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641B1 -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641B1
KR100405641B1 KR10-2000-0025824A KR20000025824A KR100405641B1 KR 100405641 B1 KR100405641 B1 KR 100405641B1 KR 20000025824 A KR20000025824 A KR 20000025824A KR 100405641 B1 KR100405641 B1 KR 10040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motor
gear
propelled vehicl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964A (ko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주)동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동화이엔지
Priority to KR2020000013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931Y1/ko
Priority to KR10-2000-0025824A priority patent/KR10040564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오, 폐수관의 내부에 돌출 되는 관이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자주차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배터리(1) 전원을 다수의 출력전원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인버터(2)(3)와, 다수의 인버터(2)(3)의 출력전원을 자주차(10) 그리고 영상 증폭기(5)와 모니터(6) 및 VCR(7)을 구비한 영상 저장 및 출력수단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돌출관을 절단하기 위한 자주차(10)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4)와, 자주차(10)의 위치 이동을 위한 체인과 다수의 기어로 결합된 감속모터(11)와 돌출관 제거를 위한 절단 카터와 다수의 기어로 결합된 컷팅 모터(12)와 절단 카터에 의해 컷팅 부분을 촬영하는 카메라(14)와 카메라 전방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와셔액을 분사하면서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모터(13)를 구비한 자주차(10) 및 자주차(10)의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증폭한 후 VCR(7)에 의해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한편 모니터(6)로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영상 저장 및 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자주차의 작동방식을 전기방식으로 구성하여 소형 화물차에 전체 기기의 탑재가 가능하게 함으로서 작업시 좁은 면적을 차지하게 함과 동시에 자동차의 전원만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SELF-PROPELLING CAR FOR REMOVAL OF A PROJECTING PIPE IN A DRAINPIPE}
본 발명은 하수관이나 각종 오폐수관의 내부에 돌출 되는 관이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자주차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의 내부를 전, 후진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때 전기를 이용하여 절단기가 작동되게 함으로서 절단기가 적은 동력으로 움직이게 하는 한편 소형의 차량으로 모든 장비를 탑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운반이 간편하게 하여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이나 하수관을 공사할 때에는 각 가정이나 상가 및 빌딩 등의 수도관이나 하수관과 연결하게 되는 바, 이때 지면에 매설되는 모체 관과 각 가정이나 상가 등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연결할 때 연결관이 모체관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연결하여야 하나 시공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수나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모체 관의 내부로 돌출된 연결관을 둔 채로 공사를 끝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모체 관의 내부로 연결관이 돌출 되어 있으면 관의 내부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하수관일 경우 물과 함께 흘러오는 이물질이 모체 관의 내부로 돌출된 연결관에 걸리게 됨으로서 모체 관의 내부로 퇴적물이 쌓이게 됨으로서 물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어 폐수가 넘치거나 역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지면에 매설된 모체 관이 막혀 있을 경우 막혀 있는 부분을 청소한 후 모체 관의 내부로 돌출된 부분을 대중하여 지면을 파고 매설관을 돌출 시킨 후 청소작업을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도로를 막고 관이 있는 부분을 공사를 함으로서 교통체증을 유발시키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막혀 있는 관의 내부로 절단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을 보내어 돌출 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1996년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61112호)이 안출되었는 바, 상기의 고안은 캇팅부가 몸체에 수평으로 접속되어서 된 구성으로서, 캇팅부가 몸체의 전면에 수평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가 전면으로 이동할 경우 전면의 상태를 전혀 파악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속도가 늦고 기기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원활하게 조작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절단부에서 절단되는 모습을 카메라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발명(1998년 특허출원 제7788호, 공개번호99-74305호)이 안출되었는 바, 상기의 발명은 구동모우터를 내장하는 바퀴가 부설된 하우징과: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전 후진 되도록 하는 실린더가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을 내장시켜 모우터 하우징과 결합시키고, 자주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단을 가지는 바퀴가 부설된 구동본체 하우징과: 성가 실린더 하우징 내의 실린더에 끼워 고정되고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회전및 전, 후진하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및 카터부로 이루어진 절단구동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은 구조가 복잡하고 어려워 제작이 힘들며, 절단부가 회전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 이물질이 절단되면서 튀기 때문에 이 이물질이 랜즈에 달라붙게 되어 카메라가 제기능을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종래의 하수관내의 돌출관 절단용 자주차 자체가 유압에 의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하수관을 청소하고자 할 때에는 전기선과 함께 유압선을 달고 다녀야 함으로서 자주차가 고 용량의 힘을 요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유압을 이용함으로서 별도의 유압장치와 전기발전용 차량을 함께 다녀야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하수관을 공사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게 됨으로서 교통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등의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자주차의 작동방식을 전기방식으로 구성하여 소형 화물차에 전체 기기의 탑재가 가능하게 함으로서 작업시 좁은 면적을 차지하게 하고, 또한 커팅부의 연마석이나 절단 카터의 교체가 쉽고 간단하게 하며, 전체의 작동이 전기 방식이므로서 불필요한 물품을 제거함으로서 자주차의 구동 용량을 최하로 낮춤으로서 별도의 발전기 없이 자동차의 전원만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B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보인 개략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개략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 절단기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절단기의 전후 구동장치부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 절단기의 회전몸체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받침대를 보인 요부 확대 측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 연마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 와이퍼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발췌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 연마석 고정부의 분리 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 연마석 고정부에 연마석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자동차에 탑재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12의 A,B,C는 본 발명 자주차의 동작상태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터리 2,3 : 인버터 4 : 메인 콘트롤러
5: 영상 증폭기 6 : 모니터 7 : VCR
8 : 크레인용 모터 9 : 드럼용 모터 10 : 자주차
11 : 감속모터 12 : 컷팅 모터 13 : 와이퍼 모터
14 : 카메라 15 : 자주차본체 16 : 뚜껑
17 : 받침대 18 : 전기잭 19 : 구동부
20 : 작동부 21, 21′: 회동축 22, 22′: 기어
23 : 체인 24 : 회전작동부 25 :??회전몸체
26 : 체결부 27 : 램프 28 : 연마부
29, 34, 40, 62 : 모우터 30 : 원동베벨기어 31: 구동베벨기어
35, 41 : 감속기. 36, 42 : 구동기어 37, 50 : 기어
38 : 고정램프 39 : 연마몸체 43 : 와이퍼
44, 52 : 캠판 45, 53, 58 : 장공 46, 55 : 고정구
47 : 압착구 48 : 원동기어 51 : 와셔액 분사노즐
54: 회전체 56 : 나사체결공 57 : 상하작동
59 : 스톱퍼 60 : 회동축 61, 63 : 체인기어
상기한 바와 같은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차량용 배터리(1) 전원을 다수의 출력전원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인버터(2)(3)와, 다수의 인버터(2)(3)의 출력전원을 자주차(10) 그리고 영상 증폭기(5)와 모니터(6) 및 VCR(7)을 구비한 영상 저장 및 출력수단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외부 입력(이는 자주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입력을 말한다.)에 따라 돌출관을 절단하기 위한 자주차(10)의 구동을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4)와, 자주차(10)의 위치 이동을 위한 체인과 다수의 기어로 결합된 감속모터(11)와 돌출관 제거를 위한 절단 카터와 다수의 기어로 결합된 컷팅 모터(12)와 절단 카터에 의해 컷팅 부분을 촬영하는 카메라(14)와 카메라 전방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와셔액을 분사하면서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모터(13)를 구비한 자주차(10) 및 자주차(10)의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증폭한 후 VCR(7)에 의해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한편 모니터(6)로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영상 저장 및 출력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1)의 출력전원을 공급받아 메인 콘트롤러(4)의 제어로 구동되어 자주차(10)에 연결된 케이블이 감겨진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용 모터(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된 64는 크레인에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된 각종 매설관에 투입된 자주차를 올리거나 자주차를 매설관 내에 내릴 때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크레인용 모터이다.
상기 자주차(10)는 자주차 본체(15)의 상부에 뚜껑(16)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하되 뚜껑(16)의 중간부에는 받침대(17)를 설치하여 전기잭(18)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게 하고, 본체의 내부에는 일측 중간에 격판을 설치하여 구동부(19)와 작동부(20)로 구분되게 설치하며, 구동부(19)의 일측 하단과 작동부(20)의 일측 하단에는 회동축(21)(21′)을 설치하여 바퀴를 체결하되 회동축의 일측에 기어(22)(22′)를 설치하여 체인(23)으로 연동되게 하며, 본체(15)의 전면에는 좌, 우로 회전하는 회전작동부(24)를 설치하고 회전작동부(24)의 회전몸체(25) 전면에는 'ㄷ'형상으로 된 체결부(26)를 형성하고 이 체결부(26)에는 카메라(14)와 램프(27)가 설치되어 있는 연마부(28)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받침대(17)는 뚜껑의 중앙부 저면에 고정구(55)를 고정 설치하되 고정구의 내부에는 내부에 나사체결공(56)이 형성된 상하작동구(57)를 체결하며 상하작동구(57)의 일측에 장공(58)을 형성한 다음 고정구(55)의 상측에 스톱퍼(59)를 체결하고, 고정구(55)의 하단에 회동축(60)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 시켜 상하작동구(57)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체결공(56)에 체결하고, 회동축(60)의 하단에는 체인기어(61)를 설치하며 그 일측에는 모우터(62)에 의하여 회전되는 체인기어(63)를 설치하여 회전축(60)의 체인기어(61)와 체인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구동부(19)는 본체(15)의 중앙부에 형성된 작동부(20)에 전기로 작동되는 모우터(29)를 설치하여 격벽을 통하여 구동부(19)로 모우터 축이 돌출 되게 한 다음 모우터 축에 원동베벨기어(30)를 설치하고, 회동축(21)에는 모우터(29)의 원동베벨기어(30)와 체결되는 구동베벨기어(31)를 설치하며, 양측 회동축의 일측에는 체인기어(21)(21′)를 설치하여 체인(23)으로 연동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회전 작동부(24)는 작동부의 일측에 회전몸체(25)를 회전시키는 모우터(34)와 감속기(35)를 설치하며, 본체(10)의 전면에 회전몸체(25)를 본체(10)의 내부로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되 회전몸체(25)의 끝부분에 구동기어(36)를 체결하여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감속기의 기어(37)와 연동되게 하며 회전몸체(25)의 전면 상부 양측에는 고정램프(38)를 설치하고, 회전몸체(25)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26)에는 연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연마몸체(39)를 설치하되, 회전몸체(25)의 내부에는 모우터(40)와 감속기(41)를 설치하며, 연마몸체(39)를 고정하는 축에는 구동기어(42)를 설치하여 회전몸체(25)에 설치된 감속기의 원동기어와 체결하여 연마몸체(39)가 상하로 작동되게 한다.
상기 연마부(28)는 연마몸체(39)의 일측에 와어퍼(43)와 와셔액분사노즐(51)이 설치된 카메라(14)를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캠판(44)을 고정설치하고 캠판(44)의 일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장공(45)이 형성된 고정구(46)를 베어링을 체결하여 돌출 형성하고, 이 고정구(46)의 외경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압착구(47)를 체결하며 연마몸체(39)의 내부에는 원동기어(48)가 체결되어 있는 모우터(49)를 설치하여 고정구(46)의 기어(50)와 연결하여 회전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와이퍼(43)의 작동장치는 모우터(13)의 끝부분에 일측으로 치우치게 로울러(51)가 설치되어 있는 캠판(52)을 체결하여 회전되게 하고, 와이퍼(43)의 축에는 장공(53)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54)를 체결하여 장공(53)에 캠판(52)의 로울러(51)를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지주차를 지하의 매설관에 투입한 후 지주차의 위치 이동 및 구동을 위한 외부입력을 가하면, 메인 콘트롤러(4:main controller)의 제어로 차량용 배터리(1)의 출력전원이 제 1인버터(2)와 제 2인버터(3)에 의해 소정레벨로 변환되어 영상 저장 및 출력수단, 즉 영상증폭기(5)와 모니터(6) 및 VCR(7)에 공급되는 한편 자주차(10)와 크레인용 모터(8) 그리고 드럼용 모터(9)에 각각 공급된다.
특히, 차량용 배터리(1)의 출력전원을 변환하는 인버터가 두 개 이상 구비되어서, 자주차(10)와, 영상 증폭기(5)와 모니터(6) 및 VCR(7)로 구성된 영상 저장 및 출력수단에 전원을 각각 공급함으로써 자주차 혹은 인버터의 고장으로 영상 저장 및 출력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반대로 영상 저장 및 출력수단이나 인버터의 고장으로 자주차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매설관 내에 투입된 자주차가 누전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이동하지 못하거나 돌출관을 제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카메라(14)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 영상 증폭기(5)와 모니터(6) 및 VCR(7)에는 차량용 배터리(1)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어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된 배설관 내의 영상을 모니터(6)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VCR(7)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지속적으로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차량용 배터리(1)의 전원이 메인 콘트롤러(4)의 제어로 자주차(10)의 감속 모터(11)에 공급되어 감속 모터(11)가 구동되면, 다수개의 기어에 의해 감속된 감속 모터(11)의 회전력이 체인에 전달되어 자주차(10)가 매설관 내에서 전진 혹은 후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콘트롤러(4)의 제어로 컷팅 모터(12)가 구동되어 매설관 내로 돌출된 돌출관을 컷팅한다. 이 때에도 컷팅 모터(12)의 회전력이 다수개의 기어에 의해 감속되어 절단 카터에 절단되므로 돌출관을 절단하기에 적합한 회전속도를 갖는다.
여기서, 자주차에 장착된 절단 카터의 방향을 외부 입력에 의하여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매설관 내로 돌출된 돌출관의 위치나 방향에 관계없이 매설관 내로 돌출된 부분을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매설관 내로 돌출된 돌출관을 절단하는 중에 자주차의 전방에 장착된 카메라(14)는 절단 카터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고 있는 부분을 촬영하여 메인 콘트롤러(4)를 통해 영상 증폭기(5)로 전달한다. 그리하면, 영상 증폭기(5)에 의해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매설관 내의 영상이 증폭되어 모니터(6)와 VCR(7)에 공급되므로 모니터(6)로 출력되는 영상을 보고 절단작업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VCR(7)에 의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을 가지고 작업 후에도 작업상황을 재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절단작업을 촬영하는 카메라(14)도 절단 카터와 마찬가지로 상하좌우로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명장치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에 조명을 비춰 보다 선명하고 명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와이퍼 모터(13)의 구동으로 카메라(14) 전방에 와셔액을 분사하면서 와이퍼를 작동시킴으로써 카메라(14)의 전방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돌출관 절단작업시 발생된 이물질이 카메라(14)의 전방을 가려 촬영을 방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자주차(10)의 내부 구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우터(29)가 작동하게 되면 모우터의 축에 체결되어 있는 원동베벨기어(30)에 의하여 회동축(21)에 체결된 구동베벨기어(31)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회동축(21)(21′)간에는 체인기어(22)에 의하여 체인(23)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자주차가 전,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자주차(10)가 진행을 하다가 전면에 관의 내부로 돌출된 돌출관이 보일 경우 자주차가 정지를 한 다음 자주차의 뚜껑(16)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18)에 의하여 받침대(17)가 상부로 돌출되어 관의 상부를 압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받침대(17)와 자주차(10)에 설치된 바퀴에 의하여 자주차가 관의 내부에서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즉 받침대(17)를 작동시키면 뚜껑(16)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모우터(62)가 작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동축(60)의 체인기어(61)와 모우터(62)의 체인기어(63)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축(60)이 회전하게 되면 회동축(60)이 체결되어 있는 상하작동구(57)가 고정구(55)에 체결된 스톱퍼(59)에 의하여 같이 회전하게 되지 못함으로서 스톱퍼(59)가 장공을 가이드레일 삼아 상하작동구(57)가 상, 하로 이송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받침대(17)가 상하작동을 하여 자주차(10)를 관의 내부에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몸체(2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우터(34)와 감속기(35)가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연마몸체(25)를 고정하고 있는 축이 감속기와 체결된 기어(36)(37)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연마석이 있는 부분이 카메라(14)에 의하여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돌출관이 있는 부분을 향하여 회전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마몸체(25)가 회전하게 되면 연마몸체(25)의 내부에 설치되어있는 모우터(49)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연마석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구(46)가 회전하여 돌출관을 깍아 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마석의 범위를 돌출된이 벗어나게 되면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는 모우터(34)가 작동하여 회전몸체(25)의 구동기어(36)를 구동시킴으로서 회전몸체(25)가 좌우로 유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연마몸체(39)에 설치된 연마석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캠판(44)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면적을 연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마석이 회전하여 돌출관이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 이 이물질이 튀어 카메라가 설치된 부분에 묻게 됨으로 카메라에 설치된 와이퍼(43)를 작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즉 와이퍼(43)를 작동시키려면 모우터(13)가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모우터축에 설치된 캠판(52)이 같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캠판(52)에 설치된 로울러(51)가 캠판을 따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캠판(52)의 로울러(51)가 회전하게 되면 로울러(51)가 체결되어 있는 장공(53)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장공전체의 길이와 같기 때문에 로울러(51)가 회전하면서 회전체(54)를 좌우로 유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와이퍼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돌출관의 제거가 끝나면 카메라가 설치된 연마몸체를 전면으로 향하게 한 다음 뚜껑(16)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를 실린더를 이용하여원상 복귀시키고 이 상태에서 자주차를 다시 진행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주차의 작동방식을 전기방식으로 구성하여 소형 화물차에 전체 기기의 탑재가 가능하게 함으로서 작업시 좁은 면적을 차지하게 하고, 또한 커팅부의 연마석이나 절단 카터의 교체가 쉽고 간단하게 하며, 전체의 작동이 전기방식이므로 불필요한 물품을 제거함으로서 자주차의 구동 용량을 최하로 낮춤으로서 별도의 발전기 없이 자동차의 전원만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모든 작동이 전기방식이므로 별도의 유압라인을 이끌지 않아도 됨으로서 적은 용량의 모우터로 구동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며,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자주차 본체(15)의 상부에 뚜껑(16)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하되 뚜껑(16)의 중간부에는 받침대(17)를 설치하여 전기잭(18)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게 하고, 본체의 내부에는 일측 중간에 격판을 설치하여 구동부(19)와 작동부(20)로 구분되게 설치하며, 구동부(19)의 일측 하단과 작동부(20)의 일측 하단에는 회동축(21)(21′)을 설치하여 바퀴를 체결하되 회동축의 일측에 기어(22)(22′)를 설치하여 체인(23)으로 연동되게 하며, 본체(15)의 전면에는 좌, 우로 회전하는 회전작동부(24)를 설치하고 회전작동부(24)의 회전몸체(25) 전면에는 'ㄷ'형상으로 된 체결부(26)를 형성하고 이 체결부(26)에는 카메라(14)와 램프(27)가 설치되어 있는 연마부(28)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9)는 본체(15)의 중앙부에 형성된 작동부(20)에 전기로 작동되는 모우터(29)를 설치하여 격벽을 통하여 구동부(19)로 모우터 축이 돌출 되게 한 다음 모우터 축에 원동베벨기어(30)를 설치하고, 회동축(21)에는 모우터(29)의 원동베벨기어(30)와 체결되는 구동베벨기어(31)를 설치하며, 양측 회동축의 일측에는 체인기어(22)를 설치하여 체인(23)으로 연동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작동부(24)는 작동부의 일측에 회전몸체(25)를 회전시키는 모우터(34)와 감속기(35)를 설치하며, 본체(10)의 전면에 회전몸체(25)를 본체(10)의 내부로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되 회전몸체(25)의 끝부분에 구동기어(36)를 체결하여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감속기의 기어(37)와 연동되게 하며 회전몸체(25)의 전면 상부 양측에는 고정램프(38)를 설치하고, 회전몸체(25)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26)에는 연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연마몸체(39)를 설치하되, 회전몸체(25)의 내부에는 모우터(40)와 감속기(41)를 설치하며, 연마몸체(39)를 고정하는 축에는 구동기어(42)를 설치하여 회전몸체(25)에 설치된 감속기의 원동기어와 체결하여 연마몸체(39)가 상하로 작동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28)는 연마몸체(39)의 일측에 와이퍼(43)와 와셔액분사노즐(51)이 설치된 카메라(14)를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캠판(44)을 고정설치하고 캠판(44)의 일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장공(45)이 형성된 고정구(46)를 베어링을 체결하여 돌출 형성하고, 이 고정구(46)의 외경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압착구(47)를 체결하며 연마몸체(39)의 내부에는 원동기어(48)가 체결되어 있는 모우터(49)를 설치하여 고정구(46)의 기어(50)와 연결하여 회전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43)의 작동장치는 모우터(13)의 끝부분에 일측으로 치우치게 로울러(51)가 설치되어 있는 캠판(52)을 체결하여 회전되게 하고, 와이퍼(43)의 축에는 장공(53)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54)를 체결하여 장공(53)에 캠판(52)의 로울러(51)를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7)는 뚜껑의 중앙부 저면에 고정구(55)를 고정 설치하되 고정구의 내부에는 내부에 나사체결공(56)이 형성된 상하작동구(57)를 체결하며 상하작동구(57)와 고정구(55)의 일측에 장공(58)을 형성한 다음 고정구(55)의 장공 상측에 스톱퍼(59)를 체결하고, 고정구(55)의 하단에 회동축(60)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 시켜 상하작동구(57)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체결공(56)에 체결하고, 회동축(60)의 하단에는 체인기어(61)를 설치하며 그 일측에는 모우터(62)에 의하여 회전되는 체인기어(63)를 설치하여 회전축(60)의 체인기어(61)와 체인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
  7. 삭제
  8. 삭제
KR10-2000-0025824A 2000-05-15 2000-05-15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KR10040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675U KR200201931Y1 (ko) 2000-05-15 2000-05-15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KR10-2000-0025824A KR100405641B1 (ko) 2000-05-15 2000-05-15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824A KR100405641B1 (ko) 2000-05-15 2000-05-15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675U Division KR200201931Y1 (ko) 2000-05-15 2000-05-15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964A KR20000053964A (ko) 2000-09-05
KR100405641B1 true KR100405641B1 (ko) 2003-11-22

Family

ID=196686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824A KR100405641B1 (ko) 2000-05-15 2000-05-15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KR2020000013675U KR200201931Y1 (ko) 2000-05-15 2000-05-15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675U KR200201931Y1 (ko) 2000-05-15 2000-05-15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405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721B1 (ko) * 2002-04-30 2005-03-30 (주)동화이엔지 관로조사용 자주차
KR102417547B1 (ko) * 2018-02-01 2022-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메라 오염제거 장치
KR102574838B1 (ko) * 2023-03-17 2023-09-06 주식회사 더원인더스트리 하수관로 보수용 로봇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248A (ja) * 1997-05-29 1998-12-15 Ishiyama Kogyo Kk 下水管付着物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248A (ja) * 1997-05-29 1998-12-15 Ishiyama Kogyo Kk 下水管付着物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931Y1 (ko) 2000-11-01
KR20000053964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196B2 (en) Device with rotatable and adjustable cleaning members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pipes
WO2007055960A3 (en) Automatic pool cleaner
CN111561045B (zh) 一种市政窨井防堵排水系统
US4463525A (en) Hand-held cleaning tool with remote water turbine power source
US6237177B1 (en) Vehicular storm drain cleaning apparatus
KR100405641B1 (ko)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CN110258706A (zh) 一种河道淤泥清理装置
CN200999475Y (zh) 游泳池底自动清洁器
KR101201255B1 (ko) 원형관로의 준설 및 보수장치
KR100922777B1 (ko) 수중로보트준설기를 이용한 차집관거 준설공법
CN219773163U (zh) 一种排水管道检测清污器
CN112894833A (zh) 一种污水管道检测智能机器人及智能污水处理系统
CN110565793B (zh) 一种下水道自动清淤疏通装置
US6516836B2 (en) Motorized waste hose for recreational vehicle
CN218264265U (zh) 一种气电混合驱动市政管道清淤机器人
CN116180880A (zh) 一种用于市政污水管道的水下疏通装置及其疏通方法
CN212200364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杂物清理装置
CN209958486U (zh) 一种应用于地下污水管道淤泥清理的机器人
CN212835865U (zh) 一种市政公用工程下水道除污设备
CN219059905U (zh) 一种水域生态修复装置
CN109127719A (zh) 一种土壤污染治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214883295U (zh) 一种手推式清洗机
KR100220503B1 (ko) 취수설비의 진개물 제거장치
CN214169396U (zh) 一种具有除渣、粉碎功能的一体化预制泵站
CN215102526U (zh) 氮气站循环水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