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996B1 - 샌드위치구조물 - Google Patents

샌드위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996B1
KR100405996B1 KR10-1998-0700161A KR19980700161A KR100405996B1 KR 100405996 B1 KR100405996 B1 KR 100405996B1 KR 19980700161 A KR19980700161 A KR 19980700161A KR 100405996 B1 KR100405996 B1 KR 100405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wich structure
core
core unit
wall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860A (ko
Inventor
제레미 데이비드 레하디 기톤
Original Assignee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filed Critical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ublication of KR1999002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spaced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샌드위치 구조물은 제 1 방향 (Ⅱ-Ⅱ) 으로는 인접한 코어 유니트 (3) 가 실질적으로 정렬된 반면에, 또 다른 방향 (Ⅲ-Ⅲ) 으로는 적어도 일부의 인접한 코어 유니트 (3) 가 부분적으로 상호간에 접하고, 상기 제 2 방향 (Ⅲ-Ⅲ) 보다 일반적으로 큰 상호간 공간 (7) 에서 코어 유니트 (3) 가 상기 제 1 방향 (Ⅱ-Ⅱ) 으로 설치되도록 구조물의 벽 (1 및 2) 사이에 엇갈린 형태로 배열된 코어 유니트 (3) 의 배열을 포함하는 코어를 갖는다. 이렇게 형성된 코어는, 굴곡된 구조물에 일치할 수 있고 엇갈린 상호간 공간 (7) 은 코어 웨브내에 어떠한 관통 틈새도 형성되지 않도록 장식 가능하여, 벽 (1 및 2) 및 벽 사이에서 균열 형성의 위험과 코어가 최소화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샌드위치 구조물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한 쌍의 벽과 상기 벽 사이에 설치된 코어를 갖는 샌드위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런 형태의 샌드위치 구조물은 예컨대 프랑스 특허 명세서 제 2.038.668 호 및 제 2.325.503 호와, 스위스 특허 명세서 제 394,566 호 및 유럽 특허 명세서 제 281689 호와 영국 특허 명세서 제 2138551 호 및 제 2263164 호에 공지되어 있다.
특히, 후자의 선행기술 참고자료는, 상기 벽 사이의 제 1 방향으로는 인접한 코어 유니트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횡단하는 상기 벽 사이의 제 2 방향으로는 적어도 일부의 인접 코어 유니트가 부분적으로 상호간 접하도록 엇갈린 형태로 배열된 코어 유니트의 배열을 코어가 포함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공지된 코어가 다수의 응용분야에 적합할지라도 이 코어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굴곡에 상응하는 그 능력이 제한되고, 장식 코어 (drapeable core) 를 형성하도록 인접한 코어 유니트의 열 (row) 사이에 신장 틈새가 존재한다는 결점을 갖는다. 이들 틈새는 벽이 지지되지 않는 신장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신장 영역에서 벽들은 고응력을 받아서 벽 또는 벽 사이에 균열이 생길 수 있으며 구조물은 사용시에 심하게 부하를 받는 경우 코어를 개발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구조물이 복합의 굴곡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틈새가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서는 균열의 위험이 특히 높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이 복잡한 형태를 갖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강한 코어를 갖는 샌드위치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상 장식 가능하고 코어 웨브에 관통 틈새를 형성하지 않아서 그의 구조상 완전성을 보유하는 코어를 갖는 샌드위치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물의 제조 공정중에 구조물의 코어와 벽 사이에 공기 함정에 거의 걸리지 않는 샌드위치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껍질 시작점을 최소화 시키도록 코어 웨브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균형잡힌 거대한 코어 대 접촉면 접착 영역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중에 연속적인 충격 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코어와 접착면 사이의 어떤 탈착 (debond) 의 전개를 억제하는 일체식 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물은 상기 제 2 방향 보다 일반적으로 큰 상호 공간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설치된 코어 유니트의 배열을 갖는 코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장식 코어를 제공하도록 인접한 코어 유니트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틈새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 틈새들은 엇갈리므로 벽들이 코어 유니트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신장 영역을 형성하지 못하게 하여, 벽에 또는 벽과 코어 사이에 균열 전개의 위험이 최소화시킬 수 있는 사상에 기초한다.
코어 유니트는 인접한 관형 단면의 개구들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엇갈린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형의 관형 단면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침투성 코어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냉각, 가열, 또는 냉각과 가열 유체가 순환한다. 선택적으로는 코어 유니트는 개구들이 구조물의 벽들과 접하도록 개구들을 상부와 하부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이 더 큰 관통 두께 압축강도와 전단강도를 제공하지만 코어 대 접촉면 부착 영역을 감소시키고, 샌드위치 벽 사이의 유체유동이 제한된다 (또는 코어 유니트 웨브가 관통된 경우 제한된다).
코어 유니트는 그의 일측에서 샌드위치 구조물의 벽들 중 하나의 벽에 후에 박층되거나 또는 부착되는 캐리어 클로쓰 또는 패브릭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캐리어 클로쓰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위치에 있을 때에 인접한 코어 유니트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각각 접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코어 유니트가 캐리어 클로쓰에 부착되어 인접하여 정렬된 코어 유니트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도록 하여 이들 틈새는 코어 높이의 0.04 내지 0.4 배의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에 코어 유니트는 사각형의 관형 단면이고 그 관형 단면의 개구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된 경우, 이들 단면들의 측벽이 좁은 틈새내로, 아니면 이들 측벽 사이로 유동하게 될 수지에 의해 인접한 단면의 측벽에 일반적으로 부착되어, 수지가 일단 경화되면 이렇게 용융된 측벽은 구조물의 중요한 강화재를 제공하는 장식 I 빔을 형성하도록 한다. 어떤 수지도 좁은 틈새내로 유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접한 코어 유니트의 측벽은 상호간 지지하여 버클링 (buckling) 의 위험을 줄여서 장식 I 빔 구조물을 만들게 한다.
캐리어 클로쓰가 샌드위치 구조물의 벽의 굴곡 내면에 박층된 경우 코어는 벽이 여러 방향에서 큰 굴곡을 갖는 영역 위에 놓일 수 있다. 즉, 코어는 장식 코어이다.
샌드위치 구조물의 코어 유니트, 벽, 또는 코어 유니트와 벽은 섬유 강화 프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코어 유니트가 유연한 수지 (compliant resin) 로 샌드위치 구조물의 벽, 캐리어 클로쓰, 또는 샌드위치 구조물의 벽과 캐리어 클로쓰에 박층되거나 또는 부착된 경우 구조물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또는 파이프라인 등의 냉각유체용 수용수단의 일부를 적절하게 형성한다. 샌드위치 구조물이 반복되는 충격을 받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벽, 캐리어 클로쓰, 또는 벽과 캐리어 클로쓰에 코어 유니트를 박층시키는 것이 또한 유용하다.
샌드위치 구조물이 선체 (hull), 칸막이, 보우 (bow), 데크, 보도 또는 저장탱크 등의 선박의 관형, 평면 또는 굴곡의 구성요소인 경우 탈박의 위험없이 반복되는 충격에 견디는 구조물의 성능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물이 파이프의 제조로 사용된 경우, 원주방향으로는 짧게 엇갈린 길이로, 축방향으로는 긴 길이로, 코어를 내부 및 외부 파이프벽 사이에 설치하거나, 또는 사용의 편익을 위한 경우에는,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를 내부 파이프벽에 대하여 나선방향으로 엇갈리게 하여 패브릭 캐리어 테이프를 감아서 코어를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테이프의 종방향에서 본 경우, 코어 유니트는 두 개의 신장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와 세 개의 짧은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의 교대 열 (row) 에 설치된다.
각각의 열에서 인접한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의 개구들이 상호간 접하고 이들 인접한 개구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는 반면에, 테이프의 인접한 단부들이 연속적인 피치각도로 내부 파이프벽에 캐리어 테이프가 감기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들 특징과 기타 특징, 샌드위치 구조물의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선 Ⅱ-Ⅱ 를 따라 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 1 의 샌드위치 구조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선 Ⅲ-Ⅲ 을 따라 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 1 의 샌드위치 구조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구조물의 벽들이 선 Ⅲ-Ⅲ 의 방향으로 굴곡된 도 1 의 샌드위치 구조물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구조물의 벽들이 선 Ⅲ-Ⅲ 의 방향으로 굴곡된 도 1 의 샌드위치 구조물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유니트의 엇갈림 배열 (staggered array) 을 포함하는 이중벽 파이프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확대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샌드위치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한 쌍의 벽 (1 및 2) 과 엇갈림 배열의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 (3) 를 포함한다. 코어 유니트는 그 일측에 구조물 벽 (1) 중 하나의 벽에 박층되거나 또는 부착된 캐리어 클로쓰 (carrier cloth) (4) 에 각각 부착된다.
그 다음 구조물의 또 다른 벽과 밀폐 패브릭 (closure fabric) (6) 은 코어 유니트 위에서 박층되거나 부착되어 외면을 형성한다.
코어 유니트 (3) 는 인접한 관형 단면의 개구 (5) 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선택된 상호 거리 (7) 로 이격되어 선 Ⅱ-Ⅱ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반면 인접한 관형 단면의 측벽들은 선 Ⅲ-Ⅲ 의 방향으로 실질적인 상호 공간 없이 상호간 부분적으로만 접하도록 엇갈린 사각형의 관형 단면으로 구성된다.
캐리어 클로쓰 (4) 에 코어 유니트 (3) 를 부착시켜서 코어는 자동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제조된 코어가 용이하게 수송될 수 있도록 코어 유니트 (3) 가 이렇게 감긴 캐리어 클로쓰 (4) 의 외면상에 설치될 때에 캐리어 클로쓰 (4) 는 선 Ⅲ-Ⅲ 또는 선 Ⅱ-Ⅱ 와 평행한 축선에 대하여 용이하게 감길 수 있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구조물이 굴곡된 표면에 일치할 수 있도록 볼록한 경우에 선 Ⅱ-Ⅱ 의 방향 및 선 Ⅲ-Ⅲ 의 방향으로 코어는 장식 가능하다. 벽들 (1 및 2) 의 굴곡을 교대로 하면, 선 Ⅲ-Ⅲ 방향으로 오목한 것을 포함하여 날카롭게 된 경우, 캐리어 클래쓰 (4) 는 부분적으로 슬리트 (slit) 될 수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전환된 패치 (patch) 를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복합의 주름을 수용하도록 한다. 이것이 가열 또는 가압할 필요없이 그리고 코어 웨브 (web) 에 관통 틈새를 형성시키지 않고서 전단 취약성을 일으키는 복합의 굴곡 영역 위에 용이하게 박층될 수 있는 구조물의 코어를 만든다.
구조물의 벽 (1 및 2) 및 코어 유니트 (3) 는 도시된 예에서 이소프탈릭 폴리이스터, 유리강화 비닐 이스터 또는 에폭시 수지, 아라미드 또는 탄소 필라멘트 등의 섬유강화 프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금속 및 열가소체 등의 기타 성형성 재료가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물에 동일하게 사용하기가 적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거의 사각형인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 (3) 를 엇갈리게 사용하는 것이 유니트 (3) 가 벽 (1) 에 박층되어 벽 (2) 을 형성하는 밀폐 라미네이트에 의해 피복될 때에 유니트 (3) 의 가장자리 (rim) 로 그리고 가장자리에서 유니트의 내부를 통하여 짧은 복수의 공기 탈출 통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그러므로, 코어 유니트 (3) 와 벽 (1 및 2) 사이에 임의의 공기 함정 (air entrapment) 을 제거하도록 큰 압력을 가하지 않고서 샌드위치 구조물이 조립될 수 있다. 함정된 임의의 공기가 벽 코어 인터페이스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어 코어 유니트 (3) 의 내부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임의의 공기 함정을 회피하기 위하여 유니트 (3) 사이의 침투성 밀폐 클로쓰와, 코어 유니트 (3) 와 또 다른 벽 사이의 침투성 밀폐 클로쓰 (6) 의 존재는 중요하지 않다.
인접한 코어 유니트 사이의 짧은 틈새의 존재는 임의의 벽 (1 및 2) 과 일부의 코어 유니트 (3) 사이에 어떤 탈박 (delamination) 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탈착 억제 가능성 (debond arrest capability) 을 또한 제공한다.
경화 에폭시 (toughened epoxy),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유연한 수지로 코어 유니트 (3) 를 벽 (1 및 2) 과 캐리어 클로쓰 (4) 에 결합하여 탈막의 위험을 또한 줄일 수 있다.
박층 수지 또는 여러 구성성분 사이의 접착제로서 유연한 수지를 사용하면 샌드위치 구조물이 반복된 충격에 저항하기 적절하게 그리고 냉동 용역에 있어서의 사용에 적절하게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물은 선박 기타 선체와 해상용 구조물의 파이프 라인, 지지빔, 보우를 갖는 선체, 칸막이, 케이블 트레이, 트렁크 (trunk), 탱크와 칸막이, 및 부분적으로는 육상 수송 및 유상 기초의 차량과 구조물의 클래딩 (cladding), 벽, 지붕, 층 (floor), 트렁크, 파이프, 탱크와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사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샌드위치 구조물은 선박과 육상용 돔형과 원통형 LNG 탱크 등의 냉동 용역용 파이프 라인과 탱크에 있어서의 사용을 또한 제공한다.
정열된 개구를 갖는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 (3) 의 존재는 벽 (1 및 2) 사이의 유체 통로를 허용하는 침투성 코어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체 통로는 화재차단을 달성하도록 냉각유체에 의해 벽을 냉각시키고, 누출, 고장감지, 또는 누출과 고장감지와, 열교환과, 절연을 증가시키도록 벽 (1 및 2) 사이에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설정된 유체는 예컨대 열 또는 청각 (acoustic) 절연 목적용의 상기 정렬된 개구를 통해서 또한 유입될 수 있다.
샌드위치 구조물이 파이프 라인의 관형의 벽을 형성하면, 이 파이프 라인은 두 개의 독립한 유체를 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 을 지금부터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벽의 프라스틱 파이프가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는 내벽 (10) (점선으로 도시됨) 과 외벽 (11) 과 이들 벽 사이에 엇갈리게 배열된 코어 유니트 (12) 의 배열을 포함하는 코어를 포함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유니트 (12) 는 내부 파이프벽 (10) 에 나선형으로 감긴 신장된 폴리이스터 패브릭 캐리어 테이프 (13) 상에 설치된다.
도 6 및 도 7 의 화살표로 나타낸, 캐리어 테이프 (13) 의 종방향에서 도시하면, 코어 유니트 (12) 는 신장된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 (12A) 와 세 개의 짧은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 (12B) 의 열 (row) 이 교대로 설치된다.
각각의 열에 있어서 틈새 (14) 는 인접한 코어 유니트 (12) 사이에 존재하고, 이 인접한 코어 유니트 (12) 의 개방단부는 틈새와 접한다. 또한, 코어 유니트 (12) 는, 캐리어 테이프 (13) - 코어 유니트 (12) 의 공유영역에서 인접한 열의 코어 유니트 (12A, 12B) 가 이들 사이에 공간없이 차례로 놓이고 세 개의 짧은 코어 유니트 (12B) 의 각각의 열 중간에 있는 코어 유니트 (12B) 가 두 개의 신장된 코어 유니트 (12A) 의 각각의 인접한 열의 코어 유니트 (12A) 의 측면들과 부분적으로만 접하도록, 캐리어 테이프 (13) 상에 설치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의 인접한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발생한 테이프 (13) 의 인접한 와인딩의 코어 유니트의 개구의 위치가 엇갈리거나, 정렬되거나 또는 벽들 사이의 유체 채널을 방해하지 않고서 임의의 중간 위치에 있을 수 있는 피치각도로 테이프 (13) 는 내벽 (10) 에 대해 나선으로 감긴다.
도 6 에 도시된 파이프 단면은 하나의 파이프 단부의 수컷형 단부 (15) 가 인접한 파이프 단면의 암컷형 단부 (16) 내에서 정확하게 끼워지는 형태의 수컷형 단부 (15) 와 암컷형 단부 (16) 를 포함한다.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유니트 (12) 는 코어가 링 (ring) 형의 단부를 갖도록 파이프 단면의 각각의 단부에서 이격하여 기계가공된다.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 (12) 는 약간 나선형으로 관형의 유체 채널을 파이프 단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제공하여 이를 통해 냉각 또는 기타 유체가 양수 (pumping) 될 수 있도록 한다.
파이프 단면의 수컷형 단부 (15) 에는 관형 홈 (17) 이 내부 및 외부 파이프 벽의 외면 쪽으로 기계조립된다. 홈 (17) 내에 O 링 (도시되지 않음) 을 사용하여 삽입시키면 파이프벽 (10 및 11) 사이의 코어에 의해 제공된 유체채널과, 이들 파이프 내부와 파이프 외부 사이에 유밀 밀봉을 제공한다.
도 6 은 파이프와 코어 유니트의 개략도를 제공하지만 코어 유니트는 정밀한 사시도로 도시하지 않았음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형의, 굴곡 또는 평면형 샌드위치 구조물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도중에 어떤 유체도 코어를 통과하지 못한다면, 구조물은 이중의 완전성 수용 (containment) 을 제공한다.
상술한 또는 기타 적용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물은 코어 유니트와 벽 사이에 공기 함정의 큰 위험이 없으면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대량생산에 적합한 견고한 경량의 패널, 튜브 또는 구조물을 제공한다.

Claims (18)

  1. 실질적으로 평행한 한 쌍의 벽과 상기 벽 사이에 설치된 코어를 갖는 샌드위치 구조물로서, 상기 코어는 상기 벽 사이의 제 1 방향으로는 인접한 코어 유니트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상기 벽 사이의 제 2 방향으로는 적어도 일부의 인접한 코어 유니트가 상호간 부분적으로 접하도록 엇갈린 형태로 설치된 코어 유니트의 배열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코어 유니트는 상기 제 2 방향 보다 일반적으로 큰 상호간 공간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유니트는 인접한 관형 단면의 개구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향하여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엇갈린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관형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유니트는 인접한 관형 단면의 개구가 상기 구조물의 벽과 접하도록 엇갈린 사각 또는 경사의 관형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유니트는 그의 일측에서 상기 샌드위치 구조물의 벽들 중 하나의 벽에 박층되거나 또는 부착된 패브릭 또는 캐리어 클로쓰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유니트는 상기 캐리어 클로쓰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위치에 있을 때에 인접한 코어 유니트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호간 접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캐리어 클로쓰에 부착되어 인접하여 배열된 코어 유니트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고 이들 틈새는 코어 높이의 0.04 내지 0.4 배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클로쓰 또는 패브릭은 상기 샌드위치 구조물의 벽의 오목, 볼록, 또는 오목과 볼록 내면에 박층되거나 또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위치 구조물의 상기 코어 유니트, 상기 벽, 또는 상기 코어 유니트와 상기 벽은 섬유 강화 프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유니트는 유연한 수지로 상기 샌드위치 구조물의 벽, 상기 캐리어 클로쓰나 패브릭, 또는 상기 샌드위치 구조물의 벽과 상기 캐리어 클로쓰나 패브릭에 박층되거나 또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위치 구조물은 냉각 유체용의 수용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침투성이고 유체 채널의 일부를 형성하여 이 채널을 통하여 냉각, 가열 또는 누출감지의 유체가 상기 샌드위치 구조물의 벽 사이의 공간 쪽이나, 공간으로부터 또는 공간 쪽과 공간으로부터 양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동축인 내벽 및 외벽을 갖는 파이프이고 상기 코어는 상기 파이프의 내벽에 대하여 나선방향으로 감긴 신장 패브릭 캐리어 테이프상에 설치된 코어 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종방향에서 볼 때에, 상기 코어 유니트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신장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와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짧은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의 교대 열 (row) 로 설치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열에 있어서는 인접한 오픈 박스 코어 유니트의 개구들은 상호간 접하고 인접한 개구들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며 상기 테이프의 인접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피치 각도로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상기 내부 파이프벽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경중량, 굴곡, 평면, 관형 또는 기타 구조의 패널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선박 또는 기타 해상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선체, 갑판실, 초구조물, 모듈, 격실, 클래딩, 트렁크, 데크, 칸막이, 저장탱크, 파이프라인, 지지빔, 케이블 트레이 및 보도 (walkway) 를 구성하는 군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구조의 패널은 육상 수송 차량 또는 육상 기초의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격실, 클래딩, 벽, 지붕, 층, 트렁크, 케이블 트레이, 파이프, 지지빔, 탱크 및 보도를 구성하는 군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구조물.
KR10-1998-0700161A 1995-07-12 1996-07-12 샌드위치구조물 KR100405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304862.6 1995-07-12
EP95304862 1995-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860A KR19990028860A (ko) 1999-04-15
KR100405996B1 true KR100405996B1 (ko) 2005-11-14

Family

ID=822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161A KR100405996B1 (ko) 1995-07-12 1996-07-12 샌드위치구조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202376B1 (ko)
EP (1) EP0848662B1 (ko)
JP (1) JPH11509145A (ko)
KR (1) KR100405996B1 (ko)
CN (1) CN1071186C (ko)
AU (1) AU700171B2 (ko)
CA (1) CA2226383A1 (ko)
DE (1) DE69605428T2 (ko)
DK (1) DK0848662T3 (ko)
ES (1) ES2141523T3 (ko)
GR (1) GR3032736T3 (ko)
NO (1) NO312620B1 (ko)
NZ (1) NZ315327A (ko)
TW (1) TW306894B (ko)
WO (1) WO1997002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09998D0 (en) * 1997-05-19 1997-07-09 Secr Defence Composite structure
US7837055B2 (en) * 2004-05-20 2010-11-23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LNG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LNG containment system
DE102005051211B4 (de) 2005-10-26 2008-11-06 Bionic Medizin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lumigen Kathetersystems
DE102008020527A1 (de) * 2008-04-24 2009-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Rahm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ITSP20120002A1 (it) * 2012-01-23 2012-04-23 Giovanni Cappello Procedimento costruttivo di strutture di scafi tramite l'utilizzo di tubi in materiale composito
FR3011832B1 (fr) * 2013-10-11 2015-12-04 Gaztransp Et Technigaz Caisse autoporteuse pour l'isolation thermique d'une cuve de stockage d'un fluid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caisse
CN104452570B (zh) * 2014-12-05 2017-02-01 郑州大学 一种结构用组合式frp箱形型材
WO2019008542A1 (en) * 2017-07-07 2019-01-10 Westhill Innovation Inc. STRUCTURAL LAMINATED PANEL HAVING INTERNALLY CONDUCTING COMPONENTS
CN107901550B (zh) * 2017-11-14 2020-05-05 武汉理工大学 一种复合材料夹层圆柱壳结构的制作工艺
CA3125200A1 (en) 2019-01-04 2020-07-09 Canadian Pressure Control Inc. Pipeline-leak-contain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94566A (de) * 1960-11-17 1965-06-30 Heinz Dipl Ing Isler Verfahren zum Herstellen flächenhafter, insbesondere grossflächiger Bauteile in der Art von Verbundkonstruktionen
FR2038668A5 (ko) 1969-03-21 1971-01-08 Thomson Csf
FR2325503A1 (fr) 1975-09-29 1977-04-22 Planet Wattohm Sa Sandwich a ame alveolee en resine
GB2138551A (en) * 1983-04-19 1984-10-24 Shell Int Research Container for Storage or Transport of Liquefied Gases
EP0281689B1 (en) * 1987-03-13 1991-05-0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Fire resistant plastic structure.
GB2263164A (en) * 1992-01-10 1993-07-14 Shell Int Research Fire-resistant plastic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6383A1 (en) 1997-01-30
EP0848662A1 (en) 1998-06-24
TW306894B (ko) 1997-06-01
NO312620B1 (no) 2002-06-10
CN1190929A (zh) 1998-08-19
NO980104D0 (no) 1998-01-09
WO1997002945A1 (en) 1997-01-30
KR19990028860A (ko) 1999-04-15
EP0848662B1 (en) 1999-12-01
NO980104L (no) 1998-03-11
JPH11509145A (ja) 1999-08-17
DE69605428D1 (de) 2000-01-05
AU6700596A (en) 1997-02-10
ES2141523T3 (es) 2000-03-16
NZ315327A (en) 1999-09-29
CN1071186C (zh) 2001-09-19
US6202376B1 (en) 2001-03-20
AU700171B2 (en) 1998-12-24
DE69605428T2 (de) 2000-05-11
DK0848662T3 (da) 2000-05-01
GR3032736T3 (en) 200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4113A (en) Lattice core sandwich construction
KR100405996B1 (ko) 샌드위치구조물
US20230279624A1 (en) Composite structural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MXPA00012490A (es) Tuberia compuesta, flexible y metodo para fabricar la misma.
EP1578660B1 (en) Vessel structures and structures in marine vessels
US10968631B2 (en) Structure reinforcement partial shell
EP1469994B1 (en) Improved structural sandwich plate members
US6557201B1 (en) Stressed-skin modular fiber reinforced plastic bridge
WO2000070256A1 (en) A flexible lightweight composite pipe for high pressure oil and gas applications
US6810828B2 (en) Tubular compartmentalized integrated hull construction
US5329972A (en) Fire resistant plastic structure
AU3037497A (en) Composite material tubular equipment produced by winding of weft-unbalanced wov en fabric on a compressible mandrel
EP1359089A2 (en) Multi-beam panel structures
EP0281689B1 (en) Fire resistant plastic structure.
CA1298050C (en) Fire resistant plastic structure
KR102672422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초크 보호 커버
SU751932A2 (ru) Многослойна чеиста панель
GB2263164A (en) Fire-resistant plastic structure
SK279141B6 (sk) Nádrž a spôsob jej výro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