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983B1 -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983B1
KR100405983B1 KR10-2001-0007043A KR20010007043A KR100405983B1 KR 100405983 B1 KR100405983 B1 KR 100405983B1 KR 20010007043 A KR20010007043 A KR 20010007043A KR 100405983 B1 KR100405983 B1 KR 100405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s
compressor
fan motor
air conditioning
compari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714A (ko
Inventor
유윤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9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은, 증발기에서 생성된 저온 저압의 냉매 중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여 기체 냉매만을 통과시키는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들의 각 토출구에 설치되어 압축기의 효율을 높이며, 정지 후 재가동을 원활케 하는 복수의 체크밸브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외부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수 즉, 복수의 압축기 중 한 개의 압축기만 동작할 시, 복수의 압축기가 동작할 때 보다 회전수가 20% - 30% 감소하게 조절되어 상기 조절된 회전속도를 통해 외부공기를 상기 응축기상에 적절히 공급되도록 하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과;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에서 감압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와 주위 열과의 열교환을 통해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증발작용을 통해 차가워진 주위 공기를 실내로 토출되게 하는 실내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방법은,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 측정 및 냉방 부하를 예측하는 측정 단계와; 상기 측정 단계에서의 결과값과 압축기 한 대의 냉방 능력을 비교하는 제 1 차 비교 단계와, 상기의 제 1 차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측정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압축기 한 개의 냉방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압축기 수를 N대로 늘려가며 비교하는 제 N 차 비교 단계로 이루어진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제 1 차 비교 단계에서의 출력값인 경우 한대의 압축기만 가동시키며 한대의 압축기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팬 모터를 가동시키는 제 1 실행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제 1 차 비교 단계가 아닌 제 N 차 비교 단계에서의 출력값인 경우 N대의 압축기를 가동시키며 N대의 압축기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팬 모터를 가동시키는 제 N 실행 단계로 이루어진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은 여러 대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공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압축기의 수에 따라 응축부의 팬 모터의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공조 장치 전체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취침 운전시 등에 적용할 경우 소음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이미지도 향상시킬 수도 있다.

Description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with multi compressors}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압축기를 갖는 공조 시스템 및 공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되는 압축기의 수에 따라 팬 모터의 속도를 변화시켜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 향상을 가져오는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발의 원리를 이용하는 공조기는 냉매를 연속적으로 증발시켜 실내를 냉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조기를 주요 부분으로 나누어 보면 압축기, 증발기, 팽창 밸브, 응축기로 나눌 수 있는데, 냉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수개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는 2개를 초과하는 압축기를 사용할 경우 성능비 대 생산비가 좋지 않은 문제가 있어 주로 2개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공조 방식이 많이 쓰이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2 압축기 공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2 압축기 공조 시스템은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가 두개의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되는 압축부(10)와, 상기 압축부(1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기체가 냉각되어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되는 응축부(20)와, 상기 응축부(20)에서 생성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감압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되는 팽창부(30)와, 상기 팽창부(30)에서 생성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되는 증발부(4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압축부(10)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액화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뿐만 아니라, 냉매에 순환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핵심부인 압축기는 왕복동식 압축기, 회전식 압축기 및 스크롤식 압축기가 주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응축부(20)는 상기 압축부(1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팬에 의하여 응축기에 가해지는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 액화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응축부(20)를 거치면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된다.
또한, 상기 팽창부(30)는 주로 팽창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응축부(20)에서 생성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만드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증발부(40)는 상기 팽창부(30)에서 생성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증발기를 거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기화하는 부분으로서 이렇게 하여 차가워진 주위 공기는 상기 증발기의 뒤에 위치하는 팬의 회전에 의하여 실내로 보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압축부(10)는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주로 두개의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항시 두개의 압축기가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냉방 부하가 클 경우에 모두 동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한개의 압축기만 동작하여 그 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압축부(1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냉각 액화하는 상기 응축부(20)의 팬 모터의 회전 속도는 상기 압축부(10)에서의 압축량에 관계없이 항상 두개의 압축기가 동작할 경우의 용량에 맞추어져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설계는 불필요하게 팬 모터의 소비 전력을 증가시켜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압축 작용을 하는 압축부에서 사용되는 압축기의 수에 따라 응축부의 팬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팬 모터의 소비 전력을 줄임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2 압축기 공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두대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에서 한대의 압축기를 사용할 경우 팬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한 경우의 압축기 및 팬 모터의 소비전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두대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에서 한대의 압축기를 사용할 경우 팬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한 경우의 시스템 효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압축부 11.......어큐뮬레이터
12a.......제 1 압축기 12b......제 2 압축기
13a.......제 1 체크 밸브 13b.......제 2 체크 밸브
20, 20'...응축부 21........응축기
22........팬 모터 23........팬
30........팽창부 31........팽창 밸브
40........증발부 41........증발기
42........실내 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은, 증발기에서 생성된 저온 저압의 냉매 중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여 기체 냉매만을 통과시키는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들의 각 토출구에 설치되어 압축기의 효율을 높이며, 정지 후 재가동을 원활케 하는 복수의 체크밸브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외부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수 즉, 복수의 압축기 중 한 개의 압축기만 동작할 시, 복수의 압축기가 동작할 때 보다 회전수가 20% - 30% 감소하게 조절되어 상기 조절된 회전속도를 통해 외부공기를 상기 응축기상에 적절히 공급되도록 하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과;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에서 감압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와 주위 열과의 열교환을 통해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증발작용을 통해 차가워진 주위 공기를 실내로 토출되게 하는 실내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방법은,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 측정 및 냉방 부하를 예측하는 측정 단계와; 상기 측정 단계에서의 결과값과 압축기 한 대의 냉방 능력을 비교하는 제 1 차 비교 단계와, 상기의 제 1 차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측정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압축기 한 개의 냉방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압축기 수를 N대로 늘려가며 비교하는 제 N 차 비교 단계로 이루어진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제 1 차 비교 단계에서의 출력값인 경우 한대의 압축기만 가동시키며 한대의 압축기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팬 모터를 가동시키는 제 1 실행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제 1 차 비교 단계가 아닌 제 N 차 비교 단계에서의 출력값인 경우 N대의 압축기를 가동시키며 N대의 압축기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팬 모터를 가동시키는 제 N 실행 단계로 이루어진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은 압축기의 최대 용량에 맞추어 고정 속도로 회전하는 팬 모터의 회전 속도를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축기의 수에 따라 가변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불필요한 팬 모터의 전력 소비를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은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가 두개의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되는 압축부(10)와, 상기 압축부(10)에서 사용된 압축기의 수에 따라 회전 속도가 변화하는 팬 모터에 의하여 상기의 압축부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기체가 냉각되어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되는 응축부(20')와, 상기 응축부(20')에서 생성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감압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되는 팽창부(30)와, 상기 팽창부(30)에서 생성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되는 증발부(4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압축부(10)는 상기 증발부(40)에서 생성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만을 통과시키는 어큐뮬레이터(11)와, 상기 어큐뮬레이터(11)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제 1 압축기(12a) 및 제 2 압축기 (12b)와, 상기 압축기(12a)(12b)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압축기의 효율을 높이며 정지 후 재가동을 원활하게 하는 제 1 체크 밸브(13a) 및 제 2 체크 밸브(13b)로 이루어져 있는데, 시스템 전체를 관할하는 마이콤(미도시)의 제어를 받아 실내외 온도차 및 냉방 부하에 따라 한개(12a) 또는 두개의 압축기(12a)(12b)가 동작하게 된다. 이처럼 동작하는 압축기의 수가 변경될 경우 어느 일방향으로의 출입만이 가능한 상기 체크 밸브(13a)(13b)의 역할이 중요한데, 첫번째 역할은 제 1 압축기(12a)만 동작할 경우에 동작하지 않는 제 2 압축기(12b)의 토출구로 냉매 가스가 유입되어 저압측인 상기 증발부(40)로 빠져나감으로써 발생되는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며, 두번째 역할은 제 1 압축기(12a)만 동작할 경우에 동작하지 않는 제 2 압축기(12b)의 토출구로 냉매 가스가 유입되어 제 2 압축기(12b)가 저압측인 상기 증발부(40)에 비교하여 항시 고압을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증발부(40)로부터 냉매 가스를 흡입하지 못해 재기동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2 체크 밸브(13b)로 인하여 동작중인 상기 제 1 압축기(12a)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상기 제 2 압축기(12b)로 유입되지 못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지시 제 2 압축기(12b) 내에 남아있던 냉매만저압측인 증발부(40)로 배출하게 되면 상기 증발부(40)와 압력이 같아지게 되므로 재동작시 상기 증발부로부터 냉매를 흡입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재동작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부(20')는 상기 압축부(1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냉각되어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화되는 응축기(21)와, 상기 응축기(21)에 실외의 공기가 상기 압축부에서 사용된 압축기의 수에 따라 적절하게 공급되도록 회전 속도가 변화하는 팬 모터(22)와, 상기 팬 모터(2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실외의 공기를 상기 응축기(21)에 공급하여 냉각 작용을 발생시키는 팬(23)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좌우 지그재그로 형성된 긴 관인 상기 응축기(21)에 상기 팬 모터(22)와 팬(23)을 이용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압축부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냉각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팬 모터(22)의 회전 속도와 팬(23)의 크기는 두개의 압축기가 모두 동작할 경우에 맞추어져 제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팬 모터(22)의 회전 속도를 두개의 압축기가 사용될 때와 한개의 압축기가 사용될 때에 따라 다르게 적용한다. 즉, 한개의 압축기만이 사용될 경우에는 두개의 압축기가 사용될 때와 비교하여 20%에서 30%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사용한다. 물론,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응축부(20')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압축부(10)의 소비 전력은 증가하나, 팬 모터의 소비 전력이 더 크게 절약되어 전체적으로는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팽창부(30)는 원형으로 감겨있는 관으로 이루어진 팽창 밸브(31)로 구성되는데, 액체 냉매가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쉽게 증발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부(20)에서 생성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감압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냉매 유량 조절도 팽창부(30)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증발부(40)는 상기 팽창부(30)에서 생성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되는 증발기(41)와, 상기 증발기(41) 뒤쪽에 위치하여 차가워진 주위 공기를 외부에 공급하는 실내 팬(42)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방법은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 측정 및 냉방 부하를 예측하는 측정 단계(S 100)와; 상기 측정 단계(S 100)의 결과값을 기초로 하여 냉방 용량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S 200)와; 상기 판단 단계(S 200)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여러 형태로 팬 모터를 동작시키는 실행 단계(S 30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측정 단계(S 100)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를 측정하거나 냉방 부하를 측정 및 예측하는 단계로서 주로 센서에 의하여 이루어지나, 사용자의 수동 조작시 그 조작값을 결과값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S 200)는 상기 측정 단계(S 100)에서의 결과값을 기초로 하여 냉방 용량을 판단하는 단계로서, 마이콤이 담당하게 된다. 동작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측정 단계(S 100)에서의 결과값과 압축기 한대의 냉방 능력을비교하는 제 1 차 비교 단계(S 201)와, 상기의 제 1 차 비교 단계(S 201)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측정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압축기 한대의 냉방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압축기 수를 N대로 늘려가며 비교하는 제 N 차 비교 단계(S 20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N대의 압축기 수는 두대의 압축기로 하여 제 2 차 비교 단계(S 202)까지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압축기 수가 두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자비 대 효율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행 단계(S 300)는 상기 판단 단계(S 200)에서의 결과값이 제 1 차 비교 단계(S 201)에서의 출력값인 경우 한대의 압축기만 가동시키며 한대의 압축기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팬 모터를 가동시키는 제 1 실행 단계(S 301)와, 상기 판단 단계(S 200)에서의 결과값이 제 1 차 비교 단계가 아닌 제 N 차 비교 단계(S 203)에서의 출력값인 경우 N대의 압축기를 가동시키며 N대의 압축기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팬 모터를 가동시키는 제 N 실행 단계(S 303)로 이루어져 있다.
N대의 압축기 수는 두대의 압축기로 하여 제 2 실행 단계(S 302)까지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유는 상기 판단 단계(S 300)에서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두대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에서 한대의 압축기를 사용할 경우 팬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한 경우의 압축기 및 팬 모터의 소비전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팬 모터의 저속 회전시 응축부의 압력 증가로 인하여 압축부내 압축기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있으나, 팬 모터의 소비 전력이 보다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두대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에서 한대의 압축기를 사용할 경우 팬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한 경우의 시스템 효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팬 모터의 속도를 두대의 압축기가 동작할 때와 비교하여 20%에서 30% 정도 감소시키면 효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한 다압축기 공조 방법의 판단 및 실행 순서를 제 1 차에서 제 N 차가 아니라, 제 N 차에서 제 1 차로 줄여가며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은 여러 대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공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압축기의 수에 따라 응축부의 팬 모터의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공조 장치 전체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취침 운전시 등에 적용할 경우 소음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이미지도 향상시킬 수도 있다.

Claims (15)

  1. 증발기에서 생성된 저온 저압의 냉매 중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여 기체 냉매만을 통과시키는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들의 각 토출구에 설치되어 압축기의 효율을 높이며, 정지 후 재가동을 원활케 하는 복수의 체크밸브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외부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수 즉, 복수의 압축기 중 한 개의 압축기만 동작할 시, 복수의 압축기가 동작할 때 보다 회전수가 20% - 30% 감소하게 조절되어 상기 조절된 회전속도를 통해 외부공기를 상기 응축기상에 적절히 공급되도록 하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과;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에서 감압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와 주위 열과의 열교환을 통해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증발작용을 통해 차가워진 주위 공기를 실내로 토출되게 하는 실내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 측정 및 냉방 부하를 예측하는 측정 단계와;
    상기 측정 단계에서의 결과값과 압축기 한 대의 냉방 능력을 비교하는 제 1 차 비교 단계와, 상기의 제 1 차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측정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압축기 한 개의 냉방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압축기 수를 N대로 늘려가며 비교하는 제 N 차 비교 단계로 이루어진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제 1 차 비교 단계에서의 출력값인 경우 한대의 압축기만 가동시키며 한대의 압축기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팬 모터를 가동시키는 제 1 실행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제 1 차 비교 단계가 아닌 제 N 차 비교 단계에서의 출력값인 경우 N대의 압축기를 가동시키며 N대의 압축기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팬 모터를 가동시키는 제 N 실행 단계로 이루어진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압축기 공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시 그 조작값을 결과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압축기 공조 방법.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측정 단계에서의 결과값과 압축기 N대의 냉방 능력을 비교하는 제 N 차 비교 단계와,
    상기의 제 N 차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측정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압축기 N대의 냉방 능력에 미달하는 경우 압축기 수를 줄여가며 비교하는 제 M 차 비교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압축기 공조 방법.
    여기에서, M은 1이상 N 미만인 자연수이다.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제 N 차 비교 단계에서의 출력값인 경우 N대의 압축기를 가동시키며 N대의 압축기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팬 모터를 가동시키는 제 N 실행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결과값이 제 N 차 비교 단계가 아닌 제 M 차 비교 단계에서의 출력값인 경우 M대의 압축기를 가동시키며 M대의 압축기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팬 모터를 가동시키는 제 M 실행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압축기 공조 방법.
    여기에서, M은 1 이상 N미만인 자연수이다.
  14. 삭제
  15. 제 8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두대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행 단계는 두대의 압축기가 동작하는 제 2 실행 단계와 비교하여 팬 모터의 회전 속도를 20% - 30% 감소시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압축기 공조 방법.
KR10-2001-0007043A 2001-02-13 2001-02-13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 KR100405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043A KR100405983B1 (ko) 2001-02-13 2001-02-13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043A KR100405983B1 (ko) 2001-02-13 2001-02-13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714A KR20020066714A (ko) 2002-08-21
KR100405983B1 true KR100405983B1 (ko) 2003-11-14

Family

ID=2769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043A KR100405983B1 (ko) 2001-02-13 2001-02-13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9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714A (ko)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280B1 (ko) 냉난방기의 절전 제습 운전방법
JP5040104B2 (ja) 冷凍装置
US20220003463A1 (en) Refrigeration apparatus-use unit, heat source unit, and refrigeration apparatus
CN1193199C (zh) 带有两个压缩机的空调系统和运行该空调系统的方法
JP2002130148A (ja) 可変速駆動装置を備えた冷却システムの少なくとも1つの圧縮機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70266719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87478B1 (ko) 압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20040050477A (ko) 공기조화시스템
JP2008241069A (ja) 空気調和装置
KR20070082501A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574872B2 (en) Capacity-variable air conditioner
CN110637202B (zh) 制冷循环的控制装置、热源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8096072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405983B1 (ko) 다압축기 공조 시스템 및 방법
JP2007170706A (ja) 冷凍システム
JPH1096545A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153421B1 (ko)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US20220252317A1 (en) A heat pump
KR100488015B1 (ko) 냉난방기의 절전운전방법
JP2007147228A (ja) 冷凍装置
JP2003042585A (ja) 空気調和機
JP2007327717A (ja) 空気調和機
JP4726658B2 (ja) 冷凍システム
KR100710311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89640B1 (ko) 에어컨의 냉방용량 조절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