크기 만큼 뒤로 밀리게 되어 도 2의 215과 같이 시간 정렬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역방향 링크의 성능 개선을 위한 직교 코드 시퀀스를 사용자 구분에 이용하기 위하여 역방향 링크의 송신 시간을 정렬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가 여러채널을 사용하고 있을 때 역방향 링크의 해당하는 특정 채널들의 시간을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들의 송신 시간 정렬을 제어할 시, 상기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전용제어채널을 통한 제어메세지를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의 시간을 정렬하므로써 오버헤드(overhead)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서 단말기들의 모든 채널들에 대하여 시간을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 단말기가 여러 채널을 사용할 경우 직교 코드의 숫자가 부족하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단말기 채널 중 전력이 가장 크게 할당된 채널에만 시간을 정렬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장치에 있어서,
    동기채널의 신호를 수신 및 동기채널 보조기와,
    기준 도착시간 값을 구비하며, 상기 동기채널 신호의 도착시간을 추정한 후 상기 추정도착시간 값과 상기 기준도착시간 값의 차를 계산하여 상기 동기채널신호의 지연시간 값을 추정하는 지연추정기와,
    상기 지연추정기의 출력이 기준지연시간 초과시, 시간 정렬 및 액션 시간 신호를 생성한 후, 순방향 제어채널 송수신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지연 추정기가 도착시간을 추정함에 이있어서 각 기지국의 브랜치에서 수신되는 도착시간의 평균을 구해서 도착시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지연 추정기가 도착시간을 추정함에 있어서 각 기지국의 브랜치에서 수신되는 도착시간에 가중치를 두어 도착시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지연 추정기가 도착시간을 추정함에 있어서 각 기지국의 브랜치에서 수신되는 가장 큰 도착시간을 도착시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채널이 역방향 파일럿 채널이고, 제어채널이 전용제어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장치.
  6.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장치에 있어서,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채널발생기와,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메세지를 송수신하는 제어채널 송수신기와,
    상기 제어채널 송수신기를 통해 시간정렬 및 액션 시간 메시지 수신시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트래픽채널 발생기의 송신시간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기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렬 및 액션 시간 메시지에 따라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시간를 조절하는 트래픽 송신기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채널이 역방향 파일럿 채널이고, 상기 트랙픽 채널이 패킷 데이터 채널이며, 제어채널이 전용제어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장치.
  8.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방법에 있어서,
    동기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채널 신호의 도착시간을 추정한 후 상기 추정도착시간 값과 상기 기준도착시간 값의 차를 계산하여 상기 동기채널신호의 지연시간 값을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지연추정기의 출력이 기준지연시간 초과시, 시간 정렬 및 액션 시간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시간 정렬 및 액션 시간 신호를 순방향 제어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채널이 역방향 파일럿 채널이고, 제어채널이 전용제어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시간을 추정함에 있어서 각 기지국의 브랜치에서 수신되는 도착시간의 평균을 구해서 도착시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 상기 도착시간을 추정함에 있어서 각 기지국의 브랜치에서 수신되는 도착시간에 가중치를 두어 도착시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항 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 상기 도착시간을 추정함에 있어서 각 기지국의 브랜치에서 수신되는 가장 큰 도착시간을 도착시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방법.
  13.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방법에 있어서,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해 시간 정렬 및 액션 시간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시간정렬 및 액션 시간 메시지에 따라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채널이 역방향 파일럿 채널이고, 상기 트래픽채널이 패킷 데이터 채널이며, 제어채널이 전용제어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장치.
KR1019980004499A 1998-02-14 1998-02-14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시간정렬장치및방법 KR100407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499A KR100407355B1 (ko) 1998-02-14 1998-02-14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시간정렬장치및방법
US09/250,704 US6470001B1 (en) 1998-02-14 1999-02-16 Device and method for time alignment on reverse lin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499A KR100407355B1 (ko) 1998-02-14 1998-02-14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시간정렬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929A KR19990069929A (ko) 1999-09-06
KR100407355B1 true KR100407355B1 (ko) 2004-04-03

Family

ID=1953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499A KR100407355B1 (ko) 1998-02-14 1998-02-14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시간정렬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70001B1 (ko)
KR (1) KR100407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5894B1 (en) 1999-07-05 2004-07-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JP3487842B2 (ja) * 1999-07-15 2004-01-19 インフィネオン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モバイル無線チャネルのチャネルインパルス応答を推定する方法
KR100387034B1 (ko) * 2000-02-01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패킷데이타 서비스를 위한스케듈링장치 및 방법
FR2807589B1 (fr) * 2000-04-07 2003-08-29 Cit Alcatel Procede d'ajustement des instants d'emission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US7006428B2 (en) * 2000-07-19 2006-02-28 Ipr Licensing, Inc. Method for allowing multi-user orthogonal and non-orthogonal interoperability of code channels
US8537656B2 (en) * 2000-07-19 2013-09-17 Ipr Licensing, Inc. Method for compensating for multi-path of a CDMA reverse link utilizing an orthogonal channel structure
US7911993B2 (en) 2000-07-19 2011-03-22 Ipr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soft handoff of a CDMA reverse link utilizing an orthogonal channel structure
JP3857528B2 (ja) * 2001-01-12 2006-12-13 富士通株式会社 同期検出装置
KR100471616B1 (ko) * 2001-06-08 2005-03-08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Is-95c cdma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을 통한 고속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800730B1 (ko) * 2001-06-30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제어기와이동단말간 전송시간 정렬 방법
US6917581B2 (en) 2001-07-17 2005-07-12 Ipr Licensing, Inc. Use of orthogonal or near orthogonal codes in reverse link
KR100466612B1 (ko) * 2001-12-06 200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채널 타임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
TWI357730B (en) 2002-11-20 2012-02-01 Ipr Licensing Inc Soft handoff of a cdma reverse link
US7385944B2 (en) * 2003-03-31 2008-06-1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8700042B2 (en) * 2006-04-21 2014-04-15 Alcatel Lucent Method to control the effects of out-of-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ellular system using backhaul transmission of decoded data and formats
US20080205571A1 (en) * 2007-02-27 2008-08-28 Khurram Muhammad System and Method for Time Aligning Signals in Transmitters
TWI458284B (zh) * 2007-12-07 2014-10-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分散無線系統中的多頻道支援
KR101508978B1 (ko) * 2009-04-20 2015-04-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Tdd용 기지국 안테나의 송수신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 안테나
US9059760B2 (en) * 2010-02-05 2015-06-1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uplink beamforming transit diversity
CN107037470B (zh) * 2017-05-04 2019-10-25 南京康帕斯导航科技有限公司 基于逆向rtd和行人航位推算融合的米级定位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39A (ja) * 1994-06-30 1996-01-19 Nec Corp 局間同期方式
US5509035A (en) * 1993-04-14 1996-04-16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station operating in an analog mode and for subsequent handoff to another system
US5541979A (en) * 1994-03-08 1996-07-30 Allen Telecom Group, Inc. Cell extender with timing alignment for use in time division multiple-access and similar cellular telephone systems
JPH0955979A (ja) * 1995-08-15 1997-02-25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移動通信システムの遅延時間調整方式
KR0177268B1 (ko) * 1993-11-30 1999-05-15 안쏘니 제이. 살리 쥬니어 코드 분할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을 위해 신호를 시정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28470B1 (ko) * 1994-08-31 1999-11-01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정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9980A (en) * 1995-06-05 1999-09-28 Omnipoint Corporation Timing adjustment control for efficient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KR0142497B1 (ko) * 1995-06-23 1998-08-01 양승택 역방향 링크에 버스트 파일럿을 갖는 채널구조
US5887262A (en) * 1996-04-19 1999-03-2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Smart antenna backwards compatibility in digital cellular systems
GB2315955B (en) * 1996-07-31 1998-06-24 Lucent Technologies Inc Subscriber authentication for radio local loop system
US5838669A (en) * 1996-08-28 1998-11-17 At&T Corp. Method of synchronizing satellite switched CDMA communication system
JP2798130B2 (ja) * 1996-08-29 1998-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方式通信システム
US5946356A (en) * 1997-07-16 1999-08-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within a broad-band communications system
US5872774A (en) * 1997-09-19 1999-02-16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station assisted timing synchronization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9035A (en) * 1993-04-14 1996-04-16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station operating in an analog mode and for subsequent handoff to another system
KR0177268B1 (ko) * 1993-11-30 1999-05-15 안쏘니 제이. 살리 쥬니어 코드 분할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을 위해 신호를 시정렬하는 방법 및 장치
US5541979A (en) * 1994-03-08 1996-07-30 Allen Telecom Group, Inc. Cell extender with timing alignment for use in time division multiple-access and similar cellular telephone systems
JPH0819039A (ja) * 1994-06-30 1996-01-19 Nec Corp 局間同期方式
KR100228470B1 (ko) * 1994-08-31 1999-11-01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정렬하는 방법 및 장치
JPH0955979A (ja) * 1995-08-15 1997-02-25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移動通信システムの遅延時間調整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929A (ko) 1999-09-06
US6470001B1 (en) 200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355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링크시간정렬장치및방법
US7352737B2 (en) Communications in an asynchronous cellular wireless network
US6574205B1 (en) CDMA cellular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spreading code in CDMA cellular system
US7855994B2 (en) Radio transceiver and radio transmitting method
US57038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subscriber equipment with base stations in a CDMA radio network
JP3930187B2 (ja) 同期制御方法、受信機、基地局及び移動端末
EP1337069A2 (en) Synchronisation in a spread-spectrum multicarrier system
US20060068790A1 (en)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and path search method
KR20010013556A (ko) 동기화장치, 동기화방법 및 동기화장치를 구비한통신시스템
KR20010068996A (ko) 비동기식 광대역 직접 시퀀스 코드분할다중접속 수신기의셀 탐색 장치 및 각 셀에 고유한 코드 획득 방법
US200502762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2001501045A (ja) 無線cdma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加入者装置から基地局装置への送信の同期
CA23046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measured round-trip delay ti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274375B2 (ja) スペクトル拡散復調装置
KR100355327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 방법
EP0964529A2 (en) Channel estim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2001257626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0500277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및방법
JP2000516419A (ja) 通信システム用装置および方法
KR100504360B1 (ko) 수신기 및 수신 방법
JP2000286784A (ja) 無線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1148641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A23880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control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WO2001015353A1 (en) A method of measuring a characteristic of a radio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