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078B1 - 거품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거품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078B1
KR100407078B1 KR10-2001-0034250A KR20010034250A KR100407078B1 KR 100407078 B1 KR100407078 B1 KR 100407078B1 KR 20010034250 A KR20010034250 A KR 20010034250A KR 100407078 B1 KR100407078 B1 KR 100407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hydraulic cylinder
frame
transfer device
foa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9148A (ko
Inventor
이종인
서보민
Original Assignee
이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인 filed Critical 이종인
Priority to KR10-2001-003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0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7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조(40)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장치(1)와 상기 이송장치(1)와 와이어(2)로 연결되어 처리조(40)의 내부에 형성된 거품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거품용기(3)로 구성되어 이송장치(1)에 형성된 상승유압실린더에 의해 거품용기(3)를 상승시켜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품이송장치 {The apparatus for transportation of bubble}
본 발명은 거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정수장 및 오수처리장의 정수처리 및 오수처리시 생성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에서 강물 및 지하수를 약품으로 처리하여 식수로 정화하여 수도관을 통하여 각 가정에 배수하는 경우, 정수장에서 약품처리시 생성되는 거품의 제거나, 폐수처리장에서 수집되는 폐수를 응집제 및 약품처리하여 정화수로 재생하여 회수하는 경우, 폐수처리장에서 약품처리시 생성되는 거품의 제거는 통상 거품을 파괴하거나, 그물등으로 건져내어 왔다.
폐수처리장에서 생성되는 거품은 기름성분이 함께 함유하고 있어 이를 수거하여 재생비누로 활용하도록 회수하는 시설이 별도로 있으나, 정수장에서 생성되는 거품은 기름성분이 없으므로 단순히 제거해야하기 때문에 정수장의 처리조에서 생성되는 대량의 거품을 그물등으로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1-10358호에는 거품제거판이 형성된 거품분리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나, 설비가 복잡하여 폐수처리에는 적합하나 청결을 요구하는 식수를 생산하는 현재 정수장의 처리시설에 추가하여 설치하기여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처리조(40)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장치(1)와 상기 이송장치(1)와 와이어(2)로 연결되어 처리조 (40)의 내부에 형성된 거품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거품용기(3)로 구성되어 이송장치(1)에 형성된 상승유압실린더에 의해 거품용기(3)를 상승시켜 정수장 처리조에서 생성되는 거품을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상승시켜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거품이송장치 상세도
도2 본 발명의 거품이송장치 측면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거품이송장치 상승된 상태도
도4 본 발명의 거품이송장치 전진되는 상태도
도5 본 발명의 거품이송장치의 후면이 상승되어 거품이 이송되는 상태도
도6 본 발명의 거품용기에 장착된 분무장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이송장치(1), 와이어(2), 거품용기(3), 측면(4), 측면하부내측2중벽(5), 측면제1배수통공(6), 측면제2배수통공(7), 상하강유압실린더(10), 상부프레임(11), 상하부 이동지지대(12), 상하부이동부(13),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고정프레임(14), 전후진유압실린더(20),하부프레임(21), 하부지지대(22), 상하부이동지지대안내홈 (23), 이동롤러(24), 상하부연결프레임(19,29),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30), 상부후면프레임(31), 처리조(40), 처리조상부안내홈(41), 분무파이프(42), 분부노즐(43), 분무파이프연결구(44)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처리조(40)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장치(1)와 상기 이송장치(1)와 와이어(2)로 연결되어 처리조(40)의 내부에 형성된 거품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거품용기(3)로 구성된 거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장치(1)는 처리조(40) 상부 양측에 형성된 처리조상부안내홈(41)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는 중앙부에 이송장치를 상하강 시키는 상하강유압실린더(10)가 수직으로 설치된 하부프레임(21,21`)과, 상기 하부프레임(21,21`)의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하부이동지지대안내가이드홈(23,23`)이 형성된 4개의 하부지지대(22)와, 상기 하부프레임 (2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장치를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유압실린더(20,20`)과, 상기 하부프레임(21,21`)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이동롤러(24)와, 상부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강유압실린더(10)의 말단부가 결착된 상부프레임(11,11`)과,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하부 하부지지대(22)의 상하부이동지지대안내가이드홈(23)에 삽입되어 상하강되는 상하부이동부(13)가 형성된 상하부 이동지지대(12)와, 상부프레임(1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고정프레임(14)과, 상기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거품용기(3)의 후면을 부상시키는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30)와, 상기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30)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후면프레임(31)과, 상기 상하부프레임(11, 21)의 양끝단에는 한쌍의 상하부프레임(11,12)들을 연결하는 상하부연결프레임(19,29)와, 상기 이송장치(1)는 하부 거품용기(3)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쪽 전면부와 상기 상부후면프레임(31)의 후면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고정구(미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품용기(3)는 배형상으로 거품 및 부유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바닥부와 선미및 선수와 양측면(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4,4`)의 하부에는 이중벽으로 측면하부내측벽(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중벽에는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거품용기(3)가 상승시 거품용기(3)에 내장된 물을 제거하여 거품 및 부유물질만 남도록 물을 배출시키는 측면제1배수통공(6), 측면제2배수통공(7)과, 후면에 형성되어 거품용기를 기울여 이송시 거품용기 바닥에 잔존하는 거품을 제거하며 일단부에 공급관과 연결되는 분무파이프연결구(44)가 일단에 형성된 분무노즐파이프(42)와, 상기 분무노즐파이프(42)에 형성된 다수의 분무노즐(43)과, 모서리4곳에는 상부에 형성된 이송장치(2)와 와이어(3)로 연결되는 와이어고정구(미도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를 중앙콘트롤(미도시)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정기적으로 상승하여 전진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거품이송장치 상세도, 도2 본 발명의 거품이송장치 측면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거품이송장치 상승된 상태도, 도4 본 발명의 거품이송장치 전진되는 상태도, 도5 본 발명의 거품이송장치의 후면이 상승되어 거품이 이송되는 상태도 및 도6 본 발명의 거품용기에 장착된 분무장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이송장치(1), 와이어(2), 거품용기(3), 측면(4), 측면하부 내측 2중벽(5), 측면제1배수통공(6), 측면제2배수통공(7), 상하강유압실린더(10), 상부프레임(11), 상하부 이동지지대(12), 상하부이동부(13),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고정프레임(14), 전후진유압실린더(20),하부프레임(21), 하부지지대(22), 상하부이동지지대안내홈(23), 이동롤러(24), 상하부연결프레임(19,29),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30), 상부후면프레임 (31), 처리조(40), 처리조 상부안내홈(41), 분무파이프(42), 분부노즐(43), 분무파이프연결구(44)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40)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장치(1)와 상기 이송장치(1)와 와이어(2)로 연결되어 처리조(40)의 내부에 형성된 거품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거품용기(3)로 구성된 거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1)는 처리조(40) 상부 양측에 형성된 처리조상부안내홈(41)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는 중앙부에 이송장치를 상하강 시키는 상하강유압실린더(10)가 수직으로 설치된 하부프레임(21,21`)과, 상기 하부프레임(21,21`)의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하부이동지지대안내가이드홈(23,23`)이 형성된 4개의 하부지지대(22)와, 상기 하부프레임(2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장치를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유압실린더(20,20`)과, 상기 하부프레임(21,21`)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이동롤러(24)와,
상부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강유압실린더(10)의 말단부가 결착된 상부프레임(11,11`)과,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하부 하부지지대(22)의 상하부이동지지대안내가이드홈(23)에 삽입되어 상하강되는 상하부이동부(13)가 형성된 상하부 이동지지대(12)와, 상부프레임(1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고정프레임(14)과, 상기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거품용기(3)의 후면을 부상시키는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30)와, 상기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30)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후면프레임(31)과, 상기 상하부프레임(11, 21)의 양끝단에는 한쌍의 상하부프레임(11,12)들을 연결하는 상하부연결프레임(19,29)와, 상기 이송장치(1)는 하부 거품용기(3)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쪽 전면부와 상기 상부후면프레임(31)의 후면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고정구(미도시)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 거품이송장치인 것이다.
상기 거품용기(3)는 배형상으로 거품 및 부유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바닥부와 선미및 선수와 양측면(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4,4`)의 하부에는 이중벽으로 측면하부내측벽(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중벽인 측면하부내측벽 (5,5`)에는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거품용기(3)가 상승시 거품용기(3)에 내장된 물을 제거하여 거품 및 부유물질만 남도록 물을 배출시키는 측면제1배수통공(6), 측면제2배수통공(7)과, 후면에 형성되어 거품용기를 기울여 이송시 거품용기 바닥에 잔존하는 거품을 제거하며 일단부에 공급관과 연결되는 분무파이프연결구(44)가 일단에 형성된 분무노즐파이프(42)와, 상기 분무노즐파이프(42)에 형성된 다수의 분무노즐(43)과, 모서리4곳에는 상부에 형성된 이송장치(2)와 와이어(3)로 연결되는 와이어고정구(미도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이송장치인 것이다.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처리조(40)내의 물을 처리시 생성되는 거품 및 부유물질이 처리조(40)의 바닥부에 위치시킨 거품용기(3)에 축적되면, 상하강유압실린더 (10)가 작동되어 상기 상하강유압실린더(10)의 말단부가 중앙에 형성된 상부프레임 (11.11`)의 양측면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이동지지대(12)의 상하부이동부 (13)가 하부 하부지지대(22)의 상하부이동지지대안내가이드홈(23)을 따라 상부로 상승되면, 상기 상부프레임(11,11`)과, 상부후면프레임(31)에 와이어로 연결된 상기 처리조(40)의 바닥에 위치된 거품용기(3)는 양측면(4,4`)의 하부의 이중벽인 측면하부내측벽(5,5`)에 형성된 측면제1배수통공(6), 측면제2배수통공(7)으로 물을 제거하여 거품 및 부유물질만 남도록 서서히 상승된 후에, 처리조(40)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장치의 전후진유압실린더(20)를 작동시켜 이송장치를 처리조안내홈(41)에설치된 이송장치하부에 형성된 이동롤러(24)가 이동되어 앞으로 전진한 후에,
상부프레임(11,11`)의 후면에 설치된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고정프레임(14)에 안치된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30)가 작동되어, 상기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30)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후면프레임(31)이 상승되며, 동시에 상기 상부후면프레임(31)의 양쪽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거품용기(3)의 후면부만 상승되어 상기 거품용기(3)의 내부에 축적된 거품 및 부유물질이 앞쪽으로 이송되며 이때 거품용기(3)의 후면에 설치된 분무파이프(42)에 연결된 분무노즐(43)에서 물이 분무되어 거품용기를 기울여 이송시 거품용기 바닥에 잔존하는 거품을 제거하며 공급수는 펌프(미도시)에 연결되는 관에 파이프연결구(44)을 부착시켜 거품을 세척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거품을 일일이 수동으로 그물이나 삽으로 퍼내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거품제거시 정수장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청결한 식수를 제조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처리조(40)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장치(1)와 상기 이송장치(1)와 와이어(2)로 연결되어 처리조(40)의 내부에 형성된 거품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거품용기(3)로 구성된 거품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는 처리조(40) 상부 양측에 형성된 처리조상부안내홈(41)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는 중앙부에 이송장치를 상하강 시키는 상하강유압실린더(10)가 수직으로 설치된 하부프레임(21,21`)과, 상기 하부프레임(21,21`)의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하부이동지지대안내가이드홈(23,23`)이 형성된 4개의 하부지지대(22)와, 상기 하부프레임(2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장치를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유압실린더(20,20`)과, 상기 하부프레임(21,21`)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이동롤러(24)와, 상부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강유압실린더(10)의 말단부가 결착된 상부프레임(11,11`)과,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하부 하부지지대(22)의 상하부이동지지대안내가이드홈(23)에 삽입되어 상하강되는 상하부이동부(13)가 형성된 상하부 이동지지대 (12)와, 상부프레임(1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고정프레임(14)과, 상기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거품용기(3)의 후면을 부상시키는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30)와, 상기 후면상하강유압실린더(30)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후면프레임(31)과, 상기 상하부프레임(11, 21)의 양끝단에는 한쌍의 상하부프레임(11,12)들을 연결하는 상하부연결프레임(19,29)와, 상기 이송장치(1)는 하부 거품용기(3)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쪽 전면부와 상기 상부후면프레임(31)의 후면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고정구(미도시)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이송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거품용기(3)는 배형상으로 거품 및 부유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바닥부와 선미및 선수와 양측면(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4,4`)의 하부에는 이중벽으로 측면하부내측벽(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중벽에는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거품용기(3)가 상승시 거품용기(3)에 내장된 물을 제거하여 거품 및 부유물질만 남도록 물을 배출시키는 측면제1배수통공(6), 측면제2배수통공 (7)과, 후면에 형성되어 거품용기를 기울여 이송시 거품용기 바닥에 잔존하는 거품을 제거하며 일단부에 공급관과 연결되는 분무파이프연결구(44)가 일단에 형성된 분무노즐파이프(42)와, 상기 분무노즐파이프(42)에 형성된 다수의 분무노즐(43)과, 모서리4곳에는 상부에 형성된 이송장치(2)와 와이어(3)로 연결되는 와이어고정구(미도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이송장치.
KR10-2001-0034250A 2001-06-18 2001-06-18 거품이송장치 KR100407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250A KR100407078B1 (ko) 2001-06-18 2001-06-18 거품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250A KR100407078B1 (ko) 2001-06-18 2001-06-18 거품이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123U Division KR200247248Y1 (ko) 2001-06-18 2001-06-18 거품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148A KR20010079148A (ko) 2001-08-22
KR100407078B1 true KR100407078B1 (ko) 2003-12-03

Family

ID=1971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250A KR100407078B1 (ko) 2001-06-18 2001-06-18 거품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835B1 (ko) * 2001-12-27 2007-10-30 주식회사 포스코 부유오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148A (ko) 200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4196B2 (ja) 洗浄装置
KR100407078B1 (ko) 거품이송장치
KR20100023207A (ko) 부력식 스컴 제거장치
JP4716204B2 (ja) 汚砂・し渣洗浄処理方法ならびに汚砂・し渣洗浄処理装置
KR200247248Y1 (ko) 거품이송장치
JP5019337B2 (ja) 膜モジュール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CN211910455U (zh) 蔬菜自动清洗流水线
KR101568803B1 (ko)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CN217351548U (zh) 酸洗池酸液添加除杂系统及钢管酸洗生产线
CN211910456U (zh) 自动升降双网清洗机
CN213763301U (zh) 一种便于清洁的沉淀池结构
KR102221507B1 (ko) 기포 분리기가 장착된 양어장
CN210140457U (zh) 一种用于除油及浮渣的装置
KR101816904B1 (ko) 침사 및 부유물을 동시에 처리 가능한 대차형 침사처리장치
JP2011224525A (ja) 沈降滞留物除去装置
KR101101525B1 (ko) 물분사압세척설비가 구비된 침전지자동세척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290118Y1 (ko) 거품이송장치
WO2022044564A1 (ja) 圧縮空気噴出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導水渠並びに沈殿池
JP3263023B2 (ja) 水質浄化装置
KR101717261B1 (ko)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JP3341135B2 (ja) スカム除去・処理設備
KR100622343B1 (ko) 정수시설물의 청소 방법
JPH0139838B2 (ko)
SU12832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окалино-масло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JP4158058B2 (ja) 越流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