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105B1 - 전자침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침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105B1
KR100405105B1 KR10-2002-0018596A KR20020018596A KR100405105B1 KR 100405105 B1 KR100405105 B1 KR 100405105B1 KR 20020018596 A KR20020018596 A KR 20020018596A KR 100405105 B1 KR100405105 B1 KR 10040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mouse
computer
user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526A (ko
Inventor
정재홍
정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심비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심비온트 filed Critical (주)심비온트
Priority to KR10-2002-001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105B1/ko
Priority to AU2003215955A priority patent/AU2003215955A1/en
Priority to PCT/KR2003/000594 priority patent/WO2003085508A1/en
Publication of KR2003007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팅케이블(122)을 통하여 컴퓨터(110)의 마우스포트에 접속되는 마우스로서, 제어부(132); 상기 커넥팅케이블(122)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펄스를 발진시키는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134); 상기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134)에서 발생된 펄스를 증폭하는 펄스증폭부(136); 및 상기 펄스증폭부(136)에 접속되어 펄스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전자침(146)을 구비하는 펄스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132)는 컴퓨터(110)에 설치된 구동드라이버(112)에 의하여 생성된 구동데이터를 상기 커넥팅케이블(122)을 통하여 수신하여, 그 구동데이터에 대응되게,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134)를 제어하여 펄스를 발진시키고, 펄스출력부를 제어하여 발진된 펄스가 소정 전자침(146)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침 마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침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ELECTRONIC CHIM MOUSE AND TELEMEDICINE SERVICE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마우스 고유의 입력장치로서의 기능 외에도 마우스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도 전자적으로 인체의 경혈에 자극을 줌으로써 침시술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자침 마우스와 원격지에서 각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편의성 및 시술 효과를 구비함과 아울러, 보다 폭 넓은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전자침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침 기기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985-1503호(고안의 명칭: 휴대용 전자 자침기), 제1991-2387호(고안의 명칭: 전자침 기기), 등록특허 제239850호(발명의 명칭: 수족의 경락 자극 전자침 기기)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명세서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침 시술 요법은 인체에 있는 경혈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혈행을 좋게 하고, 근육 속의 어혈(瘀血)
과 같은 노폐물을 분해시키는 작용으로 증상에 따른 질병을 치료하는 한방 의학술이다.
특히 인체에는 약 700여 개의 경혈점이 있어, 인체 내에 질병이 발생하면 반드시 피부 상의 어느 부위와 관련된 경락 상의 경혈점에 과민 압통점이 있으며, 이러한 질병의 반응은 인체 끝부분으로 갈수록 강하게 나타나며, 한방 치료법에서는 이와 같은 경혈점을 찾아내어 침으로 피부에 자극을 가하여, 오장육부, 혈관, 자율 신경 등 이상 항진에 대하여 제지, 진정작용과 신체 내부의 조절 작용을 발생시켜 인체의 자연 치유 능력을 증강시킴으로 인체의 질병을 퇴치 및 예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침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혈도에 침(鍼)을 꽂아 주는 것이 보통이나, 시술 중 잡균이 침입하여 오히려 시술한 부위에 상처를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고자, 전자적으로 인체의 경혈점을 자극하여 침 시술의 효능을 발휘되게 한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전자침 기기가 소개되었다.
한편, 근래 컴퓨터 사용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힘입어, 컴퓨터 입력주변장치로서 마우스는 현대인들이 빈번하게 접하는 장치가 되었다. 특히, 최근 인터넷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입력장치로서의 종래 키보드가 담당했던 입력 기능을 훨씬 뛰어 넘어 마우스의 사용 빈도수는 가히 폭발적이라 할만 하다.
한편, 현대인들은 부족한 운동량에 기인하여 그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대다수가 스트레스, 소화불량, 비만, 관절염 등과 같은 병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직장인이나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학생층에서는 손목관절,팔, 어깨, 목 부위 등에 통증을 호소하거나, 안구 피로, 시력 감퇴, 소화불량 등의 컴퓨터와 관련한 신종 증후군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컴퓨터 인구로 대변되는 이러한 현대인들을 위해 마우스에 전자침 기능을 부여한 전자침 마우스가 소개되었고, 그 예(例)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105666호(발명의 명칭: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침시술 시스템 및 그 방법)이다. 이 밖에도 등록실용신안 제198049호(고안의 명칭: "마우스 조립체")도 전자침 마우스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105666호에 개시된 종래의 전자침 마우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전자침 마우스는 컴퓨터와 접속되며, 그 본체의 외측에 마련된 클릭버튼(23)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복수의 전극침(25)을 구비하는 마우스 본체(21)와; 상기 전극침(25)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소정 전위를 온/오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침(25)과 접속된 전원공급부(41)와; 외부로부터 전극침 구동패턴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전극침 구동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전극침(25)들에 상기 클릭버튼(23)이 온 되는 기간동안 전위가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부(41)를 제어하는 제어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컴퓨터와 접속되며, 그 본체의 외측에 마련된 클릭버튼(23)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 돌출 되게 설치된 복수의 전극침(25)을 구비하는 마우스(20)와; 상기 컴퓨터에 설치되며, 인체의 이상여부에 대한 증상의 종류와,상기 증상 또는 증상들의 조합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침 구동패턴모드를 표시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침시술안내 드라이버; 및 상기 전극침(25) 각각에 대해 소정 전위를 온/오프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침 구동패턴모드 중에서 상기 컴퓨터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전극침(25)들로 상기 클릭버튼(23)이 온 되는 기간동안 소정 전위를 인가하는 전극침 구동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이용한 침시술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24는 보조침시술코드선, 24a는 전도성침부재, 24b는 연결코드, 27은 미끄럼방지부재, 29는 발광소자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의 종래의 전자침 마우스는 종래의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로서 존재하던 마우스와 전자침 기기를 접목함으로써, 컴퓨터 사용자에게 별도의 노력이나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편리하게 전자침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도 1의 전자침 마우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도 1의 전자침 마우스에서는 클릭버튼이 온 되는 기간동안에만 전극침에 전위가 인가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클릭버튼이 온 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전자침 시술을 받을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한방 침시술 요법은 증상에 따라 다르지만 침시술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대략적으로 수분 이상(예컨대, 15분 ~ 20분) 시술이 계속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침시술을 위해서 사용자는 클릭버튼을 계속해서 클릭하거나, 클릭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는 그 자체로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의학적으로도 손가락 근육의 계속적인 긴장을 수반하는 것이어서, 오히려 신체에 좋지 못한 결과를 야기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이는 컴퓨터 작업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컴퓨터 작업을 위하여 사용자는 소정 작업창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컴퓨터는 클릭버튼의 온을 각종 작업 명령의 입력 행위로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번 마우스 포인터를 작업 명령 아이콘이 위치하지 않는 곳으로 옮겨온 후, 클릭버튼을 클릭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는 컴퓨터 작업과 병행하여 침시술을 받고자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 집중력을 저해하는 작업 방해 요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둘째, 한방 의학적으로 각 증상에 따라 필요한 시술 시간이 존재한다. 즉, 수초간 시침을 하였다하여 그 침시술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아니고, 반대로 몇 시간 동안 계속해서 시침을 한다하여 그 효과가 좋은 것도 아니다. 따라서, 각 증상에 따라 어느 경혈점에 시침을 하여야 하는가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시간동안 시침을 하여야 하는가도 중요한 한의학적 시술 요법이 된다. 그러나, 도 1의 전자침 마우스에서는 이러한 각 증상에 따른 시술 시간을 사용자가 사전에 일일이 알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도 1의 전자침 마우스는 시간 예약 기능을 구비하지 못함으로써, 사용자가 매번 침시술안내 드라이버를 실행시켜야만 침시술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주기적인 침시술, 예컨대 식사 후 소화불량 증상에 대한시침, 밤 시간대에 눈 피로 증상에 대한 시침 등 주기적인 침시술을 받고자 하는 경우, 전혀 이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 치료 효과는 간헐적이고 불규칙적인 시술보다는 규칙적이면서 주기적인 시술을 통해서 극대화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이러한 시간 예약 기능은 침시술 요법에서는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통상의 장치에서 시간 예약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회로 구성 및 타이머를 필요로 하는데 반하여, 컴퓨터는 자체적으로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단순히 소프트웨어적으로 시간 예약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어떠한 비용 수반이나 장치의 복잡화를 야기하지 않고서도 컴퓨터의 이점을 이용하여 사용자 편의를 한층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함에도, 도 1의 전자침 마우스는 이러한 컴퓨터의 이점을 충분히 접목 내지 활용하지 못한 미비점을 가지는 것이다.
넷째, 전극침을 통하여 인가되는 동일한 전위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마다 반응하는 정도는 각각 다르다. 따라서, 전극침에 인가되는 전위는 각 개인의 신체 특성에 따라 각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의 전자침 마우스는 소프트웨어 상으로, 즉 침시술안내 드라이버의 전위조절 기능을 통하여서 전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 작업을 수행 중이던 사용자는 침시술안내 드라이버 창의 활성화 → 전위조절 모드 메뉴로의 이동 → 전위 조절 → 작업 중이던 창의 재활성화의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그러나, 이는 그 자체로서 사용자에게 불편할 뿐 아니라, 활성창의 변경은 컴퓨터 작업에 방해를주는 것이어서 컴퓨터 작업 능률의 저하를 야기한다.
다섯 번째로는, 도 1의 전자침 마우스에서는 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1)로서 외부전원을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매우 비현실적인 구성으로서, 별도의 외부전원이 구비되어야 하는 제약뿐만 아니라, 마우스의 이동성을 제약함으로써, 컴퓨터 작업의 작업성 저하를 야기한다. 또한, 통상 컴퓨터는 모니터 및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고, 이 들은 각각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점을 감안할 때, 전원 케이블의 증가로 인한 실내 환경의 조잡함이 야기된다.
여섯 번째로는, 도 1의 전극침(25)에는 펄스파가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전원공급부(41)와 소정의 전극침(25)을 통전시켜 그 전극침(25)에 전원공급부(41)의 전위가 그대로 인가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전자침 기기에 있어서, 주파수는 펄스파가 피부에 침투하는 깊이와 연관된다. 즉, 고주파는 피부 표면을 흐르며, 저주파는 피부 깊숙이 침투하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펄스 발생, 더 나아가 주파수 조절이 불가능한 도 1의 전자침 마우스는 그 시술 효과가 미약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일곱 번째로, 도 1의 전자침 마우스는 단순히 침시술 기기로의 본질적인 기능에만 국한될 뿐, 그에 더 나아가 부가적인 의료서비스를 위한 장비로서의 확장성에는 전혀 착안되지 못함으로써 그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마우스 클릭동작의 개입 필요 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시술 개시 및 종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 요소 및 컴퓨터 작업 방해 요소를 제거한 전자침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증상에 따라 최적의 시술 소요 시간의 설정 및 예약 시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떠한 비용 수반이나 장치의 복잡화를 야기하지 않고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최대의 시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침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펄스파의 출력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출력강도조절부를 마우스 본체의 외측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제고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전원의 개입 없이 마우스의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함으로써, 마우스의 이동성을 저하시키지 않음과 아울러 실내 환경 저하 요소를 제거한 전자침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침으로 소정 주파수의 펄스파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침시술 효과를 제고함과 아울러, 더 나아가 증상, 즉 경혈점에 따라 최적의 주파수 설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시술 효과를 더 한 층 높일 수 있는 전자침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시술 기기로서의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폭 넓은 의료서비스를 위한 장비로서 기능할 수 있는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통적인 우리 고유의 침시술 요법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어느 일부 증상에만 특정적으로 효험이 있는 통상의 의료기법이 아니고, 다양한 증상과 관련하여 그 관련된 경혈점을 한의학적으로 체계화하고, 이를 통하여 신체 각부의 이상 증상에 각각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반면, 마우스는 그 기능상 컴퓨터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전자 주변기기이고, 따라서, 인터넷을 통한 공간 초월성의 특징과 접목될 수 있는 환경적 기반을 가지는 있는 기기인 것이다. 즉, 전통적 침시술 요법이 가지는 종합 의료 기법의 특징과 인터넷을 통한 공간 초월성을 접목하여, 종합적인 원격의료 서비스 또는 카운슬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침 마우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침 마우스의 외관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마우스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마우스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a는 도 3의 전자침 마우스의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전체 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3의 전자침 마우스의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전자침 관련 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도 3의 마우스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사용자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플로우를, 도 6b는 서버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컴퓨터 112: 구동드라이버
120: 마우스 122: 커넥팅케이블
132: 제어부 134: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
136: 펄스증폭부 138: 스위치부
142: 출력강도조절부 146: 전자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컴퓨터의 마우스포트에 접속되는 마우스로서, 제어부; 상기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펄스를 발진시키는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 상기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에서 발생된 펄스를 증폭하는 펄스증폭부; 및 상기 펄스증폭부에 접속되어 펄스를 출력하는, 복수의 전자침을 구비하는 펄스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에 설치된 구동드라이버에 의하여 생성된 구동데이터를 상기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수신하여, 그 구동데이터에 대응되게,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를 제어하여 펄스를 발진시키고, 펄스출력부를 제어하여 발진된 펄스가 소정 전자침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전자침 마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펄스출력부는 상기 펄스증폭부와 상기 전자침과의 사이에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정 전자침으로 펄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드라이버는, 컴퓨터에 내장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설정된 시술시간이 경과되면 종료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 및 펄스출력부를 종료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침 마우스의 본체 외측에는 출력강도조절부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출력강도조절부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자침을 통하여 출력되는 펄스의 출력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드라이버는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 시간에 구동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그 생성된 구동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 및 펄스출력부를 제어하여, 발진된 펄스가 예약된 시간에 소정 전자침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전자침 마우스와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 및 상기 사용자 컴퓨터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구동드라이버는 시술내역정보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시술내역정보를 전송 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침 마우스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 컴퓨터는 의료관련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시술내역정보에 대응되는 의료관련정보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침 마우스(120)의 외관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마우스(120)는 전자침(146) 및 출력강도조절부(142)가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마우스 구성과 동일하다. 즉, 마우스 외부본체의 외측에 클릭버튼(130)이 형성되어 있고, 마우스(120)는 컴퓨터(110)의 마우스포트에 커넥팅케이블(122)을 통하여 접속된다.
도 3은 도 2의 마우스(120)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의 마우스(120)는 볼 마우스에 본 발명의 전자침 구성을 부가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광마우스, 스크롤 휠을 구비한 마우스 등 다종의 마우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마우스의 각 구성 및 그 구성부의 기능은 공지 기술로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침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전자침 마우스(120)는 제어부(132),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134), 펄스증폭부(136) 및 펄스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134)는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펄스를 발진시키는데, 이때 필요한 전원은 마우스(120)의 커넥팅케이블(122)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한다.
펄스증폭부(136)는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134)에서 발진된 펄스를 증폭한다.
펄스출력부는 펄스증폭부(136)에 접속되어 펄스를 출력한다. 펄스출력부는 스위치부(138)와 복수개의 전자침(146)으로 이루어진다. 스위치부(138)는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전자침(146) 중 소정의 전자침(146)으로 펄스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도 3의 마우스(120)는 그 마우스 외부본체의 측면에 출력강도조절부(14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전자침(146)으로 출력되는 펄스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접속커넥터(140a, 140b)는 스위치부(138)를 통하여 출력되는 펄스가 고정플레이트(144)에 고정된 전자침(146)에 인가될 수 있도록, 스위치부(138)와 전자침(146)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124는 볼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마우스(12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의 전자침 마우스(120)는 컴퓨터(110)와 커넥팅케이블(122)을 통하여 접속된다. 컴퓨터(110)에는 구동드라이버(112)가 설치되는데, 구동드라이버(112)는 본 발명의 전자침 마우스(120)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사용자는 구동드라이버(112)가 제공하는 구동모드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구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구동모드설정 메뉴의 하위메뉴로는 증상설정 메뉴, 시술시간설정 메뉴, 예약시간설정 메뉴 등의 하위메뉴를 가진다. 이들 하위메뉴는 상호 병렬적인 메뉴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다른 하위메뉴의 하위 메뉴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구동모드설정 메뉴를 클릭하면, 구동드라이버(112)는 증상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증상을 선택·클릭하면, 계속해서 시술시간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시술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시술시간설정 메뉴는 디폴트값(Default Value)으로서, 최적의 값을 미리 설정하여 둠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시술시간을 변경하지 않는 한 디폴트값이 설정되도록 한다.
사용자로부터 구동개시 입력이 있으면, 구동드라이버(112)는 설정된 구동모드에 대응되는 구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커넥팅케이블(122)을 통하여 제어부(132)에 전송한다. 한편, 예약시술의 경우에는 컴퓨터(110)에 내장된 타이머가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예약된 시간에 도달되면 구동드라이버는 자동으로 구동데이터를 제어부(132)로 전송한다. 상기 구동데이터에는 발진 주파수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설정한 증상에 대응되어 펄스가 인가되어야 하는 전자침(146)에 대한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132)는 상기 구동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구동데이터에 대응되게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134)를 제어하여 소정 주파수의 펄스가 발진되도록 한다.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134)에 의하여 발진된 펄스는 펄스증폭부(136)에 의하여 증폭된다.
스위치부(138)는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증폭된 펄스를 소정 전자침(146)으로 인가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도 5a는 도 3의 전자침 마우스(120)의 제어부(132)에서 수행되는 전체 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 고유의 기능인 입력장치로서의 기능은 볼 또는 클릭버튼의 이동 또는 압력을 감지한 후, 이동 또는 압력 감지 데이터를 아스키화하여 커넥팅케이블(122)을 통하여 컴퓨터(11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마우스(120)의 전자침 기능은 도 5b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5b는 도 3의 전자침 마우스(120)의 제어부(132)에서 수행되는 전자침 관련 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팅케이블(122)을 통하여 구동드라이버(112)로부터 구동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32)는 그 구동데이터를 분석한다.
그리고 난 후, 제어부(132)는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134)를 제어하여 소정 주파수의 펄스를 발진시키고, 아울러, 스위치부(138)를 제어하여 소정 전자침(146)으로 발진된 펄스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난 후, 컴퓨터(110)에 내장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디폴트값 또는 사용자 설정값의 시술시간이 경과되면, 구동드라이버(112)는 종료신호를 제어부(132)로 전송한다. 제어부(132)는 상기 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134)를 제어하여 펄스 발진을 종료시킨다. 또한, 스위치부(138)를 제어하여, 전자침(146)과의 모든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누전으로 인한 인체 위해 발생 소지를 사전에 방지한다.
도 6a 및 6b는 도 3의 마우스(120)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사용자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플로우를, 도 6b는 서버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구동드라이버(112)가 실행되면, 구동모드설정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구동모드 선택·입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난 후, 구동드라이버(112)는 컴퓨터의 마우스포트를 통해 제어부(132)로 구동데이터를 전송한다.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 컴퓨터로 시술내역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시술내역정보에는 예컨대, 사용자가 설정한 증상, 시술 회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컴퓨터는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시술내역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전송 받은 후, 사용자 확인을 거쳐 시술내역정보를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그리고 나서, 시술내역정보에 대응되는 의료관련정보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의료관련 지식을 제공한다. 서버 컴퓨터는 의료관련정보도 또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기전송한 의료관련정보인 경우에는 중복 전송되지 않도록 한다. 의료관련정보에는 예컨대, 식이요법에 대한 정보, 운동요법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비만에는 어떠한 음식이 적당한지, 어떠한 운동을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하여야 하는지 등에 대한 의료관련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구동드라이버(112)의 실행이 일시적으로 없어, 유용한 의료관련정보의 업데이트가 있었음에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의료관련정보의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에는 서버 컴퓨터가 자체적으로 시술내역정보 DB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사용자에게 의료관련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화된 시술내역정보는 차후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가 설치된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경우, 막대그래프, 숫자 등으로 출력되어 의사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또한, 전자침 마우스 제작업체로서는 이러한 시술내역정보를 이용하여 경혈점의 위치를 추가한다든지, 적절한 출력강도의 디폴트값을 설정하는 등 추후 전자침 마우스 제작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우스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도 사용자의 별도의 동작의 개입 없이 마우스에 손을 대고 있는 것만으로도 전자침 시술을 받을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컴퓨터 작업성 면에서 우수한 전자침 마우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증상에 따라 최적의 시술 소요 시간의 설정 및 예약 시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떠한 비용 수반이나 장치의 복잡화를 야기하지 않고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최대의 시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펄스파의 출력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출력강도조절부를 마우스 본체의 외측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전원의 개입 없이 마우스의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함으로써, 마우스의 이동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실내 환경 저하 요소를 제거한 전자침 마우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침으로 소정 주파수의 펄스파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침시술 효과를 제고함과 아울러, 더 나아가 증상, 즉 경혈점에 따라 최적의 주파수 설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시술 효과를 더 한 층 높일 수 있는 전자침 마우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시술 기기로서의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폭 넓은 의료서비스를 위한 장비로서 기능할 수 있는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컴퓨터의 마우스포트에 접속되는 마우스로서,
    제어부;
    상기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펄스를 발진시키는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
    상기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에서 발생된 펄스를 증폭하는 펄스증폭부; 및
    상기 펄스증폭부에 접속되어 펄스를 출력하는, 복수의 전자침을 구비하는 펄스출력부;
    상기 펄스증폭부와 상기 전자침과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정 전자침으로 펄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에 설치된 구동드라이버에 의하여 생성된 구동데이터를 상기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수신하여, 그 구동데이터에 대응되게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를 제어하여 펄스를 발진시키고, 펄스출력부를 제어하여 발진된 펄스가 소정 전자침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드라이버는,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 시간에 구동데이터를 자동으로 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컴퓨터에 내장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설정된 시술시간이 경과되면 종료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팅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개시신호 및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조절/펄스발생부, 스위치부 및 펄스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침 마우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침 마우스의 본체 외측에는 출력강도조절부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출력강도조절부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자침을 통하여 출력되는 펄스의 출력강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침 마우스.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전자침 마우스와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 및
    상기 사용자 컴퓨터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구동드라이버는 시술내역정보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시술내역정보를 전송 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시술내역정보에 대응되는 의료관련정보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침 마우스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2-0018596A 2002-04-04 2002-04-04 전자침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 KR10040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596A KR100405105B1 (ko) 2002-04-04 2002-04-04 전자침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
AU2003215955A AU2003215955A1 (en) 2002-04-04 2003-03-26 Electronic needle mouse and telemedicine service system using it
PCT/KR2003/000594 WO2003085508A1 (en) 2002-04-04 2003-03-26 Electronic needle mouse and telemedicine service system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596A KR100405105B1 (ko) 2002-04-04 2002-04-04 전자침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526A KR20030079526A (ko) 2003-10-10
KR100405105B1 true KR100405105B1 (ko) 2003-11-10

Family

ID=2878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596A KR100405105B1 (ko) 2002-04-04 2002-04-04 전자침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05105B1 (ko)
AU (1) AU2003215955A1 (ko)
WO (1) WO2003085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36549A (en) * 2005-04-12 2006-10-16 Benext Inno Product Dev Ltd Combined computer mouse and transcutaneous electro nerve stimulator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468A (ko) * 2000-03-24 2000-08-05 김홍덕 오지 센서 부착 마우스를 이용한 한의학 건강 진단 방법
KR200193783Y1 (ko) * 2000-03-14 2000-08-16 김준범 지압용 컴퓨터 마우스
KR200222260Y1 (ko) * 2000-11-24 2001-05-02 허진수 원적외선 수지침 기능을 갖춘 마우스
KR200229816Y1 (ko) * 2001-02-12 2001-07-19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지압용 마우스
KR200252357Y1 (ko) * 2001-08-04 2001-11-23 최해림 자동 지압식 마우스
KR20010105666A (ko) * 2000-05-17 2001-11-29 염승만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침시술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9991A (ja) * 1993-04-06 1994-10-18 Hitachi Ltd マウス
KR200198049Y1 (ko) * 2000-04-18 2000-10-02 염승만 마우스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783Y1 (ko) * 2000-03-14 2000-08-16 김준범 지압용 컴퓨터 마우스
KR20000049468A (ko) * 2000-03-24 2000-08-05 김홍덕 오지 센서 부착 마우스를 이용한 한의학 건강 진단 방법
KR20010105666A (ko) * 2000-05-17 2001-11-29 염승만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침시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22260Y1 (ko) * 2000-11-24 2001-05-02 허진수 원적외선 수지침 기능을 갖춘 마우스
KR200229816Y1 (ko) * 2001-02-12 2001-07-19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지압용 마우스
KR200252357Y1 (ko) * 2001-08-04 2001-11-23 최해림 자동 지압식 마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15955A1 (en) 2003-10-20
WO2003085508A1 (en) 2003-10-16
KR20030079526A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3346B1 (en) Multi-mode microcurrent stimulus system with safety circuitry and related methods
KR101550226B1 (ko) 방출 및 치료 효과의 동적 최적화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US20060190057A1 (en) Synthetic traveling wave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US20020068961A1 (en) Electrical stimulator and method of use
JP2004537355A (ja) 生物学的製剤と併用するための電子医療装置
WO2003075744A2 (en) Optimizing implanted medical device performance
JP2000502917A (ja) 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方法および心理状態の制御装置
JP7463659B2 (ja) 電気刺激装置
US9610421B2 (en) Devices and method utilizing ultra-low frequency non-vibratory tactile stimuli for regulation of physiological processes
JP2017505169A (ja) 自給式携帯式双極式皮質刺激器
KR102169133B1 (ko) 수면 유도 장치
JP2020534060A (ja) 植え込み型神経刺激装置のためのカスタイマイズ可能な漸増
US20230034934A1 (en) Two-way diagnosis and treatment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lood pressure measurement
KR100405105B1 (ko) 전자침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
WO2013072701A1 (en) Light irradiation treatment device, program and method
KR20050102615A (ko) 저주파, 초음파, 칼라테라피 일체형 프로브
KR102520514B1 (ko)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온열 무릎광조사장치, 온열 무릎광조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0183928A1 (ja) 電気刺激印加装置及び電気刺激印加方法
RU103733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и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а
JP3090084U (ja) 低周波治療器付リモコン及び低周波治療支援機能付きav機器
US20230181900A1 (en) Muscle Injury Prevention and Muscle Strengthening System
KR19990070810A (ko) 가정용 저주파 의료기
CN211723979U (zh) 手持式穴道敲击装置
US20230054897A1 (en) Muscle and fascia pain identification by electrical stimulus
TWI640309B (zh) Circulating acupoint electrotherap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