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962B1 -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962B1
KR100406962B1 KR10-2001-0053625A KR20010053625A KR100406962B1 KR 100406962 B1 KR100406962 B1 KR 100406962B1 KR 20010053625 A KR20010053625 A KR 20010053625A KR 100406962 B1 KR100406962 B1 KR 100406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ype
signaling
switching
jump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001A (ko
Inventor
윤광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9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96Trun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LC 장비의 여러 채널 카드 중 EM 시그널링 방식을 사용하는 2wem, 4wem 유니트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신호방식을 하나의 유니트에서 모두 수용하도록 한 복수개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유니트는, EM 시그널링 방식으로 신호 교환을 수행하는 E-신호 접속단과 M-신호 접속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E-신호 접속단은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타입 선택부와; E-1 신호를 수용하여 상기 타입 선택부의 출력에 따라 국선에 대한 온/오프 후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국선 접속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유니트로 EM 시그널링 방식의 모든 타입을 수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Channel unit adaptable to multiple types of E and M signall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unit}
본 발명은 이엔엠(EM)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FLC(Fiber Loop Carrier) 장비의 여러 채널 카드 중 EM 시그널링 방식을 사용하는 2wem, 4wem 유니트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신호방식을 하나의 유니트에서 모두 수용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LC 장비는 가입자 광 전송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광 가입자망은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다양한 대량의 정보를 하나의 망으로 통합하게 될 B-ISDN(광 대역 종합정보통신망)으로 발전하기 위한 하부망인 가입자 전송로 구축을 위한 필수요건이다.
광 가입자망의 구축단계는 제1단계로 대용량 가입자까지 광케이블을 포설한 FTTO(Fiber To The Office), 제2단계는 수요 밀집지역까지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FTTC(Fiber To The Curb), 최종적으로 제3단계는 가입자 댁내까지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FTTH(Fiber To The Home) 형태로 발전되어갈 전망이다.
도1에는 가입자 전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따르면, FLC 장비는 시분할 펄스 부호방식에 의한 모국/자국 운용으로 원거리 집단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장치로써 DS0 다중화 장치와 전송장치로 구성된다. DS0 다중화 장치는 공중회선교환통신망(PSTN)(100)에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들을 접속하여 DS1급 또는 DS1E급으로 다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송장치는 입력된 DS1급 또는 DS1E급 신호를 DS3급으로 다중화하여 90M급 광신호로 변환한 후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전송장치는 설치장소에 따라 전화국에 설치하는 모국(COT 또는 Central Office Terminal)용 가입자 전송장치(110)와 가입자측에 설치하는 자국(RT 또는 Remote Terminal)용 가입자 전송장치(120)로 분류할 수 있다.
FLC 장비의 모국과 자국간 인터페이스는 DLC(Digital Loop Carrier)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 DLC 시스템의 자국장치에 존재하는 채널 유니트들 중 2wem, 4wem은 국내의 EM 시그널링 방식을 만족시킨다. 2wem, 4wem은 아날로그 전용선으로 사용되는 유니트이고 E(Ear), M(Mouth)은 국선이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2wem은 2선식이며, 4wem은 4선식이다.
EM 시그널링 방식은 5가지 타입이 있는데, 국내에서 사용되는 EM 시그널링 방식은 타입5이다.
도2에는 EM 시그널링 방식의 타입5를 구현한 유니트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3에는 EM 시그널링 방식의 타입5의 적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E선은 DLC 시스템(310)에서 다른 사설 교환기(320)나 가입자로 신호를 보내는 선이다. M선은 사설 교환기(320)나 가입자로부터 신호를 받는 선이다.
타입5에서 E선은 개방(Open) 또는 접지(Ground) 상태로 존재한다.
온 후크(On-Hook)시 E선은 개방되며 국선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오프 후크(Off-Hook)시 E선은 접지되며 국선은 사용중인 상태가 된다.
M은 사설 교환기나 가입자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사설 교환기(320)나 가입자가 온 후크 상태인 경우에는 M-1은 하이 상태가 된다. 여기서 M-1은 PGA(Programmable Gate Array)로 들어가서 시그널 상태를 알리게 된다. 사설 교환기(320)나 가입자가 오프 후크 상태인 경우에는 M-1이 로우 상태가 되어 PGA에서 시그널 상태를 처리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 채널 유니트들에 대해 국내의 EM 시그널링 방식만을 만족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해당 유니트들은 다른 타입의 시그널링 방식에 대한 적응성이 없었다. 따라서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타입을 수용하는 유니트를 만들어야 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5가지 유니트가 필요하게 되어 시스템의 개발 단계에서 유니트의 설계 비용, 회로기판의 제작 비용 등이 과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FLC 장비의 여러 채널 카드 중 EM 시그널링 방식을 사용하는 2wem, 4wem 유니트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신호방식을 하나의 유니트에서 모두 수용하도록 한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는, EM 시그널링 방식으로 신호 교환을 수행하는 E-신호 접속단과 M-신호 접속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E-신호 접속단은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타입 선택부와; E-1 신호를 수용하여 상기 타입 선택부의 출력에 따라 국선에 대한 온/오프 후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국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FLC 장비의 DLC 시스템에 구비된 다수의 점퍼 스위치를 조작하여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타입을 하나의 유니트에서 수용하여 교환기와 신호 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제어방법은, DLC 시스템에서 EM 시그널링 방식의 가능한 타입들중에서 어느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E-신호 접속단과 M-신호 접속단의 각 스위칭 소자를 상기 선택된 타입에 따라 조작하여 해당 타입의 EM 시그널링 방식으로 상기 DLC 시스템과 교환기간의 신호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가입자 전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종래의 EM 시그널링 방식의 타입5를 구현한 유니트의 회로도.
도3은 종래의 EM 시그널링 방식의 타입5의 적용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E-신호 접속단의 회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M-신호 접속단의 회로도.
도6은 본 발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 타입1에의 적용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 타입2에의 적용예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 타입3에의 적용예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 타입4에의 적용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 타입5에의 적용예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제어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0 : E-1 신호 접속부 420 : 타입 선택부
421, 422 : 점퍼 스위치 430 : 국선 접속부
431 : 트랜지스터 432 : 다이오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E-신호 접속단의 회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M-신호 접속단의 회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 타입1에의 적용예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 타입2에의 적용예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 타입3에의 적용예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 타입4에의 적용예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 타입5에의 적용예시도이다.
도4에 따르면, E-신호 접속단은 EM 시그널링 방식에 따른 E-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타입을 선택하는 타입 선택부(420)와, PGA에 연결된 E-1 신호를 수용하여 타입 선택부(420)의 출력에 따라 국선으로 온/오프 후크 신호를 출력하는 국선 접속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E-1 신호를 수용하여 국선 접속부(430)로 인가하는 경로상에 위치한 E-1 신호 접속부(410)에서 -5V의 VEE와 +5V의 VCC를 접속시킨다. VEE와 VCC의 사용은 종래와 같다.
타입 선택부(420)의 각 스위칭 소자는 점퍼 스위치(421, 422)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점퍼 스위치(421, 422)는 운용자에 의해 연결 또는 차단되는 것으로, 두 개의 핀이 각 선에 한쪽만 접속되어 있어 점퍼 캡(Jumper Cap)을 씌우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되고 캡을 씌운 상태에서 연결되는 체계로 그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진다.
국선 접속부(420)는 트랜지스터(431)와 다이오드(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트랜지스터(431)는 PNP형으로 베이스 단자로 E-1 신호를 수용하고 에미터 단자로 타입 선택단(420)의 출력을 수용하여 스위칭 작용을 한다. 트랜지스터(431)의 컬렉터 단자는 다이오드(432)에 정방향으로 접속된다. 다이오드(432)는 E-신호선에 접속되어 해당 신호선을 통한 역방향 전류의 유입을 방지한다.
점퍼 스위치1(421)은 시스템 접지(SG)와 트랜지스터(431)의 에미터 단자간의 스위칭을 담당하고, 점퍼 스위치2(422)는 일반 접지와 트랜지스터(431)의 에미터 단자간 스위칭을 담당한다.
그리고 도5에 따르면, M-신호 접속단은 국선의 M-신호선에 접속되어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타입을 선택하는 M-신호 스위칭부(510)와, 시스템 배터리(SB)에 접속되어 -48V의 출력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전원 스위칭부(520)와, M-신호 스위칭부(510)의 출력을 M-1 신호로 결합시켜 PGA로 전달하는 결합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신호 스위칭부(510)는 4개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 스위칭 소자는 운용자의 선택으로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점퍼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즉 M-신호 스위칭부(510)는 점퍼 스위치1(511)과 점퍼 스위치4(514)를 병렬 연결하고, 점퍼 스위치1(511)쪽에서 점퍼 스위치2(512)를 일반 접지에 연결하며, 점퍼 스위치4(514)쪽에서 점퍼 스위치3(513)을 -48V 전위에 연결시킨다.
전원 스위칭부(520)는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며, 이 또한 점퍼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점퍼 스위치5(521)는 시스템 배터리(SB)와 -48V간의 스위칭 기능을 담당하며, 점퍼 스위치6(522)은 시스템 배터리(SB)와 일반 접지간의 스위칭 기능을 담당한다.
결합부(530)는 광 결합기(Photo Coupler)를 이용하여 M-신호 스위칭부(510)의 출력을 M-1 신호로 PGA에 전달하며, 그 출력을 VCC로 연결한다.
이러한 E-신호 접속단과 M-신호 접속단을 이용하여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유형에 적응할 수 있다.
여기서 EM 시그널링 방식의 5개 타입에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도6에 따르면, 타입1의 경우에 E선은 국선이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 온 후크시 개방되며, 국선이 사용중인 상태에서 오프 후크시 접지된다. E선은 DLC 시스템(610)이 국선의 사용여부를 교환기(620)나 가입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 개방 또는 접지로써 신호 전달을 수행한다. 이 신호를 전달받는 교환기(620)는 DLC 시스템(610) 쪽의 상태를 알 수 있다.
M선은 교환기(620)의 상태를 DLC 시스템(610)에 알려주기 위한 신호선으로, 온 후크시 접지되고 오프 후크시에는 -48V와 연결된다. 이 신호를 받게 되는 DLC 시스템(610)은 교환기(620)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7에 따르면, 타입2의 경우에 타입1과 달리 E선의 접지를 교환기(620)와 일치시킨다. 그리고 M선의 경우에는 온 후크시 개방시키고 오프 후크시 DLC 시스템(610)의 -48V와 연결시켜 DLC 시스템(610)의 상태를 교환기로 전달한다.
도8에 따르면, 타입3의 경우에 E선은 온 후크시 개방되고 오프 후크시 DLC 시스템(610)의 접지와 연결된다. M선은 온 후크시 교환기(620)에서 DLC 시스템(610)의 접지에 연결된 시스템 접지(SG)와 연결되고, 오프 후크시 DLC 시스템(610)의 -48V에 연결된 시스템 접지에 연결되어 DLC 시스템(610)으로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도9에 따르면, 타입4의 경우에 E선은 온 후크시 개방되고 오프 후크시 교환기(620)의 접지와 시스템 접지(SG)를 통해서 연결된다. M선은 교환기(620)에서 온 후크시 개방 상태가 되고, 오프 후크시 DLC 시스템(610)의 접지와 시스템 배터리(SB)를 통해서 연결되어 교환기(620)의 상태를 DLC 시스템(610)에 통지한다.
도10에 따르면, 타입5의 경우에 E선은 온 후크시 개방되고, 오프 후크시 접지를 교환기(620)에 알리게 된다. M선은 교환기(620)측에서 온 후크시 개방되고, 오프 후크시 접지로 DLC 시스템(610)에 상태를 전달한다.
이상과 같은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타입에 E-신호 접속단과 M-신호 접속단을 적응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11에 따르면, DLC 시스템(610)에서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타입중에서 어떤 타입을 채택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진다. 타입 선택은 운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운용자는 EM 시그널링 방식의 5개 타입중 임의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S11).
여기서 타입1이 선택된 경우, 운용자는 E-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2(422)를 일반 접지와 연결시킨다. 그러면 PGA에서 입력되는 E-1 신호가 하이일 때 트랜지스터(431)가 개방되어짐으로써 E선을 통해 교환기(620)로 온 후크 상태가 통지된다. 한편, E-1 신호가 로우일 때에는 트랜지스터(431)와 일반 접지가 연결되어 E선을 통해 교환기(620)로 오프 후크 상태가 통지된다(S12).
그리고 M-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2(512)와 점퍼 스위치4(514)를 연결시킨다. 그러면 교환기(620)의 온 후크시 M선이 접지되어 광 결합기(531)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개방상태가 됨으로써 M-1선으로 하이 신호가 전달된다. 교환기(620)의 오프 후크시에는 M선이 -48V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면, 광 결합기(531)가 동작하여 일반접지와 연결되어 M-1로 로우 신호를 보내서 PGA 내부에서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S13).
단계 S11에서 타입2가 선택된 경우, 운용자는 E-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1(421)을 연결시킨다. 그러면 시스템 접지(SG)가 트랜지스터(431)로 연결된다. 타입1과 달리 시스템 접지(SG)를 통해서 교환기(620)의 접지와 연결된다(S14).
더불어 M-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2(512), 점퍼 스위치4(514), 점퍼 스위치5(521)를 모두 연결시킨다. 그러면 교환기(620)의 온 후크시 M선이 개방되어 광 결합기(531)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으로써 개방상태가 되고 M-1선으로 하이 신호가 전달된다. 교환기(620)의 오프 후크시에는 M선이 DLC 시스템(610)의 -48V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광 결합기(531)가 동작하여 일반접지와 연결되어 M-1선으로 로우 신호를 보낸다(S15).
단계 S11에서 타입3이 선택된 경우, 운용자는 E-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1(421)과 점퍼 스위치2(422)를 모두 연결시킨다. 그러면 일반접지와 시스템 접지(SG)가 트랜지스터(431)에 모두 연결된다. 따라서 교환기(620)쪽에서 시스템 접지를 통해서 DLC 시스템(610)의 접지와 연결된다(S16).
이때 M-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2(512), 점퍼 스위치4(514), 점퍼 스위치5(521)를 각각 연결시킨다. 그러면 교환기(620)의 온 후크시 M선이 DLC 시스템(610)의 일반접지와 연결되어 광 결합기(531)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으로써 개방상태가 되고 M-1선으로 하이 신호가 전달된다. 교환기(620)의 오프 후크시에는 M선이 시스템 배터리(SB)를 통해서 DLC 시스템(610)의 -48V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광 결합기(531)가 동작하여 일반접지와 연결되어 M-1선으로 로우 신호를 보내면, PGA 내부에서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S17).
단계 S11에서 타입4가 선택된 경우, 운용자는 E-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1(421)을 연결시켜 트랜지스터(431)에 시스템 접지(SG)를 연결시킨다. 그러면 DLC 시스템(610)은 교환기(620)의 접지와 시스템 접지(SG)를 통해서 연결된다(S18).
여기서 M-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1(511), 점퍼 스위치3(513), 점퍼 스위치6(522)을 각각 연결시킨다. 그러면 교환기(620)의 온 후크시 M선이 개방되어 광 결합기(531)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으로써 개방상태가 되고 M-1선으로 하이 신호가 전달된다. 교환기(620)의 오프 후크시에는 M선이 시스템 배터리(SB)를 통해서 DLC 시스템(610)의 접지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광 결합기(531)가 동작하여 일반접지와 연결되어 M-1선으로 로우 신호를 전달한다(S19).
단계 S11에서 타입5가 선택된 경우, 운용자는 E-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2(422)를 연결시켜 트랜지스터(431)에 일반접지를 연결시킨다. 이는 타입1에서와 같다(S20).
그리고 M-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1(511)과 점퍼 스위치3(513)을 연결시킨다. 그러면 교환기(620)의 온 후크시 M선이 개방되어 광 결합기(531)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으로써 개방상태가 되고 M-1선으로 하이 신호가 전달된다. 교환기(620)의 오프 후크시에는 M선이 접지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광 결합기(531)가 동작하여 일반접지와 연결되어 M-1선으로 로우 신호를 전달하며, PGA 내부에서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S21).
이로써 EM 시그널 방식의 5개 타입에 모두 적응할 수 있는 채널 유니트를 구현하고, 이 유니트를 각 타입에 따라 가변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5가지 각 타입에 따른 유니트를 만들 필요없이 하나의 유니트로 모든 타입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다섯가지의 EM 시그널링 방식에 모두 적응할 수 있는 유니트를 구성함으로써 하드웨어의 변경없이도 점퍼 스위치의 조작으로 서로 다른 시그널링 방식을 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4)

  1. DLC 시스템에서 EM 시그널링 방식에 의한 신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해 교환기의 E선에 접속되는 E-신호 접속단과 상기 교환기의 M선에 접속되는 M-신호 접속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E-신호 접속단은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타입 선택부와; E-1 신호를 수용하여 상기 타입 선택부의 출력에 따라 국선에 대한 온/오프 후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국선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 선택부는,
    시스템 접지와 상기 국선 접속부간의 연결상태를 스위칭 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1과;
    상기 스위칭 소자1과 상기 국선 접속부간을 연결하는 노드에 접속되어 상기 노드와 접지간의 연결상태를 스위칭 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국선 접속부는.
    베이스 단자로 E-1 신호를 수용하고 에미터 단자로 상기 타입 선택단의 출력을 수용하여 스위칭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의 출력을 상기 E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신호 접속단은,
    상기 교환기의 M선에 접속되어진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상기 EM 시그널링 방식의 각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M-신호 스위칭부와;
    시스템 배터리에 접속되며, 다수개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설정된 전압의 출력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전원 스위칭부와;
    상기 M-신호 스위칭부의 출력을 M-1 신호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M-신호 스위칭부는,
    4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병렬 연결하고 상기 병렬 연결된 스위칭 소자중의 어느 하나의 출력단에서 제3의 스위칭 소자를 접지에 연결하며 상기 병렬 연결된 스위칭 소자중의 다른 하나의 출력단에서 제4의 스위칭 소자를 설정된 전위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부는,
    시스템 배터리와 설정된 전위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 소자5와,
    시스템 배터리와 접지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 소자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7. 제 4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광 결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8. 제 2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두 개의 핀이 각 선에 한쪽만 접속되어 있어 점퍼 캡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 상태가 전환되어지는 점퍼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
  9. DLC 시스템에서 EM 시그널링 방식의 가능한 타입들중에서 어느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E-신호 접속단과 M-신호 접속단의 각 스위칭 소자를 상기 선택된 타입에 따라 조작하여 해당 타입의 EM 시그널링 방식으로 상기 DLC 시스템과 교환기간의 신호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입이 EM 시그널링 방식의 타입1인 경우,
    E-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2를 연결하고, M-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2, 점퍼 스위치4를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제어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입이 EM 시그널링 방식의 타입2인 경우,
    E-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1을 연결하고, M-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2, 점퍼 스위치4를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제어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입이 EM 시그널링 방식의 타입3인 경우,
    E-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1, 점퍼 스위치2를 각각 연결하고, M-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2, 점퍼 스위치4, 및 점퍼 스위치5를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제어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입이 EM 시그널링 방식의 타입4인 경우,
    E-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1을 연결하고, M-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1, 점퍼 스위치3, 및 점퍼 스위치5를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제어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입이 EM 시그널링 방식의 타입5인 경우,
    E-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2를 연결하고, M-신호 접속단의 점퍼 스위치1, 점퍼 스위치3을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 유니트의 제어방법.
KR10-2001-0053625A 2001-08-31 2001-08-31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KR10040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625A KR100406962B1 (ko) 2001-08-31 2001-08-31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625A KR100406962B1 (ko) 2001-08-31 2001-08-31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001A KR20030019001A (ko) 2003-03-06
KR100406962B1 true KR100406962B1 (ko) 2003-11-28

Family

ID=2772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625A KR100406962B1 (ko) 2001-08-31 2001-08-31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9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1914A (en) * 1994-07-21 1996-05-28 Newbridge Networks Corporation Switched access to frame relay
KR970007454U (ko) * 1995-07-13 1997-02-21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두가지 신호타입에 따른 이/엠 신호검출회로
KR19980076844A (ko) * 1997-04-15 1998-11-16 송재인 교환기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이엔드엠 유니트
KR20000047206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위성통신시스템용 아날로그 트렁크 인터페이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1914A (en) * 1994-07-21 1996-05-28 Newbridge Networks Corporation Switched access to frame relay
KR970007454U (ko) * 1995-07-13 1997-02-21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두가지 신호타입에 따른 이/엠 신호검출회로
KR19980076844A (ko) * 1997-04-15 1998-11-16 송재인 교환기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이엔드엠 유니트
KR20000047206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위성통신시스템용 아날로그 트렁크 인터페이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001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484B1 (ko) 단일 전화 회선 상의 전화 통신 시스템
US6301340B1 (en) Mechanism for providing emergency POTS service in event of loss of power to customer premises equipment for ISDN telephone lines
US7653015B2 (en) Local area network of serial intelligent cells
EP0663127A1 (en) Shared common in-house wiring to permit multiple telephone carriers to serve the same customer
UA46024C2 (uk) Мережне вхідне обладнання та телекомунікаційне обладнання, що містить мережне вхідне
KR100406962B1 (ko) 복수개 타입의 이엔엠 시그널링 방식을 수용한 채널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US6614802B1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with remotely controllable, line multi-interface and telecommunication method
US6070213A (en) Telecommunications terminal
KR100351737B1 (ko) 2 와이어 실선을 이용하여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키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KR100336512B1 (ko) 간이 사설교환기의 내장형 네트워크 단말 장치
JPS62123845A (ja) D−5チヤネルバンク制御構造及びコントロ−ラ
KR0147506B1 (ko) 개선된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
US7209552B2 (en) Tele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151750B2 (en) ISDN alarm notification system
Bertine Physical interfaces and protocols
KR20000069700A (ko) 전화 네트워크 액세스 어댑터
JPH10126515A (ja) データストリーム変換装置
JPH06133028A (ja) アナログ/ディジタル回線混在収容システム
KR20010063838A (ko) 비 채널 데이터 교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종합정보통신망용 단말기
JPH11177693A (ja) 回線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